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차

 



[image]
'''파시형 증기기관차'''
흔히 생각하는 증기 기관차의 모습이다. 증기 기관차는 이미 퇴역한 지 오랜시간이 흘렀지만[1] 지금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기차' 하면 이런 기차를 떠올린다.
1. 개요
2. 특징
3. 한국에서 기차의 분류
3.1. 동력기관에 의한 분류
3.1.1. 외연기관: 증기기관
3.1.2. 내연기관: 디젤기관
3.1.3. 전기사용: 전동기
3.2. 동력부의 배치형태에 의한 분류
4. 한자권에서의 명칭
5. 기타
6. 관련 문서


1. 개요


汽車/Train
본래 증기 기관차의 줄임말이나, 오늘날에는 대개 수도권 혹은 타 광역도시의 전철을 제외한 모든 여객, 화물, 특수열차를 일컫는다. 표준국어대사전은 ①기관차 ②기관차에 여객차나 화물차를 연결하여 궤도 위를 운행하는 차량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디젤 엔진으로 가는 디젤전기 기관차가 끄는 차량도, 전기로 가는 전기 기관차가 끄는 차량도 기차라고 불린다. 대한민국 법령상으로는 도시철도법상의 도시철도경전철 차량도 기차에 해당한다.[2] 다만 KTX는 브랜드네임이 잘 정착되어 KTX라고 잘 불리는 편. 그 밖에도 '기차놀이'라는 말도 그렇고 TV나 여타 접할 수 있는 매체에서 다 '기차'라고 부른다. 코레일마저도 홈페이지에 '기차 여행'이나 '기차역'이라는 말을 쓴다.
다만 기차·선박등 교통방해죄에서 말하는 전차는 노면전차를 말하며 1960년대까지 다니던 그것을 이른다. 이것은 기차가 아니다. 하지만 이것도 궤도차량이기 때문에 열차의 범위에는 들어간다고 할 수 있다.

2. 특징


철로 위를 지나간다는 특징이 있다.
이로 인해 교통정체나 날씨의 영향이 가장 적다. 또한 한 번에 수송하는 화물의 양이 많아서 컨테이너 내륙수송은 기차가 최선이다.
그러나 시설 기반 설계가 어려워 접근성이 좋지 않다. 또한 드물게 발생하는 교통정체는 같은 노선을 쓰는 열차들을 완전히 사용 불가하게 만든다. 철로만을 달리는 특성 때문에 자동차 등에 비해 정차 구간을 피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

3. 한국에서 기차의 분류



3.1. 동력기관에 의한 분류



3.1.1. 외연기관: 증기기관


증기기관을 이용하는 기차. 1899년 경인철도주식회사에서 수입한 모가형 증기기관차를 시작으로 1967년까지 운행됨.[3]
  • 탱크 기관차: 기관차 몸체에 석탄과 물을 넣는 형태(내장형)
  • 텐더 기관차: 기관차 뒤에 별도의 탄수차가 연결기를 통해 이어져 있어 연료와 물을 공급받는 형태(외장형)

3.1.2. 내연기관: 디젤기관


  • 기계식 디젤 기관차: 경유 자체로 동력원을 얻어 엔진으로 움직이는 방식
  • 디젤 전기기관차: 경유로 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만든 뒤에 그 전기로 전동기를 돌려 움직이는 방식

3.1.3. 전기사용: 전동기



3.2. 동력부의 배치형태에 의한 분류



3.2.1. 기관차


일반적인 철도차량들은 무동력차(Trailer)이기에, 이를 견인해줄 동력을 내는 차, 혹은 이러한 동력 전달방식의 기차를 의미.

3.2.2. 동차


스스로 동력원을 갖고 움직일 수 있는 자기추진력을 가진 객차/화차[4] 하부 또는 바닥 위 부분에 동력 장치를 탑재함.

4. 한자권에서의 명칭


오늘날 한국의 철도차량은 더이상 증기(汽)로 움직이는 수레(車)가 아니므로, 엄밀하게는 틀린 표현이라고 할 수도 있다. 철도 초창기에 도입된 기차가 세월이 흐름에 따라 디젤과 전기로 교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인들이 쓰는 단어는 그대로 남게 된 사례이다.
그러나 기차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한국 한정이다.
중국에서는 훠처(火車/火车) 또는 리에처(列車/列车)라고 한다. 치처(汽車/汽车)는 자동차를 의미한다.
일본에서는 렛샤(列車)라고 한다. 키샤(汽車)는 증기 기관차를 의미한다.[5] 그리고 렛샤(비전철화 구간)와 전동차인 덴샤(주로 전철화된 구간)으로 구별된다.[덴샤]
그 외 열차(列車)라는 용어가 있다. 원래 여러 차량을 연결했기 때문에 열차라고 불렀다. 한자의 의미만 따지만 그냥 길게 연결만 시키면 열차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현재 기차뿐만 아니라 전철까지 포함한 궤도차량만을 폭넓게 포함하는 단어다. 코레일도 기차라는 용어는 여행 홍보 상품에 많이 사용하지만 안내 방송이나 시각표 등은 대부분 열차로 표현하며,[6] 기차만큼 많이 쓰이는 단어다.

