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한반도 폭우 사태

 




1. 개요
2. 특징 및 원인
3. 경과
3.1. 8월 26일
3.2. 8월 27일
3.3. 8월 28일
3.4. 8월 29일
3.5. 8월 30일
3.6. 8월 31일
3.7. 9월 1~2일
3.8. 9월 3~4일
4. 강수량 기록
4.1. 8월 26일
4.2. 8월 27일
4.3. 8월 28일
4.4. 8월 29일
4.5. 8월 30일
4.6. 8월 31일
4.7. 9월 1일
4.8. 9월 3일
4.9. 9월 4일
5. 피해
6. 폭우로 인해 해결된 문제


1. 개요


[image]
8월 29일 12시경 한반도 위성 사진. 중부지방에 긴 정체전선이 형성되어 있다.

2018년 8월 26일부터 9월 4일까지 한반도의 중부 이남[1]의 모든 지역에 걸쳐 일어난 폭우 사태이다.

2. 특징 및 원인


이 폭우 사태는 비가 억수같이 쏟아지다가 그치고 또 폭우가 오다가 그치는 패턴이 반복되었다. 비구름대가 전국 곳곳에서 강하고 좁게 발달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비구름대가 갑작스럽게 발생한 원인은 한반도를 관통했던 제 19호 태풍 솔릭의 영향이 크다. 솔릭이 한반도를 관통하면서 그동안 한반도 전체를 감싸고 있었던 북태평양 고기압의 세력이 약화된 틈에 북쪽에서 찬 공기가 내려왔다. 그런데 대만 쪽에서 태풍으로 발달하려던 열대 저기압이 한반도 서남쪽에서 자리를 잡고 동쪽으로는 세력이 약화된 북태평양 고기압 사이에 남쪽에서 하층 제트기류를 타고 뜨거운 수증기가 들어올 수 있는 공간이 생겼다. 이로 인해 한반도에 비구름대가 길게 형성되었으며, 두 공기의 힘의 세기에 따라서 남북을 오르내리며 강한 비를 뿌린 것이다. 관련 기사
또한 주 강수 구역이 날마다 달랐던 것도 특징이다. 8월 26일에는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27일에는 경상도와 충청남부를 중심으로, 28일은 충청도에서 수도권 및 강원도로 강수구역이 옮겨 갔으며, 29일에는 군사분계선 접경 지역(연천군, 철원군, 양구군, 인제군 등)을 중심으로, 30일은 충청도, 31일에는 남부지방, 9월 1일에는 제주도에 호우를 뿌렸으니 '''모든 국토에 집중 호우를 내린 셈이다.'''
9월 3~4일의 비는 위에 설명된 것과 성질이 다른 것으로, 북쪽에서 새롭게 유입된 기압골이 원인이다.

3. 경과



3.1. 8월 26일


4시에 경남 산청에 호우주의보가 내려지면서 이번 사태가 시작이 되었다. 이후 경남 거의 전 지역으로 호우주의보가 확대 발령이 되었으며, 5시 55분을 기해서 이 폭우 처음으로 경남 진주와 산청에 호우경보가 발령되었다. 이후 띠 형태를 이루면서 강수지역이 확대되었고, 15시에는 지리산 일대와 경남중부내륙과 울산지역 등에 호우경보가 발령되었다. 그리고 오후에 비구름이 상승하면서 강수지역이 충청남부와 전북북부일대로 올라가며 강한 비를 그 지역에 집중시켰다.

3.2. 8월 27일


충청지방 중심으로 비가 집중되었다. 전날 오후부터 내리기 시작한 비는 꾸준히 비구름대가 충청지역과 경북 서부에 위치하면서 꾸준히 비를 뿌렸다. 특히 소우지인 대구에 이례적으로 호우경보가 발령되어 신천신천동로 일부분이 침수되기도 했다. 그리고 낮 시간대에 비구름대가 다시 남하하면서 전북일대에 비가 집중되었다. 그러다 이 날 18시에 모든 지역에 호우주의보가 해제되면서 잠시 소강상태를 보이기 시작했다. 이틀에 걸쳐서 충남 논산과 금산에는 200 mm가 넘는 비가 내렸으며, 전라도의 구례, 진안, 장수 지역에는 300 mm를 훌쩍 넘기는 그리고 경남 산청의 시천에는 무려 400 mm가 넘는 비가 내렸다.

