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군참모총장
1. 개요
空軍參謀總長. Chief of Staff of the Air Force (CSAF)/Chief of the Air Staff(CAS). 공군본부의 수장으로 공군 전체의 최선임 장교이다.
의전서열은 합동참모의장-육군참모총장-해군참모총장 다음으로 4위이다.
2. 대한민국 공군
2.1. 역대 대한민국 공군참모총장
3. 미합중국 공군
[image]
Chief of Staff of the United States Air Force. 각군 참모총장과 마찬가지로 군령권도, 군정권 없으며, 문민인 국방장관, 공군장관의 참모 역할에 가깝다.
공군참모총장과 공군주임원사만이 입을 수 있는 특별한 예복이 있다. 왼쪽부터 국방장관이었던 리언 퍼내타, 합참의장 마틴 뎀프시, 공군장관 마이클 돈리[1] , 19대 공군총장 노턴 슈워츠, 20대 공군총장 마크 웰시, 공군주임원사 제임스 로이다. 이 예복이 안 유명한 건 옷을 입을 수 있는 사람이 공군참모총장과 공군주임원사 밖에 없는데다가 그나마도 자비로 구입해야 하기 때문이다. 가격은 700달러 수준.
3.1. 역대 공군참모총장
전원이 공군 대장이다. 공군총장이지만 20대까지는 육사 출신이 10명, 학군 출신이 5명, 학사/간사 출신이 2명, 공사 출신이 4명이다. 또한 핵전쟁의 압박 속에서 크고 아름다운 폭격기들을 많이 굴리는 미국군의 특성상 전투기 조종사 외에도 폭격기 조종사 출신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특히 냉전시대엔 폭격기 경력자들[2] 이 자주 공군총장에 올랐지만 냉전이 끝난 뒤에는 전투기 출신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헨리 아놀드 원수의 경우 최초, 최후의 공군원수이지만, 공군 독립 이전에 모든 보직에서 물러났기 때문에 공군참모총장 보직을 수행해 보지는 못했다.[3]
- 1대 칼 스패츠(Carl A. Spaatz): 1947-1948. 본래 미 육군 보병 출신으로 웨스트포인트를 나왔다. 유럽에서 쑥 좀 재배하셨던 분.
- 2대 호이트 밴던버그(Hoyt Vandenberg): 1948-1953. 웨스트포인트 출신. 2대 CIA 국장을 지냈다. 케이프 커내버럴 케네디 우주센터에 이은 미국 제2의 우주기지인 캘리포니아주 밴던버그 공군기지에 이름이 붙었다. 정보분야에서 활동한 다크한 경력과는 별개로 굉장히 잘생겼던(!) 사람이라서 마릴린 먼로5게 조 디마지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과 함께 무인도에 함께 갇히고 싶은 세 남자로 지목되기도 했다.
- 3대 네이선 트와이닝(Nathan F. Twining): 1953-1957. 웨스트포인트 출신. 합참의장을 지냈다. 소싯적엔 주방위군에서 잠깐 복무하다 사관학교에 가서 졸업한 뒤 조종사가 되었다.
- 4대 토머스 화이트(Thomas D. White): 1957-1961. 웨스트포인트 출신. 관측기를 몰았고 주로 참모직에서 근무했다.
- 5대 커티스 르메이(Curtis E. LeMay): 1961-1965.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육군 ROTC 출신이지만 타고난 항덕후로서 조종사 되겠다고 육군 예비역, 주방위군, 육군 항공단까지 소위만 세번을 했다. 젊은 시절에는 전투기를 조종했으나 석기 시대 정체성을 깨닫고는 30대의 나이로 장군이 되어 독일과 일본에 불벼락을 내리며 전략 폭격의 방법론을 정립했다. 전략공군사령부에서도 플라잉 붐 방식 공중급유기의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탄도 미사일 개발에 나섰으며 M16 소총의 도입을 적극 추진하는 등의 다양한 업적을 남겨서 오늘날에는 미 공군 독립 이래 최고의 명장이자 맹장으로 꼽히고 있다. 심지어는 전역 이전에 원수로 추대하자는 주장까지 나오기도 했다.
- 6대 존 매코넬(John P. McConnell): 1965-1969. 다른 대학을 다니다 재수해서 웨스트포인트를 나왔다. 1966년 해롤드 존슨 육군참모총장과의 존슨-매코넬 협정을 체결하여 군용 항공기의 소속 논란을 마무리했다.
- 7대 존 라이언(John D. Ryan): 1969-1973. 웨스트포인트 출신으로 폭격기를 몰았다.
- 8대 조지 브라운(George S. Brown): 1973-1974. 웨스트포인트 출신으로 폭격기를 몰았다. 재임기간이 짧은 게 합참의장으로 영전했기 때문.
