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버스 급행5

 


[image]
[image]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차량
4.2.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

[clearfix]

1. 노선 정보


[image] 대구광역시 급행버스 급행5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
대구광역시 달서구 갈산동(신흥버스)
종점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내리리(대구대종점)
종점

첫차
05:30
기점

첫차
05:30
막차
22:50
막차
'''[평일, 토요일]''' 22:17 / '''[공휴일]''' 22:20
평일배차
11분
주말배차
14분
운수사명
경북교통 / 세진교통 / 신흥버스
인가대수
25대[1][2]
노선
신흥버스 - 계명대동문 - 성서용산시장[3] - 2차서한화성타운 - 대구의료원 - 남평리네거리[4] - 서구청 - 큰장네거리 - 2.28기념중앙공원 - 구.동부정류장[5] - (강변동서마을 →/← 백자맨션) - 반야월시장 - 안심역 - 대구혁신도시LH10단지 - 하양초교 - 대구대
'''중간 출발 정류소'''
'''성서산단''' 방향
망우당공원, 반야월시장, 대구가톨릭대
'''대구대''' 방향
중구청, 달서교회, 대구의료원, 성서주공2단지
'''중간 종료 정류소'''
'''성서산단''' 방향
계명대학교동문, 동서화성타운, 2차서한화성타운
'''대구대''' 방향
하양초등학교, 정동고등학교, 우방강촌마을, 중구청

2. 개요


달서구 갈산동 신흥버스 차고지(5)에서 중구 공평동 2.28기념중앙공원(0)을 거쳐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 내리리 대구대학교(8)까지 운행하는 급행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82km이다. [6]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image]
[image]
2013년 6월 19일에 대구대 종점에서 촬영한 사진으로, 개편 이후 좌석으로 개조되어 급행5번에서 계속 운행 중이다.
2006년 10월 통합요금제 시행 이전에 좌석버스로 운행했던 508번의 모습이다.
  • 1994년에 신설된 333번 좌석버스(대구대 - 성서계대정문)가 전신이다.
  • 1998년 5월 5일 개편 때 번호가 508번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한일극장(현 CGV대구한일) - 망우공원' 구간이 칠성시장, 파티마병원, 동대구역, 고속터미널 대신 국채보상로, 화랑로 경유로 직선화 되었다. 덕분에 하양에서 시내까지 빠르게 갈 수 있게 되었다.
  • 2001년 7월 15일 개편 때 기점이 계대정문에서 계명문화대학(현 계명문화대학교)로 변경되었다.
  • 2006년 10월 28일 통합요금제 실시로 일반버스로 전환되었다.
  • 2008년에 성서청남타운 구간[7]으로 들어가 와룡공원, 신당동주민센터를 경유하여 계명문화대학에서 신흥버스 차고지까지 연장되었다.
  • 2015년 8월 1일 개편으로 2006년 이후 약 9년 만에 다시 좌석버스로 돌아오되, 급행5번이라는 새로운 번호로 운행한다. 급행화 과정에 따라 계대동문~남평리네거리 구간도 변경된다. 달구벌대로 구간 대신 계대동문로[8], 평리로[9] 구간으로 변경되었다. 와룡공원은 524번, 청남타운은 달서1번에게 수요를 넘겼다. 도시철도와 중복되는 구간을 줄이고, 서구에 신규 노선을 추가하기 위함이다. 또한 관음교통경상버스가 철수하고, 신흥버스와 세진교통이 참여한다. 인가대수도 3대 감차되었다.
  • 대구대학교 서문 정차에 따른 민원[10]에 따라 2015년 10월 15일에 정차 정류장이 일부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6년 12월 30일에 막차 시간이 연장되면서 대구대 방향으로만 막차가 기존 10시 20분에서 50분으로 30분 연장되었다. 따라서 특유의 중간 종료는 또 추가되었다.
  • 2017년 1월 21일 때 대구신서혁신LH천년나무10단지 인근 거주 주민들의 안심역 지하철 환승 불편을 위해 환승저항을 해결하고자 '안심역 - LH10단지아파트 - 경일대학교'로 변경되었다.
  • 2018년 3월 10일부터 신흥버스 배차분 2대가 급행7번 증차를 위해 감차되며, 배차간격이 1~2분 늘어난다. 수요가 많은 급행 노선 중 감차된 최초의 사례이다. 이 때문에 신흥버스 배차분 2대가 빠지면서 1대를 놓치면 다음 차를 15~20분이나 기다려야하는 일이 비일비재하게 발생하고 있다. [11]
  • 2018년 8월 21일부터 성서우방타운에도 정차한다.
  • 2020년 3월 2일에 신흥버스 배차분 1대가 503번 증차를 위해 감차되었다.
  • 2020년 4월 8일부터 신흥버스 방면 한정으로 한국산업은행성서지점건너 정류장에도 정차한다.

