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버스 달서4
1. 노선 정보
2. 개요
대구광역시의 지선버스 노선 중 하나. 운행 거리는 35.9(달4)/37.6(달4-1)km.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 (달서4번, 달서4-1번)
3. 역사
- 2015년 8월 1일 개편 때 본리네거리 대신 감천네거리 경유로 조정되어 달서3번처럼 꺾이는 구간이 생겼다. 같은 날 폐선된 달서2번의 앞산 구간, 영남이공대 구간도 대체하게 되었다.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구간은 서구1(-1)번에 넘겼다. 운행 업체도 우진교통에서 남도버스로 변경되었다. 다만, 인가대수가 1대씩 증차에 그쳐, 배차간격이 16~17분으로 늘어났다.
- 2017년 1월 21일에 '대곡주공5단지 - 상화네거리 - 월배중 - 상인역' 경유 대신 유천네거리, 월배기지, 조암네거리, 조암초교, 월성네거리(CGV월성점) 경유로 변경되었다. 갈라지는 지점도 상인네거리에서 월성네거리로 변경되었다. 기존 8대에서 1대씩 증차되었는데, 달서4-1번 정규차량 1대가 달서4번으로 이동하고, 달서4-1번에 현대교통이 2대 참여하게 되었다.[4]
- 개편 후에는 한동안 달서4-1번에만 저상버스가 투입됐으나, 2017년 3월부터 달서4번에 저상버스 신차 1대가 투입되어 저상버스 운행이 재개됐다.
- 2017년 5월 말에는 달서4번에 블루시티가 들어왔다. 이는 대구 지선버스 중 3번째다. 그런데 달서4번은 파도고개를 올라가는 노선인 데다가, 청소년수련원으로 가는 언덕길도 크게 걸리적거린다.[5][6] 역시나 우려했던 대로였는지, 이후 2대 더 출고한 신차는 블루시티가 아닌 일반적인 저상버스였다. 블루시티는 2019년 10월 25일 달서5번의 입석 개선형과 맞트레이드하였다.
4. 특징
- 달서구청, 달서소방서, 이월드, 두류공원, 달서청소년수련원, 두류역 등 달서구 내 핵심 시설들과 많은 학교들을 거치는 순환 노선으로, 이월드는 정문이 아닌 후문 자동차극장 매표소 입구 방향(파도고개로)으로 운행한다.
- 이 노선상에 걸려 있는 중·고등학교 학생들[10] 이 주로 이용한다.그러므로 등하교 시간대에 만차가 발생하며, 그 외 시간대에는 공기수송이다. 개편 후에는 영남이공대학, 구남보건고교 재학생들도 타면서 등교 때 만차가 되는 시간대가 좀 더 늘어났다.
- 달서2번과 억지로 짬뽕해 버리면서, 앞산순환로 U턴 구간이 급증했다. 도로 구조 때문에 달서4번은 2번, 달서4-1번은 3번 U턴한다. 앞산공원종점에서 차를 돌리지 않는 것에 대해서는 비판이 좀 있다. 이러한 노선의 특성이 앞산순환로 주변 주민들[12] 및 주변 시설들(특히 남부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용객들에게는 편의를 제공한다. 안지랑역에서 이쪽으로 접근할 경우 달서4번을 타면 길을 건너지 않고, 버스가 U턴한 후 충혼탑 건너편 정류장에서 내려서 귀가가 가능하다. 반대로 남부도서관에서 안지랑역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도 길을 건널 필요 없이 남부도서관 앞에서 달서4-1번을 타면 이동할 수 있다. 송현역방면에서 접근할 때도 마찬가지. 이게 의외로 큰 장점이다 앞산순환로에 중앙분리대가 있어서 횡단보도 설치가 가능한 곳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길을 건너는 게 쉽지 않기 때문이다.[13] 지하보도의 상태도 영 좋지 않다.
- 2015년 개편 전후를 비교하면 여러 부분에서 상당한 너프가 발생하였다. 개편 전에는 노선 선형이 깔끔한 편이었는데, 개편 후에는 여기저기 꼬아서 선형이 불량해졌다. 배차간격도 개편 전 15분에서 개편 후 17~18분으로 길어졌다. 노선이 길어진 탓인지 개편 전에 비해 배차간격이 상당히 들쑥날쑥해졌다. 개편 이후 운행시간 단축 지시도 내려졌는지 기사들이 시간에 쫓기는 듯한 모습이 자주 목격된다.
- 휴일 운행 시간표의 변동 폭이 일정하다. 앞산공원 착발 시절부터 2015년 개편 이후에도 휴일과 토요일에는 딱 1대만 감차해서 운행하며, 명절이나 방학감차 시즌에도 평시의 주말휴일/토요일처럼 1대만 감차해서 운행했다. 2017년 1월 21일 개편 이후에는 2대 감차해서 여전히 7대로 운행한다. 따라서 주말휴일 및 방학 기간에는 기다리는 시간을 기본 25분 잡아야 한다.
- 특이하게도 앞면 유리에 보조 번호판을 부착하지 않고 다닌다. 다른 버스들은 LED행선판이 있어도 LED 오류 등의 이유로 노선번호가 표출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서 앞유리에 노선번호가 적힌 행선판을 별도로 붙이고 다니는데, 이 노선을 운행하는 버스들은 안 붙인다. 2015년 개편으로 운행 회사가 바뀌면서부터 부착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2017년 개편으로 새로 이 노선 운행에 참여한 현대교통 소속 차량들도 마찬가지로 행선판을 붙이지 않는다. 하지만 2018년 3월에 남도버스 차량들은 앞유리에 노선번호가 적힌 행선판을 붙였다.