- 9대 데이비드 존스(David C. Jones): 1974-1978. 폭격기. 학사장교 출신이다.
- 10대 루 앨런(Lew Allen): 1978-1982. 육사 출신이다. 폭격기 조종사로 활동했고, NSA 국장을 지냈다. 참모총장 임기 이후에는 NASA 제트추진연구소장[4] 을 8년간 역임했다.
- 11대 찰스 게이브리얼(Charles A. Gabriel): 1982-1986. 육사 출신으로 전투기를 몰았다.
- 12대 래리 웰치(Larry D. Welch): 1986-1990. 미 육군 병으로 근무하다 전군해서 사관후보생으로 미 공군에 입대했다. 전투기 출신이다.
- 13대 마이클 듀건(Michael J. Dugan): 1990-1990. 육사 출신이다. 전투기를 몰았다. 걸프전 당시에 미국군이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과 그의 가족, 정부까지 포격할 거라고 인터뷰했다가 당시 국방장관인 딕 체니에 의해 경질되었다. 재임기간은 겨우 78일. 존 로(John M. Loh)가 직무대행을 했다. 여담으로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 2에 비슷하게 생긴 동명이인의 미국 대통령이 있다.
- 14대 메릴 맥피크(Merrill A. McPeak): 1990-1994. 샌디에이고주립대학 ROTC 출신이다. 재직 당시 영국 공군마냥 해군스러운 수장을 정복에 넣으려는 시도를 했다가 수많은 공군 장병들이 경악하여 흑역사로 묻힌 기록이 있다... 버락 후세인 오바마가 대통령에 출마할 당시 민주당 선대위원장을 지냈다.
- 15대 로널드 포글먼(Ronald R. Fogleman): 1994-1997. 전투기/수송기 조종사 출신으로 최초의 미국공군사관학교 출신 공군총장이다. 주한미군의 7공군 사령관을 역임하고 통합군 수송사령관을 지낸 뒤 참모총장에 올랐다. 전역 후 STS-107 컬럼비아 우주왕복선 폭발사고의 재발 방지를 위한 스태퍼드-코비 위원회에서 활동했다. 2010년대 들어서는 보잉의 고문으로 일하며 3차 FX 사업의 경쟁자였던 F-35를 까기도 했다. 하지만 F-15SE는...
- 16대 마이클 라이언(Michael E. Ryan): 1997-2001. 공사 출신으로 전투기를 몰았다. 아버지가 7대 공군참모총장이었던 존 라이언이다.
- 17대 존 점퍼(John P. Jumper): 2001-2005. 버지니아군사대학 ROTC 출신이다. 전투기 출신.
- 18대 마이클 모슬리(T. Michael Moseley): 2005-2008. 텍사스 A&M 대학(Texas A&M University)을 졸업했다. 전투기 출신.
- 19대 노턴 슈워츠(Norton A. Schwartz): 2008-2012. 공사 출신. 역대 공군총장들이 전투기나 폭격기로 출신이 양분되는 것과 달리 특수작전항공기, 즉 대형 수송기(C-130 계열기)와 헬리콥터를 몰았다. 통합군 경력도 수송사령관 출신이라 다른 공군총장들에 비해 굉장히 튀는 편.
- 20대 마크 웰시(Mark A. Welsh III): 2012-2016. 공사 출신. 전투기 조종사 출신으로 주 기종은 A-10, F-16
- 21대 데이비드 골드파인(David L. Goldfein): 2016-2020. 공사 출신. 전투기 조종사 출신으로 주 기종은 F-117, F-16
- 22대 찰스 브라운(Charles Q. Brown Jr.): 2020-현재. 텍사스 공과대학 출신. 전투기 조종사 출신으로 주 기종은 F-16
4. 항공자위대
[image]
항공막료장(航空幕僚長). Chief of Staff, Air Self Defense Force.
4.1. 항공막료장
4.1.1. 주요 출신 직종
직종을 살펴보면 조종 출신들이 가장 많긴 하다. 역대 항공막료장 34명 가운데 경찰 관료 출신이 1명, 조종 출신이 26명, 방공포병 출신이 1명, 항공관제/방공관제 출신이 2명, 군수(항공우주공학,기계공학/보급) 출신이 4명, 인사행정 출신이 2명이다.
