함교
1. 개요
[image]
[image]
[image]
艦橋
선박에서 주위 상황을 파악하고 선박을 조타, 선원을 지휘하기 위해 갑판 상부에 높이 솟아올려 지은 구조물. 함선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장소이며 군함에서는 함교, 민간선박에선 선교(船橋)로 불린다. 영어로는 양쪽 모두 브리지(bridge)로 통칭한다. 항공모함이나 잠수함에서도 함교처럼 솟아오른 공간이 있는데, 항공모함의 경우 아일랜드(island), 잠수함의 경우에는 세일(sail)이라고 부른다. 둘 모두 함교에서 유래한 시설이기는 하지만 아일랜드의 경우에는 관제탑의 역할을 겸하며 세일은 함의 균형을 잡는 역할을 겸한다.
이렇게 함선의 통제실을 함교라고 부르게 된 것은 증기기관을 이용한 동력선이 생긴 이후의 일로, 이전까지의 함선(즉, 범선)들은 선박의 후방갑판(quarter deck)을 약간 높게 만들어 지휘소로 삼았다. 그러다 증기 외륜선이 생기면서 배 양측에 외륜과 외륜을 움직이는 데 관여하는 기관실을 설치할 필요가 생겼고, 종전의 후방갑판으로는 시야 확보에 어려움이 발생했다. 이에 양쪽 기관실 사이에 다리를 놓고 그곳에 관측/조종을 위한 시설을 설치하게 되었으며, 이후 외륜선이 사장된 후로도 통제실을 브리지라고 부르게 되었다.
옛 범선의 후방갑판이든 현대적인 브리지이든, 다수 선원이 승선하는 어느 정도의 규모를 갖춘 함선이라면 동서고금 어디에서나 군함과 상선을 불문하고 높이 솟아오른 돌출 형태의 지휘공간은 필수적이었고, 특히 배 여러 척이 함께 다니는 다수 선단이라면 더욱 필수불가결했다. 이것이 적군이나 해적의 공격 표적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현대까지 물리적으로 돌출된 브리지를 건설하는 이유이다. 이런 이유에서 해군에 복무한 경험이 있는 디자이너 한호림 씨는 함교가 없는 기존 거북선 복원도는 말도 안된다며 각종 사료를 뒤져 함교가 있는 형태의 거북선 복원도를 제시하기도 했다.
이하 내용은 군함 위주이다.
지휘관 및 통제 시설이 모이는 공간이기 때문에, 당하면 함선이 마비된다. 이렇게 되면 위험이 너무 커지기 때문에 1차 세계대전 무렵부터 각국은 함교의 역할을 분산하기 시작, 함선의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항해 함교, 해당 군함에서 가장 두꺼운 장갑을 두른 장갑 함교, 후방 마스트에 위치한 예비 함교 등등의 개념을 만들었으며, 함선내 서열 1,2,3위 장교를 각각의 함교에 분산시킴으로써 함교 하나가 박살나더라도 함선 전체가 마비되지 않도록 했다.
현대에는 평상시에는 간략한 설비가 갖춰진 함교를 사용하고, 전투시에는 함체의 중앙에 따로 설치된 전투지휘소(Combat Information Center. 약칭 CIC)에서 함교의 기능까지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항공모함이나 강습상륙함과 같은 대형 수상함의 경우, 함교가 단순한 지휘 역할만을 하는 게 아니라 항공기의 관제 역할을 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기능을 하는 함교를 아일랜드라고 부른다.
2. 서브컬처(특히 우주전함)의 함교
왠지 우주전에도 대체로 함선 최외곽에 '''대놓고 노출되어 있으며''', CIC 역할을 겸하기 때문에 전투시 제독, 함장, 함대 참모장교 등 주요 장교들이 모조리 모여들게 되는 구조물이다. 그야말로 사망 플래그 그 자체라 할 만하다. 유무형의 실드를 지녀 외부 포격으로부터 보호받는다는 설정이 많지만, 그래도 일단 파고들기만 하면 모기만한 전투기나 로봇으로도 압도적인 전력을 지닌 거대 우주전함의 모든 지휘관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으므로 독자/시청자들로부터 일발역전의 카타르시스를 이끌어내기에 제격이다.
