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버스 달성1
1. 노선 정보
【가지노선 접기/펼치기】
2. 개요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노선 중 하나.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 (다산 - 대곡 - 다산, 다산 - 대곡 - 득성 - 다산, 다산 - 대곡 - 노곡 - 다산, 다산 - 대곡 - 득성 - 노곡 - 다산)
3. 역사
- 2006년 2월 개편 때 836번의 지선들 중 다산면 노곡리 지선과 성산면 득성리 지선을 분리하여 신설했다. 또한 650번이 분리 구간으로 다녔던 '천내영남맨션 - 구.화원유원지IC' 구간도 대체하게 되었으며, 다산방면으로만 편도운행으로 바뀌었다.
- 원래는 화원동산이 종점이었지만, 다산회차지를 새로 만들어서 2006년 7월 2일에 650번과 함께 다산회차지로 종점을 옮겼다.[1] 이에 따라 화원동산 종점에는 달서3번만 남게 됐다.
- 2012년 6월 16일 개편 이전에는 3대로 운행했으며, '다산회차지 - 화원삼거리 - 대곡역 - 유천교 - 진천역 - 상인네거리 - 월촌역 - 청소년수련원 - 월촌고가교 - 상인남네거리 - 대동시장 - 월배중 - 월배역 - 진천역 - 대곡역 - 구라리(천내영남맨션) - 다산회차지' 식으로 운행했다. 그러나 다산 - 상인역까지는 노선이 거의 비슷한 650번이 있었으며[2] 지선노선 특성상 승객이 적었다. 무엇보다 득성리, 노곡리행은 836번이 전담할 때는 서문시장까지 직통으로 갈 수 있었으므로 가축수송이었으나, 2006년 개편 때 달성1번으로 분리하고 시내 구간이 사라지면서 이용객이 급감했다.
- 2012년 6월 16일에 726번의 증차를 위해 대곡역까지 단축되어 본리지구 경유로 조정됐다. 이 때 2대가 감차되어 649번에 투입되었고, 649번 대명교통 2대가 726번에 증차되었다. 문제는 노곡리와 득성리는 예전부터 대중교통이 열악한 곳인데[3] 달성1번 득성리행과 함께 득성삼거리를 경유했던 달성2번 가야대학교 방면 노선이 사라지자 달성1번도 노곡리와 득성리에서 철수할까봐 불안해서 주민들이 고령군청에 엄청나게 항의했다고 한다. 현재 달성1번 외에 고령군 구간을 650번도 운행하고 있지만, 다산면 상곡리 다산회차지까지만 운행한다.
- 2019년 4월 20일 개편으로 화원삼주타운 대신 구라리 안동네를 경유한다.[4]
4. 특징
- 노곡리행과 득성리행은 가창2번의 파동착발 시절 운행 방식처럼 연장선에서 출발하지 않고 다산회차지에서 출발하여 중간지를 지났다가 다산회차지를 지나고 해당 목적지를 들어갔다가 다시 다산회차지로 돌아오는 방식으로 운행한다.
- 다산회차지로 돌아올 때만 천내영남맨션(구라리)으로 편도 운행하는데, 이 구간은 1998년 개편 전에 30번 일반버스[5] 이 운행하던 구간이었다. 30번이 1998년 개편 때 650번과 980번으로 분리된 후 650번이 천내영남맨션 구간과 화원삼거리 구간을 1/2 분리 운행했었는데, 통합 배차간격 9분이었으므로 실제 분리 구간에서는 18분이었다. 그나마 천내영남맨션 구간은 화원삼거리 구간에 비해 훨씬 수요가 적어서 2006년 개편 때 650번은 화원삼거리로 통합하고, 천내영남맨션은 편도운행으로 변경하여 달성1번에 넘긴 것이다. 천내영남맨션 편도 구간은 여전히 수요가 거의 없다고 봐도 좋다. 다만 이 편도 구간은 다산 본선만 운행하고 나머지 분리 노선들은 양방향으로 화원삼거리를 경유한다.
