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삐용(영화)
1. 개요
'''제46회 아카데미 시상식 음악상 후보작'''
감독은 프랭클린 J. 샤프너[1] . 빠삐용 역에 스티브 매퀸. 드가 역에 더스틴 호프먼.
'''1973년 작''', 1,400만 달러라는, 당시로서는 엄청난 제작비가 들었던 영화로 프랭클린 J. 샤프너(1920~1989)는 이 제작비를 얻기 위해, 자신의 감독 자리를 걸고 컬럼비아 트라이스타 픽처스 간부들을 설득해야 했다. 그리고 5,326만 달러 흥행을 거둬들이며 흥행에 성공했다. 한국에서도 1974년 9월 7일에 빠삐욘이라는 제목으로 개봉해 당시 서울관객 34만 3천명이라는 대박을 거둬들였으며 1990년 9월 29일, 2016년 8월 25일 재개봉했다.
포스터는 중국계 미국인인 토머스 정(Thomas Jung,또는 톰 정 Tom Jung. 1942년생.)이 그렸다. 참고로 닥터 지바고와 디어 헌터, 《스타워즈》 에피소드 4, 5, 6 포스터도 그가 그린 것.
《빠삐용》 하면 떠올리는 메인테마곡인 《Theme From Papillon》 여기에 가사를 붙인 게 Free as the wind이다.
[image]
참고로 국내 개봉 당시에 쓰인 포스터는 일본판 포스터에서 글자만 바꿔놓은 것으로 보인다.
앙리 샤리에르가 쓴 원작소설을 기반으로 만든 영화이다. 원작 소설은 자기 자신의 이야기에 살을 조금 더 보태서 각색한 것.[2] 이 소설의 속편격인 《방코(Banco)》에서 언급하는 바에 따르면, 그는 20세의 나이에 파리의 술집에서 술을 마시고 있었는데, 근처에서 살인 사건이 일어났다고 한다. 하지만 실적을 올리기에 급급했던 검사가 단지 그 근처에 있었다는 이유만으로 샤르에르를 기소했고, 그 때문에 살인죄로 감옥에 간 것이다. 영화에서는 언급되지 않지만, 샤리에르가 그토록 열심히 탈옥하려 한 이유는 그 검사에게 보복하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그리고 10년에 걸친 탈옥 기도 끝에 1941년, 드디어 탈출에 성공하고 베네수엘라에 도착한다. 베네수엘라에서 1년 동안 투옥 당한 후, 1945년 석방되어 진정으로 자유를 되찾는다. 시민권을 얻은 다음 카라카스와 마라카이보에서 식당을 열기도 했고, 그 검사의 행적을 쫓고 있었지만, 어느 날 부질없는 짓임을 깨닫고 그 검사를 쫓는 일을 그만두었다 한다. 이후로도 일종의 유명 인사였던 것인지, TV에도 여러 번 출연하기도 했고, 1969년에는 자서전 《빠삐용》을 써서 조국 프랑스에서 150만 부가 팔린 베스트셀러가 된다. 자유의 몸이 된 뒤 딱 한 번 꿈에도 그리던 파리를 방문하기도 했는데, 1967년을 기해 자기에 대한 범죄 시효가 끝나자 파리로 돌아갔다고 한다. 그러나 파리에는 겨우 8일밖에 있지 않았다. 그가 파리로 돌아온 이유는 자신을 누명씌운 검사에게 복수하려고 하였으나 복수가 덧없다고 생각해서 단념하였다고. 영화 제작에 조언을 하기도 했으며, 본인도 영화를 봤다고 한다. 그리고 1973년,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암으로 사망했다.
영화의 주된 볼거리는 호프먼과 매퀸의 열연으로, 이 명배우들이 아니고는 도저히 엄두가 안 날 정도의 뛰어난 연기력을 보여준다. 주연 배우들의 탄탄한 연기력을 바탕으로, 인간의 의지에 관한 영화를 말할 때 빠지지 않고 거론되는 필수요소급 영화가 되었다.
참고로 빠삐용은 주인공의 본명이 아니라, 별명으로 몸에 있는 나비 문신 때문에 그렇게 불리는 것. 주인공의 본명은 영화에서 실제로 불리진 않지만, 독방 문에 붙어 있는 태그로 알 수 있다. 앙리 샬리에르, 즉 원작자이자 실제 모델인 그 사람 이름이다.