4. 특징


  • 대구 시내버스 노선 중 장거리 노선 4위, 급행 노선 중 장거리 노선 1위이며, 급행 노선 인가대수는 25대로 1위다.[12]
  • 2015년 8월 1일 개편으로 간선버스 508번을 급행버스로 전환했다. 이에 따라 보조 노선들인 425번(계명대역 - 2.28기념중앙공원 구간), 518번(2.28기념중앙공원 - 하양읍[13]구간)의 수요가 대폭 늘었고, 이들은 노선별 탑승객 수 상위권에 랭크되었다.[14]
  • 개편 초기에는 홍보 부족으로 인해 수요가 저조하였다. 시민들의 거부감과 달구벌대로 서편 수요[15]를 상실하였기 때문이었다.[16]
그러다가 인지도 증가, 급행 고유의 쾌속성, 서구에서의 역할로 인해 수요가 많이 늘었다. 성서 지역의 주요 정류소인 2차서한화성타운을 경유하면서 수요는 건재한 편이고, 급행1번의 과밀화 방지도 하고 있다. 다만, 평리로에서 차선 변경을 많이 하는 등의 위험한 모습을 볼 수 있다.[17] 또한, 202(-1)번을 날려먹는 대구광역시청 최대의 실책 때문에, 서구 및 성서 권역 주민들과 용산1동에 거주하는 경덕여고 학생들의 급행5번 이용이 늘어나면서 가축수송을 부채질하고 있다.
  • 하양읍에 거주하는 주민들과 대학생들에게도 이 노선의 급행 전환이 성토의 대상이 된 적이 있었다. 요금은 난데없이 350원이 올랐는데, 그에 비해 빨리 간다고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대구대학교, 하양읍에서도 수요가 많이 늘었다. 전술했던 서구 수요의 증가 이유와 동일하다.
  • 하양읍 구간은 왕복 2차선 도로이며, 안심역~경일대입구 구간(청천/은호/남하리)은 수요가 많지 않아 814번818번, 영천 55, 555번을 비롯한 다양한 노선이 일반 요금으로 빠르게 운행하기 때문에 급행 노선의 특징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다.[18]
2017월 1월 21일부터 안심역에서 신서LH천년나무10단지를 경유하면서 여러 번의 신호 대기를 받게 되었고, 약간의 소요 시간이 늘어났다.
  • 대구광역시 급행버스 중에서 유일하게 경산시와 방촌 지역을 출입하는 급행노선이다.
  • 508번 시절처럼 성서 방면은 정동고등학교에서 백자맨션을 지나 용호네거리(방촌주유소)에서 방촌맨션(정차하지 않는 정류소)을 거쳐 화랑로(우방강촌마을)에 진입하고, 대구대 방면은 우방강촌마을에서 강변동서마을(동대구IC앞)을 지나 정동고등학교로 간다.[19]
