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3012

 



[image]
[image]
동성교통 차량.
남성교통 시절 임시로 운행했던 차량.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3012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
서울특별시 송파구 장지동(복정역환승센터)
종점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성촌공원·포르쉐센터용산)
종점

첫차
04:00
기점

첫차
05:30
막차
22:30
막차
00:00
평일배차
10~20분
주말배차
10~20분
운수사명
남성버스, 동성교통, 한서교통
인가대수
31대(예비 3대)[1][2]
노선
복정역환승센터 - 창곡교차로 - 래미안위례·위례고운초등학교 - 위례자연앤센트럴자이 - 송파한라비발디·송례초중 - 위례포레샤인·위례31단지후문 - 장지역·가든파이브 - 가락시장역 - 석촌역 - 석촌고분역·올림픽병원 - 삼전역 - 학여울역 - 대치역 - 도곡역 - 매봉역 - 양재역 - 뱅뱅사거리 - 서울남부터미널 - 교대역 - 고속터미널- 신반포역 - 구반포역 - 동작대교 - (→ 서빙고역 →) - 서빙고신동아아파트 → 이촌동한가람아파트·이촌역강변북로 → 성촌공원·포르쉐센터용산 → 이촌2동주민센터 → 이촌2동강변아파트 → 이촌동한강맨션·이촌역 → 서빙고신동아아파트 → 이후 역순

2. 개요


남성버스, 동성교통, 한서교통에서 공동 배차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61.54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2007년 2월 12일에 서울 버스 9412번과 통합되며 폐선된 舊 4423번의 단독 구간을 대체하기 위하여 신설된 3423번 지선버스가 전신이다. 관련 공지사항 이 때는 고속터미널까지만 갔으며, 종합운동장에 들렀다가 갔다. 한 편 같은 시기에 동성교통 4420번이 폐선되면서 동성교통이 공동배차에 참여하게 된다.
  • 2007년 6월 12일에 잠실종합운동장, 삼성역, 은마쌍용아파트로 가지 않고 남부순환로를 따라 쭉 가도록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3년 3월 19일에 동부이촌동까지 연장되었고, 권역에 따라 번호도 3012번으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또한 한서교통이 3416번 공동배차를 철수하고 이 노선 공동배차에 참여하게 되었다. 기존 서초2동 구간을 경복아파트사거리 경유로 변경하는 방안도 있었지만, 노선조정 시행 전 보류되었다. 기존 구간에 3호선이 다니고, '남부터미널 - 매봉터널' 구간은 641번, 4319번이 있으며, '법조단지 - 고속터미널' 구간은 서초10번이, 서울교대 인근은 서초03번으로 대체할 수 있는 등 대체 노선이 많지만, '서울교대 - 남부터미널' 구간은 지하철이나 광역버스를 제외하면 대체수단이 없어 이 구간을 버스로 이용하면 몇 번씩 환승해야 하는 문제가 생기기에 노선 변경은 보류된 것으로 보인다.
  • 2013년 11월 22일에 서부이촌동까지 연장되었다. 관련 공문
  • 2014년 1월 10일에 복정역 대신 위례신도시 경유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문
  • 2017년 9월 16일 첫차부터 경로내에 있으나 무정차통과중인 창곡사거리(양방향), 자연앤샌트럴자이(이촌동 방면), 한화오벨리스크(차고지 방면) 정류장에 정차한다. 공문
  • 2018년 3월 16일 462번 단축에 따른 감차분 중 2대가 이 노선으로 이동했다.
  • 2018년 5월 후반부터 위례31단지 후문 정류장이 신설되어 추가로 정차하게 된다. 관련 공문

  • 2021년 2월 3일부터 송파공영차고지 앞 도로개량공사로 인해 기점이 복정역 환승센터로 변경되었다.

