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루츠
[image]
2008년 10월에 촬영된 밥 루츠의 모습. 당시 그는 GM의 부회장으로 있었다.
'''Robert "Bob" Anthony Lutz'''
1932년 2월 12일~
1. 개요
로버트 앤서니 루츠, 줄여서 밥 루츠(Bob Lutz)는 미국의 기업인이다.[1]
2. 생애
1932년 2월 12일에 스위스 취리히에서 태어나 가족들과 함께 미국으로 이민을 간 스위스계 미국인으로,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의 경영대학원을 석사로 졸업했다가 미국 해군의 United States Marine Corps Reserve에서 제4해병비행단[2] 으로 복무한 뒤, 청소기 판매 사업을 시작으로 기업인으로의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
그는 1963년에 제너럴 모터스의 유럽 지사를 시작으로 자동차 분야에 발을 처음 들였으며, 1971년에는 BMW에 의해 스카우트되어 판매 부회장으로서 BMW 3시리즈의 개발 과정과 모터스포츠 팀에 기여했다. 그 다음인 1974년에는 포드로 넘어가 부회장을 지내면서 포드 시에라와 포드 익스플로러의 개발 과정에 참여했고, 포드 내부의 이사회 인원 중 하나로 일하기도 했다. 1986년부터는 크라이슬러로 넘어가 사실상 크라이슬러의 전성기를 이끄는 데 기여했다.[3] 크라이슬러가 벤츠와 합병하는 과정에서 1998년에 은퇴해 엑사이드 테크놀러지스(Exide Technologies)라는 납 축전지 회사로 넘어갔다.
그러다가 당시 GM의 회장이었던 릭 왜고너의 요청으로 2002년에 GM의 부회장으로 복귀했으며, 그가 있었던 8년동안 1970년대부터 재무부서에 의해 질서와 비용절감, 소위 숫자놀이가 남용되던 GM 내부, 특히 당시 GM의 꽉 막힌 풍토 때문에 경쟁력 없는 제품들만 만들어 내던 제품개발 부서의 개혁에 들어가면서, 2010년에 은퇴할 때까지 GM을 어느 정도 정상화시키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4][5] 2009년에 회사가 파산한 시점에서는 은퇴가 발표되었으나, 2010년까지 새 경영진들 및 정부 관료들과 함께 GM 내부를 정리하는 걸 돕다가 은퇴했다. 이후에는 "루츠 커뮤니케이션스"라는 회사를 설립해 운영하고 있으며, 2011년의 VIA 모터스의 회장, 그리고 2013년 VLF 오토모티브[6] 의 회장과 공동 창립자로 참여해 자동차 분야와의 인연을 계속 이어가고 있다. 2018년 2월에는 지리자동차와 손을 잡고, 자신이 있던 회사인 VIA 모터스와의 제휴를 시작했다.
GM 내부에서는 아시아-태평양 지부의 차인 홀덴 모나로를 폰티악 GTO로 도입하는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을 통해, 해외 지부들이 따로 놀면서 같은 급의 플랫폼이 여러 종류 존재하던 과거 사례에서 탈피해 동급 플랫폼으로 전 세계를 겨냥한 다양한 차들을 개발할 수 있을 정도로 해외 지부들을 이끌어 낸 경험, 제품 개발 과정에서까지 온갖 복잡한 절차들을 거치도록 하고 비용절감 및 제품 개발기한, 심지어는 "제품혁신"까지 수치화해 "목표"로 설정해 달성하는 데 집중하느라 고객들이 원하는 제품들을 만들어내지 못하던 제품개발 부서를 혁신해낸 경험, 또한 전기차인 GM EV1의 전량 폐차 이후의 혹평과 토요타의 하이브리드카 성공기, 그리고 이에 대한 GM의 도전 실패를 계기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인 쉐보레 볼트의 개발을 이끌어낸 경험이 그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되고 있다.[7][8]
3. 기타
전형적인 미국 우파[9] 라는 평가와 함께, 자신의 본분이었던 자동차 분야에 있어서 매우 박식한 "자동차 업계의 전설"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10] 특이하게도 대부분 사람들이 떠올리곤 하는 소위 "우파"들의 모습답지 않게, 좋은 노사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기업이 질 부담이 덜하다는 점에서 국가의료보험체계에 대해 호의적인 태도를 보인 바가 있다. 노조에 대해서도 자서전을 통해 노조 자체가 욕심이 많다거나 강경파라서 문제라기보다는 시대의 변화를 받아들이지 못한 쪽[11] 에 가깝다고 일정 부분 옹호하는 입장을 내비췄다. 전기자동차 자체는 만들 때마다 손해를 감수해야 하는 차인 한편, 여러 업체들과 공동개발하거나 픽업트럭처럼 수요가 꾸준한 시장을 맞추는 식으로 손해를 낮출 수 있는 방법은 있다는 입장이며 자율주행차와 함께 15~25년 안에 자동차 산업의 대세가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나아가 그때쯤이면은 대부분의 자동차 산업이 자율주행자동차와 카 셰어링 위주로 돌아갈 것이며,[12] 법규[13] 나 개발팀,[14] 판매망에도 큰 영향을 끼칠 것이기에 기존의 손으로 운전하는 자동차는 사실상 부유층들의 전유물이 될 것이라는 게 그의 전망이다.[15]
