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버스 179

 


[image]
[image]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3.1. 폐선된 형제노선 구.79번/구.79-1번
4. 특징
4.1. 연간 일평균 승차량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79번
기점
부산광역시 금정구 회동동(회동동기점)
종점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국제백양아파트)
종점

첫차
04:55
기점

첫차
05:40
막차
23:05
막차
23:48
평일배차
출퇴근 5분 / 평시 5~6분
주말배차
토요일 6분 / 공휴일 7~8분
운수사명
삼화PTS
인가대수
27대[주말]
노선
회동동기점 - 금사시장 - (→ 라이프타운 →/← 금사입구 ← 부산은행 ← 세웅병원 ←) - 서동고개 - 부곡4동주민센터·온천장역 - 동래우체국 - 동래전화국 - 교대역 - 연산역·연산교차로 - 부산광역시청 - 양정역 - 하마정 - 부산시민공원 - 부암교차로 - 당감시장 - 백양로교회 - 국제백양아파트

2. 개요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32.0km다. 모든 정류장 목록은 여기로

3. 역사


  • 1985년에 신설된 노선이다. 원래는 지금처럼 시청을 경유하지 않았고 거제리를 경유했으며, 당감4동까지만 운행되었다. 그러다가 1994년에 국제백양아파트까지 노선이 연장되고 1998년에 현재 롯데백화점(광복동) 위치에 있었던 시청이 현재의 위치로 이전되면서 거제리 대신 구.목화예식장 - 시청 - 양정으로 노선을 변경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 스티커 표기방식도 원래 회동동◀▶온천입구◀▶국제백양이었으나 준공영제를 실시하고 나서 현재의 표기방식으로 바뀌었다.
  • 2011년 4월 1일부산 도시철도 4호선 개통과 부산시의 21대 순 감차 정책으로 인해 이 노선의 인가대수가 1대 감차되었다.

3.1. 폐선된 형제노선 구.79번/구.79-1번



부산 버스 79 문서로.

4. 특징


  • 일반버스 18대, 저상버스 9대로 운행한다.
  • 삼화PTS의 준간판노선이다.
  • 개통 당시부터 회동동 노선이지만 당시 회동동을 본사로 사용하던 금동여객과 세신여객 두 회사 어디에도 소속되지 않았던 노선이다.[1]
  • 노선길이가 짧은 편이다. 그리고 평시에만 보면 꽤나 한적해보이지만, 실제로는 가축수송 노선으로 유명한 자사노선 99번보다 훨씬 많은 승객수와 수요를 자랑하고 있다.[2] 이는 승객물갈이가 상당히 잘된다는 뜻이다.
  • 회동동과 서동고개에서 동래전화국, 시청 방향으로 유일하게 가는 노선이라서 금사동 주민들에게는 절대로 없어서는 안될 노선이다. 서동고개 방면의 금사시장쪽에서 동래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지만 동래쪽으로 가기보다는 온천장역으로 가는 도시철도 연계 수요가 엄청나다. 금사동 일대뿐만 아니라 서동고개, 서3동, 부곡동 일대에서도 온천장역으로 가는 수요가 엄청나게 많다.[3]
  • 한 노선으로는 이쪽 수요를 감당할 수가 없기에 189번도 오래 전부터 이 수요들을 분담하고 있으며, 2011년 4월부터는 183번도 이를 보좌하고 있다.
  • 하마정에서부터 경원고사거리까지 쭉 이어지는 동평로를 모두 완주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 또한 연지동, 당감동에서도 동평로를 경유하여 서면을 거치지 않고 부산광역시청연산교차로로 직통으로 연결해줘 출퇴근시간 메우 폭발적인 가축수송이 허다하고 평시에도 해당지역의 승객들 이용률도 상당히 높다.
  • 양정현대아파트를 축으로 국제백양아파트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기 때문에 근처에 있는 국제중고교.개성고 통학수요도 상당하고 시청, 동래방향으로 가는 수요 또한 상당하다.
  • 주간에만 운행하는 노선 치곤 막차시간이 굉장히 늦은 노선중 하나이다. 운행거리가 그다지 길지 않으며 굴곡 구간 또한 거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저상버스가 몇 대 섞여있다.
  • 국제백양아파트 쪽은 17번과 더불어 이 곳으로 가는 단 둘뿐인 노선이며 이 노선은 백양터널 위에서 회차하며 17번과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차한다. 인근에 경원고등학교, KAIST 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부산국제중학교, 부산국제고등학교가 있어서 가끔 가다 해당 학교 학생들이 탄다.
  • 노선 및 운행소요시간은 120~130분 정도의 중단거리 노선인데 수요가 원체 많기 때문에 인가대수가 27대이고 배차간격이 매우 좋다. 따라서 빗자루질도 정말 심하다. 특히나 이 회사에는 속도를 엄청 내는 승무원이 많아서 한대가 조금만 저속질을 한다면 회동동방면 기준 동래전화국에서는 꼭 3대씩 붙어다니곤 한다. 물론 정체로 인한 배차간격 파괴가 주 원인이긴 하지만..
  • 연산역~교대역~동래~온천장을 경유하는 빗자루질 노선(51번, 179번)중 하나이다. 만일 교대역에서 명륜동으로 가고자 할때는 51번과 이 노선 둘 중 빨리오는 노선을 타면 된다.
  • 하마정에서 교대역과 왕자맨션을 거쳐 회동동까지 가는 또 다른 노선인 43번과 같이 간다. 43번 노선연장은 2019년 5월 31일 개편으로 반여1동에서 회동동까지 연장되면서 둘 중에 그 노선 경유지가 다르며 둘 중에 먼저 오는 노선을 이용해도 된다.
  • 종점은 국제백양아파트 이지만, 부산 버스 17과 대기하는곳이 같아져 다음 정류장인 백양터널 위에서 대기한다.
국제백양아파트에서 당감시장 방향으로 가는 승객은 탈때 찍고 백양터널 위에서 하차태그 없이 하차 후 맨 앞의 버스의 기사에게 "뒷차에서 찍었습니다"하고 승차태그 없이 타면 된다.
  • 한때 이 노선에 신형 LED를 장착한 차량 1대(2928호)가 다녔으나 현재는 구형 LED로 변경되었다.

