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틀 버스터즈!(애니메이션 1기)
[clearfix]
1. 개요
Key의 게임 리틀 버스터즈!의 애니메이션. 원작의 1부 내용을 다루고 있다. J.C.STAFF 제작. 2012년 10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방영되어 총 26화로 완결되었다.
제작 발표가 나기 전까지, 팬들 사이에서는 AIR, Kanon, CLANNAD 등 Key의 게임들을 명작 애니로 제작한 교토 애니메이션에서 애니화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었다.[1]
CLANNAD 애니메이션도 종영되기 직전, 번외편이 방영되는 날에 성우 타미야스 토모에의 블로그에 중대 발표가 있을 예정이라는 말이 올라와 많은 사람들이 드디어 '리틀 버스터즈도 애니화 되는건가!!' 하면서 특보를 기다렸다. 그러나 토모에의 중대발표가 '''라디오 방송 출연'''이라는 것이 밝혀져 엄청난 월척을 낚아버렸다(...).
그리고 세월이 한참 흐르며(…) 뇌리에서 잊혀지다가 2년 뒤인 2012년 3월 25일, '''전격문고의 웹 라디오에서 애니화가 결정됐다고 [2][3] 발표했다.''' 리틀 버스터즈가 처음 나오고 '''5년'''이나 흘렀다! 당연히 리틀 버스터즈 팬들은 열광했다.
하지만 제작사가 교토 애니메이션이 아닌 '''J.C.STAFF'''라는 사실이 공개되자 대부분의 팬들이 실망하였다. 게다가 그 동안 Key 작품을 애니화하던 교토 애니메이션이 같은 분기에 중2병이라도 사랑이 하고 싶어!를 제작하게 되었고,[4] 그로 인해 심지어 비주얼 아츠 사장의 트위터에 대놓고 "왜 제작사가 교토가 아니냐?"라고 따진 사람도 있었다고 한다(…).# 방영 예정일은 10월로 정해졌다.
이 때문에 쿄애니가 Key를 배신했다는 등 논란이 많았는데, 아무래도 2010년대부터 쿄애니가 KA에스마 문고 작품 등을 통해 애니메이션을 자체적으로 제작하려는 모습을 보이면서 특정 브랜드의 작품을 전담해서 애니화하는 방침이 폐기된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즉 '''이제 더 이상 Key 게임을 애니화할 일은 없다'''는 얘기다. 그렇게 2015년 3분기에 방영된 Key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Charlotte 또한 P.A.WORKS에서 제작되었으며, 2016년 3분기 방영된 Rewrite 역시 8-Bit에서 제작하였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원작의 시나리오 라이터 중 토노카와 유우토가 각본 작업에 깊게 관여하였다. 뉴타입 10월호 부록에 따르면 감수 및 일부 오리지널 장면, 특히 주로 개그 등에 참여했다고 한다. 이 때문인지는 몰라도 토노카와가 집필했던 카미키타 코마리 루트와 쿠루가야 유이코 루트는 원작에 비해서 많은 부분이 보강되었다.[5]
제작 스폰서에 워너브라더스 일본지부가 참여한다.
2. PV
3. 주제가
- 오프닝: Little Busters! ~TV animation ver.~ (Rita)
- 엔딩: Alicemagic ~TV animation ver.~ (Rita)
- 6화, 18화 - Alicemagic (원작 버전) (Rita)
- 14화, 23화 - 비 온 뒤 맑음(雨のち晴れ)[6] (Rita)
- 26화 - Little Busters! ~TV animation ver.~[7]
4. 회차 목록
각 에피소드 별 비고 및 루트는 다음과 같다.
- 2화: 카미키타 코마리 합류
- 3화: 쿠루가야 유이코 합류
- 4~6화: 카미키타 코마리 루트
- 7화: 사이구사 하루카 합류
- 8화: 노우미 쿠드랴프카 합류
- 10화: 니시조노 미오 합류
- 12~14화: 니시조노 미오 루트
- 15화: OP 일부 변경
- 16~18화: 사이구사 하루카 루트
- 21~23화: 노우미 쿠드랴프카 루트[18]
- 24화: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에피소드
- 25화: 미야자와 켄고 합류
5. 평가
애니메이션에 대한 원작팬들의 반응은 대체로 호평. 제작사가 J.C.STAFF라고 발표되었을 당시에는 많은 사람들이 실망하였으나,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퀄리티가 상당히 좋아서 좋은 평을 받고 있다.
교토 애니메이션의 AIR, Kanon, CLANNAD에 비해 원작에 없던 장면들이 많은 편이고 시간 순서가 바뀐 것도 많지만, 토노카와가 깊게 참여했기 때문인지 대체로 위화감 없이 잘 녹아들어있다. 원작이 주인공인 리키 중심으로 흘러갔던 반면 애니에서는 리틀 버스터즈의 다른 멤버들의 비중을 늘려 작품의 주제인 ''''우정''''을 더욱 강조하고 있으며, 특히 리키의 성장 묘사에 비해 부족했던 린의 성장 묘사에도 비중을 많이 할애하고 있다.
작화 면에서는 쿄애니와 달리 히노우에 이타루 특유의 그림체가 사라지고, 작화가 전반적으로 원작보다 부드러워졌다. 굳이 따지자면 Na-Ga의 그림체에 가깝다. 이 부분은 호불호가 갈리는데, 일반인이 접하기에는 케릭터들이 전반적으로 좀 더 미학적으로 개선된 점이 플러스인 반면 기존 쿄애니에서 제작한 Key 작품들에 익숙해진 사람들에겐 원작의 느낌이 일부 퇴색되어 아쉬어하는 사람도 있다.