4. 특징


  • 정규 차량은 일반버스 6대, 저상버스 24대를 투입하여 운행한다. 남성버스는 14대 중 8대가 저상버스이며, 동성교통은 전 차량 저상버스이며, 한서교통도 전 차량 저상버스이다.[3]
  • 1143번과 더불어 3개 업체가 공동 배차에 참여 중인 노선이다. 단독은 아니지만 가장 많은 회사가 참여하는 노선이기도 하다.[4]
  • 지선버스 주제에, 위례신도시를 지나는 버스 중 유일하게 한강을 건너는(...) 노선이었다. 그러나 9200번이 개통되면서 유일이라는 타이틀은 깨지게 되었다.[5] 그리고 위례신도시를 지나는 서울 면허 버스 중 유일하게 대성운수가 운행하지 않는다.
  • 고속터미널 - 학여울역 구간은 서울 지하철 3호선과 대부분이 중복된다. 남부터미널에서 양재역 구간이 3호선보다 한 블럭 북쪽의 효령로뱅뱅사거리를 경유한다는 점 정도가 예외. 그런데 3호선과 겹치는 것 치고는 의외로 강남 구간의 승객이 많다. 왜냐하면, 학여울역에서 탄천 건너 삼전역(삼전사거리) 구간을 운행하는 버스는 이 노선 하나뿐이기 때문이다. 3호선의 중복으로 다른 버스는 거의 다니지 않는 구간을 유일하게 운행하는 버스로 서초구에서 송파구로 갈 때 서울 지하철 2호선이나 테헤란로를 거치지 않고 곧장 갈 수 있다. 따라서 도곡동 · 양재동에서 온 승객들은 대부분 삼전동 부근에서 하차한다. 이 때문에 이 노선이 신설되기 전까지는 저 구간은 그야말로 사각지대였다.
  • 동부이촌동에서는 149번[6]의 서초구간 단축 이후로 버스로 강남 이동하기가 불편해졌는데, 이 노선의 등장으로 한결 편해졌다고.
  • 2013년 11월 22일부터 용산국제업무지구 후속 대책의 일환으로 서부이촌동까지 노선이 연장되었다. 그리고 2014년 1월 10일 위례신도시 입주자의 교통편의를 위해 복정역 경유가 위례신도시 경유로 변경되었다.
  • 배차간격이 2015년 초까지만 해도 20분 정도의 긴 배차간격을 보여주었다. 근데 최근들어 차량 증차로 인해 10분 안팎에 적당한 배차간격을 보여주고 있으나, 여전한게 퇴근시간이나 주말에는 차가 막혀서 배차간격이 20분을 넘어갈 때도 많다. 잠실쪽에서는 20분을 기다려도 차가 안오더니 장지역 들어서는 3대가 붙어서 오는 경우도 있다고.
  • 용산 전자상가국제전자센터가 동시에 연계되는 유일한 대중교통 노선이기도 하다. 전자의 경우 회차점인 포르쉐 용산서비스센터 앞에서 보행하면 되며, 후자는 동명의 정류소가 존재한다.
  • 전형적인 부촌인 동부이촌동을 학생 하교시간대에 경유할때 학생들이 강남방면으로 매우 많이 타는데, 이는 반포동, 대치동 쪽 학원을 가려는 의도다. 옥수역 경유 전철노선은 공포의 ㄹ자 우회[7]를 동반하기 때문이다. 다만, 경의중앙선의 그 긴 배차간격을 무사히 맞췄을 경우 소요시간 차이는 거의 없기 때문에 어느 한 쪽이 완벽한 대체를 하지 못하고 경쟁관계를 맺는다. 거기에 동부이촌동의 경우 동네에 비해 학군이 내가 고자라니를 외치는 곳인데, 그나마 가까운 명문고가 강 건너에 있는 세화고등학교세화여자고등학교고 이 두 지역을 잇는 노선은 이 노선밖에 없다. 자연스럽게 가축수송으로 흘러갈 수밖에 없는 구조.
  • 이전까지는 502번동작대교를 지나는 유일한 시내버스였으나, 2013년 3월 19일에 노선 연장을 하면서 동작대교 경유 버스가 추가되었다.
  • 동성교통에 노선번호와 차량번호가 동일한 차량이 이 노선에 존재했다. 차량은 302번 출신 2006년식 BS110CN. 그러나 대차되면서 다시 302번으로 복귀했다.
  • 462번 단축에 따라 넘어온 차량인 2007년식 2대는 재도색하지 않고 간선도색 그대로 이 노선에서 운행 중이었다가[8] 2018년 9월 초 뉴슈퍼에어로시티 개선형 차량으로 대차되었다.
  • 한서교통만 해당되는 것으로 소속 간선버스인 350번보다 무려 10km 더 길다.
  • 서울특별시 지선버스고속화도로강변북로를 경유하는 버스다. 나머지 둘은 7013번7016번.[9]

4.1.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3012번
<rowcolor=#ffffff>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10,104명
-
2014년
13,950명
△ 3,846
2015년
14,188명
△ 238
2016년
14,963명
△ 775
2017년
15,496명
△ 533
2018년
15,619명
△ 123
2019년
15,645명
△ 26
2020년
12,269명
▽ 3,376
※ 하차 인원 미포함
  • 2014년 위례신도시 연장으로 승객이 3000명 증가하였다.