2. 스토리
살인 누명을 쓰고 감옥에 들어간 빠삐용(스티브 매퀸 분)은 수용소가 있는 프랑스령 기아나로 향하던 중, 죄수 수송선에서 위조지폐범 드가(더스틴 호프먼 분)를 만난다.[3][4] 드가의 돈을 노리는 죄수들이 많다는 걸 알게 된 빠삐용은 드가에게 접근하여, 기아나에 도착할 때까지 보호해주겠다고 한다. 그 대가로 드가는 빠삐용에게 탈출 자금을 대주기로 한다.
드가와 빠삐용은 기아나 도착 이후 편한 보직을 배정받기 위해 한 간수를 매수하지만, 드가의 신분을 알아본 다른 간수가 드가와 빠삐용을 같이 킬로포티라는 노역장으로 보내버린다. [5] 빠삐용은 거기서 나비 상인을 매수하여 보트를 구입하기로 한다. 드가는 탈출에는 원래 관심이 없었고, 고국에서 아내와 변호사가 탄원을 해서 감형되기만을 기다렸으나, 노역장에서의 고초를 견디지 못하고 탈출에 동참하기로 한다.
그런데 일이 꼬여 버리고 만다. 어느 날 빠삐용은 교도관에게 구타당하던 드가를 구하려고 간수에게 맞서다가 쫓기게 되며, 얼떨결에 혼자서 탈출하게 되었지만, 탈출을 도와주기로 했던 나비 수집가가 배신한 덕분에 다시 감옥에 들어가야 했다.
그에 대한 징벌로 독방에 갇혔지만, 열심히 운동도 하며 그럭저럭 살아가던 빠삐용에게, 제대로 먹지 못할 것을 걱정한 드가가 몰래 매일 넣어준 코코넛 반쪽이 또 빌미가 되어, 가뜩이나 적은 식량배급을 반으로 줄이고 아예 빛을 차단해버렸다. 그렇게 2년을 보내고[6] 일반 감옥으로 돌아와 드가와 재회할 때쯤 되니 폭삭 늙어버렸다. 드가는 간수를 매수하여 편한 보직에 배정된 상황이었고, 여전히 아내와 변호사로부터 소식을 기다리고 있었다. 빠삐용이 풀려나왔을 때에는 건강이 너무 악화되어 병원에 수용되어 있었지만, 그 와중에도 '''바다를 보며 자유를 꿈꾼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다른 죄수들과 2차 탈출을 시도했다. 드가는 이 와중에 빠삐용을 구하려다가 간수를 공격하게 되고, 그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탈출에 동참하게 된다. 이들은 나병 환자촌의 도움으로 배를 구해 콜롬비아에 도착하지만, 같이 탈출했던 드가와 마튜레트는 해변에 도착하자마자 잡혀 버리고 만다. 또한 하필 여기서 경찰을 죽이는 바람에 콜롬비아 경찰에게도 쫓기게 된다. 빠삐용은 도주 과정에서 원주민 부족을 만나고, 빠삐용의 나비문신을 마음에 들어 한 족장에게 그 문신을 새겨준 대가로 진주 주머니를 받는다. 도주 과정에서 검문에 걸릴 위험에 처하지만, 헌금 받느라고 애쓰는 수녀를 만나 진주를 헌금하여 검문을 피하고, 수녀원으로 몸을 피한다. 그러나 헌금+뇌물로 내놓은 진주를 받기에 내심 빠삐용을 안심시켰던 수녀원장이 빠삐용을 밀고하여 다시 붙잡히고 만다.
독방에서 5년을 보내고 다시 한 번 풀려났을 때 마튜레트는 병으로 죽어가고 있었고, 빠삐용을 알아보고는 나지막이 그의 이름을 부르며 죽는다. 그리고 빠삐용은 바다에 상어가 우글거리는 악마의 섬으로 보내졌다. 간수에 따르면, "이 악마의 섬에서는 규율이 엄격하지 않아. 상어와 파도가 간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말썽만 일으키지 않으면 자유롭게 살 수 있지." 간수는 빈 집 하나를 내주어 주인공을 살게 한 뒤, "이 섬에서 나가는 유일한 방법"인 연락선을 타고 떠난다.[7] 그래도 이름과 달리, 이 섬 자체는 풍요롭지 않아도 농작물은 잘 자라는 편이었고, 닭이나 돼지 등등의 가축까지 있어서 굶어죽을 일은 없었다. 악마의 섬에서 드가랑 반갑게 재회하면서 그가 마련한 가재 요리를 즐기는데, 드가는 아내와 변호사에게 배신당하여 이젠 빈털터리가 되었다고 한다. 아내와 그 변호사가 결혼했다고.
