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텔스바흐 가문

 


'''Haus Wittelsbach'''
'''House of Wittelsbach'''
[image]
[image]
1. 개요
2. 가문의 유명인


1. 개요


유럽의 명문가 중 하나. 대대로 미남미녀가 많기로 유명하며, 바이에른의 지배 가문으로 잘 알려져 있다.
11세기 남독일 지방의 바벤베르크 가문의 분가로 시작했다. 본가인 바벤베르크 가문은 프랑스카페 왕조와 같은 조상을 두고 있으며, 동프랑크 왕국의 프랑켄 공작위[1]를 하사받아 독일 땅에 정착한 분파였다. 즉, 까마득한 과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면 프랑스의 카페 왕조, 발루아 왕조, 부르봉 왕조와 형제 관계가 된다. 다만 바벤베르크 가문은 위그 카페가 왕으로 등극하기도 이전 프랑크 왕국의 로베르 가문으로부터 갈라져 나왔기 때문에 카페 왕조 계열로 여겨지는 것은 아니며, 천 년 전 조상이 같다는 정도이다.[2]
11세기에 오스트리아를 다스리던 바벤베르크 가문의 친족으로서 하 바이에른에 터전을 잡고 세력을 키워나갔고, 1180년 바이에른 공작위를 하사받게 되었다. 14세기에는 드디어 신성 로마 제국 제위를 차지하였으며 룩셈부르크 가문과 함께 제위를 주거니 받거니 하며 유럽의 최고 명문가 중 하나로 등극했다. 이 때는 브란덴부르크와 브라운슈바이크 등 여러 지역의 공작위도 차지하고 있었다.
14,15세기를 거쳐 팔츠 계통과 바이에른 계통으로 나뉘었으며,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를 뽑는 선거권을 가진 선제후가 되었다. 그러다가 나중에 같은 선제후였던 프랑켄의 공작 작위가 비어지는 사태가 발생되었고, 그 와중에 프랑켄 공작령은 여러 갈래로 분할되면서 덩달아 프랑켄 공작가의 선제후직이 라인 팔츠의 비텔스바흐 가문에게 돌아갔다. 그러나 같은 가문이 두 장의 표를 행사하여 제위를 독점할 것을 우려한 다른 선제후들과 당시 최고의 세력을 뽐내던 룩셈부르크 가문과 그 들의 수장, 카를 4세의 반대로 바이에른 선제후 자리는 박탈당했다. 이후 1618년 발생한 30년 전쟁때 신교도였던 팔츠 궁정백 프리드리히가 보헤미아 신교도들의 지지로 보헤미아 왕이 되었다 단 이틀 차이로 신성 로마 황제가 된 前 보헤미아 국왕, 페르디난트 2세와 합스부르크 가문의 공격[3]으로 보헤미아에서 쫓겨나면서 팔츠계 비텔스바흐 가문의 선제후 권리는 박탈 당하고 바이에른계 비텔스바흐 가문[4]에게로 돌아간다.
그러다가 1648년 종전 후 팔츠계 비텔스바흐 가문도 보헤미아와 바이에른 사이에 위치한 영지를 내놓은 대신 선제후 지위를 되찾으면서 선제후들중 한가문이 두개의 선제후직을 유지하게 되었지만 결국 1777년 바이에른 계통의 가문이 단절되면서 팔츠 계통만이 비텔스바흐 가를 이어가게 된다. 팔츠계열 또한 본가는 18세기에 일찍이 단절되었지만 여러분가가 많아서 계승을 하는데 잡음이 생겨 팔츠 계승 전쟁, 바이에른 계승전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러한 혼란은 결국 팔츠계열 분가인 팔츠-츠바이브뤼켄계열의 후계자가 친척으로부터 계승받아 팔츠와 바이에른 영토를 모두 물려받았고 그가 바로 초대 바이에른의 국왕인 막시밀리안 1세 요제프였다.[5]
단 1대로 그쳤지만(1440~1448) 팔츠 계통에서 덴마크와 칼마르 동맹의 왕위를 차지하기도 했고, 한때 스웨덴 왕가이기도 했으며(1654~1720)[6],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에, 그리스의 왕[7]까지 배출한 집안이다. 한국에 잘 알려진 네임드로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후인 엘리자베트 폰 비텔스바흐가 있다.
스튜어트 왕조 제임스 2세의 남계 후손을 '정통성 있는 스코틀랜드의 왕'[8]으로 떠받드는, 자코바이트의 '왕'[9][10]이 이 가문의 현 수장인 대표자인 프란츠 공이다. 단, 이 사람이 돌아가시면 동생인 막스 공이, 그 다음은 그 맏딸인 리히텐슈타인 공비[11] 조피가 추대된다고 한다.
현재 자코바이트 계승권을 가지고 있는 비텔스바흐 가문이지만, 막상 영국 왕위계승법이 정립되었을 때 자코바이트에 대항한 정통 후계자 또한 비텔스바흐 가문이었다. 1701년 개정된 왕위계승법에 따라 팔츠 선제후 영애로 하노버 선제후비였던 소피아(1630~1714)가 왕위계승자가 된 것. 잘만 하면 스튜어트와 하노버 사이의 징검다리 왕조로 비텔스바흐 가문의 여왕이 등극할 수도 있었겠지만, 이미 매우 고령이었기 때문에 만 84세의 나이로 앤 여왕보다 2개월 먼저 사망하여 여왕이 되진 못했다. 이후 그녀의 아들인 조지 1세가 영국 왕위를 계승하게 되었다.

