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전초

 

[image]
1. 개요
2. 상세
3. 매체
4. 기타


1. 개요


한자: 回轉草
영어: Tumbleweed.
러시아어: Перекати-поле (Perekatí-póle)
비름, 엉겅퀴, 명아주 등 한해살이 식물로 원 이름은 러시아 엉겅퀴.
딱히 한 종을 지칭하는게 아니라 이렇게 굴러다니는 은 다 회전초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남아공 회전초는 다른 회전초와는 영 딴판인 수선화과의 식물이고, 부활초는 부처손과의 식물이다. 호칭인 텀블위드는 말 그대로 굴러다니는(텀블) 풀(위드)이다.

2. 상세


이름대로, 원산지는 러시아를 포함한 우랄 산맥 동쪽의 유라시아 대초원에 서식하다가 1800년대 중반 오염된 아마 씨와 함께 아주 우연히 미국사우스다코타 주에 파종되어 급격한 속도로 퍼져나가 20년간 비교적 짧은 시기에 9만km²가 넘는 지역을 점령한 미국인들의 관점으로 치자면 외래 침입식물이다. 놀라울 정도의 침입 속도로 인해 1888년 경에 캘리포니아 주에서도 발견되었고, 그로부터 몇년 후 조사를 통해 미국의 12개가 넘는 주에서 발견되었다고 한다. 심지어 캐나다, 호주, 아르헨티나,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도 이 식물이 발견되었다.
적응력도 좋아서 1960년대 초 네바다 실험장의 핵실험이 중단된 지 몇 년만에 가장 먼저 자라기 시작한 식물이 바로 이 회전초였고, 워싱턴 주에 있는 (냉전 시대에 플루토늄을 제조했던 곳인) 핵 처리장에서도 방사능에 오염된 회전초가 발견되기까지 한다.
1년 동안 자라다가 가을이 되면 뿌리와 줄기가 분리되어 바람이 불어올 때마다 '''굴러다닌다.''' 이렇게 씨앗을 사방팔방에 퍼뜨려 번식한다. 당연히 분리된 회전초는 그 직후 죽는다. 회전초가 하나같이 다 갈색인 이유다. 물론 죽은 후에도 '''계속 굴러다닌다.''' 참고로 분리되기 전의 색은 당연히 대개 녹색이며(예외로, 남아공 회전초는 분홍색이다.), 얼핏 보기에는 회양목같은 관목처럼 보인다.사진
주로 식물이 한 곳에서만 뿌리박고 살기 힘든 사막 같은 건조한 지방에 많이 산다. 이 때문에 미국 서부의 상징처럼 되어서 서부개척시대를 주제로 한 픽션 작품에서 항상 등장하는 친숙한 아이템이 되었다. 주로 할 일이 없으면 어디선가 굴러오고, 길바닥에서 굴러다닌다. 선인장과 함께 황량한 서부를 연출하는 좋은 풀. 정말로 미국의 건조 지대에 살다 보면 한번쯤은 흔하게 만나게 되기도 한다. 정작 위에서 언급된 대로 본래 미국의 토착종이 아니라는 점, 캘리포니아에서 발견된 것은 서부시대의 끝물인 1888년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생각보다 시대에 잘 들어맞는 고증은 아니다.
매체에서는 황량하거나 썰렁한 광경을 그려낼 때 바람소리와 함께 클리셰 격으로 자주 등장한다. 서부가 아니라 도시물을 배경으로 할 때에도 회전초 대신 둥글게 구겨진 신문 쪼가리[1]나 전단지, 농구공, 빈 깡통 등이 대신 굴러다니는 것을 볼 수 있다.
회전초를 본 적 없는 사람들은 가을에 회전초가 무리지어 굴러다니는 모습을 굉장히 이상하게 볼 수 있다. 반면에 회전초를 늘 보고 자란 지역의 사람들은 회전초를 장난감처럼 가지고 노는 경우도 있다. 맨살이 아닌 이상에야 닿아봤자 아프지도 않고, 바람 부는대로 굴러다닐 만큼 가벼우니[2] 좋은 장난감으로서의 조건은 다 갖추고 있다.
'''불 피울 때는 최고'''다. 회전초의 줄기는 건조하고 기공으로 가득 차 있어서 불씨가 남은 담배꽁초 하나에도 순식간에 불이 붙을 정도로 잘 탄다. 이 때문에 당국에서 회전초 더미를 수거하고 다닌다고 한다. 산불이나 들불의 원인이 되기 일쑤고, 회천초들이 미국에서 제법 흔한 회오리와 만나면 대형 화재가 날 위험이 증가한다. 불에 바람만 부는 상황도 골치 아픈데, 그 바람에 매우 잘 타는 불쏘시개까지 같이 날아다니니 매우 위협적이다.물론 역으로 장작 용도로는 매우 좋기 때문에, 미국에선 이것들을 주워다 팔아 연간 4만 달러의 수익을 얻은 사람이 있을 정도다. 하지만 불 붙은 회전초가 굴러다니면서 사방팔방에 불길을 확산시킬 위험이 있어서인지 전부 모아다가 한번에 태우기도 한다.
[image]
산불을 방지하기 위해서 회전초를 불태우는데 회오리(dust devil)와 불길이 만나서 화염 회오리(firenado)로 변해버린 모습. 유튜브 링크

시간이 아깝다면 2분 20초부터 보자. 동영상 제목이 이해가 된다
이 영상이 찍힌 곳은 모하비 사막이다.
11분 30초짜리 회전초 폭풍 동영상(회전초 터널과 회전초 늪이 나온다. 욕 주의.)

