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카드
[image]
LG 계열의 없어진 신용카드사. 금융업 실패의 전설로 악명높은 LG 계열 금융사 중 '''그나마''' 가장 성공'''했던''' 회사다.
그러나 카드 대란으로 부도 직전까지 몰렸고, 결국 신한금융지주에 인수되어 신한카드와 통합됐다. 다만 통합 전 신한카드는 구 신한은행의 카드사업부로 규모가 작았기 때문에 LG카드의 인프라가 그대로 유지되었고, 그래서 현재의 신한카드는 LG카드가 이름만 바꾼 것이나 마찬가지다.
1979년 한영복 전 대한조선공사 가봉지사장이 코리안익스프레스카드라고 아멕스 영향을 받은 명칭으로 설립했다.(설립 기사) 1988년 금성사에 인수되어 LG신용카드가 되었다.(인수 관련기사) 1990년대에는 삼성카드와 더불어 대표적인 대기업 계열 신용카드사로 통했다.
2000년대 초 국민의 정부(김대중 정권)의 IMF 극복을 위한 경기부양 정책에 협조하여 말 그대로 카드를 '''마구마구''' 뿌렸는데, 그 혜자스러움은 직업, 평잔, 재산을 따지지 않는 것을 넘어서서, 백수부터 고등학생(!)[1][2] 까지 '''서명만 하면 발급해주는 정도'''였다고 한다.[3]
2000년부터 이영애가 출연한 광고를 내보냈다. 이 광고는 대중들에게 신용카드가 스타일리시한 생활의 상징이라는 인식을 심어주면서 히트했으나, 나중에는 과소비를 조장한다고 비판받으며 LG카드의 이미지를 실추시켰고 사측은 결국 이듬해 다시 이영애를 기용해 '''자신의 능력에 알맞게 소비하자'''는 캠페인 광고를 찍어서 내보내지만 ...[4]
2002년 국내 최초로 '''고객 수 천만 명을 돌파'''하며 외적인 성장의 정점을 이뤘으나, 신용 조회도 없이 카드를 마구 뿌려댔으니 당연히 많은 고객이 카드빚(신용공여액)을 갚을 능력이 없는 사람들이었다. 이로 인해 2002년 중반부터 기하급수적인 규모의 개인파산과 함께 카드 대란이 발생, 부실채권 누적으로 이듬해인 2003년 LG카드는 부도 위기에 몰렸다. 결국 2004년 초 LG그룹이 경영권을 포기하였고, 워크아웃과 함께 공적자금을 지원받으면서 한국산업은행으로 경영권이 넘어갔다.
공적자금 지원과 함께 조금씩 경영이 정상화되며 2006년 중순에 실질회원 천만 명을 다시 회복했고, 공적자금 회수를 위해 M&A 시장에 매물로 나와 2006년 12월 20일에 신한금융지주에 매각되었다. 이 때 신한금융지주는 LG카드의 상징이나 다름없었던 이영애를 기용하여 LG카드의 신한금융그룹 편입을 자축하는 광고를 찍었고, 이듬해에 <거침없이 하이킥> 주연 이순재와 정준하를 모델로 기용해 화제를 모았다.해당 영상
2007년 10월 (구)신한카드의 자산을 인수해[5] 신한카드로 재출범했다. 앞서 언급했듯 사실상 LG카드가 이름만 바꾼 형태며, 실제로도 LG카드 법인이 그대로 유지되었다.
LG카드의 대표적인 상품으로는 2030, 레이디, 빅플러스, 기본체크 등이 있었고, 대부분은 신한카드로 승계되었다. 그런데 LG카드는 원래 신한금융지주와 아무 관련이 없던 회사라서 통합 직후 몇몇 LG 계열 체크카드는 '''신한'''카드임에도 신한은행을 결제 계좌로 등록할 수 없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LG카드의 상품에 대해서는 신한카드 문서를 참고.
현재의 신한카드는 LG그룹과 지분으로 얽힌 것은 없지만, 정신만큼은 LG를 계승하고 있음이 여러 곳에서 보인다.
카드대란 때 가장 피해가 심했던 카드사인데, 당시 국민의 정부 내부에서도 LG카드를 어떻게 살릴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오가고 있었고, LG카드에 구제금융이 들어간다는 정보를 입수한 고위 공직자들은 친인척을 동원하여 당시 휴지조각으로 여겨지던 LG카드의 부실 채권들을 사재기하였다. 몇 년이 지나 LG카드가 정상화 후 채권 만기로 원리금을 상환하면서 이들은 투자금의 수십배에 달하는 이득을 얻었다. 투기 공화국의 씁쓸한 단면을 보여주는 일화.