또한 그는 자신을 "카 가이(Car Guy)"로 자처하며 "고객들을 향한 최상의 제품과 서비스가 중요하며, 비용절감과 숫자놀이에 빠지다 보면 반드시 몰락한다"고 말하면서 해당 분야를 잘 아는 전문가에 의한 경영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으며, 이러한 생각을 기반으로 "빈 카운터즈(2011년)" 등의 자서전들을 쓴 적이 있고, 언론 및 미디어에 자주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16] 여담으로 그는 지구 온난화에 대해 회의적인 성향을 띄고 있어, 이쪽 분야에서도 지구온난화를 부정하는 입장의 대표 인사로서 다뤄진 바가 있다. 최근에는 Road and Track 사이트를 통해, 최근 자동차산업의 이슈들에 대해 칼럼을 올리고 있다. 또한 루츠 스스로도 클래식카 및 오토바이들을 수집하는 자동차 애호가 중 한 사람이다. (인터뷰 내용)
테슬라에 대해 회의적인 평가를 했다가 논란을 빚기도 했다. 본인 입장에 의하면 차는 훌륭하지만,[17] 회사 자체가 장기적으로 수익을 내지 못하는 구조라는 게 테슬라를 지적하는 이유라고 한다. 심지어 테슬라 모델 X는 "팰컨 도어가 작동하지 않을 것"[18] 이라고 하고 테슬라에 대한 열광을 종교 신도 및 애플 애호가들과 비유하는 등, 논란 속에서도 테슬라에 대해 대한 부정적인 발언을 계속하면서 지구온난화에 대한 회의적인 성향과 GM 파산 당시에 경영진으로 있었다는 점이 논란과 엮인 체로 네티즌들의 구설수에 오르고 있으며, 심지어는 "이중인격 아니냐", "루츠도 부패했다", "GM 망쳐놓고도 주목을 못 받으니 질투하나보다"와 같은 비판도 나오는 중이다. 반면에 일론 머스크에 대해서는 "제품들이 완전히 믿을만한 건 아니나, 수익성 여부를 떠나 전기차 하나로 엄청난 걸 달성한 최고의 세일즈맨"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19][20]
도널드 트럼프에 대해서는 미국 방송사에서 트럼프 정권의 멕시코 관련 경제 정책 예측을 다룰 때 "노련하고 실력있는 기업가인 만큼 잘 할 것"이라고 평가한 적이 있으며, 다른 매체와의 인터뷰에서는 트럼프가 발언을 좀 더 차분하게 했으면 좋겠다고 말한 바가 있다. 중국과의 자동차 관련 거래에 대해서는, 중국산 차에 대해 매기는 관세를 중국에서 파는 미국차의 그것과 동등하게 맞춘 점이 마땅히 옳은 조치였다고 트럼프를 옹호했다.[21] 그 외에 2017년 3월에는 루츠의 이름을 따온 정치 인터뷰 채널이 유튜브에 개설되었으며, 그와 마빈 타운스 쥬니어가 시사 주제를 가지고 인터뷰하는 짧은 영상들이 올라와 있다.[22]
2019년 초에는 메리 배라 휘하의 GM을 옹호하는 발언을 했다. 중요한 제품 라인업들이 신제품들 위주로, 그것도 풀 라인업으로 돌아가며 향후 수익성도 좋을 것이라고 배라 휘하 GM을 높게 평가했고, 북미 내 공장 페쇄 건에 대해서도 "안타까운 일이지만 안 하면 회사가 죽는 입장"이라고 사측을 변호했다.[23] 2019년 7월에도 각종 이슈를 두고 코멘트를 했는데, GM에 대해서는 잘 하고 있지만 디자인은 포드가 앞질러갔고 실버라도의 인테리어에 실망했다고 밝혔다. FCA와 르노 그룹과의 합병은 FCA는 결코 작지 않고 전동화를 의뢰할 업체들도 수준이 높다면서 FCA 측이 비용관리만 잘 하면 굳이 합병할 이유가 없다고 언급했다.#
한국 자동차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한적이 있는데, "한때 농담거리에 불과했지만 일본보다 과감하고 위기를 감수할 줄 알기에 지금처럼 성장할 수 있었다"는 등의 대체로 호의적인 평가를 내렸다. 자서전인 "빈 카운터스"에서는 지엠대우[24] 와 LG화학에 대해 후한 평가를 내렸고, 한글번역본 서문에는 "미국 업체들보다 잘해오고 있다"는 평가와 함께 기아 오피러스를 토요타 캠리, 포드 F-150과 함께 글로벌 GM 내부회의에 샘플로 들여온 사연을 담은 바 있다.[25] 현대자동차의 고급차 디비전인 제네시스에 대해서는 차는 좋은데 너무 보수적이고, 조만간 SUV가 필요하다는 코멘트[26] 를 달았고, 기아 스팅어가 북미국제오토쇼에 공개되었을 때도 높게 평가하는 발언을 한 적이 있다.