  • 급행버스로 전환되면서 망우당고가차도의 상단 도로를 경유한다. 따라서 청기와주유소와 동문고교는 무정차 통과한다.[20]. 단, 출퇴근 시간 또는 사고 발생으로 인해 상단도로가 정체되고 있을 때는 기사의 재량에 따라 종전처럼 하단 도로를 경유한다.
  • 신흥버스가 급행5번과 518번에 참여하게 되면서 신흥버스도 반야월~하양 구간의 8번 권역에 진입하게 되었다. 그러나 518이 518-1번으로 분할되면서 하양, 대구대까지 들어가는 신흥 유일한 노선이 되었다.
  • 막차 분담은 성서산단 방향은 신흥버스가 고정 운행하고, 대구대 방향은 세진교통경북교통이 양분하는데 세진교통은 1, 2, 5, 6, 9, 10월에, 경북교통은 3, 4, 7, 8, 11, 12월에 운행한다.
  • 장기 정차는 대구대 종점에서 하며, CNG 충전은 신흥버스 차고지에서 주로 한다. 대구대종점을 쓰는 노선중 유일하게 "충전소행"을 거의 띄우지 않지만 신흥 차고지 내 충전소는 인근 대천동공영차고지가 종점인 노선들도 충전하러 와서 포화상태이다. 신흥버스에서 대구대 방면으로 출발할때는 충전소가 포화상태일때는 충전시간 지연 등으로 일부 성서 구간, 심하면 서구청까지 결행되는 일이 가끔 있긴 하지만 웬만하면 신흥버스 차고지에서 하는 편이다. 거의 없는 편이긴 하지만 신흥충전소 포화, RH 시간대 극심한 지정체 등으로 신흥에서 출발 시간 다 돼서 도착해서 바로 출발해야 하는 상황 등 여러 사유로 인할 때는 가끔씩 대구대까지 운행 후 대구대에서 용천리CNG충전소로 충전하러 가는 차량(특히 세진교통이나 경북교통)들을 볼 수 있다. 이럴 경우 대구대~부기리LH아파트 구간은 결행이 발생한다.
  • 시내버스로 불법주정차 차량들을 단속하는 노선에 추가되었다. 신흥버스 2대와 경북교통 3대. 총 5대의 버스에 단속 카메라가 설치되었다.
  • 2019년 5월 11일부터 하양에서 대구 시내까지 한 번에 갈 수 있던 518번안심역으로 단축된 후[21] 518번을 타던 승객들까지 흡수하여 평일 낮에도 하양초등학교부터 입석이 발생한다.
  • 2020년 3월 2일부터 위의 문제점들이 개선되기보다 오히려 1대가 감차되었다. 이에 따라 배차간격이 증가했고, 차내도 더 혼잡해졌다. 대구광역시는 사실상 급행1번처럼 취급하려는 듯하다.[22][23]
  • 경북교통 기사 교대는 각산네거리(KT안심지점)에서[24][25], 세진교통 기사 교대는 은하타운에서[26], 신흥버스 기사 교대는 신흥버스 차고지에서 실시한다.
  • 이 노선도 준공영제 실시 이후로 609번, 808번 못지 않게 자주 감차당했다. 508번 시절까지 포함하면 무려 10대가 감차당했다.[27]