탈출해봐야 이젠 거지꼴이라 모든 걸 포기하고 이 섬에서 살다가 죽겠다고 한다. 하지만 빠삐용은 그래도 나는 탈출한다며, 다시 잡힌다면 얄짤없이 '''단두대행'''임에도 불구하고 섬에 오자마자 '''바다를 쳐다보며 탈출할 생각만 한다'''. 그리고 파도의 방향이나 여러 가지를 꾸준히 관찰, 연구한 후 야자나무 열매 껍질을 모아 작은 배를 만들고, 야자열매도 모아 탈주에 필요한 식량도 마련하여 드디어 탈출에 성공하며 그 유명한 명대사를 남긴다.
그리고 그 모습을 웃는지 우는지 모를 모호한 표정으로, 빠삐용이 수평선 너머로 사라지는 모습을 바라보던 드가가 등을 돌리고서 내레이션이 흘러나오고, '''결국 빠삐용을 가둘 수 없었던, 이젠 폐허가 되어버린 프랑스령 기아나의 형무소'''를 비춰주며 영화는 끝난다.'''"이 자식들아, 나 여깄다!(Hey you bastards! I'm still here!)"'''
3. 영화 역사상 최고의 근성가이
[image]
[8]
빠삐용은 운이 지지리도 없을 정도로 온갖 시련을 겪지만, 절대로 굴복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근성가이'''라고 할 수 있다. 독방에서 처음에 2년, 나중에 5년을 지내면서도 독방에서 나오자마자 탈출을 계획하는 모습은 정말 굴복시킬 수 없다는 게 어떤 건지를 잘 보여준다.[9]
게다가 남들에 비해 건강함과 체력도 월등한 편인지, 독방에서 처음 지낼 때는 드가가 몰래 보내준 코코넛이 간수들에게 걸려서[10] 햇빛이 6개월간 차단되고 음식의 정량이 반으로 줄게 되는 벌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감방 안의 '''벌레를 잡아먹으며''' 살아남는다.[11] 2번째 탈옥 때 나병환자들에게서 배를 구해야하는데, 나병환자들의 족장은 자신이 피던 시가를 펴보라고 권하자 빠삐용은 찝찝해하면서도 피웠다. 이에 족장이 자신이 전염되지 않는 유형의 나병임을 어떻게 알았냐고 빠삐용에게 묻자, 빠삐용은 '''몰랐다'''라고 답하는데, 나병에 걸릴 각오를 하면서까지 배를 구하고자 하는 빠삐용의 집념이 돋보이는 장면. 2번째 잡히고 나서 독방에서 5년간 지낼 때도, 같이 잡혀 들어간 이는 죽고 말지만 혼자 끝까지 살아남는다.
게다가 마지막에는 코코넛 자루에 몸을 싣고 바다를 건너가 자유인이 되었다고 하니… 근성도 이런 근성이 없다. 게다가 3번째 탈출 시도였기 때문에, 만약 붙잡힌다고 한다면 독방이고 뭐고 그냥 사형이다.
그리고 당연하지만 고생하면서 팍 늙어버리는 분장도 잘 되었다. 처음부터 독방으로 들어왔는데 거울이 없으니 자기 얼굴이 어떤지 도무지 모르기에 기껏해야 날마다 아침에 문을 통해 얼굴을 바깥으로 드러내게 하는 아침 점호때나 옆방 재소자에게 내 얼굴 어때? 라고 물어봐야 하는 지경. 빠삐용이 갓 들어올때 옆방 재소자는 한 노인으로 "이보게, 내 얼굴 어떤가?" 이란 말을 한다. 빠삐용은 "괜찮아요."라고 답하는데 몇년 지나 빠삐용 머리도 하얗게 되고 주름이 팍팍 생긴 상태에서 아침 점호를 하는데 옆방 노인은 죽었는지 다른 젊은 재소자가 얼굴을 문 바깥 작은 틈으로 드러내있고 이번에는 반대로 빠삐용이 "이봐, 내 얼굴 어떤가?" 라고 질문하고 그 젊은 재소자가 "안괜찮아요."라고 답변한다. 그만큼 수용소 생활이 힘들고 빠삐용의 고생을 잘 대비하여 묘사하고 있는 명장면이다.
