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일기/애니메이션
[clearfix]
1. 개요
에스노 사카에의 만화 미래일기를 원작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먼저 1권 내용의 일부를 다루는 파일럿 애니메이션이 나왔으며, 후에 TV 애니메이션 제작이 정식으로 발표되어 2011년 10월부터 2쿨 분량으로 방영 및 이듬해 4월에 종영했다. 감독은 SHUFFLE!의 감독이었던 호소다 나오토이며, 캐릭터 디자인은 히라야마 히데츠구, 제작사는 아스리드다. 드물게도 '''원작이 먼저 완결을 낸 후 애니화가 된 케이스다.'''[1]
참고로 니코니코 동화가 공식적으로 스폰서에 들어가 있는 것도 있어서 방송국보다 니코니코 쪽이 먼저이므로 시청에 유의. '''물론 대한민국 IP는 막는다.'''
성우진들 대부분이 프로덕션 에이스 소속 신인 성우들[2] 이거나 과거 교토 애니메이션제 애니들에 출연한 경력이 있는 성우들이다.[3]
한국 애니플러스에서도 19세 이상 시청가로 방영 및 서비스한다. 첫 방영 후 장장 8년이라는 긴 시간동안 서비스를 이어오다가 2019년 4월 10일 부로 판권이 만료되었다. 2019년 7월 1일부터 국내 넷플릭스에서 공개하고 있다.
2013년 7월 미래일기 리다이얼 코믹스에 미래일기 리다이얼 OAD가 수록되었다.#
미국 방영은 퍼니메이션이 맡았고, 자체 더빙으로 방영되었다.
2. 특징
애니메이션화를 선언하면서 현 TVA의 1,2화를 압축한 8분 52초 분량의 파일럿 OAD가 코믹스 11권 한정판 부록으로 2010년 12월 9일[4] 선공개되었다. TVA를 접한 시점에서 보게 되면 많은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 일기의 소유자에 대한 복선이 드러나있지 않다.
- 데우스 엑스 마키나는 음성변조로 처리.
- 테마곡을 요정제국이 불렀다. ('The Creator', 참고로 TVA 오프닝 주제가 싱글 B사이드로 실려있다. )
- 작화, 연기 톤 등이 다르다.
방영 초기에는 원작의 기세와 네임밸류에 비하면 반응이 좋지 않았다. 동분기의 경쟁작도 많고 성우진도 별로 인지도가 높지 않았기 때문. 그나마 유명 성우들은 대부분 엑스트라역이었고 주역들(아마노 유키테루, 가사이 유노, 우류 미네네)의 성우는 당시 완전 무명이었다. 그럼에도 워낙 원작의 인지도가 높고 내용 전개가 신선해서인지 나름대로 이목을 끌고 열렬한 주목 속에서 방영을 마쳤다.
최종화는 원작의 마지막 파트에서 몇페이지 뺀 부분까지 방영되었다. 이 결말 방식에 팬들의 호불호가 갈리고 있다. 최종화 마지막 부분에서 NEXT 프로젝트를 예고하고 있는데, 이것이 미래일기 리다이얼 OVA화로 밝혀졌다.
이 OVA는 미래일기 리다이얼 코믹스에 동봉되어 발매되었으며, 니코니코 동화에서 선행방송되었다. 3주차 세계의 유노와 미래일기 엔딩 부분 관련 에피소드를 담고 있다. 본편이 3주차 세계의 유노가 오는 장면을 분량 문제로 메일 하나로 떼워버려서 해피 엔딩처럼 보이지 않기에 '''사실상 진짜 최종화(27화)나 다름없고''' 실제로도 추천할 때 리다이얼까지 봐야 한다는 코멘트가 붙여진다. 국내 수입사인 애니플러스에서는 이 OVA를 가져오지 않았기에 오랜 기간 진엔딩을 보지 못했지만, 넷플릭스에서 서비스하면서 OVA까지 개방하여 국내에서도 정식으로 볼 수 있게 되었다.
3. 등장인물
4. 주제가
미래일기 전기 오프닝.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고.