4.1. 차량


  • 신설노선이기는 하지만 차량 이동이 거의 없었던 노선이다. 경북교통 차량과 신흥버스 2005~2006년식 좌석차량 및 2008년식 좌석개조차량, 기존의 좌석형 정규 및 예비차량과 일부 타 노선의 입석차량들이 재도색과 좌석 개조를 통해 급행5번에 투입되었다.
  • 개편 후 급행1번이 다사로 가는 대신, 급행5번이 신흥버스 차고지로 들어오기 때문에 기존 급행1번을 운행하던 세진교통, 신흥버스 차량의 절반 이상이 행선판만 교체해서 급행5번으로 넘어왔다.
  • 신흥버스의 경우는 급행1번에서 운행하던 차량은 모두 넘어왔고 거기에 2005~2006년식 좌석차량까지 더해서 운행했다. 2005년식 3대는 2016년 7월 11일에 대차되었고, 2008년식 개조 차량은 2017년 4월 말에, 신흥버스에 마지막으로 남아있던 2006년식 슈퍼 에어로시티도 2017년식 신차로 교체했다. 그러다가 2년 뒤에 대구시에서 면허 말소된 차량 10대가 순증차되면서 2015년 8월에 말소된 저상버스의 면허가 2019년식 현대 좌석형 차량으로 출고되어 2019년 4월 22일부터 운행한다.
  • 세진교통의 경우는 2015년 개편 초기에는 2006, 2007년식 구형 대우 차량을 도색+좌석 개조하여 운행하다가 2016년에 대차되고 좌석 신차가 출고됨과 동시에 급행1번에 투입, 거기에다가 세진교통 좌석 신차는 모두 급행1번에 투입하고 기존 차량들이 급행5번으로 넘어오면서 차량 8대가 급행5번으로 이동되었다. 2015년 8월 개편 당시에는 8대 모두 대우 차량으로 시작했다가 1년 4개월 후 다시 전 차량 현대차로 돌아왔다. 그리고 세진교통에서 좌석 신차는 무조건 급행1번에 넣고 기존 급행1번에 있던 차량들을 급행5번으로 받아오는 패턴이라 급행5번 차량은 2013~2016년식 차량들로 이루어져 있다.
  • 경북교통의 경우도 도색+좌석 개조만 추가됐을뿐 508번에 있던 차량들이 고스란히 급행5번을 운행한다. 그중 2016년 7월에 2007년식 구 슈퍼 에어로시티 좌석개조 차량을 대차하고 준공영제 시행 이후 처음으로 경북교통에 좌석 신차를 출고했다. 이외에 2015년 개편전 303번에서 운행하다가 303번이 폐지되면서 이 과정에 2009년식 차량 1대가 좌석으로 개조 후 예비로 격하되어 급행5번 고정 예비 차량으로 투입한다. 이 차량은 2020년 들어 2010, 2011년식 개조 차량들과 함께 대차되어 차급은 공배하는 3사 중 제일 좋아졌다. 그리고 이제 경북교통의 좌석 개조차는 2012년식 정규 1대, 2013년식 예비 1대만 남게 되었다.
  • 한동안 신흥버스에서 고장 수리나 차량 점검으로 인해 1대밖에 없는 좌석 예비차량이 다른 차량 대신 운행할 때, 입석 예비차량을 투입했다. 급행7번과 출근맞춤버스 7250번을 추가 운행하며 좌석 차량이 더 필요하지만, 기존 좌석 예비차량 2대 중 1대를 7250번에 투입하기 때문에 노선 수 대비 차량이 많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 7250번을 공동배차 하는 우주교통이나 경신교통은 급행 노선이 없기에 입석 예비차량을 투입하며, 급행노선을 2개나 보유하는 동명교통조차 7250번에 입석 예비차량을 투입한다. 신흥버스만 좌석차를 투입한다.[28]
  • 같은 노선에 공배 중인 경북교통도 좌석 예비차량이 단 1대밖에 없지만 신흥버스와 달리 2015년 8월 개편 후 지금까지 단 한 번도 입석 예비차량이 등장하지 않았다. 정규차량이 사고로 인해 일주일 이상 투입 중인 경우에도 단 한 차례도 입석 예비차량이 등장하지 않았다. 형제회사 동명교통과 함께 예비차량 투입은 철저히 잘 지키는 편이다.
  • 동명교통처럼 급행노선을 2개 보유하는 세진교통 또한 6대의 예비차량 중 4대의 좌석 예비차량을 확보하며 원인을 차단했다.
  • 급행 노선에 입석 예비차량이 투입되고 민원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어서, 시청에서도 업체에게 최대한 급행 노선에는 좌석 예비차량을 넣으라고 권고하는 중이다. 그래서 마침내 신흥버스도 2020년 3월 2일부터 급행5번 정규 차량 중 1대를 예비차량으로, 일반 예비차량 1대를 503번 정규 차량으로 변경하며 좌석 예비차량을 추가로 확보했다.

