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버스 달서3

 


[image]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서3번
기점
대구광역시 달서구 갈산동(신흥버스)
종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성산리(화원유원지)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05:30
막차
'''[평일, 토요일]''' 22:43 / '''[공휴일]''' 22:40
막차
'''[평일]''' 22:10 / '''[토요일, 공휴일]''' 22:09
평일배차
18분
주말배차
20분
운수사명
대명교통
인가대수
14대[1]
노선
신흥버스 - 계명대동문 - 국민연금네거리 - 이곡장미공원 - 용산1동 행정복지센터 - 대구지방법원서부지원 - 대구전자공고 - 대건고교(효성여고) - 달서구청 - 상인네거리[2] - 상인고교 - 상인은행아파트 - 대곡고교 - 대곡2지구 -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 - 화동초교 - 화원초교 - 화원유원지(사문진주막촌)
'''중간 출발 정류소'''
'''화원유원지''' 방향
현대백조아파트평일, 토요일, 성서우방2차아파트
'''성서산단''' 방향
상인비둘기1단지, 삼성래미안2차
'''중간 종료 정류소'''
'''화원유원지''' 방향
삼성래미안2차, 토지주택공사, 영남고등학교
'''성서산단''' 방향
모다아울렛, 이곡장미공원

2. 개요


대구 달서구 갈산동 신흥버스(5)에서 대구 달서구 월성동 달서구청(6)을 거쳐 대구 달성군 화원읍 성산리 화원유원지(6)[3] 까지 운행하는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왕복 운행 거리는 약 53km.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구 5번, 6-1번 마을버스의 운행 구간이 전신이다.[4]
  • 2006년 개편 때 세 노선을 통합해서 신설했다. '계대동문~우방죽전타운'은 개편 전의 506번, '현대백조아파트 - 월성주공3~4단지' 구간은 장기동으로 단축되기 전 518번의 구간을 갖고 왔다. 당시에는 다른 노선들과 달리 월성청구코아와 월성청구타운 사이에 있는 월성네거리 대신 월성우방타운, 월성청구타운, 월성화성타운, 월성영남맨션 사이에 있는 2차선 도로(학산로2길)를 양 방향 경유했고, 개편 초기에는 506번의 구 번호인 102번의 계대동문이 종점이었다.[5]
  • 2006년 7월 2일에 계대동문에서 신흥버스 차고지로 연장되었으며, 같은 날 고령군 다산면 상곡리에 다산회차지가 생기면서 650번달성1번이 상곡리로 연장되고 화원동산 회차지는 없어져 기종점이 서로 바뀌었다.[6]
  • 학산로2길 구간의 수요가 적었고, 보행자와의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2012년 2월 18일에 월성네거리 경유로 변경되었다.
  • 막 개청한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와의 연계, 그리고 대구수목원과 본리지구 안쪽(화동초교)의 교통 편의를 위해 2012년 12월 15일에 '삼성래미안1차 - 유천교 - 대곡역 - 대원고교 - 화원삼거리' 구간이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 - 화동초교 - 달성군선거관리위원회 - 화원삼거리'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증차 없이 변경되어 배차간격이 13분에서 16분으로 대폭 늘어나게 되었다.
  • 2015년 8월 1일 개편으로 202(-1)번을 폐선하면서 대신 대구지방법원 서부지원을 경유하고, 기존 인가대수로 운행하므로 평일 배차간격은 17분으로 늘어났다.
  • 2020년 6월 22일 개편으로 대구교대부설초등학교 대신 306번, 649번처럼 대곡2지구를 경유하며, 상기의 2개 노선처럼 새각단 경유로 운행한다. 이번 경로 변경에도 증차가 없어서, 평일 배차간격은 18분, 휴일 배차간격은 20분으로 조정되었다.

