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R그룹

 

'''JR그룹(Japan Railways Group'''
'''ジェイアール'''

[image]
1. 개요
2. 상세
3. 로고
4. JR의 대표적인 노선들
5. 기타

[clearfix]

1. 개요


1987년 4월 1일 일본국유철도의 철도 사업을 이어받아 민영화된 아래 7개의 주식회사를 통칭하는 이름. 한국철도공사가 민영화되어 지역별로 분사 된걸로 생각하면 된다.
「'''제이아루'''」로 발음되며, 가타카나 표기는 '''ジェイアール'''.

2. 상세



보통 이들을 JR그룹이라고 하지만, 지분 및 재정적으로는 완전히 별개의 회사이다.[1] 그리고 7개의 철도회사는 버스·호텔·부동산개발·역빌딩임대회사 등등 관련산업을 자회사로 두어 각각의 기업군을 이루고 있다.[2]
7개의 여객 및 화물업무 이 외에도 "JR총연"이라 불리는 공익 재단법인 연구기관인 철도종합기술연구소가 있으며, "JR시스템"이라 불리는 JR의 컴퓨터시스템을 개발, 관리, 운용하는 철도정보시스템주식회사이라는 회사가 있다. 이들도 모두 JR그룹 안에 속해있다.
[image]
그 외, JR의 형제 아닌 형제로 '철도통신공사'와 '일본텔레콤주식회사'가 있었다. 일본텔레콤주식회사는 국철이 NTT 민영화와 함께 통신산업 자유화가 이루어지자 철도 인프라를 활용해 통신망을 부설, 통신 산업에 진출하고자 설립한 회사였다. 철도통신공사는 원래 국철이 보유하고 있던 자체 전화망인 철도전화를 운영하는 회사인데, 국철 민영화의 시범타로 1986년에 먼저 민영화되었고, 1989년 일본텔레콤주식회사를 흡수합병한 뒤 일본텔레콤주식회사로 이름을 바꿨다. 이후 여러차례의 자본제휴와 지분교환 등을 거쳐, 보다폰이 가져갔다가 소프트뱅크로 팔려가 소프트뱅크 텔레콤이 된다. 그리고 지금도 철도통신관리는 소프트뱅크 법인사업부가 관리하고 있다. 이런 사정으로, 철도통신공사가 사용하던 회색 JR 로고는 현재 소프트뱅크가 상표권을 소유(만)하고 있다.
[image]
1870년대 부설되던 일본의 초기 철도들을 시작으로 1949년 설립된 일본국유철도 이후의 노선들을 대부분 승계하고 있으니 노선의 총연장에서는 당연히 일본 철도회사들 중에서 톱을 달리고 있으며,[3] 외국에 많이 알려진 많은 재래선은 물론이고 신칸센도 보유하고 있어 지명도의 면에서도 단연 으뜸. 외국 여행객들에게는 JR패스라는 기간 한정의 JR 전 노선 통용 티켓이 널리 알려져 있다.
과거 국철 시절에는 아게오 사건이라든가 수도권 국철 폭동과 같은 사건들로 이래저래 좋은 이미지가 아니었지만, 민영화된 이후 장기간의 개혁과 기타 사철들과의 피터지는(…) 경쟁으로 서비스와 기술적 측면에서 발전을 거듭한 결과 90년대 들어서부터 깔끔하고 철저한 이미지를 확보하게 되었다. 예나 지금이나 일본의 운송수단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철도망의 운영이라는 막중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특히 일본 수도권(도쿄권)의 통근・통학에서 JR은 대단히 중요하다.
민간기업인 현재, 엄밀히 말하자면 사철의 분류에 들어가지만, 통칭 대형 사철로 분류되는 16개의 회사에 포함하지 않으며, 사람들도 JR을 '''국철'''로 부르고 있다. 과거 국철 시절의 영향인듯. 물론 규모면에서 JR은 그 자체만으로도 이미 압도적인 면이 있다. 단, 시코쿠 및 홋카이도, 화물은 민간기업이 아닌 주식회사형 국가공기업이다.
JR 그룹의 회사들은 시코쿠를 제외하면 회사 이름에서 철() 자에 대응되는 한자가 (金+失, U+9244)이 아닌 鉃(화살촉 시/촉) (金+矢, U+9243)[4]으로 표기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鉄를 파자하면 '돈(金)을 잃는다(失)'는 뜻이 되기 때문. 하지만 등기부 같은 데는 그런 거 없으니 그냥 鉄를 쓴다.
민영화라는 말이 무색하게도 실제로 성공적으로 완벽하게 민영화된 회사는 주식이 상장된 JR 히가시니혼, JR 도카이, JR 니시니혼과 JR 큐슈 뿐으로, 나머지 JR 시코쿠, JR 홋카이도의 경우는 공공기금 소유 상태로 사실상의 주식회사형 공기업 체제라고 할 수 있는 상태이다. 물론 JR 화물의 경우, 민영화 시도조차 하지 않았다.
이처럼 지역별로 경영상황이 천국과 지옥을 오가는 상황이다 보니, 섬 2개사를 따로 분할하지 말고 JR 히가시니혼이나 JR 니시니혼에 붙여 버렸어야 한다는 의견도있다. 다만 87년 민영화 당시의 홋카이도나 시코쿠는 철도로 직접 연결이 안 되는 관계로 따로 분리할 수밖에 없었고, JR니시니혼 같은 경우는 그 때 당시에는 제 코가 석자인 상황.[5]
국철에서 JR로 민영화되면서 기존 국철에서 운행하던 버스도 지역별로 분할되어 JR이 운행하기 시작했다. 이중에서 JR 도카이는 돈되는 고속버스에 집중하고 일반 노선버스(시내버스)는 철수했다. 특히 분할민영화 전후 대거 폐선된 노선의 대체 운송을 JR 버스회사가 떠안은 경우가 많은데, 이게 수익이 될 턱이 없다. 다른 회사도 상황은 비슷해서 노선버스 개수가 상당히 적다. JR 버스는 큐슈 지역을 제외하면 구 국철 시절의 제비 도색을 회사별로 약간씩 변형해서 다닌다. 사철 버스와 구분하기 위함인듯.
여담으로, JR의 승차권 용지 문양에는 발행하는 각 회사마다 다른 글자가 들어간다. JR 홋카이도는 北, JR 히가시니혼은 E, JR 니시니혼은 W, JR 큐슈는 K, JR 도카이는 C, JR 시코쿠는 S가 들어가 있다. 물론 이는 상징적인 것으로, 일본 전국 어느 지역에서 승차권을 발권해도 다 호환은 된다.

