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7대 총선때 기존의
고령군·
성주군 선거구에
칠곡군이 합류해 지금의 고령군·성주군·칠곡군 선거구가 되었다. 그
이완영이 지역구로 삼은 곳이다.
칠곡군은 군 치고는 인구가 많은 편이고, 대부분 주민들이
대구,
구미로 출퇴근 하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특히
북삼읍,
석적읍은 거의
구미시와 연담화된 지역인데다
구미시 갑,
구미시 을과 같이
삼성전자,
LG전자,
LG디스플레이,
SK실트론, LG이노텍과 같은 대기업이나 중견기업의 공장이나 연구소가 위치해있고, 이들 기업에 근무하는
연구원,
생산직 노동자와 그 가족들이 많이 사는 지역이고,
R&D Centres도 많기 때문에 젊은 인구의 비중이 높다. 그렇기 때문에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게다가
왜관읍,
동명면,
가산면,
지천면[1] 동명면, 가산면, 지천면은 아예 칠곡지구와 더 가까운 곳인 만큼 칠곡군보다는 대구의 영향력이 강하다. 특히 동명면, 가산면의 시내버스 대부분이 대구 시내버스일 정도이다.
도 마찬가지로
구미국가산업단지에 납품하는 전자부품을 생산하는 공단,
대구로 출퇴근하는 인구 때문에 젊은 인구의 비중이 높다.
그런데
칠곡군과 같이 선거구를 구성하는
고령군과
성주군은 전형적인 농촌이라는 특성 때문에 보수세가 매우 높은 지역이다. 그렇기 때문에
국민의힘의 득표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현 국회의원은
국민의힘 정희용 의원이다.
[image]
| 고령군·성주군·칠곡군 관할 구역
|
고령군 일원[고령] 대가야읍, 덕곡면, 운수면, 성산면, 다산면, 개진면, 우곡면, 쌍림면 , 성주군 일원[성주] 성주읍, 선남면, 용암면, 수륜면, 가천면, 금수면, 대가면, 벽진면, 월항면 , 칠곡군 일원[칠곡] 왜관읍, 북삼읍, 석적읍, 지천면, 동명면, 가산면, 약목면, 기산면
|
2. 역대 국회의원 목록
역대 '''고령군, 성주군, 칠곡군'''의 국회의원
|
대수
| 당선자
| 당적
| 임기
| 선거구
|
제13대
| 구자춘
|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달성군·'''고령군'''
|
장영철
|
| '''성주군·칠곡군'''
|
제14대
| 구자춘
|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2월 10일[2]
| 달성군·'''고령군'''
|
장영철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성주군·칠곡군'''
|
제15대
| 주진우
|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고령군·성주군'''
|
장영철
| 군위군·'''칠곡군'''
|
제16대
| 주진우
|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고령군·성주군'''
|
이인기
| '''칠곡군'''
|
제17대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고령군·성주군·칠곡군'''
|
제18대
|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제19대
| 이완영
|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제20대
| 2016년 5월 30일 ~ 2019년 6월 13일[3]
|
제21대
| 정희용
|
| 2020년 5월 30일 ~
|
3. 역대 선거 결과
'''고령군·성주군·칠곡군'''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1'''
| '''이인기'''
| '''49,586'''
| '''1위'''
|
'''한나라당'''
| '''60.99%'''
| '''당선'''
|
'''3'''
| 조창래
| 31,711
| 2위
|
열린우리당
| 39.01%
| 낙선
|
'''계'''
| '''선거인 수'''
| 143,718
| '''투표율''' 58.09%
|
'''투표 수'''
| 83,480
|
'''무효표 수'''
| 2,183
|
'''고령군-성주군-칠곡군'''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2
| 석호익
| 한나라당
| 37,515
| 47.04%
| 2
| 낙선
|
6
| 전춘길
| 평화통일가정당
| 2,859
| 3.58%
| 3
| 낙선
|
'''7'''
| '''이인기'''
| '''무소속'''
| '''39,375'''
| '''49.37%'''
| '''1'''
| '''당선'''
|
선거인수
| 153,500
| 투표수
| 81,400
|
무효표수
| 1,651
| 투표율
| 53.03%
|
'''고령군-성주군-칠곡군'''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이완영'''
| '''새누리당'''
| '''42,569'''
| '''50.49%'''
| '''1'''
| '''당선'''
|
2
| 최국태
| 민주통합당
| 9,897
| 11.73%
| 3
| 낙선
|
6
| 황옥성
| 기독자유민주당
| 505
| 0.59%
| 5
| 낙선
|
7
| 석호익
| 무소속
| 28,139
| 33.37%
| 2
| 낙선
|
8
| 송우근
| 무소속
| 3,193
| 3.78%
| 4
| 낙선
|
선거인수
| 161,254
| 투표수
| 85,479
|
무효표수
| 1,176
| 투표율
| 53.01%
|
'''고령군-성주군-칠곡군'''
|
기호
| 후보명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선여부
|
'''1'''
| '''이완영(李完永)'''
| '''새누리당'''
| '''57,427'''
| '''69.48%'''
| '''1위'''
| <color=#373a3c> [4] 2019년 6월 13일에 당선 무효 및 의원직 상실. 자세한 내용은 이완영 문서 참조.
|
2
| 박장호(朴壯鎬)
| 더불어민주당
| 25,222
| 30.51%
| 2위
| 낙선
|
선거인수
| 167,318
| 투표수
| 85,450
|
무효표수
| 2,801
| 투표율
| 51.1%
|
'''고령군·성주군·칠곡군''' 고령군 일원[5] 대가야읍, 덕곡면, 운수면, 성산면, 다산면, 개진면, 우곡면, 쌍림면 , 성주군 일원[6] 성주읍, 선남면, 용암면, 수륜면, 가천면, 금수면, 대가면, 벽진면, 월항면 , 칠곡군 일원[7] 왜관읍, 북삼읍, 석적읍, 지천면, 동명면, 가산면, 약목면, 기산면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1'''
| 장세호(張世浩)
| 24,988
| 2위
|
더불어민주당
| 24.02%
| 낙선
|
'''2'''
| '''정희용(鄭熙溶)'''
| '''65,236'''
| '''1위'''
|
''''''미래통합당''''''
| '''62.71%'''
| <color=#373a3c> '''당선'''
|
'''7'''
| 정한석(鄭翰錫)
| 1,075
| 4위
|
국가혁명배당금당
| 1.03%
| 낙선
|
'''8'''
| 김현기(金玄基)
| 12,727
| 3위
|
무소속
| 12.23%
| 낙선
|
'''계'''
| '''선거인 수'''
| 165,644명
| '''투표율''' 63.8%
|
'''투표 수'''
| 105,749명
|
'''무효표 수'''
| 1,723
|
옆의
김천시가 선거구 획정의 하한에 아슬아슬하게 걸친 상태인 만큼 성주와 고령은 김천에 붙고, 칠곡은 인구 미달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군위군·의성군·청송군·영덕군에서 군위와 의성을 떼와 군위군·의성군·칠곡군으로 선거구가 편성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거론 중인
군위군의 대구 편입이 확정되고+김천시의 하한이 붕괴돼 성주와 고령을 가져간다면 칠곡은 갈 데가 없어지므로
구미시 갑과 붙어 특례선거구를 만들어야 한다.
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