4. 특징


  • 2006년 개편 때 폐선된 665번[7]과 약간 비슷해 보이지만, 본리초등학교 구간을 날리고 월성주공5단지와 감천네거리를 거친 후 용산로[8]를 일직선으로 관통한다.
  • 달서구 지선 중에서만 아니라 대구시 전체 지선 노선 중에서 가장 수요가 많고, 우수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문서 아래의 한국교통안전공단 수요량 DB와 기사들의 의견에 따르면 사실상 간선 노선이나 다름없는 우수한 지선버스 노선이다.[9] 특히 통학 수요[10]는 물론, 달서구 성서 권역과 대곡 / 월배 권역의 생활권 연계와 달서구청, 정부대구지방합동청사와 같은 행정기관 연계, 그리고 도시철도 환승 연계까지 가능하다. 이를 증명하듯 달서3번을 제외한 503, 523, 524, 527, 급행1, 급행5번 노선의 성서 권역 경로가 비슷하지만, 서로 수요를 나눠 맡고 있기때문에 이 노선의 존재는 중요하다. 다른 권역 못지않게 성서 주거지역의 수요가 많고, 그 중 2차서한화성타운 정류소의 수요는 계명대학교동문 정류소를 제외하면 가장 많은 편이다.
  • 다만 수요는 많지만 버스 운영과의 관심을 못 받는 것인지, 2006년 개편 이후로 인가대수는 그대로다. 반면에 2006년 개편 이후로 노선 연장 및 변경으로 인해 운행 시간이 늘어나고, 앞산터널테크노폴리스로 개통, 달서구 신 개발지의 인구 증가로 인해 이 노선이 다니는 일부 구간은 차량 통행량이 크게 늘어나서 신설 초기에 비해 배차간격도 길어지고 기사들의 운행 여건도 나빠진 듯하다. 거기다가 2017년 1월 21일 달서4(-1)번의 노선 변경으로 장기동/월성동에서 상인네거리로 이동할 수 없게 되어, 달서3번의 승객이 어느 정도 늘어났다. 2020년 6월 22일부터는 증차 없이 대곡2지구(새각단 포함)를 경유하게 되면서, 운행 여건이 더 열악해질 것이 분명해 보인다. 달서1번이 들어가도 무난함에도 굳이 달서3번이 들어가야 했냐는 여론이 공지사항이 올라온 당일부터 보이고 있고, 그동안의 대구시 행보를 보면 달서3번에 증차를 해줄 것 같지는 않다는 여론도 많다.[11]
  • 달서3번에 투입됐던 2007년식 앨리슨 현대 저상버스는 원래 649번에 있다가 726번에 증차했었다. 하지만 당시에는 726번의 인가대수가 많지 않았고, 지금의 저상버스보다 기술이 좋지 않았기에 전체 노선 수요 1위인 726번의 수요를 버티지 못해 결국 2009년 5월에 달서3번으로 넘어왔다. 그리하여 달서3번에서 말년을 보내다가 2017년에 현대 입석형 신차로 교체되어 다시 726번에 들어갔다. 다만 동명교통에서 먼저 투입한 저상버스도 큰 문제 없이 다니고,[12] 현재 진보한 기술을 갖춘 저상버스와 꾸준히 증차하면서 감소한 혼잡도를 토대로 대명교통에서도 726번에 저상버스를 다시 운행하고 있다.
  • 성서산단으로 들어오는 야간 막차 시간대에는 호림네거리에서 대천동공영차고지로 직진하여 공차회송하기 위해 종점 직전 정류소인 모다아울렛에서 운행을 종료한다. 신흥버스 차고지를 찍고 돌아가려면 U턴 대기 시간만 해도 정말로 5분 이상 잡아먹을 수 있고 모다아울렛에서 달서대로를 타고 직진만 하면 대천동공영차고지가 나오므로, 어찌 보면 적절한 종료 지점이기도 하다. 시간표가 유동적일 수 있겠지만, 통상 밤 9시 이후 사문진주막촌에서 출발하는 차량들이 모다아울렛에서 종료하고 회송한다. 심지어 2020년부터는 야간 모다아울렛 종료 차량의 전면부 행선판에는 모다아울렛 까지 운행에서 모다아울렛 방면으로 중간 종착 방면으로 LED를 변경하여 표출한다.[13] 성서산단 외 중간종료 지점은 유동적일 수 있으니, 참고하기 바람.