4.2. 노선


[image]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3012번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이촌2동대림아파트.새남터성지
03293



이촌2동주민센터
03291


이촌2동강변아파트
03295


'''종점'''

'''성촌공원.포르쉐센터용산
03289'''
이상 회차 구간
이촌동동부센트레빌
03214




이촌동두산위브트레지움.한강대우아파트
03215
이촌1동충신교회앞
03216




-

이촌동한강맨션.이촌역
23218




이촌동한가람아파트.이촌역
03217
신용산초등학교
03220




신용산초등학교
03219
이촌동점보아파트
03222




이촌동강촌아파트
03221
금강병원.반도아파트
03224




이촌동현대아파트
03223
서빙고신동아아파트
03226




서빙고신동아아파트
03225
-





서빙고역1번출구
03325
동작대교전망카페
23396




동작대교전망카페
22397
구반포역.세화고등학교
22024




구반포역.세화고등학교
22023
신반포역.세화여중고
22022




신반포역.세화여중고
22021
고속터미널
22020




고속터미널
22019
반포미도아파트앞
22218




삼호가든사거리.반포도서관
22199
-





삼호가든3차아파트
22197
법조단지
22133




법조단지
22171
지하철3호선교대역
22161




지하철3호선교대역
22101
서울교대사거리
22158




서울교대사거리
22102
국제전자센터
22368




국제전자센터
22376
서일초등학교
22113




서일초등학교
22112
서초동무지개아파트
22128




서초동무지개아파트
22127
뱅뱅사거리
22126




뱅뱅사거리
22125
서초문화예술정보학교
22132




뱅뱅사거리.구영동중학교
23319
양재역.양재1동민원분소
22270




양재역말죽거리.강남베드로병원
23318
매봉역
23323




매봉역양재최의원
23317
도곡개포한신아파트
23324




매봉삼성아파트SK리더스뷰
23316
군인공제회관
23327




숙명여고
23329
도곡역
23328




도곡역
23219
대치동우성아파트
23229




래미안.대치.팰리스
23227
대치역8번출구
23230




대치역1번출구
23226
대치동미도아파트
23238




은마아파트
23237
학여울역
23501




학여울역
23500
코원에너지서비스
23520




코원에너지서비스
23521
삼전역.잠실현대아파트
24173




삼전역.잠실현대아파트
24438
삼전역
24166




삼전역
24167
송파구민회관구의회
24169




송파구민회관구의회
24168
석촌고분역.올림픽병원
24179




석촌고분역.올림픽병원
24178
석촌동한솔아파트
24181




석촌동한솔아파트앞
24180
-





석촌역
24005
송파역
24008




송파역
24007
가락시장.가락시장역
24010




가락시장.가락시장역
24009
문정로데오거리입구
24012




문정로데오거리입구
24011
문정법조단지.건영아파트
24014




문정법조단지.건영아파트
24013
장지역.가든파이브
24016




장지역2번출구
24442
위례31단지.위례포레샤인후문
24440




위례포레샤인.위례31단지후문
24439
송파꿈에그린서문.위례포레샤인
24654




위례포레샤인.송파꿈에그린서문
24653
송파한라비발디.송례중앞
24494




송파한라비발디.송례초앞
24493
송파꿈에그린아파트
24495




위례아이파크아파트앞
24492
자연앤센트럴자이정문
48376




한화오벨리스크
48372
위례아트리버푸르지오
48629




위례보미리즌빌.위례아트리버푸르지오
28630
래미안위례.위례고운초등학교앞
48641




래미안위례.위례고운초등학교앞
48640
국방전직교육원.밀리토피아시티
48686




위례자연앤래미안e편한세상.위례힐스테이트
48685
창곡교차로
48389




창곡교차로
48388
안골.복정고등학교앞
48618




안골.복정고등학교
48617
복정삼거리
48616




복정삼거리
48615
'''송파공영차고지 · 송파공영차고지
24656 · 48615'''



5. 연계 철도역


==# 둘러보기 #==



[1] 남성버스 14대(예비 1대), 동성교통 11대(예비 1대), 한서교통 6대(예비 1대)[2] 토요일 26대, 공휴일 24대 운행[3] 2020년 9월부로 한서교통 일반차량 1대가 코로나 사태에 대비하려고 비상대기차량으로 빠졌다.[4] 과거에는 2312번북부운수, 대원여객, 서울승합, 메트로버스 4개 회사가 공동배차한 적도 있지만 2017년 8월 18일 부로 메트로버스가 철수했고, 이후 서울승합도 철수해서 2개 업체가 운행중이다. 다만 최강은 2312번을 넘었던 8663번으로, 이건 6개 회사 공배.[5] 9200번은 경기 면허 버스라 서울 면허 버스로 한정하면 아직 유일하다.[6]100번[7] 지도를 보면 옥수역 환승을 통한 이촌, 서빙고역 ~ 도곡, 대치역의 모양이 진짜로 ㄹ자다...[8] 예전에 775번에 있던 5305호 저상도 지선도색 그대로 다니다 대차된 적이 있다. 어차피 해당 저상은 당시 예비차였으니... 그런데 775번이 수요 급감으로 망했어요가 된 후에는 7734번으로 이동했다. [9] 간선버스 중에서는 262번이 있다.[10] 국제전자센터 하차[11] 이촌동 방향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