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안경비대사령관
1. 개요
해안경비대의 최선임 제복군인을 가리키는 말로 타군의 참모총장에 상당한다.
2. 나라별
2.1. 대한민국
2.1.1. 조선해안경비대
1946년 6월 15일에 조선해안경비대가 생겼을 당시에 최선임 제복군인은 총사령관으로 지칭했다. 1948년 9월 5일 정규군인 대한민국 해군으로 전환할 때까지 손원일 대령이 총사령관을 맡았다. 따라서 역대 해안경비대사령관은 1명이다. 그 뒤 조선해안경비대가 대한민국 해군으로 전환하면서, 해안경비대사령관 또한 해군총참모장으로 보직명이 바뀌었으며, 해안경비대사령관이던 손원일 대령이 그대로 초대 총참모장으로 임명되었다.
2.1.2. 대한민국 해양경찰청장
해양경찰청은 치안국-경찰청이 모태이므로, 해양경찰청장은 이 문서에 언급된 직책들과 달리 군인을 뜻하는 사령관에 해당하지 않는다. 그러나 기존에 이 문서에 서술되었던 점을 감안하여 링크를 남겨둔다.
2.2. 미 해안경비대
[image]
해안경비대의 유일한 4성 제독이었지만 2016년 6월 현재 부사령관도 대장이 되었다. 미국 상원의 인준을 얻어야 하며 전시에는 미 해군에 파견되어 합동참모본부의 구성원이 된다. 즉 의전상 합동참모차장, 육군참모총장, 해군참모총장, 공군참모총장, 주방위군총감, 해병대사령관과 동급이다. 군사조직이긴 하지만 평시에는 합동참모본부나 미국 국방부의 통제나 지휘가 아닌, 국토안보부 장관의 지휘를 받는다.
1908년부터 1923년까지는 함장사령(captain-commandant)이 해안경비대의 최선임이었다. 당시에는 해안경비대가 아니라 세관순시선(Revenue Cutter Service)이란 이름이었다. 해안경비대가 현재처럼 군사조직이 된 건 1889년으로 해안경비대 초대사령관은 리어나드 셰퍼드(Leonard G. Shepard) 대령을 초대로 친다. 25대인 폴 저컨프트(Paul F. Zukunft)는 2014년 5월 30일에 취임하였다.
3대인 워스 로스(Worth G. Ross) 제독이 해안경비대사관학교의 첫 졸업생인데 그 이후로 25대 저컨프트까지 23명의 해안경비대사령관 전원이 해안경비대사관학교(United States Coast Guard Academy)나 그 전신인 세관순시선학교(Revenue Cutter Service School of Instruction) 출신이다. 다른 미군의 군종들이 대장급 인사 등에서 사관학교가 가장 강세긴 하지만 다른 출신들도 등용하려고 하는 편인데 비해 해안경비대는 인원도 적고[1] 타군에 비해 정치적 관심도 적어 해경사관학교가 독점하고 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사관후보생(OCS)은 있지만 학군사관이 없다. 청소년 학군단이 2개 있긴 하지만 그거야 예비군을 뽑는 것도 아닌 또래집단이다.
수장의 경우 해군 대장에 상당한다.
2.3. 영국 해안경비대
[image]
해안경비대의 유일한 경정이다. 그리고 해사연안경비청의 지휘를 받는다. 물론 영국은 미국과 달리 군인이 아닌 경찰신분이고 계급도 다르다.
[image]
수장의 경우 경정에 상당한다.
2.4. 해상보안청
해상보안청(海上保安廳)은 영어로 Japan Coast Guard이다. 해상보안대학교도 영어로 Japan Coast Guard Academy로 번역한다. 해상보안청의 최선임은 해상보안청장관(海上保安庁長官)이다. 이들은 일반 해상보안관과 달리 계급을 부여받지 않지만 복제 등에선 사실상 계급장을 달고 있다. 해상보안청장관 외에 해상보안청차장(海上保安庁次長)이 있는데 이들은 국토교통성의 관료들이 보임되고 해상보안관의 경우에는 해상보안감(海上保安監, Vice Commandant for Operations)[2] 이 진급 상한선이었다. 한국의 소방 공무원을 생각하면 편한데 해상보안감은 부사령관 역할이다.
그런데 2013년에 최초로 해상보안감을 지낸 사토 유우(佐藤雄二)가 해상보안청장관으로 승진했다. 아베 신조의 의향으로 판단. 센가쿠 열도 문제 등으로 해상전력을 강화하고 힘을 실어주기 위한 정책으로 자위대처럼 제복 최선임을 제복요원에서 뽑기로 한 것으로 판단한다.
해상보안청장관의 제복. 수장은 해군 대장에 상당한다. 일본의 해상보안청은 일본 해군을 계승했기 때문에 미국처럼 수장을 달고 있다. 반면 중국은 무장경찰, 대만은 중화민국 경정서에서 독립한 해순서 소속이라 경찰 계급장을 단다.
2.5. 카리브
카리브해의 작은 섬나라들은 해군 대신에 해안경비대를 두는데 이런 나라의 경우 영관급 장교들이 해안경비대사령관이 된다.
[image]
앤티가 바부다 해안경비대사령관인 오든 니콜라스(Auden Nicolas). 예복이라 어깨에 수장을 달았는데 수장을 보면 소령이다.[3]
[1] 현역이 4만에 불과하다. 미 육군은 현역만 50만, 해군과 공군도 30만을 넘고 해병대도 20만에 달한다.[2] 이는 군사용어로 번역하면 작전담당 부사령관에 해당한다. 민간으로 번역하자면 COO에 해당한단 얘기.[3] 엔티가바부다의 해안경비대는 준군사조직이 아닌 해군을 대신하는 정규 군 조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