4.1. 연간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19096.14

2015년
17546.43
▽ 1549.71
2016년
18024.57
△ 478.14
2017년
16895.57
▽ 1129.00
2018년
17739.42
▽ 843.85
2019년
17296.00
▽ 443.42

4.2. 노선


[image]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79번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백양터널
05077'''
당감동일스위트
05348




국제백양아파트
05025
국제프라자아파트
05097




-
화인아파트
05098




개원초등학교
05096
백양로교회앞
05095




백양로교회앞
05094
개성고등학교입구
05093




개성고등학교입구
05092
태을의원
05089




태을의원
05090
당감사거리
05086




당감사거리
05085
당감시장
05063




당감시장
05062
부암새고개
05059




부암새고개
05058
동원아파트
05057




동원아파트
05056
부암고가교
05054




부암고가교
05055
연지일동아파트
05053




연지일동아파트
05052
부산시민공원
05342




부산시민공원
05034
화인아파트
05033




화인아파트
05032
정묘사
05031




정묘사
05030
양정현대아파트
05029




하마정
05028
백조아파트
05018




백조아파트
05017
상수도사업본부
05702




상수도사업본부
05701
부산시청
13708




부산시청
13709
연산역 연제초교
13706




연산역 연제초교
13707
연산역 연산교차로
13704




연산역 연산교차로
13705
동해선 교대역
13702




동해선 교대역
13703
교대역
13005




-
세병교
06245




세병교
06244
동래경찰서(수안역)
06144




동래경찰서
06143
동래전화국
06070




동래전화국
06072
부산지방기상청




부산지방기상청
동래우체국
06041




동래우체국
06044
동래구노인복지관
06038




동래구노인복지관
06037
온천입구
06017




온천입구
06019
-




동해중학교
11243
부곡4동주민센터 온천장역
11105




부곡4동주민센터 온천장역
11106
부곡1치안센터
11107




부곡1치안센터
11120
내성고등학교
11122




내성고등학교
11121
서동고개
11123




서동고개
11124
서1동새마을금고
11187




서1동새마을금고
11129
세웅병원후문
11134




서3치안센터
11132
부산은행
11138




라이프타운
11139
금사입구
11141




-
금사중학교
11147




금사중학입구
11148
금사회동동주민센터
11150




-
금사시장
11151




금사시장
11152
동일고무벨트
11154




중소기업은행
11153
부산예원고등학교
11155




부산예원고등학교
11156
욱성화학(주)
11158




욱성화학(주)
11157
회동본동
11159




회동본동
11160
'''회동동
11259 · 11161'''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백양관문로'''
백양로교회앞 ▼
▲ 개원초등학교
'''동평로'''
상수도사업본부 ▼
▲ 백조아파트
'''중앙대로'''
세병교 ▼
▲ 동해선 교대역
'''명륜로'''
온천입구 ▼
▲ 온천입구
'''부곡로'''
부곡1치안센터 ▼
▲ 부곡4동주민센터 온천장역
'''서동로'''
세웅병원후문 ▼
▲ 서3치안센터
'''서동중심로'''
'''서동로175번길'''
부산은행 ▼
▲ 라이프타운
'''서동로'''
'''개좌로'''
금사입구 ▼

'''개좌로'''
'''금사로'''
▲ 회동본동
'''개좌로'''



5. 연계 철도역



[주말] 토요일 24대 / 공휴일 22대 운행[1] 금동여객이 삼화여객(현 삼화PTS)으로 흡수된 뒤 신설된 노선이기 때문이다.[2] 준공영제 전에도 99번보다 수익이 더 높은 노선이였다고 삼화PTS 관계자가 직접 말했다. 하루 평균 승객수는 99번보다 이 노선이 더 많다. 그러나 2010년대에 99번이 앞섰다가 현재는 105번, 110-1번과 같은 노선이 생겨나면서 수요가 줄어들면서 현재는 179번이 완전히 우위를 점하고 있다.[3] 사실 이 동네에서는 서동역까지 가서 돌아나오는 것 보다 이 노선을 타고 온천장역으로 가서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을 타고 가는 편이 상당히 시간도 절약되고 거리도 가깝기 때문에 그렇다. 더군다나 동래역막장환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