- 대곡역까지 단축되고 2대 감차되기 전까지는 노곡리행 한정으로 화원삼거리 구간이 왕복 운행이었지만, 감차된 후에는 득성리행도 화원삼거리를 왕복으로 운행하고 있다. 따라서 본선 한정으로 천내영남맨션으로 들어간다. 게다가 3대가 투입되었을 적에는 다산회차지에서 출발하는 막차가 벌지리에서 운행을 중간에 종료했다.[7] 감차된 후에는 중간 종료가 없다.
- 가스 충전은 고령교 및 위천삼거리를 통해 논공읍 하리에 있는 논공CNG충전소에서 한다. 노곡리/득성리행 다이어를 보면 알겠지만, 노곡리 및 득성리에서 잠시 대기하는 시간이 있기 때문에 논공에서 멀지 않은 득성삼거리에서 위천삼거리를 통해 하리CNG충전소로 이동하여 가스를 충전하고 득성리로 돌아와서 다시 출발하는 것. 사실상 대구 시내버스 노선 중 유일하게 운행 중간에 가스를 충전하는 노선이다. [8]
- 벌지리와 송곡재, 송곡삼거리 사이 구간 중에서는 이니셜D를 연상시키는 급커브 경사 구간이 있다. 저상버스가 다니기에는 도로 사정이 대단히 나쁘고 조금 아찔한 구간이지만, 이 구간이 직선화 공사 중이라 공사가 완료되면 다니는 코스가 변경될 가능성도 있다. 배차표에도 송곡재를 지날 때 에어서스를 올려서 다니라고 명기하고 있다. 현재는 이 헤어핀 구간 옆에 생긴 신길을 통해 운행 중인 것이 확인됐다.[9]
4.1. 시간표
4.2.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 출처 : 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
5. 연계 철도역
==# 둘러보기 #==
[1] 본래 다산회차지는 금류아파트 근처에 있었고, 이후 다산주공2단지 쪽으로 한 번 더 이동이 있었다.[2] 다산방면으로 천내영남맨션 편도 운행을 제외하면, 완전히 중복되었다.[3] 고령군 농어촌버스 606번과 번호가 없는 노선(옛 607번)이 아주 뜸하게 들어온다. 그나마 삼대리나 득성리는 위천삼거리 및 금산재/대가야읍 쪽으로 가는 606번이 풀 타임으로 다니지만 벌지리, 다산공단, 월성리(다산중학교), 노곡리, 송곡리는...[4] 650번이 구라리 안동네를 거쳐 성서산단으로 가스 충전을 하러 간다.[5] 구라리(동국고)~반야월~대평동~영남대학교를 운행하던 장거리 노선. 1998년 개편 때 화원동산(구라리에서 연장)~칠성시장 구간은 650번, 칠성시장~영남대학교 구간은 980번으로 분리되었다. 980번은 노선 변경 없이 영남대학교~대구역~영남대학교 구간을 운행하고 있으며, 650번은 동양맨션으로 연장했다.[6] 화원읍 이남의 월배권 지역. 가창면은 수성구 번호인 4번, 다사읍/하빈면은 달서구 성서권 번호인 5번이다. 좀더 알기 쉽게 설명하자면, 노선번호에 지역명으로 달성 이 명기되어 있는 지선버스는 모두 6권역으로 다니는 노선이다. 4권역 소속은 가창, 5권역 소속은 성서의 번호가 명기되어 있다.[7] 836번 득성리행도 야간 막차는 벌지리에서 운행을 끝냈었다.[8] 하리CNG충전소 - 내리 최단 15km[9] 아직까지 대구 시내버스 안내 및 포털에서는 송곡리와 벌지리를 오고갈 때 구길(헤어핀)로 간다고 안내되어 있다.[10] 득성 도착은 06:25[11] 노곡 도착은 08:45[12] 득성 도착은 12:25[13] 17:20에 득성리에 도착하고 하리 논공CNG충전소에 가서 가스를 충전한 후, 득성리로 돌아와서 17:50에 출발한다. 득성리가 위천삼거리에서 멀지 않기 때문이다.[14] 노곡 도착은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