'''그 유명한 황홀의 얀데레 포즈[5] 로 유명세를 탄 곡으로,''' 주인공 페어 외의 일기 소유자들의 과거, 혹은 참가 이유를 중점으로 다룬 엔딩영상. 오프닝보단 덜해도 나름 강도높은 스포일러들이 있다. 참가자들의 과거는 3rd부터 12th까지 순서대로 나오는데, 만들다 실수한 것인지 9th와 10th만 서로 순서가 바뀌어 나온다.또 영상중 6th가 사라지는 장면에서 6th가 사라져도 리본이 그대로였지만 6화 이후부터 6th가 사라지자 리본이 땅에 떨어지도록 수정되었다.
정지화상이 대부분이고 인물만 배경에서 지우는 형태로 진행되다보니 MAD로 따라만들기 쉬운 편이라 타 작품과 크로스한 패러디들이 니코동에 유난히 많이 올라오기도 했다. 니코동에서 '未来日記EDパロ'라고 검색하면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서로의 영상/음악을 바꿔 배치하는 경우 동시기에 방영된 페이트 제로의 엔딩 영상과의 싱크로가 상당하다! # 니코동 영상은 로그인 필요.
도입부 부분 중 'Power to overwhelm and destroy' 부분은 엑스플로이테이션 영화감독 잭 힐의 영화 '몬도 키홀'의 극중 대사 샘플링이다.[6]
미래일기 후기 오프닝.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고.
어린 유노가 주가 되는 엔딩. 저번 엔딩은 주인공 페어 외 다른 일기 소유자들을 중점으로 다뤘다면, 이쪽은 영상부터 시작해서 노래 가사까지 전부 유노를 다룬 엔딩... 이라고 알고 있는 사람이 많으나 사실 노래 가사는 아키세 아루의 심리를 다룬 가사다. 인터넷 방송인 반다이 남코 라이브 tv에 요정제국이 게스트로 출연했을때 보컬, 작사를 모두 담당한 YUI가 filament는 아키세 아루의 노래라고 말했다고. 1인칭 명사만 봐도 僕(보쿠)다. 근데 어째서 아키세가 아닌 유노가 영상의 주연인지는 불명. 세계멸망이라도 되어가는 막장 환경이 인상적이다. 사막신은 돗토리를 걸어가는걸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는 듯. 역시 이 작품의 진상을 어느 정도 스포일러 하는 엔딩.
BD9권 특전으로 실린 세번째 OP. 이번 영상은 회색과 황색 을 중심으로 한듯 하다. BD특전이라 그런지 워낙에 아는 사람이 적다. 유투브 댓글에도 "3기나옴?" 이라는 반응이 대다수. 1st에서 12th까지, 기타 주조연 인물 모두가 간지나게 등장하는[7] 쌈빡한 OP. 근데 어째 등장인물들이 1st 빼고 다 엄청난 양의 피를 흘리며 죽는 씬으로 등장한다.[8] 그동안 풀버전이 공개되지 않고 있었지만, 2013년 3월 30일에 발매된 요정제국의 앨범 PAX VESANIA에 4번 트랙으로 실렸으며 OVA 미래일기 리다이얼의 DVD/BD판에서 오프닝으로 사용되었다.
BD9권 특전으로 실린 세번째 ed. 다른 엔딩들과는 다르게 평화롭고 따뜻한 분위기다. 배경이 매우 예쁘다. 2013년 3월 20일에 나온 앨범 PRISM의 7번 트랙에 풀버젼이 수록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미래일기 리다이얼에서 엔딩으로 사용되었다.
5. 회차 목록
- 에피소드 제목은 일본의 휴대폰 사용 용어에서 주로 따왔으며, 대부분 그 화의 중심 소재 또는 내용을 함축한 용어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차회 예고는 영상은 없는 대신 기동 중인 휴대폰의 부품 장면에서 차회 제목만이 효과음과 함께 표시된다.
5.1. 무루무루 선생님의 미래일기 뒷이야기
- 본편과는 별개로 진행되는 C파트. 개그 에피소드 위주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편에서는 알지 못했던 각 일기 소유자들과 주변인물들의 성격 또는 뒷사정을 풀어내기도 한다.
