갖은자
1. 개요
한자로 숫자, 특히 돈의 액수를 표기할 때, 일(一), 이(二), 삼(三), 십(十)과 같이 간단한 한자의 위조[3] 를 방지하기 위해 공문서나 계약서 작성 시, 금융 거래나 화폐를 발행하는 경우 숫자를 표기할 때 의도적으로 획수가 많고 복잡한 글자를 사용한다. 주의할 것은 작은 숫자를 크게 위조하는 것뿐만 아니라 부채 등을 축소시키기 위한 축소 위조도 가능하기 때문에(예를 들면 十에다가 줄을 찍찍 그어서 五로 만들 수 있다) 큰 숫자에도 갖은자가 사용된다는 점이다.
금액의 경우 맨 앞에 숫자가 추가되는 것을 막기 위해 '금(金)'자를 붙인다. 원 뒤에는 원의 1/100에 해당되는 전(錢) 단위가 올 수 있으므로, 원으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원 뒤에 '정(整)'자를 붙인다. 그러나 전 단위가 사실상 쓰이지 않기 때문에 큰 의미는 없다. 은행 등에서 수기로 금액을 작성할 때 '금 OOOOO원 정'이라고 쓰는 것이 바로 이것.
예시: 12,340원 (일만이천삼백사십원) → 金壹萬貳仟參佰肆拾원(整)
2. 유래
명나라 초 호부시랑 곽환(郭桓) 등이 가짜 장부를 만들고 숫자를 위조하는 수법으로 막대한 전곡을 횡령하는 소위 곽환 사건이 발생하자, 명 태조 주원장은 이에 대로(大怒)[4] 하여 곽환과 6부 좌우시랑 등 수만 명의 관리를 사형에 처했다.[5] 동시에 이 같은 일의 재발을 막기 위해 재무제표상의 숫자를 갖은자로 쓰도록 하는 규정도 마련했다. 이것이 갖은자의 시초로 알려져 왔다.
그런데 명말 청초의 고증학자 고염무는, 이미 당나라 측천무후 시기에 세워진 비석, 또는 시문 중에 갖은자를 쓴 경우가 많다는 것을 밝혔다. 측천무후는 측천문자라는 새로운 문자를 만든 바가 있는데, 갖은자도 이때 만들어진 것이라 주장했다.
그러나 1959년부터 1975년 사이 신장 투루판(吐鲁番)에서 발굴된 아스타나 고분군에서 출토된 많은 유물에서 갖은자가 쓰인 것이 밝혀졌다. 기원후 4세기경, 대략 동진(東晉) 말년에 해당되는 시기이다.
즉 갖은자가 민간의 거래 관습으로 사용된 것은 확인된 바로는 가장 오래된 것은 지금으로부터 1700년 전의 일이고, 측천무후 시기에 그 쓰임이 양적으로 확대되었으며 주원장은 이를 공문서에 사용하도록 법제화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3. 사용
- 갖은자 중에서 한국에서는 보통 壹, 貳, 參, 拾 정도만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들 외의 숫자는 위조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一은 八을 제외한 거의 모든 숫자로 위조가 가능하며, 二는 三, 四, 五, 그리고 조금만 비틀면 七까지, 三은 五로, 十은 五, 七, 九, 千 등으로 위조가 가능하다. 八도 六으로 위조가 가능하긴 한데 捌로 쓰는 일은 많지 않았다. 한 예로 1950년대의 대한민국 환화의 오십환권은 拾에만 갖은자를 써서 五拾圜으로 표기. 다만, 오늘날에는 '일만이천삼백사십원'처럼 아예 한자 대신 한글로 표기하는 방식이 주로 쓰인다. 한글의 경우 사/삼, 이/일 때문에 갖은자로서 역할이 불완전하지만, 인쇄체 보급과 전산화 등으로 갖은자의 필요성 자체가 줄었기 때문에 주력으로 사용되고 있다.
- 옛 제적등본, 그러니까 대부분을 한자로 기록할 정도의 옛날 제적에는 숫자를 표기하는 부분에 갖은자를 썼다. 돈 문제보다도 더 심각한 인적사항 문제이기 때문. 특히 전적으로 수기 작성에다 공무원에게 작성이 일임되었기 때문에 이런 수단이 아니었다면 고의건 실수건 다른 글자로 바뀔 수 있었다. 갖은자가 필수였던 것. 학교생활기록부의 학년표기는 중고등학교의 경우 겨우 1,2,3뿐이어서 여기도 갖은자 필수.
- 일본에서는 지폐의 액면가에 갖은자를 쓴다. 실제로 이걸 위조할 수야 없겠지만. 1을 壱, 2를 弐라고 쓴다.[6] 또한 뭔가 뽀대를 내기 위해 애니메이션의 화수나 권수, 횟수 등에 종종 사용한다.[7]
[image]
- 중국에서는 1~10까지 모두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각각 壹, 贰, 叁[8] , 肆, 伍, 陆, 柒, 捌, 玖, 拾으로, 기존의 갖은자가 간화되었을 뿐이다. 지폐에서 1, 2, 5, 10, 100을 모두 갖은자인 壹, 贰, 伍, 拾, 佰으로 쓴다. 갖은자라 하더라도 신자체를 쓰는 일본과 간화자를 쓰는 중국이 조금씩 다르다는 걸 알 수 있다.