4.1. 일평균 승차량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서3번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5,995명
5,987명
6,625명
6,389명
6,170명
6,145명

5. 연계 철도역



[1] 토요일 13대 / 공휴일 12대 운행[2] 정류소 이름은 상인현대맨션[3] 번호 체계는 566번이다.[4] 102번과 126번의 전신이라고 볼 수 없는 게, 102번의 경우 계대동문 ~ 우방죽전타운까지는 구간이 같지만 이후 좌회전하여 죽전네거리로 빠지지 않고 장기초록나라로 직진하여 월성동으로 가고, 126번은 화원유원지에서 상인네거리 구간은 이 노선과는 같지만 그 후로는 전혀 다른 노선 경로이기 때문에 따라서 두 노선과는 전혀 연관성이 없다. 한편 102번의 전신인 달서2번의 성서보성2차 대신 성산중학교로 들어가고 우방죽전타운을 경유하지 않고 503번과 같이 중소기업은행 죽전동지점을 경유한 걸 보면 이 노선과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쪽으로 경유했다는 추측일수도 있다.[5] 이 문제는 계대동문-용산동-월배에서 어느 노선이 구 506(102번)이냐는 혼란이 있을 정도로 다만 달서2번은 이 노선과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한동안 성산중학교 안쪽길과 중소기업은행 죽전동지점을 경유한 적이 있으나 503번과 통합되어 폐선되었다.[6] 이것이 1998년 개편 이전의 126번의 흔적이다. 126번이 개편 후 636번으로 바뀌었을ㅠ때는 화원유원지에서 설화리 이남의 화원IC에서 잠시 대기해있다가 출발하였는데, 2006년 개편 때 폐지되었다.[7] 명곡지구 - 유천네거리 - 삼성래미안1,2단지 - 대곡지구 - 상원중학교 - 상인역 - 월성2동주민센터 - 서부정류장 - 금봉네거리 - 본리초교 - 본리네거리 - 남대구IC - 한국산업인력공단 - 계대동문 - 성서산단. 대곡, 상인지구 일대에서 성서로 가기 위해서는 이 버스를 타야 했는데, 굴곡이 굉장히 심했다. 현 655번과는 별개의 노선이다.[8] 여기서 우방죽전타운부터~계대동문 구간까지 폐선된 구.506번 구간과 동일하다.[9] 다음으로 많은 노선은 달서1번이며, 서울특별시에서 운행하는 우수한 기능 및 수요량을 갖춘 3012번과 비슷하다.[10] 계명대학교, 성서고교, 성산고교, 경원고교, 전자공고, 효성여고, 대건고교, 영남고교, 상원고교, 경북기계공고, 달서공고, 상인고교, 도원고교, 대진고교 등[11] 당장 달서3번을 증차하려면 못할 이유가 없다. 어중간하게 단 2대만 남은 대명교통의 609번이나 고수요 간선들을 보조하고, 도시철도 1호선과 겹치는 경로와 남구 주민 감소로 수요가 많이 떨어진 650번에서 2대를 차출하면 된다. 609번은 현재 배차간격도 길기 때문에 문제가 될 수 있지만, 650번은 2~3대를 빼도 13분이다. 크게 혼잡하지 않은 달서1번, 달서4(-1)번은 꾸준히 증차했지만, 달서3번에는 관심을 주지 않아 달서3번 승객들의 불만이 극에 달했다.[12] 다만 726번에서 운행하던 2655호 저상버스는 약 2년 후 칠곡4번으로 넘어갔다.[13] 719번을 비롯한 몇몇 노선에서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