- TV판에서는 일부 에피소드만 방송했으나 방송되지 않은 에피소드는 BD/DVD판에서 전부 추가했다. BD/DVD판에 추가된 에피소드는 (※) 표시.
- C파트 콘티, 연출: 호소다 나오토
6. 평가
전개방식은 원작의 흐름을 그대로 재현하면서 세세하게 각색이 가해진 형식을 취하고 있다. 전개 속도에 대해서는 호불호가 갈린다. 평균 2화 당 한 권 내용을 끝내는 속도에 불만을 가지는 사람들도 있는 반면[13] , 원작부터가 권당 수록되어 있는 화수가 적어[14] 이야기 전개가 느리기에 적절하다고 하는 사람들도 존재한다.
또한, 원작이 상황을 설정함에 있어 지나치게 비현실적이거나 오류가 시도때도 없이 발생하는 등 허술한 점이 많은데, 이를 애니에서는 최대한 자연스럽게 바꿔 개연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특히 13화의 경우 콘크리트로 묻어버리는 트랩이 가스로 바뀐 것은 원작팬들에게도 오히려 칭찬을 받을 정도라고.
원작에 없던 애니만의 오리지널 장면이 몇몇 추가됐는데 대체로 가사이 유노의 반전을 암시하는 묘사들이 많다. 3rd를 죽인 후의 반응이라던가, 유키테루에게 사살당한다는 미래를 본 뒤의 반응이라던가. 그밖에는 7th 커플의 과거사, 니시지마 마스미의 상황 정리, 유노에게 납치 당한 유키를 구하기 위한 과정 추가[15] 모두 드라마의 정밀성을 보강하는 용도이다. 리다이얼은 3주차 유노가 찾아오고 무르무르에게 기억을 받았다고 하는 장면으로 끝내는 원작과 달리 3주차 세계의 이야기가 추가되고 3주차 유노에 대한 이야기가 자세하게 다뤄졌다.
작화와 연출 면에서는 호평이 많다. 원작은 작화와 컷 간 연출이 수시로 불안정하여 낮은 개연성과 함께 주요 비판거리가 되었지만, 애니에서는 캐릭터 디자인을 전부 일신하고 원작의 장면들도 대다수 새로 그리거나 구도를 보완하여 원작초월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호소다 나오토 감독의 장기인 강렬한 표정 묘사와 날카로운 음향 연출을 통한 팽팽한 긴장감 조성이 훌륭하게 발휘되면서 상황 전달력이 원작보다 더 좋아졌다. 다만 에피소드 별로 참여 스태프가 누구냐에 따라 연출과 작화 퀄리티 편차가 심하고 제작상의 트러블도 있었는지 2쿨째부터는 휴방이 잦아지고 작화 불안정이 심해졌다. 특히 20, 21화는 급전개와 뭉개지는 작화 및 연출로 큰 비판을 받았다. 25화는 훗날 소드 아트 온라인의 액션 디렉터를 담당하게 되는 타케우치 테츠야가 콘티와 작화감독을 담당하고 고토 마사미, 아베 노조무 등 액션 강세 애니메이터들이 투입되어 역동성을 극대화시켜 최고 퀄리티의 연출과 작화를 보여주었으나, 한국에서는 작화가 뭉개진다는 등 대체로 평가가 나빴다.
BGM의 평가도 좋다. 서스펜스와 평화로운 일상을 모두 포괄하는 다양한 장르 스펙트럼의 악곡들이 적재적소에 흘러 시퀀스의 분위기를 고조시키는데 톡톡한 역할을 한다.
특히 OST 두 번째 디스크의 5번째 트랙 <Here With You>가 상당한 명곡이다. 미래일기를 모르는 경우에도 이 음악은 들어본 경우가 있을 정도이다.