3.3. 8월 28일


비구름대가 다시 발달하고 북상하면서 오전에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강한 비가 내리기 시작했으며, 대전과 청주 일대에는 호우경보가 발령되었다. 이후 비구름대가 북상을 하기 시작하면서 경기 남부와 강원 영서 남부일대에도 비가 내리기 시작했다. 그리고 17시를 기점으로 그야말로 강한 비구름대가 서울, 인천 일대에 집중되면서 들어오기 시작하면서 그야말로 세찬 비가 내리기 시작했다. 이후 비구름대가 약하게나마 남북진동을 하면서 수도권 일대에 영향을 주기 시작했다.
저녁 시간대 지하신촌역 인근과 연세로 일대가 침수되었다. 밤에는 중랑천이 범람하면서 나란히 놓인 동부간선도로가 침수되며 통행이 금지되었는데, 이때 경찰의 지시를 받지 못하고 그대로 의정부 방향으로 직진하던 차량 수 대가 월릉교 하부에서 그대로 침수되어 버렸고, 1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시간당 70 mm의 비가 쏟아진 서울 은평구에서는 불광천이 범람하면서 인근 저지대 400여 가구가 물에 잠겼다. 반대쪽인 노원구 우이천에서는 불어난 물에 60대 여성 1명이 급류에서 20분만에 구조되었고, 경기 안양천 뚝방길에서는 불어난 물에 차량 1대가 고립되며 현장에 소방대가 긴급 투입되었다. 비구름대는 서서히 약화가 되면서 남하하다가 다시 북진하였다.

3.4. 8월 29일


경기 북부와 강원 영서 북부 지역에 100~400 mm의 폭우가 쏟아졌다. 특히 연천과 포천, 철원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쏟아졌는데, 특히 철원 동송읍에는 7시대에 시간당 100 mm의 물폭탄이 쏟아지면서 수확을 앞둔 논밭과 비닐하우스들이 무더기로 침수되었다.
또한 화천댐, 춘천댐, 의암댐 등의 긴급 방류 조치로 북한강 수위가 높아지면서 춘천 남산면 구 강촌역에서 엘리시안 강촌, 방하리 방면으로 이어지는 강변도로가 침수되며 차량 2대가 고립되었다 긴급 구조되기도 했다. 이렇게 폭우가 쏟아지며 전날 개막한 춘천 닭갈비막국수축제의 축하 공연 및 해당 일자의 스케줄이 모두 취소되었다.
서울은 지역간 편차가 아주 심했는 데 주로 노도강 지역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쏟아졌다.[2] 그밖에 경기남부, 강원영서남부에도 약한 비가 왔다. 남부 지방은 폭염주의보가 내려져 있는 상황이다. 또한 동두천과 의정부 등 경기 북부 지방에도 28~29일 이틀 동안 400~500 mm 가량 비가 내렸다.[3]

3.5. 8월 30일


비구름대가 약해지면서 이 날은 오전에는 그렇게 심한 비가 내리지 않았다. 그러다 오후에 충청권 지역을 중심으로 비가 오기 시작해서 밤에는 충청과 전북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3.6. 8월 31일


밤새 충청권 일대에 집중되던 비구름은 오전에 다시 남하하여 충청북도와 전라북도 일대를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내렸으며, 이후에는 비구름이 남하하면서 낮 시간에는 남해안 일대까지 내려갔다.

3.7. 9월 1~2일


9월 1일, 제주도까지 내려간 비구름은 제주도에 엄청난 비를 내렸다. 특히 서귀포에서는 '''1시간에 120.7 mm'''라는 기록적인 폭우가 내렸다.
9월 2일, 이전 항목에서 설명된 비구름대가 소멸되면서 대부분 지역에서 비가 그쳤다. 하지만 기압골이 내려오면서 그 다음날은 다시 비가 내렸다.