엔딩장면.
엔딩 스태프롤장면도 매우 인상적이다.
"빠삐용은 자유를 되찾았다. 그리고 여생을 자유인으로서 살았다. 악명 높은 프랑스령 기아나 수용소도 그를 가둘 수 없었다." 라는 내레이션이 흐르고, '''세월이 흘러 버려지고 폐허가 된 촬영 당시의 수용소 모습'''이 나온다. 감옥은 단명하나 근성은 영원한 것이라는 말이 절로 나온다.
4. 여담
다른 버전
명작 답게 패러디가 존재하며, 1996년에 부광약품에서 나온 바퀴벌레 약인 로취 - 큐 광고에서 바퀴벌레가 없어져 배고픔에 견디지 못하는 빠삐용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방영된 지 오래된 CF인 관계로 내용을 설명하자면, 삐쩍 골은 빠삐용이 배고픔을 참지 못해 벌레를 잡아먹고, 간수가 이 장면을 보고 뭔가 생각하면서 어디론가 간다. 다음(그 날 저녁)에 빠삐용이 벌레를 잡아먹으려 하자, 그 벌레가 바퀴벌레 약 통 속으로 들어가 버린다(…). 그 꼴을 본 빠삐용이 맥 빠진 목소리로 '''"으… 로취큐…"'''라며 한탄하는 내용…. 원작을 아는 사람들에게 그야말로 배꼽을 잡고 웃게 만든 성공적인 광고로 유명한데, 여기에 두 가지 변형이 붙어서 확인사살을 한다. 하나는 '''"빠른 바퀴약"'''이라는 광고 문구를 원작에 나온 악질 간수 소장이 '''"역시 빠르지, 응?"''' 라고 하는 엔딩으로 마무리하는 내용, 두번째는 아예 빠삐용이 로취 - 큐로 벌레를 유인해서 잡아먹는다는 내용이다. 참고로 이 광고는 제일기획에서 제작하였는데 미국 판권 사에 판권료 5만 달러(당시 약 4천 만 원)를 내고 합법적으로 만든 광고라서 국내 신문에서도 판권 해결이 나오고 광고를 보면 작게 화면으로 제작 판권사 이름 및 라이센싱 사항이 영어로 쓰여져 있다. 이 광고는 컴퓨터로 개작해서 제작하였으며[12] 아시아 퍼시픽 광고제에서 금상을 수상했다.
바퀴벌레 약 광고에 왜 빠삐용이 나오는가 하면… 굶주림을 참다 못해 빠삐용이 교도소 바닥에 기어 다니는 벌레를 잡아먹는 장면[13] 이 한국 시청자들에게 굉장한 쇼크로 다가왔기 때문이다.
스티브 맥퀸은 1962년작 《대탈주》에서 독일군 포로 수용소를 걸핏하면 도망쳐 나가는 상습 탈주 포로를 연기했다. 영화 마지막에 결국 독일군에게 잡혀 독방행이 되면서도 또다시 탈주할 거라는 뉘앙스를 준다.
제리 골드스미스가 맡은 메인 테마 음악이 유명하며, 이 곡에 가사를 붙인 《Free as the wind》라는 노래도 있다. 나무위키에서는 장비를 정지합니다 등의 패러디로 익숙해 마성의 BGM 리스트에 등재되어 있다.
[image]
21세기 들어서 인터넷을 통해 영화의 일부 장면이 재조명되었는데, 빠삐용이 꿈속에서 유죄 판결을 받는 재판이 바로 그것이다. 빠삐용이 자신의 무고를 주장하며 행한 탈주 행위들로 인해 오히려 자신의 형량을 늘리는 결과로 돌아온 현실, 얌전히 수감되어있었다면 비록 누명이었을지라도 최초의 죄에 대한 죗값만 치루고 자유의 몸이 되었을 것이라는 자괴감을 보여주는 장면이다. '인생을 허비한 죄'라는 것은 빠삐용의 탈주 행위를 나타내는 것.
