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버스 518

 



[image]
1. 노선 정보
2. 개요
3. 노선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
6. 관련 문서


1. 노선 정보


[image]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518번
[ 노선도 보기 ]

기점
대구광역시 달서구 갈산동(신흥버스)
종점
대구광역시 동구 괴전동(안심역[1]/대림육교[2])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05:30
막차
22:23
막차
'''[평일, 토요일]''' 22:20 / '''[공휴일]''' 22:03
평일배차
16분
주말배차
18분
운수사명
달구벌버스, 신흥버스
인가대수
17대(달구벌 7, 신흥 10)[3]
노선
(주요경유지)
신흥버스 - 계명대역[4] - 용산역 - 본리초교 - 대구공업대 - 서부정류장 - 영남이공대 - 반월당역 - 2.28기념중앙공원 - 청구고교 - 수성도서관 - '''(강변동서마을→/←백자맨션)''' - 율하역 - 안심역 (← 대림육교 ← 숙천초교입구 ← 대림육교)
'''중간 출발 정류소'''
'''성서산업단지''' 방면
중구청, 한전동대구지사, 신기역
'''안심역''' 방면
대명역, 장동초등학교토요일, 방학, 공휴일, 장성초등학교평일
'''중간 종료 정류소'''
'''성서산업단지''' 방면
용산역, 대명역평일, 토요일, 방학
'''안심역''' 방면
신기역방학, 강변동서마을, 한전동대구지사평일, 토요일, 공휴일

2. 개요


대구광역시 달서구 갈산동 신흥버스 차고지(5)에서 동구 신천동 청구고등학교(1)을 거쳐 동구 괴전동 안심역(8)까지 운행하는 달구벌버스, 신흥버스 소속의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왕복 운행 거리는 63.7km.
518번은 원래 그냥 권역별 분류에 따라 붙은 번호였으나, 광주광역시와 함께 진행한 달빛동맹사업의 일환으로 5.18 민주화운동의 의미를 부여하였다. 이와 동시에 광주광역시에서는 2.28 학생민주의거의 의미를 되새기는 228번[5]이라는 노선 번호를 만들었다.
전체 정류소 목록