스타워즈의 경우 스타 디스트로이어 시리즈처럼 함교가 대놓고 나 함교요 하고 튀어나와 있는 함선들이 많지만 스타워즈 세계관은 방어막 기술이 워낙 뛰어나서 함교를 노출되게 만들어도 다 방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그런거다. [1]
그러나 이는 밀리터리에 지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의아할 요소이기도 하다. 민간 함선이라면 외관상의 이유로 여전히 돌출된 선교가 필요할 수도 있지만, 전투를 위한 함선이라면 공간이 허락하는 한 선체 내부의 가장 안전한 자리에 지휘시설을 배치하는 것이 당연히 유리하기 때문. 현실의 함선이 아직까지도 외부 함교를 두는 것에서 이유를 따져 보자면, 평시 항해시 주변의 항해의 안정성이 더 높고 전자장비가 먹통이 된 비상시에도 육안으로 전황을 읽고 지휘를 할 수 있다는 점 등이 원인이 아닐까 싶다. 경우에 따라서는 장거리 항행을 위한 추진 설비 또는 함재기 격납고 때문에 함내에 공간이 부족하다거나, 모종의 이유로 레이더를 쓸 수 없어 육안 관측이 중요하다거나 하는 이유도 있다. 그렇지만 대개는 함선 형상의 뽀대를 위해 이런저런 부대 설정을 붙이는 게 절대다수이긴 하다.
창작물에선 함교가 파괴될시 비록 본 선체가 피해를 받지 않았더라도 그 배는 곧바로 폭발한다는 묘한 클리셰가 있다. 실제로는 함교가 날아간다고 배가 바로 터지거나 하진 않는다. 다만 지휘계통이 사라지기 때문에 이 부분이 날아간다는 것은 곧 함선이 반쯤 죽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영국에서는 예외. 심지어 이 클리셰를 무시하고 수십번의 폭격을 견뎌낸다.[2]
예외도 있는데 대표적으로 은하영웅전설의 함선들은 대부분 함교가 선체 내부에 위치하며, 전투 스크린으로 외부 상황을 파악한다. 스타쉽 오퍼레이터즈의 함선도 메인 함교가 선체 내부에 있어 실질적으로는 CIC에 가깝게 나온다. 이외에도 전투용 함교가 따로 존재하거나 함교에 전투모드가 존재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3. 함교 공격에 당한 대표적인 함선들
3.1. 실제
3.2. 가상
- 기동전사 건담 - 잔지바르급 순양함
- 모빌슈트 건담 디 오리진 - 치베급 중순양함[5]
- 기동전사 건담 0083 스타더스트 메모리 - 그와덴
- 기동전사 Z 건담 - 알렉산드리아급 중순양함 (자마이칸 다닝건)
- 스타워즈 - 이제큐터 슈퍼 스타 디스트로이어
- 은하영웅전설 - 페르가몬
- 나이트런 - 거의 등장하는 모든 함선들
4. 관련 문서
[1] 함교 공격으로 격침된 대표급 전함인 이제큐터급 스타 드레드노트도 반란 연합 함선들과 전투기들의 처절한 공습으로 방어막이 일시적으로 내려간 틈에야 (이 때는 황제가 루크 스카이워커를 타락시키기 위해 제국 함선들의 개입을 자제시켜놓은 상황이여서 제국 함선들은 반란 연합 함선들과 전투기들 처리를 타이 파이터에 의존해야 했다.)속도는 은하계 최강인 A-wing중 하나가 기체가 파손되어 죽을 상황에서 겨우 자폭 공격으로 들이박아 격침할 수 있었다.[2] CIC가 대부분 차폐형이기 때문. 주로 최전선에서 싸우는 함급이기에 최대한 낮게 설계되어있다.[3] 2차 세계대전 일본 해군의 카게로급 구축함으로 미군 잠수함의 뇌격으로 반으로 뚝 잘렸고 함교도 같이 날아갔다.[4] 독일의 특제 1.4톤 항공기용 SAP(반철갑탄)을 단 한스 울리히 루델의 Ju87이 실시한 급강하 폭격에 1번 주포탑이 유폭하며 함수 수면위가 통째로 사라지고 함교가 붕괴, 함체는 착저(얕은곳에서 격침되어 갑판이 물위로 나온채 바닥에 닿음)했다.[5] 상단의 잔지바르의 포지션을 대신 맡았다.[6] 함체의 크기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거대한 함교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