더불어 마지막 대사로 '''Hey, you Bastards, I'm still here!! 이놈들아! 나 살아있다.'''가 유명한데, 특히 한국에서는 KBS-1TV에서 더빙판으로 방영할 당시, 성우 유강진[14] 의 "야! 이 자식들아! 이 빠삐용이 살아 나간단 말이다!" 대목의 절규하듯 연기하던 목소리가 이후 코미디 프로그램에서 개그 소스로 여러 번 재 방송된 바 있다. 드가 역을 맡은 성우는 배한성이었는데, 드가 역을 하면서 코를 막고 일부러 코 먹은 소리로 더빙했다고 나중에 얘기하였다. 영화 아마데우스의 기괴한 웃음 소리의 모차르트 역과 함께 본판초월의 연기력을 보인 대표작 중 하나.
츄리닝 만화에서도 나왔는데 여기 밥을 도무지 먹을 수 없다던 드가 때문에 갓 들어온 빠삐용이 벌레를 주워먹으며 살아남을테다! 이러는데...정작 교도관이 가져다 준 식사는 아무리 봐도 꽤 고급인 고기와 밥. 멍때리던 빠삐용에게 드가는 이건 나에게 안맞다고 하며 외면한다...
프랑스 기아나에 수감된 유명인 중에 드레퓌스 대위가 있다. 작중에서 '이봐, 여기는 드레퓌스가 앉은 자리야' 라는 대사가 나온다.
주연 배우 두 사람 모두 키가 크지 않은 편이다. 스티브 매퀸(177cm)은 당시 일반인 중에는 작지 않지만, 미국 남자 배우 평균 보다 작은 편이고, 더스틴 호프만(167cm)은 확실히 단신. 영화에서 보면 10cm 차이임에도 불구하고 생각보다 그렇게 갭이 크게 느껴지지 않아 잘 어울린다.
영화 마지막 장면에 빠삐용이 뛰어내리는 절벽은 하와이의 마우이 섬이다.[15] 물론 매퀸이 직접 뛰어내린 건 아니고, 전설적인 스턴트맨 다 로빈슨(1947~1986)이 뛰어내렸다. 이 장면 하나로 로빈슨은 이름을 날렸으며, 영화사(映畵史)상 뛰어내리는 장면들 중에서 가장 명장면으로 곧잘 선정됐다. [16]
이 부분에서 옥에 티가 한 장면 있는데, 빠삐용이 야자열매로 만든 배에 탄 채 흘러갈 때, 바다 속에서 잠수부가 그 배를 잡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원래 스크린으로 볼 때에는 잠수부 모습이 잘 구분이 되지 않았으나 스틸 컷이나 TV로 볼 때 보였고, 특히 흑백 TV에서는 완전히 잘 보였다.
성룡, 유덕화, 홍금보 같은 호화 캐스팅으로 화제를 모았지만, 정작 이들은 조연이고 결국 다 죽는다는 엔딩으로 관객들을 멍 때리게 한 영화 《화소도》(1991)에서 장인이던 수사반장을 암살한 범인(사형당한 재소자였다!)을 찾기 위하여, 일부러 죄를 저지르고 교도소로 간 주인공에게 동료 재소자가 몰래 음식을 싸주던 장면이라든지, 이 《빠삐용》과 비슷한 게 많다.[17]
80년대 쇼 비디오 쟈키에서 단막 꽁트로 냈을 때는 최양락이 빠삐용, 드가를 전유성이 연기했는데 먹을 게 없다면서 벌레를 주워먹는(물론 벌레라고 말하면서 바닥을 뭔가 줍는 시늉만 냈지만) 빠삐용에게 수고한다면서 드가가 숨겨둔 빵이나 밥을 맛있게 먹는 탓에 빠삐용이 멍때리고 본다. 나중에 탈출할때 뛰어내리는 영화 장면으로 이어지는데 빠삐용이 뛰어내렸던 장면이 나오다가 내레이션으로 드가를 걱정해서 빠삐용은 돌아왔다가 다시 탈출했다가 돌아왔다가 되풀이했다며 빠삐용이 뛰어내린 장면을 거꾸로 돌려 위로 올라오게 하곤 했다.