5. 기타


  • 영화 역사에서 꽤 중요한 소재다. 최초의 상업영화인 《열차의 도착》의 주인공은 사람이 아닌 열차였고, 100년이 넘은 지금까지도 몇몇 영화 제작자들은 상당히 애착을 품고 있다. 철도와 별로 상관 없는 내용에서도 도입부에 열차를 타고 어딘가 가는 장면 정도는 곧잘 넣는데, 장거리 이동수단 중에서 적당히 시간도 걸리고 편안하다 보니 '머나먼 이별'을 나타내기에 딱 좋은 소재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액션 영화에서는 철교가 끊겨 낭떠러지로 추락하는 결말을 맞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조르주 멜리에스 영화의 오마주.
  • 코레일에서는 증기 기관차를 운용하지 않는다. 90년대 초에 교외선 관광열차에 연결하기 위해 중국에서 석유를 이용하는 증기 기관차를 도입한 적이 있지만, 비싸게 사 놓고 수색기지에서 입환용으로 쓰다가 풍기역에 정태 보존중이다.
  • 용자 시리즈에서는 주로 로봇이나 합체소제로 많이 쓰인다.[7]
  • 게임에서는 절대 멈추지 않는 물건. 기차 특유의 엄청난 추진력과 속도 때문인지 철길에있는 뭐든것을 죄다 박아서 부숴버리는 것으로 나온다. GTA 시리즈에서는 탱크랑 부딪혀도 박살내주시는 절륜한 절삭력은 여전히 설명 불가. 배틀필드 4에서도 탱크, 장갑차 몇십 대를 동원해서 가로막아도 가볍게 씹어먹어주신다. 사보추어는 그나마 다리에 폭탄을 깔아서 열차가 지나갈 때 터트릴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바주카포를 쏘거나 탱크를 몰고 와도 안 멈추고 실수로 치이면 즉사.
  • 커맨드 앤 컨커 제너럴/커맨드 앤 컨커 제너럴 제로아워에서는 철도가 있는 맵이라면 반드시 돌아다닌다.[8] 유닛이 부딪히면 죽는다.[9] 덕분에 기차 잡으려고 기찻길에 전차(戰車)를 많이 두고 사격하게 하면 전부 치여 죽는다.[10]
  • 기차를 비롯한 전동차 그 자체가 게임의 주역인 경우도 많다. 기차를 운전하거나 철길을 깔고 노선을 경영하는 게임이 의외로 많다.
  • 백 투 더 퓨처 3편에서 기차로 기름이 다 떨어진 드로리안을 밀어서 88마일까지 도달해 시간여행에 성공했다. 연료는 박사님이 특수개발하신 초강력 땔감.
  • 부산행에서는 좀비를 피해 열차를 탄 생존자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 메트로 엑소더스에서 주인공 일행이 탄 열차 '오로라 호'는 석탄을 쓰면서도 석유로도 움직일 수 있다.

6. 관련 문서



[1] 일부 개발도상국과 북한에선 현역으로 운행하기도 하고, 영국이나 일본 같은 나라에서는 관광용으로도 운행중이다. 대한민국에서도 1985년에 어린이날 기념으로 운행한 적이 있다.[2] 대구 도시철도 3호선모노레일도 법적으로는 기차다.[3] 1994년 ~ 2000년까지 901호 증기기관차중국에서 수입해서 관광용으로 운영, 현재는 풍기역에 보관[4] 화차 전동차도 실존한다.[5] 단, 지역에 따라 일본도 대한민국처럼 일반적인 철도차량을 '키샤'라고 부르기도 한다.[덴샤] 덴샤는 보통 전철이라고 번역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한국에서 '전철'이 지하철이나 광역전철 정도에 한정된 의미이지만, 일본에서는 전동기가 장착된 철도차량을 전부 '덴샤'라고 부르는 차이가 존재한다. 심지어는 기동차도 그냥 편하게 덴샤라고 부르는 경우도 허다하다. 이 때문에 덴샤를 그냥 전철이라고 일괄적으로 바꾸면 오역이 되는 경우가 생긴다.[6] XX시 정각에 서울로 향하는 KTX XXX '''열차'''가 타는 곳 4번으로 들어오겠습니다.[7] 대표적으로 마이트가인이 그렇다. 다른 용자 시리즈도 그렇지만 특히나 마이트가인같은 경우 로코모라이저, 마이트윙, 가인 이 3대가 합체한 로봇이다.[8] 환상선인 맵과 직선로인 맵이 있다. 전자는 하나의 기차가 계속 뺑뺑이를 돌고 후자는 일정 시기마다 기차가 맵 밖에서 등장해 맵 밖으로 사라진다.[9] 심지어 게임 내에서 체력과 장갑이 가장 높고 크기도 큰 초중전차인 오버로드 탱크조차 즉사다.[10] 맵에 따라 기관차가 무적 설정일 수도, 아닐 수도 있다. 후자일 경우는 잘 클릭 해 집중사격하면 파괴할 수 있다. 순환선이라면 이후 기차에 치어 죽을까 걱정할 필요가 없지만 직선로일 경우는 시간이 될 때마다 새로운 기차가 계속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