- 여담으로, 달서4번은 남도버스 운행 노선들 중에서 유일하게 남도버스에서 단독 배차하는 노선이다.
- 2015년 개편부터 달서4(-1)번 배차에 참여하는 남도버스에서 차돌리기가 대대적으로 단행됐다. 달서2번의 저상버스 중 달서4-1번으로 이동한 신도색 에코라이프 저상버스 1대 외에는 모두 655번에서 분할한 달서5번으로 트레이드됐으며, 달서2번의 일부 뉴 슈퍼 에어로시티가 706번으로 트레이드되었다. 그러면서 706번 차량 중 연식이 좀 된 2007~2008년식 BS106 몇 대와 653번에서 운행 중이었던 부산 3팬 재고차량 1대 등이 모두 달서4(-1)번으로 트레이드되는, 대격변에 가까운 차돌리기가 단행됐다.
- 2015년 남도버스 운행 초기에는 무덤 노선을 연상하게 하는 차량 라인업을 선보였으나, 2017년 이후로는 신차들이 조금씩 투입되고 있다. 차급은 달서4번이 좀더 낫다. 오르막길로 가다 보니, 좀더 나은 차로 투입하는 듯. 달서4-1번은 우진교통 운행 시절에 2015년 개편 직전 기준으로 1대를 제외하고는 모두 신도색 차량이였던 달서4-1번이 차급이 조금 더 나았으나, 남도버스로 바뀌면서 달서2번 출신 저상버스 및 653번 출신 흰색 풍뎅이벨 차량 외에는 차급이 떨어지는 편이였다. 그나마 현재 달서4-1번에는 653번 출신 1대와 현대교통이 투입하는 2대가 서울재고차다. 2019년 4월부터 남도버스에서 달서4-1번에 신차를 투입중이다.
4.1.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 출처: 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
5. 연계 철도역
- [image]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대곡역, 상인역, 월촌역, 송현역, 안지랑역, 현충로역
- [image]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감삼역, 두류역, 내당역
- [image]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남산역[14]
[1] A B 토요일 / 공휴일 7대 운행[A] A B 앞산공원 종점이 인근에 있다.[1] 수련원 앞 정류소에 정차했다가 송현고가교에서 U턴 후 수련원 건너 정류소에도 정차한다.[2] 청소년수련원, 대덕 승마장과 마찬가지로 송현교 정류소와 송현교2 정류소를 연속으로 정차한다.[3] 당시 책자에는 '남구1(-1)번'으로 되어 있었다. 책자 앞쪽의 지도형 노선도 부분에는 '달서4(-1)번'으로, 뒤쪽 '주요 경유지별 통과노선 안내' 부분에서 남구1, 남구1-1번으로 표기되어 있었다. 남구1(-1)번이 표시된 경유지 중에는 적혀 있어야 할 달서4(-1)번이 적혀있지 않거나 달서4(-1)번과 같이 표기가 되어 있었던 것이다. 개통 후에는 달서4(-1)번이 되었는데, 남구 구간보다 달서구 구간이 많아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4] 당초 우주교통이 2대 나서기로 했으나, 2017년 1월 20일에 우주교통과 현대교통의 합의로 우주교통 대신 현대교통이 2대 참여하게 됐다. 원래는 남도가 706번에서 2대를 가져오는 것이 맞지만 남도의 거센 반발로 무산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 204번에 있던 현대교통의 입석차량 2대를 달서4-1번으로 이동하고, 우주교통 2대를 204번에 투입했다.[5] 대구에서 블루시티에 대한 악평이 급증해 사실상 업계에서는 더 이상 블루시티를 도입하지 않는다는 분위기였으나, 남도버스에서 테스트삼아 블루시티 1대를 도입했다고 한다. 그러나 블루시티의 큰 단점 중 하나가 언덕길을 올라갈 때인데, 파도고개는 내당역 ↔ 성당시장 사이에 좁고 험한 고갯길만 2개다. 저상버스는 서구1번의 저상 대량투하 이전에는 주로 오르막길보다 내리막길에 들어갔다.[6] 남도버스의 운행 노선들 중 블루시티가 들어가기에는 653번이나 706번은 너무 빡세다. 달서4번은 노선상에 걸려 있는 학교에 다니는 중고교생들의 등하교 시간 외에는 가축수송으로 다닐 일이 적어서 테스트삼아 투입해 보는 듯하다.[7] 심지어는 폐선된 달서2번까지 포함해서[8] 달서4번과 달서4-1번을 하나의 노선으로 본다면[9] 왜냐하면 그 구간에는 성서지선이 있으므로 굳이 다닐 필요성이 없기 때문인지라, 성서지선에 속하는 성서1번과 성서2번도 월성지구, 대천동, 진천역 쪽으로 다니기 때문이다.[10] 대명중학교, 달성고등학교, 경화여고, 원화여고, 상서고교, 원화중학교, 경암중학교, 영남중·고교, 대건중·고교, 효성여고, 효성중학교 등. 개편 후에는 구남중, 구남보건고, 경구중, 경북공고, 경상중, 심인중고교, 대구여상, 영남이공대학이 추가됐다. 감삼중학교는 2011년 3월에 폐교되어 이 라인에서 빠졌다.[11] 앞산은 용두골, 고산골, 강당골, 큰골, 안지랑골, 골안골, 매자골, 달비골까지 총 8개의 주요 등산로가 있다.[12] 정확하게는 충혼탑 맞은편 주택가에 거주하는 주민들[13] 특히 충혼탑 정류장 근처에서 횡단보도까지 거리가 멀다.[14] 대명공연거리 및 계대 대명캠퍼스 정류장 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