3. 노선 역사


  • 1988년 좌석버스 신설 당시부터 1998년 5월 개편 전까지는 본리동(경신교통 차고지)에서 망우공원을 운행하던 312번 좌석버스였다.[6]
  • 1991년 상인동~대구대 구간을 운행하던 330번 노선이 반야월로 단축되면서 이 구간을 운행하기 위해 312번이 하양읍 동서리로 연장되었다.
  • 1998년 개편으로 518번으로 변경되었고, 312번 시절에는 성당주공아파트[7], 본리초등학교를 경유하지 않고 서부정류장에서 구마로를 따라 당시 남대구IC 옆에 있던 우진교통 차고지까지 운행했다. 그러나 1990년대 중반 당시에는 12번이 금봉네거리[8]를 경유하지 않고 동본리네거리를 경유했다. 당시 금봉네거리를 경유하게 된 것은 106번으로 번호가 바뀐 1998년 5월 5일 개편 때였다. 동본리네거리에서 성당주공아파트~본리초등학교를 경유해서 본리동 경신교통[9] 차고지로 가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312번이 경신교통 차고지에 들어갔을 당시에는 경신교통 차고지를 종점으로 쓰는 노선이 2-1번, 12번, 88번 등 여러 개가 있었다. 그러나 월성2동 쪽으로 노선 연장, 노선 폐선 등의 이유로 하나둘씩 빠져 나가고 1998년 9월 106번마저 월성지구로 연장된 후에는 이 노선만이 경신교통 차고지를 쓰는 유일한 노선이 되기도 했다. 그러다가 518번도 2000년 잠시 감삼지구(우방드림시티), 본리동백조아파트, 감천네거리, 월성주공5단지, 월성2동주민센터를 거쳐 대건중고교까지 연장되었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우방드림시티에서 장기지구로 단축되었다. 현재 백조아파트 ~ 감천네거리 ~ 월성주공5단지 구간은 달서3번달서4(-1)번이 운행 중이다.
  • 2006년 2월 19일 노선 개편으로 일부 구간이 변경되었다. 2006년 개편 전에는 청구삼거리에서 장등로로 진입해 한국건강관리협회대구지부, 舊 KBS대구방송총국[10], 신천3동주민센터, 고속터미널(지하철 동대구역)을 거쳐 수성도서관으로 운행했기 때문에 하양에서 동대구역 및 옛 고속터미널로 가장 빠르게 가는 노선 역할을 하기도 했었다. 그러나 이 역할은 같은 날에 노선이 변경된 708번에 넘기고 청구삼거리 ~ 대구MBC네거리 ~ 동대구LPG충전소(코오롱아파트) - 수성도서관으로 직선화됐다. 개편 전에는 반야월 구길을 경유했으나, 개편 후 반야월삼거리에서 1호선이 다니는 반야월 신길(산업도로)인 안심로 경유로 변경되었다. 2006년 2월 개편 전에는 814(-1)번과 함께 용계삼거리(용계역)에서 좌회전했지만 개편 후에는 강변동서마을 구간을 708번과 당시 순환형이 아니었던 849번에 넘기고 518번과 814번(구 814-1번)은 용호네거리에서 좌회전하여 방촌맨션을 경유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2006년 10월 요금체계 변경에 따라 일반버스로 전환되었다.
  • 2009년 1월 개편으로 광남자동차 차량 1대가 감차되어 401번으로 이동했다.
  • 2011년 웃는얼굴아트센터 주차장에 회차지가 마련되어 종점을 장기초록나라 도로변에서 이전했다.
  • 2015년 8월 1일 개편으로 기점이 웃는얼굴아트센터에서 신흥버스 차고지로 연장되며, 웃는얼굴아트센터~전자공고 구간에서 철수하여 용산네거리에서 곧바로 성당동으로 운행한다.[11] 웃는얼굴아트센터~전자공고 후문, 전자공고 남편 등의 기존 편도운행 구간은 805번이 대체한다. 단축되기 전의 836번과 폐지된 604번과 맞먹는 초장거리 노선이 되었다. 또한 광남자동차가 철수하고, 신흥버스가 공동배차에 참가한다. 배차간격 증가를 최소화하기 위해 인가대수가 2대 증차되었다.
  • 2019년 5월 11일 부로 노선 분리가 시행되어 본선은 안심역으로 단축되어 왕복 운행 거리가 79.7km에서 63.7km로 줄어든다. 그리고 동호공영차고지에서 동서리까지 운행하는 518-1번[12]이 신설된다. 시내→하양은 안심역이나 뱐야월역에서 분리노선으로 환승해야 하고, 하양→시내는 숙천초교 입구나 안심역에서 518번으로 환승해야 한다.