4. 둘러보기
[1] 현지 발음은 "밥 러츠"를 많이 쓰며, 한국 언론에서도 이를 따라가는 추세이다.[2] 이 경력 때문에 지금까지도 전투기와 헬리콥터를 각각 1대씩 가지고 있다.[3] 당시 그가 개발에 관여한 차량중 하나가 1992년에 등장한 닷지 바이퍼였다. 1990년대에는 로버트 이튼 회장과 더불어 크라이슬러를 지휘하다시피 했다.[4] 당시 루츠가 GM으로 돌아온 계기 중 하나가 폰티악 아즈텍이라는 최악의 결과물이었다. 그의 회고에 따르면 당시 GM은 소위 '숫자놀음꾼(Bean Counters)'들이 회사를 이끌고 있었고, 디자인같이 자신들의 전문이 아닌 분야까지 관여하고 있어서 제동이 걸리는 상황이었다고 한다. 따라서 루츠가 개혁을 추진한 내용은 소위 '숫자놀음꾼' 계열 임원들을 예산 관리처럼 그들의 강점이 잘 드러나는 업무로 다시 되돌려놓는 것이 골자가 되었다.[5] 밥 루츠가 크게 비판했던 부분은 GM 내에서 재무부 출신들이 자동차 개발 중 디자인까지 관여하고 있다는 점과 불필요한데다가 디자인에 방해가 될 정도로 구식이 되어버린 각종 기술적인 규칙들로, 제품개발 과정에서 고객이 뒷전이 될 정도로 수치화를 지나치게 남발했다고 목소리를 냈다. 그 외에도 루츠는 서로 연개하는 일이 드문 각 해외 지부들, 지나치게 많은 회의와 개발 절차, 소소한 잡티들을 느슨하게 흘려넘어가는 기업 문화 등을 지적했다.[6] 헨릭 피스커가 VLF의 설립에 참여했다.[7] 본래 루츠는 2004년에 "하이브리드 카는 말도 안되는 짓"이라고 공식 석상에서 밝힌 적이 있었다. 하지만 토요타의 "친환경" 이미지가 상당한 효과가 있자 장거리 주행이 가능한 전기차를 구상하게 되었고, 그러던 중에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의 아이디어가 나왔다.[8] 반대로 루츠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에서는, 그가 회사 사정과 상관없이 항상 스포츠카(폰티악 솔스티스 및 새턴 스카이, 닷지 바이퍼, 쉐보레 카마로와 폰티악 GTO 등)나 틈새 시장 모델에 대한 고집에 사로잡혀 있었다고 평가하는 경우도 있다. 우파적인 성향이나 지구온난화를 부정하는 입장, 테슬라에 대한 독설을 이유로 싫어하는 사람도 있는 편이다.[9] 특히 그의 자서전에서 그러한 모습이 많이 드러난다. 일본의 자동차 업체와 미국 자동차산업에 비판적인 미국 언론에 대해서는 미국 업체들이 삽질을 계속했던 것 못지않게 미국 제조업에 악영향을 끼친 면이 있다고 평가했으며, 자서전에서도 "좌파"라는 단어를 거침없이 사용하기도 했다. 대신 그도 토요타가 프리우스 하이브리드를 내놓고 찬사를 받을 수 있었던 기업구조와 배경이 부러웠다고 회고한 적이 있고, 토요타의 Just In Time 생산방식을 호평한 바가 있다.[10] 캐딜락 CTS 문서에도 나와 있지만, 고성능 버전인 CTS-V의 개발에 루츠가 엔지니어로서 관여했다는 일화가 있다.[11] 당시 노조원들이 회사가 어렵다는 건 많이 들었어도 정말 망할 거라고는 상상하지 못했다는 식으로 자서전에서 언급했으며, 1990년대 말부터 GM도 인사임명을 통해 노사관계를 꾸준히 개선하고 2000년대 후반에 다다르면서는 일본 기업들의 수준으로 임금 낮추기, 일자리은행 폐지 약속 등의 수 많은 성과를 이뤄냈다.