한 히로인 루트가 끝날 때마다 원작대로 히로인별로 정해진 엔딩곡인 Alicemagic[19] , 雨のち晴れ를 삽입해준다거나, 애니의 진행 상황에 맞게 오프닝 영상을 적절히 바꾸는 등 의외로 세세한 요소까지 신경을 쓰는 세심함도 보여준다. 15화부터 오프닝 영상이 약간 바뀌어 리틀 버스터즈 멤버 전원이 함께 있는 모습이 등장하며, 코마리와 미오 루트에 관한 장면이 사라지고 쿠드와 하루카 루트에 관한 장면이 추가되었다. 또한 미오는 더 이상 양산을 쓰지 않는다.
나오에 리키, 니시조노 미오, 사사세가와 사사미 등의 주요 캐릭터들을 포함한 다수의 캐릭터들의 성우가 변경된 것도 특징이다.[20] 변경된 성우들의 연기에 대해서는 대체로 평가가 좋지만 오히려 기존 성우가 그대로 배정된 노우미 쿠드랴프카, 후타키 카나타 등의 목소리 연기가 달라진 것이 일부 팬들의 불만을 샀다.
원작 게임을 모르는 사람 중에는 초반부만 보거나 대강의 정보만 접하고 '''야구 애니메이션'''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감독의 딸이 원작 게임의 열렬한 팬'''이라고 하며 이 때문에라도 최선을 다해 만들 수 밖에 없다고 한다.
1기의 BD/DVD 1권 판매량이 13년 2월 12일 기준 11609장이 넘어갔다. 그러나 원작의 명성을 감안하면 생각보다는 적은 판매량이라는 의견도 존재한다. 담당 프로듀서도 판매량이 기대에 못 미쳤는지 '좀 더 많이 사달라'는 언급을 한 바 있다.#
1기 방영 초기에 이 분량으로 게임 전체를 다 표현할 수 있느냐는 의문에 PD가 "제대로 전부 다룰 생각이다. 26화 마지막까지 보면 알게 된다. 26화 마지막에 메시지를 남겨놓았다."라는 식의 답변을 남겼으며, 토키도 사야 루트도 다룰 것이란 암시도 남겼다.#
6. 기타
블루레이 박스도 출시되었다.
[1] Kanon DVD 7권 오디오 코멘터리에서 Key측에서 "리틀 버스터즈도 교토 애니메이션에서 맡아주길 바란다"라는 언급을 한 적도 있다.[2] 원래는 Key가 2012년 만우절에 공개할 예정이였던 걸로 보인다. 망했어요. 이후 관련 자료들이 6일가량 비공개 처리됐다. 실제 전격문고 방송에서는 다음달 사과문을 발표, 방송에 출연중이던 부편집장 미키 카즈마는 직접 사장과 통화를 해 계속 사과를 했고, 사장은 호탕하게 웃으며 넘겼다. 실제론 상당히 큰일인 듯.[3] 이게 얼마냐 큰일이냐면 회사 간에 계약이 무너질 뿐만 아니라 해당 주모자(주동자)는 사표 쓸 각오를 해야할 정도에 대참사이다. 그도 그럴게 리틀 버스터즈가 대작 이라 망정이지 깜짝쇼가 다 물거품 돼버린 것으로, 마케팅 면에서 상당한 참패... 마케팅과 판매량이 밀접한 관계가 있는 애니메이션계 특성상 큰 낭패를 볼 수도 있었다.[4] 정말 여담이지만 해당 작품의 주연을 맡은 성우는 훗날 Key의 능력자 애니메이션의 인기 아이돌 성우를 맡게 된다...[5] 카미키타 코마리는 1기 1화부터 2기 6화까지 모든 에피소드에 출연했으며 1기 24화에 오리지널 에피소드 삽입. 쿠루가야 유이코는 일상에서의 모습, 어린 시절 이야기가 원작에 비해 강조되는 등.[6] 23화의 경우 5:36짜리 원곡이 편집없이 통째로 다 나온다.[7] 4:35짜리 원곡이 편집없이 통째로 다 나온다.[8] 국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9] 연출가 시마즈 히로유키(島津裕行)의 다른 명의.[10] 직역하면 '자, 나는 누구일까요?'[11] 직역하면 '레츠 루킹 포 룸메이트예요.'[12] 일본의 시인 와카야마 보쿠스이의 단가의 한 구절. 직역하면 '하늘의 파랑 바다의 파랑'[13] 직역하면 '호러 NAP RYANG 대회'.[14] 직역하면 '반드시, 계속, 힘낼 거예요'[15] 직역하면 '50노티컬마일의 하늘'[16] 직역하면 '저, 반드시 돌아올게요'[17] BD/DVD 초회한정판 전권구입특전.[18] 본격적인 쿠드 루트는 21화부터지만 19화도 일단 원작의 쿠드 루트에 해당하는 에피소드이다.[19] TV 애니메이션 엔딩곡으로 따로 편곡된 버전이 아니라 원곡 그대로.[20] 리키와 사사미의 성우 변경은 당연하다면 당연한 게, 원작대로라면 주인공과 메인 히로인, 그리고 서브 히로인의 1인 3역이라는 사태가 벌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