4. 특징


  • 성서산업단지 방면 한정으로 방촌맨션으로 진입하여 내려오는 노선이다.[13] 또한 역시 성서산업단지 방면 한정으로 신서혁신도시 숙천초등학교입구를 경유한다.
  • 용산네거리 동편에서 남편으로 좌회전하던 435번이 2006년 개편으로 폐지된 후 거의 10년 간 202(-1)번, 성서3번, 달서3번 등이 직진만 해 오다가 2015년 518번의 신흥버스 연장으로 서부정류장으로 가는 시외버스들처럼 용산네거리 서편과 남편을 운행하는 유일한 노선이 되었다.[14]
  • 좌석버스 시절에는 시계외요금이 없어서 하양 쪽 승객은 많았으나, 반대쪽인 장기동에서 시내 구간은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겹치는 데다가 당시 빗자루질을 하던 106번, 나름 짧은 배차간격으로 KT남대구지사~현충로 구간에서 시내를 연결해 주던 910번에 밀려서 승객이 많은 편은 아니었다.
  • 2006년 10월 28일 통합요금제 실시로 인해 일반버스로 전환되면서 106번의 수요를 어느 정도 넘겨받아 승객이 많아졌지만, 지금은 아예 신천동과 효목동에서 완전히 철수한 106번의 수요도 빼앗아 와서 달서구~남구~중앙대로 구간도 터져 나가고 있다. 시내에서 사람들이 내리고 나면 남구와 달서구 쪽 승객들이 몰려들면서 또 터져 나갈 정도로 혼잡해진다. 영남이공대학교 재학생들의 수요도 많다.
  • 508번이 급행으로 전환되기 전에도 518번은 가축수송 노선이지만, 개편으로 508번이 급행5번으로 전환되면서 청구중고교(성조아파트)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하고 몇몇 청구중고교 학생들이 이용한 106번동구1(-1)번이 변경으로[15] 이 세 노선이 정차하지 않으면서, 518번은 승객들을 다 못 태우고 가는 일이 자주 일어나고 있다. 특히 통학 시간 때 우방강촌마을 정류소에서 중고등학생들[17]의 수요가 엄청나다. 그러나 이미 신기동, 율하동, 방촌맨션에서도 518번을 이용하는 주민들이 많기 때문에 이미 다 채우고 온다. 그래서 2015년 8월 개편 이후 과밀노선이 되면서 하차 단말기도 하나 더 설치되었다. 안심 지역도 화랑로에서 강동중고교를 직선으로 연결해주는 유일한 노선이기 때문에 강동중고교 통학 수요도 많다.[18]
  • 2019년 안심 단축 전까지는 하양 수요도 많은 편이었다. 승객 대부분은 동서리 하양청구타운 입주민들과 하양코아루아파트 입주민들, 경일대학교, 호산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학생들이었다. 출퇴근 시간은 수요가 많아 다 태우지도 못하고 떠나는 경우도 많았다.[19] 518번은 단축했지만, 영천 버스 55, 555번과 대구, 경산시내버스 간 무료환승이 2019년 8월 13일부터 가능함으로써 숨통이 트였다.
  • 2015년 노선 개편으로 신흥버스 차고지까지 연장되면서 휴식 여건과 CNG 충전 여건은 나아졌다.[20] 이와 동시에 156번도 신흥버스로 들어가기에 신흥버스의 한켠은 본의 아니게 달구벌버스의 제2차고지가 되었다. 이를 증명하듯 CNG충전소 옆의 156번, 518번 회차 공간은 회차 노선을 정해둔 규정과 배차 업체의 조합으로 시간만 잘맞으면 차량 3~4대 전체가 달구벌버스 차량들이다.
  • 805번 구간을 대신해 달구벌대로를 경유하지만, 하양까지 다니던 시절에는 증차를 했어도 시속 70~80km로 계속 밟아야 평일 배차 14분을 겨우 맞추는 등 초 장거리노선이 되어 버려 기사들이 몹시 힘들어했다. 2015년 8월 1일 개편된 이후로 증차된 적이 단 한 번도 없었다.
  • 2007년 달구벌버스의 차량 대량압류 사태 때문에 한때 경기도 시내버스 일반시내버스 도색을 한 디젤 중고차량이 있었다. 이후 재도색해서 굴리다가 조금조금씩 202(-1)번으로 이동시켰고, 2008년 12월에 용천리CNG충전소의 영업이 시작되자 달구벌버스가 대격변급 차돌리기를 단행, 당시 가스 충전이 불편했던 202(-1)번으로 모두 이동한 후 2011년과 2013년 사이에 천연가스버스로 모두 대차됐다.