3. 로고


로고는 일본디자인센터[6]라는 디자인 에이전시에서 디자인했다. 로고를 디자인하는 중에 NR도 고려하고 있었다고 한다.[7][8]
로고는 양방향으로 움직이는 철도차량에 활용되는 것을 고려하여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움직여도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디자인했다.
국철 민영화에 맞추어 일본국유철도의 모든 차량에 JR로고를 붙어야 했는데 민영화 전날 막차 시간부터 그다음 날 첫차 시간 사이인 단 '''4시간''' 안에 국유철도의 직원들의 손으로 일일이 붙였다. 이때 누구나 단시간에 작업할 수 있도록 지침서까지 만들어 배부했다.[9]

4. JR의 대표적인 노선들


  • 신칸센은 해당 항목을 참조.
  • JR 히가시니혼
    • 야마노테선
    • 케이힌토호쿠선[운행계통][10][11]
    • 도카이도 본선
    • 도호쿠 본선
    • 무사시노선
    • 조반선
    • 츄오 본선
    • 소부 본선
    • 사이쿄선[운행계통][12]
    • 타카사키선
    • 우츠노미야선
  • JR 니시니혼
  • JR 도카이
  • JR 홋카이도
  • JR 큐슈
    • 가고시마 본선
    • 닛포 본선
    • 나가사키 본선
    • 큐다이 본선
    • 호히 본선
    • 후쿠호쿠유타카선[운행계통][13]
  • JR 시코쿠
    • 코토쿠선
    • 요산선
    • 세토대교선[운행계통][14]

5. 기타


[1] 그렇긴 한데, 아래에서 후술하겠지만 홋카이도와 시코쿠는 여전히 공기업이다. 국가보조금이 들어가는데다 모든 지분을 정부에서 가지고 있기 때문.[2] 포켓몬스터의 저작권자 중 하나로 잘 알려진 JR kikaku(JR 東日本企画. JR 히가시니혼의 자회사)라든가. JR 큐슈의 경우는 부산-후쿠오카간 선박운행(비틀)도 하고 있다.[3] 가장 작은 JR 시코쿠 (855 km) 조차 사철 중 넘버원인 킨테츠 (508 km) 보다 한참 많다. 그래봐야 JR 시코쿠를 사철 사이에 던져놓으면 매출로 대형 사철 축에도 못 들지만. [4] 참고로, 鉃을 후자인 '화살촉 촉'으로 발음할 경우 鏃과 통용할 수 있으며, 鏃이 더 많이 쓰인다.[5] JR 니시니혼이 운영하는 지역이 인구 편중이 심한 편이다. 산인본선에 있는 돗토리, 시마네는 인구 다 합쳐도 울산 인구밖에 안되고, 또한 간사이는 현실판 TPP 벌어지는 동네이다 보니 수익이 영 시원치 않은편이며, 신칸센도 큐슈와 도카이도 신칸센 직결하는 열차가 많아서 JR도카이와 JR큐슈에 선로 이용로를 많이 내서 그렇게 형편이 좋지는 않다.[6] 株式会社日本デザインセンター. [7] 출처[8] 참고로 이 회사와 자매회사인 일본 리서치 센터에서 NR을 로고로 사용하고 있다. 로고도 JR과 매우 유사하다 홈페이지[9] 출처 이건 현재도 적용되는 방식으로써 병행재래선이 제3섹터화 될 경우 각 역의 역명판을 바로 바꾸게 작업을 해놓는다.[운행계통] A B C D [10] 엄밀히 말해 노선은 아니고 운행계통의 애칭(아래의 후쿠호쿠유타카선도 이와 같다)이다. 원체 지명도가 높고 다른 노선도 실제 운행계통과는 조금씩 다르지만. 이쪽은 엄밀히 말하자면 케이힌선+도호쿠 본선이다.[11] 실 구성은 도카이도 본선+도호쿠 본선[12] 야마노테선+아카바네선+도호쿠본선.[13] 가고시마본선+사사구리선+치쿠호본선[14] 우노선+혼시비산선+요산선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