3.8. 9월 3~4일


9월 3일, 북쪽의 기압골이 내려오면서 전국적으로 비가 내렸다. 특히 제주도에는 200 mm 이상의 많은 비가 내렸다.
9월 4일, 충청도를 중심으로 남부 지방에 하루 동안 100~150 mm 정도의 비가 내렸고, 밤부터 비구름대의 힘이 약해져 전국에서 강우가 소강 상태에 이르렀다.

4. 강수량 기록



4.1. 8월 26일


'''지역'''
'''강수량(mm)'''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피아골)'''
'''342.0'''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내공리
318.5
경상남도 산청군 삼장면 덕교리
288.5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 좌사리(성삼재)
280.0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강누리
258.5
전라남도 구례군 구례읍
256.5
경상남도 산청군 산청읍 지리
252.5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중산리(지리산)
252.5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부운리(뱀사골)
248.5
경상남도 진주시 수곡면 사곡리
221.0

4.2. 8월 27일


'''지역'''
'''강수량(mm)'''
'''전라남도 담양군 봉산면 삼지리'''
'''159.0'''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내곡리
155.0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원교리
154.0
전라남도 함평군 월야면 월야리
153.5
전라북도 장수군 장수읍 선창리
149.5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어청도리
149.5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 반월리
145.0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정산리
138.0
광주광역시 광주 서석동(조선대)
136.0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천변리
130.0

4.3. 8월 28일


'''지역'''
'''강수량(mm)'''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주교동'''
'''263.5'''
인천광역시 강화군 양도면 도장리
229.5
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상리
211.5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207.5
경기도 김포시 운양동
206.0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성석동(능곡)
199.5
경기도 여주시 가남읍 태평리
194.0
충청북도 제천시 백운면 평동리
192.5
충청북도 제천시 수산면 하천리
183.5
경기도 의정부시 용현동
183.0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소천리
183.0

4.4. 8월 29일


'''지역'''
'''강수량(mm)'''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화지리(동송)'''
'''411.0'''
경기도 포천시 관인면 탄동리
408.0
경기도 연천군 중면 산동리
407.0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군탄리
384.3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운천리
370.0
경기도 연천군 군남면 삼거리
364.0
경기도 연천군 왕징면 무등리
349.5
경기도 동두천시 하봉암동
346.5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양지리
343.5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 유천리
339.0

4.5. 8월 30일


'''지역'''
'''강수량(mm)'''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말도리'''
'''200.5'''
전라북도 군산시 내초동(군산산단)
131.5
대전광역시 대덕구 장동
127.5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연탄리
127.0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성주리
117.0
충청북도 충주시 수안보면 안보리
111.0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서부리
109.5
충청북도 옥천군 청산면 대성리
108.0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신대리(청남대)
100.5
경기도 안성시 미양면 개정리(하개정)
99.5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인리
90.5

4.6. 8월 31일


'''지역'''
'''강수량(mm)'''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리'''
'''172.0'''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말도리
167.0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읍내리
135.0
전라북도 군산시 내흥동
133.9
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칠성리
120.5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연탄리
119.5
전라북도 군산시 내초동(군산산단)
111.0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동(우암산)
106.0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오창가곡)
106.0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병천리
105.4

4.7. 9월 1일


'''지역'''
'''강수량(mm)'''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사제비)'''
'''246.5'''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서귀동
191.0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신례리
182.0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서호동(기상(과))
145.0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강정동
138.5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윗세오름)
130.0
경상남도 거제시 남부면 저구리(명사)
129.5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한남리(태풍센터)
126.5
경상남도 통영시 욕지면 동향리
124.0
경상남도 남해군 상주면 상주리
120.0

4.8. 9월 3일


'''지역'''
'''강수량(mm)'''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동(우암산)'''
'''193.0'''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신효리
163.0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
162.5
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
156.5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봉암리
153.0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복대동
151.6
충청남도 공주시 금흥동
143.5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성덕리
139.5
전라남도 고흥군 포두면 송산리
138.0
충청북도 괴산군 괴산읍 서부리
137.5

4.9. 9월 4일


'''지역'''
'''강수량(mm)'''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중산리(지리산)'''
'''135.5'''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피아골)
127.0
전라남도 순천시 황전면 괴목리
112.0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111.5
전라남도 나주시 다도면 신동리
106.0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내공리
105.5
강원도 정선군 사북읍 사북리
105.0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가야산)
101.5
강원도 영월군 상동읍 내덕리
100.5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군 평중리
100.0