천만인의 선택, LG카드
1. 개요
LG 계열의 없어진 신용카드사. 금융업 실패의 전설로 악명높은 LG 계열 금융사 중 '''그나마''' 가장 성공'''했던''' 회사다.
그러나 카드 대란으로 부도 직전까지 몰렸고, 결국 신한금융지주에 인수되어 신한카드와 통합됐다. 다만 통합 전 신한카드는 구 신한은행의 카드사업부로 규모가 작았기 때문에 LG카드의 인프라가 그대로 유지되었고, 그래서 현재의 신한카드는 LG카드가 이름만 바꾼 것이나 마찬가지다.
2. 역사
1979년 한영복 전 대한조선공사 가봉지사장이 코리안익스프레스카드라고 아멕스 영향을 받은 명칭으로 설립했다.(설립 기사) 1988년 금성사에 인수되어 LG신용카드가 되었다.(인수 관련기사) 1990년대에는 삼성카드와 더불어 대표적인 대기업 계열 신용카드사로 통했다.
2000년대 초 국민의 정부(김대중 정권)의 IMF 극복을 위한 경기부양 정책에 협조하여 말 그대로 카드를 '''마구마구''' 뿌렸는데, 그 혜자스러움은 직업, 평잔, 재산을 따지지 않는 것을 넘어서서, 백수부터 고등학생(!)[1][2] 까지 '''서명만 하면 발급해주는 정도'''였다고 한다.[3]
2000년부터 이영애가 출연한 광고를 내보냈다. 이 광고는 대중들에게 신용카드가 스타일리시한 생활의 상징이라는 인식을 심어주면서 히트했으나, 나중에는 과소비를 조장한다고 비판받으며 LG카드의 이미지를 실추시켰고 사측은 결국 이듬해 다시 이영애를 기용해 '''자신의 능력에 알맞게 소비하자'''는 캠페인 광고를 찍어서 내보내지만 ...[4]
2002년 국내 최초로 '''고객 수 천만 명을 돌파'''하며 외적인 성장의 정점을 이뤘으나, 신용 조회도 없이 카드를 마구 뿌려댔으니 당연히 많은 고객이 카드빚(신용공여액)을 갚을 능력이 없는 사람들이었다. 이로 인해 2002년 중반부터 기하급수적인 규모의 개인파산과 함께 카드 대란이 발생, 부실채권 누적으로 이듬해인 2003년 LG카드는 부도 위기에 몰렸다. 결국 2004년 초 LG그룹이 경영권을 포기하였고, 워크아웃과 함께 공적자금을 지원받으면서 한국산업은행으로 경영권이 넘어갔다.
공적자금 지원과 함께 조금씩 경영이 정상화되며 2006년 중순에 실질회원 천만 명을 다시 회복했고, 공적자금 회수를 위해 M&A 시장에 매물로 나와 2006년 12월 20일에 신한금융지주에 매각되었다. 이 때 신한금융지주는 LG카드의 상징이나 다름없었던 이영애를 기용하여 LG카드의 신한금융그룹 편입을 자축하는 광고를 찍었고, 이듬해에 <거침없이 하이킥> 주연 이순재와 정준하를 모델로 기용해 화제를 모았다.해당 영상
2007년 10월 (구)신한카드의 자산을 인수해[5] 신한카드로 재출범했다. 앞서 언급했듯 사실상 LG카드가 이름만 바꾼 형태며, 실제로도 LG카드 법인이 그대로 유지되었다.
LG카드의 대표적인 상품으로는 2030, 레이디, 빅플러스, 기본체크 등이 있었고, 대부분은 신한카드로 승계되었다. 그런데 LG카드는 원래 신한금융지주와 아무 관련이 없던 회사라서 통합 직후 몇몇 LG 계열 체크카드는 '''신한'''카드임에도 신한은행을 결제 계좌로 등록할 수 없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LG카드의 상품에 대해서는 신한카드 문서를 참고.
3. 흔적
현재의 신한카드는 LG그룹과 지분으로 얽힌 것은 없지만, 정신만큼은 LG를 계승하고 있음이 여러 곳에서 보인다.