  • 달구벌버스에서 2013년부터 장거리 승객의 편의를 위해 알룩스 휠이 달린 좌석버스 3대를 투입 중이었는데, 그 중 1대가 2018년 9월에 동구4번으로 이동했다가 2019년 4월 20일 동구7번으로 이동하였고[21] 나머지 2대도 518-1번으로 이동하였다.
  • 과거 광남자동차는 이 노선의 일부 차량들을 팔공2번으로 차출했다가[22] 2015년 노선 개편으로 518번에서 철수하고 차량의 대부분을 급행6번으로 이동, 좌석형으로 개조시켰다.
  • 2016년 12월 6일부터 달구벌버스가 블루시티를 투입했다. 이는 세진교통에 이어 대구에서 2번째다. 그리고 2016년 12월 20일부터 달구벌버스에서 518번에 블루시티를 1대 더 투입했다. 그러나 달구벌버스도 블루시티에 불만족한 모양인지 더 이상 늘어나지 않고 있으며, 2대 중 1대를 2018년 11월 중순 156번에 투입되다 입석형 신차와 노선을 맞바꾸었다. 2019년 4월 20일 블루시티들은 각각 동구4번동구7번으로 이동하였다.
  • 현재 저상버스신흥버스에서 503번 출신의 ZF 에코라이프 저상버스 1대, 달구벌버스에서 2017년 2월에 출고한 ZF 에코라이프 저상버스 3대가 투입 중이며 2018년 4월에 저상버스를 2대 출고하여 2011년식 입석 차량 2대를 동구4번으로 이동했다.
  • 권역별에 따른 번호부여였지만, 공교롭게도 노선 번호가 광주광역시에 있었던 5.18 민주화운동을 연상케 한다. 그래서 달-빛(달구벌-빛고을) 동맹으로 지자체 간 교류를 하고 있는 대구에서 '우리 시에서 518번 버스가 다니니, 광주에서도 2.28 학생민주의거를 기념하는 228번 버스가 다녔으면 좋겠다'는 제안을 했고, 광주에서는 이 제안을 받아들여 현재 지원151번이 228번으로 변경되어 운행 중이다. 다만 증차가 제한적인 현재의 준공영제 체제에서 완전한 신규노선이 아닌 광주의 419번처럼 기존 노선에서 번호만 변경되었다. 그런데 광주에 419, 518번 버스가 있는 것과는 달리 정작 대구에는 228번 버스가 없다. 사실 광주에는 원래부터 노선번호 규칙을 따르지 않는 특별번호가 이미 있어서 그 선례를 따라 419와 228을 만들어냈는데, 대구는 딱히 그렇지 않으니 임의로 노선번호를 바꾸거나 기존 노선을 조정해서 규칙에 맞는 228번을 만들어낼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 대구 최초 뉴 슈퍼 에어로시티 일반버스에 자동변속기를 적용한 차량이 투입되는 노선이며, 달구벌버스에서 4년만에 도입한 앨리슨 자동변속기 차량이다. 또한 중문 뒤 시트 배열은 대구 업체에서 주로 적용하는 2+2+2 배열이 아닌 타 지역 업체에서 주로 적용하는 2+2+1 배열로 나왔다.
  • 달구벌버스 기사 교대는 반야월역(3번출구) 정류소 앞에서, 신흥버스 기사 교대는 신흥버스 차고지에서 실시한다.
  • 노선을 분할했지만 두 노선 모두 배차간격이 늘어나 그다지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수요 또한 518이 대부분 가축수송을 하고 있을 때 518-1은 대부분 공기수송을 하고 있다. 분할한 518도 평가가 좋지 않은데, 대구시의 518 분할 의도는 근로여건 개선이라고 하지만 518-1번으로 5대를 빼버리면서 배차간격이 평일기준 14분에서 16분으로 오히려 늘어나 차내 혼잡도가 더더욱 증가하였다. 또한 혁신도시→시내 간 이동은 가능하지만 시내→혁신도시 간 이동은 안심역에서 종착하기 때문에 갈 수 없다.[23] 결론은 대구시가 장대노선이라는 이유만으로 멀쩡한 노선을 분할한 결과의 후폭풍이 온 셈이다. 2020년 현재 동서리 회차지는 근처 횟집 주차장으로 쓰이고 있다.
  • 안심역 도착 이후 신일여객 차고지에서 회차 후 숙천동을 거쳐 신흥버스 방면으로 운행한다.