돌개바람을 만난 회전초의 모습.

회전초가 많은 날 운전하면 이런 일도 겪을 수 있다. 아마도 여성이 초보운전자인 듯 한데, 그래서 야간운전도 무서운데 뭐가 계속 날라와 부딪히고 하니 제대로 겁먹은 듯.

엄청 많은 회전초 무리이다.

경우에 따라서 마을을 파멸상태로 만들기도 한다고....
[image]
쌓아서 '''풀사람'''을 만들기도 한다(...)

3. 매체


영미권에서는 부평초역마살처럼 방랑자를 은유하기도 한다. 아예 히피 모녀의 얘기를 다룬 동명 영화도 있을 정도.
참고로 서부영화에서는 한 두 개만 가끔 굴러가곤 하는데, 실제론 종종 수많은 회전초가 한꺼번에 굴러다니기도 한다. 궁금하면 비디오로 보자.
자동차 기아 니로 광고 공간 편 중 20초 지점에서 굴러다니는 장면이 나온다.
데드 스페이스 2 광고에서는 러커가 회전초 흉내를 냈다.
네모바지 스폰지밥에서도 몇몇 에피소드에서 황량함을 강조할 일이 있을 때 가끔 회전초가 굴러가는데, 여긴 배경이 바닷속이니 따지고 보면 회전해초다(...).
메이플스토리호텔 아르크스의 맵을 잘 보면 회전초들이 굴러다닌다.
메트로 엑소더스에선 배경이 러시아이니 만큼 나오는 것은 당연하나, 사막이 되어버린 카스피 해 지역에서 나온다. 평범해 보이지만 돌연변이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연발화한다.'''
아메리칸 트럭 시뮬레이터에서 사막을 주행 중이라면 어김없이 나오는데 이를 야생동물로 오인해 급제동을 하는 사례가 몇몇 있다.
언사이클로피디아에서는 "그런 거 없다" 를 말할 일이 있으면 한 단락을 통째로 비워놓고 회전초 GIF 파일만 덜렁 올려놓는다.
블리자드의 FPS 게임 오버워치에 등장하는 맥크리의 궁극기 '황야의 무법자'를 사용하면, 어디서 궁극기를 사용했는지는 상관 없이 무조건 근처에 회전초가 생성되어 굴러다닌다. 덕분에 건물 속에서도 굴러다니는 회전초를 볼 수 있다. 미국 서부호주의 황량한 지형, 혹은 서부영화 세트장에서 회전초가 등장한다면 서부영화 명장면의 그림이 나오지만 무중력의 달표면이나 폭설에 파묻힌 남극 같은 곳에서도 회전초가 굴러다니면 너무 부조리한 연출에 폭소가 터져나오기도 한다.
젤다의 전설 스카이워드 소드에서 라넬 사막에 스폰되는 아이템중 하나로, 아이템을 강화하는데 꽤나 많이 쓰여서 파밍 순위가 높은 아이템이기도 하다.
폴아웃: 뉴 베가스는 바로 이런 회전초가 등장하는 지역인 모하비 황무지를 무대로 삼고 있는지라 등장하는데, 포스트 아포칼립스 세계관답게 방사능에 오염된 회전초 오브젝트도 등장할 예정이였지만 짤리고 그냥 회전초만 나온다. 몸에 부딪힐 수도 있지만, 별거 없는 그냥 장식용 오브젝트이다.
이와 관련된 NPC도 있는데 맵 가장 북서쪽에 있는 브룩스 텀블위드(회전초) 렌치라는 곳에 들어가면 웬 나이트킨 한 마리가 나타나더니 회전초를 '바람 브라민'이라고 부르며 그걸 사라고 한다. 설정상 나이트킨들은 뉴 베가스 시점에서 스텔스 보이 부작용으로 정신질환을 앓고 있어 별의별 기행을 저지른다.

4. 기타


래그돌 같은 장모종 고양이를 키우면 사막이 아니라 집안에서도 회전초가 굴러다니는 광경을 볼 수 있다.

[1] 매트릭스의 지하철 결투 장면 시작 부분이 좋은 예. 대놓고 서부극의 결투 장면을 따왔다.[2] 사막 지역이니만큼 바람이 좀 센것도 감안한 필요는 있지만 그래도 풀 자체도 가볍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