4.2. 일평균 승차량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508번
2014년
2015년
18,151명
17,630명
대구광역시 급행버스 급행5번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10,030명
9,608명
8,266명
7,839명

5. 연계 철도역


==# 둘러보기 #==


[1] 경북교통 10대 / 세진교통 8대 / 신흥버스 7대[2] 토요일 24대 / 공휴일 20대 운행[3] 정류소 이름은 성서청구타운[4] 정류소 이름은 평리청구타운[5] 화랑로에 있는 정류소다. 성서 방향 정류소 이름은 코오롱아파트[6] 실제로 BIS에서는 기점이 대구대학교, 종점이 신흥버스이다.[7] 한때 개편 초에는 성서3번이 운행했었다.[8] 성서주공2단지, 동서화성타운[9] 용산지구, 대구의료원[10] 기사의 재량에 따라 대구대 서문에 정차하는 경우도 있고 안 하는 경우도 있는 랜덤 정차(...). 서문 근방에 사회과학대학, 법행대학, 사범대학, 조형예술대 일부 학과 학생들이 이 버스를 타기 위해 정문까지 가야 했던 불편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11] 참고로 508번 시절에도 937번 증차 목적으로 2대가 감차된 적이 있기는 하다.[12] 급행5번 다음으로 급행2번 노선이 22대로 두 노선 모두 빗자루질 노선이다.[13] 2019년 노선 분할에 따라 안심역으로 단축되었다.[14] 2019년 간선 버스 기준 425번 10위, 518번 11위.[15] 2호선 성서산단역에서 두류역까지의 구간[16] 급행2번도 일반버스에서 급행버스로 전환되었을 적에는 수요가 많은 노선은 아니었다.[17] 같은 구간을 지나는 523번도 운행 시간 단축 지시 때문에 빠르게 운행한다. 특히, 경신교통 차량의 질주 본능까지 더하면 무섭게 밟는다.[18] (참고영상. 급행5번과 같은 경로로 운행하는 완행 노선인 808번이다. 완행임에도 경일대학교까지 모두 통과한다.) 속도 차이가 나는 쪽은 8권역이 아닌 5권역이다.[19] 옛 동대구IC의 도로 구조 때문에 이런 선형을 갖고 운행하는 노선들이 아직 남아 있다.[20] 급행3번의 팔달고가차도 구간 운행과 동일하다[21] 각산역 - 동서리 구간을 518-1번으로 분할시켰으나, 이용률이 매우 저조하다.[22] 급행1번처럼 취급한다는 건 점점 정차 정류소가 늘어나는 반면 감차당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물론 급행1번 자체는 감차된 적이 없고, 역으로 주말 및 행사 한정으로 증차된다. 다만 정차 정류장이 하나둘씩 늘어나고 2009년 동대구역 지하도 경유로 변경하면서 운행시간이 길어져 배차간격이 늘어났다.[23] 백업 노선이었던 518번도 단축 후 518-1번에 5대를 빼앗겨 배차간격이 평일 17~18분으로 늘어나 마찬가지로 더 혼잡해졌다.[24] 814번 경북교통 기사 교대도 여기에서 실시한다.[25] 경북교통은 508번 시절에도 여기에서 기사 교대하였다.[26] 참고로 급행5번은 은하타운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는다.[27] 2009년 2대, 2013년 2대, 2015년 3대, 2018년 2대, 2019년 1대 감차당했다. 이와 별개로 2012년에 1대 증차되었다.[28] 이는 7250번 노선은 요금과 정차 정류소만 다를 뿐 급행7번 본선의 지원운행격 노선이라 보고 좌석차량을 투입했을 가능성이 있다. 쉽게 생각하면 급행8번 용금공단 지원 노선처럼 급행7번에도 들어온 셈이라 보면 되는 것. 다만 급행8번의 경우 자동차전용도로인 테크노폴리스로를 운행하는 노선이므로 좌석차량을 우선적으로 투입하나, 세운버스의 좌석 예비차량 부족으로 인해 역시 입석 예비차량이 투입된 적 있다.[29] 대구대 방향 한정으로 강변동서마을 정류소 이용. 성서 방향은 무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