- 그 외 대만, 홍콩, 마카오의 화폐에서도 갖은자를 볼 수 있다. 정체자를 쓰므로 전통적인 방식의 갖은자를 그대로 쓴다.
- 영(零)과 만(萬)은 정자가 갖은자의 역할을 가지는 경우이다. 약자로 쓸 때는 각각 〇, 万으로 적는다.
- 그 외에 자격증, 무술의 단증에서도 이 갖은자를 사용한다.
- 일본에서는 단지형 아파트 (주로 공영아파트 등) 또는 단지형 맨션에서 동 번호를 이것으로 적기도 한다. 주로 오래된 건물에서 쓰던 방식인데, 요새는 그냥 아라비아 숫자로 적기 때문에 보기 힘들다.
- 대만에서는 장절항목을 쓸 때 사용하기도 한다.
壹、****
貳、****
一、****
二、****
二、****
貳、****
一、****
二、****
二、****
4. 갖은자에 포함된 원래 숫자의 모습
갖은자 안에는 원래 숫자의 모습이 남아 있다. 壹에는 아랫부분의 豆에 '''一'''이, 貳에는 貝 위에 '''二'''가 있는 식이다. 원형을 찾기 까다로운 것들을 설명하자면 肆는 镸 부분에 四의 옛 모습인 '''亖'''가 있고, 陸에서 圥의 첫 가로획을 빼면 '''六'''이 나타나고, 捌은 別의 왼쪽 아래나 刂(칼도방)이 '''八''', 玖는 久 또는 그 안의 ク가 '''九''', 拾은 첫 2획까지가 '''十'''.
5. 갖은자로 쓰이는 글자의 원래 뜻
- 零 [령] 떨어지다. 비가 오다. 부슬부슬 내리다. 나머지(우수리).
- 壹 [일] 전일(專一)하다. 오로지.
- 貳 [이] 버금.
- 參 [삼] 셋. 인삼. [참] 참여하다. 가지런하지 않은 모양.
- 肆 [사] 방자하다
- 伍 [오] 고대 군대에서 5명을 묶은 편대[9]
- 陸 [륙] 뭍(육지)
- 柒 [칠] 옻[10] , 나무 이름.
- 捌 [팔] 깨뜨리다.[11] 농기구의 일종.
- 玖 [구] 옥과 닮은 검은색 돌
- 拾 [습][12] 줍다(습득)
- 佰 [백] 맏이, 고대 군대에서 백 명을 통솔하는 우두머리.
- 陌 [맥][13] 두렁길
- 仟 [천] 고대 군대에서 천 명을 통솔하는 우두머리.
- 阡 [천] 두렁길
[1] 로마자의 대문자를 뜻하는 말이기도 하다. 로마자 대문자는 大写字母, 갖은자는 大写数字로 구분하기도 한다.[2] 写(번체는 寫)는 '베낄 사'이다.[유] U+3007 [고] 고자(古字)[이] 이체자[간] 중국은 万을 간체자로 쓰므로 萬이 갖은자 역할을 하고 있다.[3] 획 하나만 그어도 단위가 크게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一에 획 하나만 그으면 二도 될 수 있고 十도 될 수 있으며, 十에 획 하나만 그으면 千이 된다.[4] 크게 분노하다 라는 뜻. 활음조 현상으로 '대로'가 표준어이다.[5] 7~8만명이 죽었다고 한다.[6] 五, 十, 百, 千, 万은 갖은자를 쓰지 않는다. 대한민국에서도 1950년대까지는 대한민국 환화 지폐의 액면가에 갖은자를 썼는데, 十도 갖은자를 써서 拾으로 표기했고, 일천엔, 일만엔이라 꼬박꼬박 앞에 壱을 표기하는 일본 엔화와는 달리 천환권은 壹千圜이 아니라 그냥 千圜이라 했다.[7] 그 예로 에반게리온이 있다.[8] 參의 간화자인 参과는 약간 다르게 쓴다.[9] '오와 열' 할 때의 오가 바로 이 글자이다.[10] 사실 이 때는 본래 형태인 漆을 주로 쓴다[11] 종종 야인시대 합성물에서 폭☆8을 한자로 표시할 때 이를 이용해서 爆捌이라 쓰지만, 사용례가 없는 억지 단어고 그냥 폭발(爆發)이다. 야인시대 종영 15주년 기념 공동 MAD 프로젝트인 폭8전야에서 이 표기가 쓰인 바 있다.[12] 음이 다른 케이스[13] 음이 다른 케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