4.1. 일평균 승차량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518번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12,342명
11,851명
15,408명
14,385명
14,282명
11,973명

5. 연계 철도역



6. 관련 문서


[1] 도착[2] 출발[3] 토요일, 방학 16대 / 공휴일 15대 운행[4] 정류소 이름은 세원정공[5] 228번으로 노선 번호 변경 이전에는 지원151번이였다[6] 12번 일반버스의 좌석버스 버전이었다. 12번은 1998년 5월 5일에서 2015년 7월 31일까지는 106번이었으며, 현재는 305번과 통합한 306번이다.[7] 현재 성당래미안 e편한세상[8] 구, 대성사네거리[9] 본리네거리에 차고지가 있었는데, 경신교통서구 중리동으로 차고지를 옮긴 후 재개발로 이 곳에서 차고지의 흔적이 완전히 사라졌다. 덕인초등학교 정류장과 본리네거리 사이에 있는 유림노르웨이숲 아파트 자리다.[10] 현재의 솔렌스힐 아파트[11] 성서산단 방면으로는 대구전자공고에 정차하지 않는데, 차로 변경에는 거리상으로 충분해 보이지만 교통량이 매우 혼잡한 지역이라 좌회전이 불가능해서 장기초록나라에 정차한 이후 곧바로 1차로에 진입하도록 한 듯하다.[12] 2006년 개편 때 730번과 730-1번, 814번과 814-1번이 통합된 이후 최초로 생기는 비 순환노선 번호이다. 518번 달구벌버스 배차분 5대를 감차하여 운행한다.[13] 반야월삼거리 - 망우공원 노선 중 북구3번, 708번, 849(-1)번이 방촌맨션 미경유로 내려오며, 156번처럼 용계역 옆길의 파출소 쪽을 통해 내려온다.[14] 왕복은 518번만 한다. 시외버스들은 주로 서부정류장에서 나갈 때 남대구IC를, 서부정류장으로 들어올 때 용산네거리를 거친다. 그래서 용산역에 중간 하차장이 있다.[15] 청구중고교(성조아파트, 청구삼거리) 왕복 정차 노선은 518번, 724번 겨우 2개뿐이다. 시내방면은 805번도 정차한다.[16] 2018년 3월 31일 이후 동문중고교 수요는 651번으로 꽤 분산되었다. 해당 문서 참고.[17] 대구중앙중, 대구중앙고, 청구중, 청구고, 동부중, 동원중, 동문고[16][18] 849(-1)번북구3번은 굴곡 및 배차간격 문제가 있어서 인기가 많지 않다.[19] 하양청구 1, 2단지 952세대, 하양코아루 1~3단지 967세대는 808번(금호행)과 809번이 있지만, 808번 금호행은 배차간격이 20분 이상이고, 809번은 환상리를 거쳐 영남대로 간다.[20] 증차하려니 경산시의 반발이 있다는 민원 답변을 보이고 있지만, 8번 권역의 북경산은 그나마 경산버스에 비해 마찰이 적은 코리아와이드 대화가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진짜인지는 모른다. 사실 달구벌이나 신흥이나 더이상 빼올 차량이 없는 것도 이유 중 하나이긴 하다. 운수업체간 복잡한 이해관계도 고려해야 하고.[21] 518번의 앨리슨 SE 저상버스 투입으로 202번으로 보내졌다가, 202번이 폐선되면서 다시 518번으로 돌아왔다가 차량 상태가 영 좋지 않아 동구4번으로 이동하였다. 해당 차량들은 급행노선의 좌석차량과 달리 중문앞이 2x1이며 9열이다.[22] 해당 차량들은 상용차량임에도 예비차용 행선판이 달려 있다.[23] 이는 수도권, 부산의 기점출발 순환운행이 아닌 기종점별 출발 편도운행이기 때문이다. 물론 대구에도 518-1, 980, 동구2, 북구2, 칠곡4 등이 순환운행을 하고 있다.[24] 안심 방향은 강변동서마을 정류소 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