- 조종[8]
- 2대 사나기 사다무
- 3대 겐다 미노루
- 5대 우라 시게루
- 6대 무타 히로쿠니
- 7대 오무로 쓰토무
- 9대 우에다 야스히로
- 10대 이시카와 간시
- 11대 시라카와 모토하루
- 13대 히라노 아키라
- 14대 다케다 고로
- 15대 야마다 료이치
- 17대 모리 시게히로
- 19대 요네카와 다다요시
- 20대 스즈키 아키오
- 21대 이시즈카 이사오
- 22대 스기야마 시게루
- 23대 무라키 고지
- 25대 다케고치 쇼지
- 26대 도타케 이쿠오
- 27대 쓰마가리 요시미쓰
- 28대 요시다 다다시
- 31대 이와사키 시게루
- 33대 사이토 하루카즈
- 34대 스기야마 요시유키
- 35대 마루모 요시나리
- 36대 이즈쓰 슌지
5. 인민해방군 공군
2017년부터 12대 공군사령원(空军司令员)인 딩라이항 공군상장이 맡고 있다.
5.1. 역대 공군사령원
- 1대 류야러우(刘亚楼) 공군상장 1949. 10 - 1965. 5
- 2대 우파셴(吴法宪) 공군중장 1965. 5 - 1973. 5[11]
- 3대 마닝(马宁) 공군소장 1973. 5 -1977. 4
- 4대 장팅파(张廷发) 공군소장 1977. 4 - 1985. 7
- 5대 왕하이(王海) 공군상장 1985. 7 - 1992. 11
- 6대 카오슈왕밍(曹双明) 공군상장 1992. 11 - 1994. 10
- 7대 이젠우(于振武) 공군상장 1994. 10 - 1996. 11
- 8대 류슌야오(刘顺尧) 공군상장 1996. 11 - 2002. 5
- 9대 차오칭첸(乔清晨) 공군상장 2002. 5 - 2007. 9
- 10대 쉬치량(许其亮) 공군상장 2007. 9 - 2012. 10
- 11대 마샤오텐(马晓天) 공군상장 2012. 10 - 2017. 8
- 12대 딩라이항(丁来杭) 공군상장 2017. 8
6. 중화민국 공군
[image]
중화민국 공군의 최선임 장교이다.
6.1. 역대 공군사령
7. 싱가포르 공군
싱가포르 공군총장
8. 호주 공군
9. 영국 공군
공군참모총장(Chief of the Air Staff (United Kingdom))라고 부르며 약칭은 CAS이다. 17대 참모총장까지는 원수가 맡기도 하였으나 그 이후부터는 계속 대장이 맡고 있다.
10. 관련 문서
[1] 2008년부터 2013년까지 5년이나 재직했다. 로버트 게이츠, 리언 퍼내타, 척 헤이글 등 3명의 국방장관을 보좌했다.[2] '폭격기 경력자'로 표현은 되어있지만, 폭격기 뿐만 아니라 전략공군사령부 산하 탄도미사일 부대에서의 경력 또한 화려한 인물들이다. 이 정도 장군들에게는 폭격기 조종 경력이라는 것이 단순히 폭격부대 전문가 수준이 아니라 핵전쟁을 지휘할만한 능력을 의미한다. [3] 다만, 미 육군항공대가 그의 육군항공사령관 재임시기 이미 육군으로부터 반독립 상태에 있어 실질적으로 공군참모총장의 업무를 수행하기는 했다. 2차대전 시기 합참에 그도 포함되어 미국군의 항공작전 전반을 총괄하였다.[4] 현재는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 있는 연구소지만 워낙 중요한 국책연구기관이라 공군 인사들이 부소장을 맡는다. 다만 21세기 들어서는 별 자리 줄이는 추세라서 웬만하면 2~3성급 장성이 임명되는 편.[5] 야마모토 이소로쿠의 참모로, 진주만 공습을 기획한 전범자로 유명하다[6] 해군기관학교. 일본 해군의 기관장교 양성 학교[7] 이 인간은 경질당했는데 중일전쟁이 일어난 게 코민테른에 의한 사주이며 일본은 피해자라고 주장했다. 그 때문에 잘린 뒤에 우익 단체들과 어울리고 있다. 관련 아사히신문 기사를 번역한 글 거기다 2014년 2월 9일 도쿄도지사 선거에도 참여하겠다고 밝혔다.[8] 일본에선 비행이라고 한다.[9] 일등공좌 시절에 항자대 제3 보급창(3rd Air Dept.) 기획과장, 항공막료부 총무과 홍보실장, 공장보 시절에 항자대 보급본부 간사를 역임함. 방위대 출신으로 이공계통이 아님[10] 일본군 육군 시절 인사행정분야에서 근무했으며, 항자대시절 항공지원집단, 방위연구소(자위대 안보 싱크탱크)에서 근무하였다. 장비시설본부에서 근무한 적이 있지만 공학계 기술관료라고 보기에는 전공이나, 주 커리어 면에서 무리가 있기에 이전해서 서술한다.[11] 계급이 낮다 싶을 수 있는데 1966년부터 1987년까지 중국군은 계급이 없어서 계급 폐지 전의 계급을 적어서 그렇다. [12] 왕슈밍부터는 전원이 2급상장이다. 2급은 생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