[12] 표준화가 급격화되어 각종 브랜드들이 무의미해지므로, 카셰어링 업체 납품을 중심으로 돌아갈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 딜러쉽도 소멸할 위험이 크다고 전망했다.[13] 안전과 효율성을 근거로 한 공도에서의 수동운전 금지나 규격화된 모듈의 도입, 모듈 중심으로 완전히 개편되는 교통 시스템과 기간산업 등을 거론했다.[14] 예를 들자면, 디자인 팀이 실내 디자인 범위만으로 축소될 것이라는 입장이 있다.[15] 현재 경마장에서의 말 같은 취급을 받을 것이며, 부유층들이 개인 서킷에서나 수동 운전을 즐길 것이라고 밝혔다. 대신 법규에서 자유로운 만큼 디자인 면에서는 다채로워질 것이라고 했다.[16] 이는 한때 루츠가 몸담고 있던 시절의 크라이슬러 회장인 리 아이아코카가 미국 국민들의 신뢰를 얻은 비결이기도 했다. 지금도 유튜브에서 Bob Lutz로 검색을 해 보면, 루츠가 인터뷰나 토크쇼 등에 직접 참여한 영상들이 가득하며, 특히 CNBC에서 진행하는 인터뷰에서 종종 등장한다.(사례)[17] 모델 S만 해도 2018년 1월에 "단종되기 전에 미리 사둘 것"이라고 발언하는 등, 차 자체는 호의적으로 평가하고 있다.[18] 일단 공개된 시험차에서는 문이 제대로 작동했다. 양산차 판매가 진행되고 있는 현재는 큰 문제가 없지만 그의 지적대로 팰컨도어 때문에 양산에 큰 차질이 생겨 출시가 오랫동안 지연되었다.[19] 다만, 지금 테슬라의 재정 상황이나 생산 차량들의 조립 품질, 모델3 생산량 이슈 등을 생각하면 루츠의 말은 틀린말이 아니였던 것이다.[20] 한편, 주가와 규모 면에서는 2019년에 테슬라가 GM을 밀어내고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이후에는 밥 루츠조차 테슬라를 높게 평가했을 정도.[21] 반면에 멕시코에 대해서는 자동차 산업과 법규 간의 관계를 다른 칼럼에서 "앞으로도 정치적 선호도만 떨어질 뿐이지, 계속해서 업계들의 주요 협력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발언한 바 있으며, 관세 문제도 멕시코보다는 유럽이 문제라고 말한 적이 있다. (#/##)[22] 루츠가 인터뷰에 답변하는 내용은 그의 정치 성향답게 보수적인 편이다.[23] 루츠의 보수적인 성향, 그리고 대기업 경영진이라는 경력과 2000년대 후반 GM의 구조조정을 도운 입장으로 판단하자면, GM의 극단적인 구조조정 행보도 회사의 자연스러우면서도 매우 중요한 생리 요소라는 본 듯하다.[24] 처음에는 본인도 GM이 사브 건처럼 불필요한 브랜드를 굳이 인수하는 거 아니냐고 우려했었으나, 오히려 GM 산하에서 빼놓을 수 없는 소형차 전문기지로 성장했다고 호평했다. 시간이 흘러 2016년 12월에 "로드 앤 트랙"에 투고한 한국차 칼럼에서는, 대우자동차에서 만든 시험생산차의 제작 품질이 GM 북미 지부보다 철저한 기준으로 만들어졌다는 점에 놀랐다고 회고했다.[25] 루츠는 오피러스의 곳곳을 살피면서 "만약에 일본이 일본이니까 자동차를 잘 만들거라고 예상했다면, 한국차가 이를 얼마나 따라잡았는지를 잘 보라"고, 회의에서 발언한 내용을 서문을 통해 회고했다.[26] 실제로 제네시스는 벤틀리에서 활동하던 이상엽씨가 현대기아차에 들어온 뒤에 아주 파격적인 디자인으로 변화하였고, 첫 SUV인 GV80를 선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