- LG카드의 포인트였던 마이LG포인트 또한 두 글자만 바꿔서 마이신한포인트로 운영 중.
- LG 트윈스 홈 경기 시, 신한카드로 결제하면 일부 좌석을 2천원 할인된 가격에 판매한다.
- GS스포츠 산하 구단인 FC 서울과 GS칼텍스 서울 KIXX 배구단의 스폰서로 신한카드가 등록돼 있다. 다만 FC 서울의 경우 LIG손해보험의 후신인 KB손해보험도 스폰서인 건 함정.
- LG카드 옛 도메인인 lgcard.com 을 아직 신한카드에서 갖고 있다. 그런데 보통은 도메인만 살려놓고 공식 주소로 이동시켜주다가 소리소문없이 끝내는 경우가 많은데 여기는 그정도가 아니라 공식 주소로 들어가면 뜨는 그 신한카드 서비스를 lgcard.com으로 이용하는 것도 어느 정도 가능하다. 웃기게도 lgcard.com으로 들어가는 것 자체는 Forbidden 뜨는데 구글 검색으로 신한카드 검색을 하면 lgcard.com으로 주소 뜨는 경우가 꽤 많으며 site:lgcard.com을 이용해도 결과가 많이 뜬다.
- 2019년 12월 17일 14:57 기준 접속이 안되며, 한국인터넷진흥원 후이즈검색 확인결과 해당 도메인의 소유가 후이즈로 이전된것으로 확인되었다.
- 2020년 02월 08일 16:40 기준 확인 결과, 도메인 소유주 및 네임서버가 LG그룹으로 변경되었으며, www.lgcard.com으로 접속 시 shinhancard.com으로 리다이렉트된다.
- 2020년 5월 15일 16:57 기준 확인 결과, Forbidden이 뜨면서 들어가지지 않는다.
- 2020년 11월 18일 15:48 기준 확인 결과, IP 주소 오류가 뜨면서 들어가지지 않는다.
4. 여담
카드대란 때 가장 피해가 심했던 카드사인데, 당시 국민의 정부 내부에서도 LG카드를 어떻게 살릴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오가고 있었고, LG카드에 구제금융이 들어간다는 정보를 입수한 고위 공직자들은 친인척을 동원하여 당시 휴지조각으로 여겨지던 LG카드의 부실 채권들을 사재기하였다. 몇 년이 지나 LG카드가 정상화 후 채권 만기로 원리금을 상환하면서 이들은 투자금의 수십배에 달하는 이득을 얻었다. 투기 공화국의 씁쓸한 단면을 보여주는 일화.
[1] 결국 연체율 증가로 경영난에 시달려 고등학생 발급 서비스는 중단되었다.[2] 대부분의 고등학생은 미성년자이기 때문에 '''신용 조회조차 불가능한 법적 무능력자다!''' 그런 고등학생한테 신용카드를 발급해줬다는 건..[3] 2004년 발간된 이원복 교수 교양만화 <먼나라 이웃나라> 미국편 1권에선 미국의 까다로운 신용카드 발급제도와 비교당하기도 했다. 해당 만화책에 따르면 한국과 달리 미국 카드사들은 대출/할부금 납부기록(크레디트 히스토리) 등을 까다롭게 검증해서 발급해준다.[4] 당시 이 CF 외에도 정우성, 고소영이 출연한 삼성카드 CF도 신용카드 사용을 조장하는 듯한 컨셉은 비슷했다. 고소영이 J트러스트 광고 출연으로 논란이 되었을 때 고소영 이전에 이영애한테 제안이 갔으나 거절했는데, 거절 이유가 이 카드대란 때문. 카드대란이 일어나는 것을 보며 이영애는 좀더 자신이 알아보고 광고를 고르겠다는 마음을 먹게 되고, 금융광고는 자제하고 있다고 그 이유를 밝혔다. 어찌보면 이영애 본인에게 있어 이 광고는 흑역사로 느껴질지도 모르겠다.[5] 구 신한카드 법인은 'SHC매니지먼트'란 파산법인으로 존속중이다.[6] LG카드 시절에는 데이콤.[7] KT는 1588, SK브로드밴드는 1599.[8] 직불카드로 치자면 신세계백화점에서 신한은행의 직불카드 이용시 조흥은행으로 나오는 경우. 조흥은행의 직불카드 시스템을 그대로 이어받아서다.[9] 과거 신한은행 카드사업부나 구 신한카드 시절에는 비씨카드의 망을 사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