전반적인 평가로는 먼저 연출을 보완하여 유노의 얀데레성 및 기타 미래일기 소유자들의 캐릭터성을 더 강화하고, 원작의 어색한 장면 및 연출과 스토리 구성에 각색을 더해 자연스럽게 수정한 점이 좋게 평가되고 있다.[16] 그러나 스토리 면에서는 원작의 스토리를 그대로 애니메이션으로 옮긴 만큼 스토리 자체의 개연성은 거의 변경이 없었기에, 원작 스토리가 받는 비판과 일맥상통한다. 또한 애니화되면서 강화된 작품의 잔혹성과 전술했던 스토리의 비판 및 결말부 연출 등 여러 요소 덕에 평가가 극과 극으로 심하게 나뉘는 애니메이션이 되었다. 특히, 여주인공 가사이 유노의 캐릭터성이 연출 및 전개의 보강으로 원작보다 강화되었기 때문에, 유노에 대한 평가가 거의 그대로 애니판의 평가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원작 기반의 애니메이션이 완결까지 내지 않고 적당한 곳에서 끊어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인 걸 생각하면 완결까지 낸 점 또한 애니로써는 호평인 부분이다. 특히 동명의 작가의 후속작의 애니화가 어떤 꼴이 났는지를 생각하면 말이다.
1권 BD 초동 판매량은 2336장, 전체 평균 판매량은 '''1764장'''으로 화제에 비해 저조한 판매 성적을 보여주었다.참고 자료
[1] 원작 코믹스의 완결 호는 2011년 2월호이며, TV 애니메이션의 방영 시기는 2011년 10월이다.[2] 굳이 이 작품 뿐만 아니라 최근 카도카와 계열의 애니메이션의 성우진은 거의 다 프로덕션 에이스 소속 성우로만 도배되어있기 때문에 반감을 가지는 사람들도 엄청 많다. 그 절정은 R-15.[3] 가사이 유노와 카스가노 츠바키를 제외한 일기 소유자들은 전부 쿄애니의 애니메이션에 출연한 적이 있다. 특히 일상에 출연한 성우들이 많은 편. 1st, 3rd, 8th, 9th, 10th, 11th, 12th, 아마노 레아, 코사카 오지, 무르무르, 쿠로사키 류지, 미야시로 오린의 성우들이 그러하다. 사실 데우스 엑스 마키나와 7th도 어떻게 보면 출연했다. 우드큐브와 쌍란 역할로(...) 둘 다 네임드 성우였기에 가능했던 일.[4] 9월 9일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연기되었다.[5] 황홀의 얀데레 포즈 영상에서 흘러나오는 곡이 이것이다.[6] 영화 원작보다 작중 대사가 더 알려진 케이스, 레드얼럿 2 확장팩 BGM 'Brain Freeze' 에서도 차용되어 특히 유명해졌다.[7] 더구나 주인공씨는 신의 얼굴을 본딴 가면을 쓰고 있다가 벗는 장면이 있다[8] 10th는 작중에서도 데드신이 없어서 그랬는지 잘렸다. 그리고 4th랑 9th는 그나마 서로에게 사살됨. 유노는 초반에 아이언 메이든으로 1번(피는 나오지 않았지만)그리고 마지막에 단두대씬에서 한번 더 죽는다(...)[9] 국내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10] 의역하면 가족 요금 분납에 가깝다. 출처.[11] TV로 방송된 에피소드의 국내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12] 애니플러스의 오역. 맞게 번역하면 "히야마 타카오편"이 되어야 한다. 애니플러스의 오자를 따라 이렇게 쓴다.[총작감] [13] 이 절정이 바로 원작의 9권의 내용. 후반부 내용 전개를 위해서라지만 '''20화 단 1화로 압축해버렸다'''. 이 때문에 미네네 팬들에게는 특히 더 비판받고 있다.[14] 평균 1권당 4~5화가 수록되어 있다.[15] 분량이 꽤 되는데, 원작은 그냥 유노의 낚시 메일에 낚이는 장면으로 직행하지만 애니는 그 전에 아키세 아루가 장소를 추려내는 장면과 몇 건물에서 유노가 설치한 부비 트랩에 당할 뻔한 장면이 추가됐다.[16] 황홀의 얀데레 포즈 문서에도 나와있지만, 유노의 대명사나 마찬가지인 해당 포즈는 원작에서는 별 임팩트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