5. 피해


8월 29일,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23시 현재 전국에서 98가구 148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8월 30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이 폭우로 사망자 2명, 부상자 3명이 발생했다.[4] 전국적으로 총 120가구 184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6. 폭우로 인해 해결된 문제


여름 장마의 조기소멸과 역대급 폭염으로 고갈되어 가던 전국 저수지 저수율이 정상수치를 회복하거나 전년도 저수율을 훨씬 상회하는 용수자원을 확보했다. 2017년에는 9월에는 전국 저수율이 65%에 불과했으나 폭우로 인해 2018년 9월 전국 저수율은 84%에 달했다.[5][6] 덕분에 2018년 12월~2019년 3월은 강수량이 적었음에도 불구하고 물부족 사태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2010년대부터 잦아진 9월 늦더위도 거의 오지 않았다.[7][8] 서울은 9월 1일, 대구는 4~5일에는 이것의 영향으로 잠시 늦더위가 와서 최고 기온이 30도 이상으로 올라갔고 그 밖의 지역도 30도 이상 올라간 날이 있는 지역이 꽤 있었으나 그마저도 초에 하루이틀만 30도 이상으로 올라갔으며, 폭우 후인 9월 6일부터는 최고기온 25~28도의 평년 수준의 선선한 날씨를 보였다.[9]
심각한 녹조현상 또한 없어졌다. 다만 2018년 9월 시점에서 대청호는 폭우에 쓸려 유입된 대량의 쓰레기가 부패하면서 증가한 수량에도 불구하고 녹조 현상은 여전한 상태다. 게다가 어떤 사람이 대청호에 설치된 쓰레기 수집망을 고의로 파손해서 대량의 쓰레기가 다시 퍼졌다. 경찰은 쓰레기 수집 그물에 걸린 대형 가구를 빼내 가져가려고 고의로 파손한 것으로 보고 범인을 추적하고 있다.
[1] 한반도 북부인 평안도, 함경도 지역은 비가 많이는 내리지 않았다.[2] 최고기록 도봉 249.5 mm, 최저기록 관악 12.5 mm[3] 이는 연 강수량의 40 %에 달한다.[4] 태풍 솔릭을 능가하는 피해가 발생하였다.[5] 출처 : 한국 수자원 공사 저수율 현황[6] 이는 원래 장마 후 무더위로 인해 저수율이 줄어들지만 이 해에는 장마 없이 무더위가 이어지다 비가 한번에 다량으로 쏟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7] 늦더위가 적어서 상대적으로 시원했지만 저온현상 역시 거의 없다 보니 월 평균기온은 서울 21.5℃ 등으로 오히려 조금 높은 편이었다. 다만 추석을 기점으로 이상 저온이 시작되어서 10월 평균기온은 13.1℃를 기록했고, 그 이상저온은 11월 1일까지 이어졌다. 다만 계속 이상 저온인 것은 아니고 짜미가 오기 전인 9월 29일과 콩레이가 오기 전인 10월 4일은 약하지만 26~28도의 늦더위가 있었으며, 10월 22일에도 상강 근처 치고는 평년보다 조금 높았다.[8] 한편 2015년~2016년 9월은 매우 더웠으며(단 2015년의 경우는 중서부지방에만 해당되며 호남은 평범했고 영동/영남지방에서는 이 해보다도 기온이 더 낮은 이상 저온 현상이 발생하였다.), 2017년은 초~중순은 평범했으나 하순에 늦더위가 있었다. 그리고 2019년 9월엔 늦더위가 자주 찾아와서 이상 고온이 심하였다.[9] 여담으로 2020년도 2018년과 비슷한 흐름으로 가는 중이다. 다만 2018년은 30도를 넘은 날이 있고 고온이 있었으나 2020년에는 서울에서 30도를 넘은 적이 없었다. 2일부터는 28도 미만도 없었다. 게다가 18일 이후로는 최저 10~14도, 최고 22~25도로 선선했다. 그러나 서울은 동풍 푄으로 인한 낮 더위로 15일 이후 고온이 지속되어서 평년보다 조금 높은 21.4℃를 기록해서 이상 저온은 아니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