2. 가문의 유명인



[1] 독일어로 프랑켄(Franken), 영어론 프랑코니아(Franconia)라고 하며 지금의 바이에른 주 북부 일대.[2] 라는 설이 흔히 바벤베르크 가문의 기원으로 알려져 있는데 사실 학자들은 로베르 가문과 관련 있는 프랑켄 바벤베르크와 오스트리아의 바벤베르크 사이의 연관성을 입증하지 못했다. 오스트리아의 바벤베르크 가문은 대체로 바이에른 지방 출신으로 한때 바이에른 지역을 지배했던 뤼트폴딩 가문과 연관이 있을 거라 여겨진다.[3] 황제의 영토를 침범했다는 명목으로 침공했다.[4] 당시 수장이던 막시밀리안 1세는 페르디난트 2세 황제와 대학 동문이었다.[5] 그는 1805년 프란츠 2세를 떠나 나폴레옹에 줄을 선 대가로 바이에른 선제후국이 바이에른 왕국으로 승격되었다.[6] 팔츠 계열 '''팔츠-츠바이브뤼켄 가문'''으로, 바사 왕조의 명군 구스타프 2세 아돌프의 외동딸, 크리스티나 여왕이 독신을 고수하여 그녀의 고종사촌, 즉 구스타프 아돌프의 조카에게 양위함으로써 스웨덴의 왕좌를 얻게 되었다. 참고로 크리스티나 여왕은 부왕의 전사로 10세도 되지 않아 즉위, 배우를 지망하다 20살이 넘어서까지 독신을 고수하여 신하들의 결혼 닥달에 양위하고선 로마로 가서 가톨릭으로 개종했다(...).[7] 그리스의 오톤. 이쪽은 1832년에 추대되어 1대 30년 만에 폐위되고 글뤽스부르크 왕조에게 그 자리를 내준다. 오톤에겐 자녀가 없었던 관계로 만약 그리스 비텔스바흐 왕조가 오톤 사후에도 계속 이어졌다면 오톤의 동생 루이트폴트가 그리스 왕위에 올랐을 가능성이 높은데, 루이트폴트의 장남이자 바이에른 왕국의 마지막 국왕인 루트비히 3세를 시작으로 루이트폴트의 후손들이 비텔스바흐 가문의 수장 자리를 계승하기 때문에 현 수장 프란츠는 그리스의 왕위 요구권도 가지고 있다.[8] 및 잉글랜드, 아일랜드 그리고 프랑스의 왕이다. 노르만 왕조윌리엄 1세헨리 1세 이후로 잉글랜드 국왕이 노르망디 공국 공작을 겸하게 되었으므로 노르망디 공위 요구자이기도 하다.[9] 사실 이쪽도 남계 후손이 세 번이나 끊겼다. 1807년에 헨리 베네딕트 스튜어트가 사망한 뒤로는 이탈리아의 사보이아 왕조로 갔다가, 1840년에는 합스부르크 왕조(본가가 아니라, 이탈리아의 에스테 분파)로 갔다가, 1919년에 비텔스바흐 가문에게 자코바이트의 계승권이 넘어온 것. 다만 헨리 베네딕트 스튜어트가 사망한 뒤로는 이 가계의 후계자들은 잉글랜드 및 스코틀랜드의 왕위 요구는 하지 않고 있다.[10] 비텔스바흐 가문에서는 관심이 없는 것 같지만, 최근 이뤄졌던 스코틀랜드 독립 국민투표 때문에 비텔스바흐 가문의 후손이 스코틀랜드의 왕이 되는게 가능하냐는 주제로 영국 신문에서 다뤄지기도 했다. 자코바이트의 주장대로라면 현 가문의 수장인 프란츠 공이 프랜시스 2세로서 정통성이 있다.[11] 리히텐슈타인 공은 독일어로 Fürst인데, 일반적으로 영어로는 Prince라고 번역되나 한국어로는 마땅한 단어가 없다. 엄밀히 말하면 Graf(백작)보다는 높고 Herzog(공작)보다는 낮지만 Markgraf(변경백 또는 후작)과는 또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