90년대 예능 프로그램인 일요일 일요일 밤에에서 당시 막 상종가를 달리던 최민식과 이경규가 함께 패러디 영상을 찍은 적이 있다.[18] 이 때 빠삐용 역에 최민식, 드가 역에 이경규가 연기했는데, 패러디 영상답게 결말이 골때린다(...). 영화와는 약간 다르게 진행되는데, 영화에서는 빠삐용만 탈옥하지만, 패러디 영상에서는 드가도 가담하며, "나는 자유다!" 하면서 제일 먼저 절벽에서 뛰어내린다. 그런데 그 곳은 '''상어가 들끓는 곳'''이었고, 그 사실을 깨달은 드가가 "야, 인마! 여기 상어가 있잖아!!!!!" 라고 하자 빠삐용은 "뭐, 상어가 있다고? 그럼 난, 저쪽에서 뛰어내려야지."하고 다른 곳으로 가버린다(...). 이후 빠삐용이 마지막 탈옥을 하는데 드가는 감옥 생활에 적응했다며 탈옥을 거부한다고 묘사된다는 게 '''감방이 최고급 호텔방으로 묘사'''되어 있다. 감방인데 넓직한 방에 최고급 커텐이 달린 커다란 창문에 고급 더블침대와 컴퓨터까지 구비되어 있다.
김수정 화백이 1986년에 잡지 《새소년》에 연재한 《쩔그렁! 쩔그렁! 요요》에서 허삼봉이 밤새가며 로봇을 만드는데, 당연히 잠도 못 자고 그러니 초췌해진 얼굴을 본 로봇인 요요가 "앗! 빠삐용?"이라고 놀라는 대사를 한다. 아무래도 고생하고 초췌해진 얼굴을 저 빠삐용 이미지로 생각하고 말한 듯.
촬영하는 곳의 날씨가 꽤 더운지, 제복을 차려입은 교도관 역을 맡은 배우들이 수시로 겨땀에 찬 모습으로 등장한다.
5. 명대사
Papillon: Hey you bastards, I'm still here.
빠삐용: 어이 이 개자식들아 나 아직도 살아있다!
(Papillon is contemplating a daring leap from a cliff to escape)
Dega: (the plan) It seems so desperate. You think it will work?
Papillon: Does it matter?
(빠삐용이 탈출하기 위해 절벽에서 뛰어내리는 모험을 강행할 구상을 하며)
드가: 그 계획은 너무 절박해보이는데, 그게 실행 가능할까?
빠삐용: (되든 안되든) 그게 뭐가 중요한데?
Dega: Blame is for God and small children.
드가: 신과 어린아이들이나 나무라는 거야.
Toussaint: If you're going to catch leprosy, it's better to catch it from money than from people.
나병마을 추장: 만일 나병을 옮을 거라면 사람들한테 보다는 돈으로 옮는 게 낫지.
Dega: A temptation resisted is a true measure of character.
드가: 유혹을 얼마나 참아내느냐가 그 사람의 성격의 진정한 잣대지.
Judge in Dream: I accuse YOU... of a WASTED LIFE!
Papillon: Guilty... guilty... guilty...
꿈속의 재판관: 피고를 인생을 허비한 혐의로 고발한다.
빠삐용: 유죄입니다.... 유죄...유죄...
Papillon: We're something, aren't we? The only animals that shove things up their ass for survival.
빠삐용: 인간은 참 특별하지 않아? 살기 위해 뭔가를 *꼬에 쳐 넣는 유일한 동물이니 말야.
Warden Barrot: Put all hope out of your mind. And masturbate as little as possible, it drains the strength!
교도소장: 희망 같은 건 모두 버려라. 그리고 자위는 최소한으로 줄여라. 기력을 소모하니.
Toussaint: How did you know I have dry leprosy, that it isn't contagious?
Papillon: I didn't.
나병마을 추장: 내가 건성 나병환자인거 어찌 알았소? 전염되지 않는 다는 거?
빠삐용: 몰랐소.
Papillon: (to Dega) Me they can kill... You they own!
빠삐용: (드가에게) 저 놈들이 나는 죽여버리겠지만 넌 마음대로 조종하려 들거야!
Camp Commandant: Make the best of what we offer you, and you will suffer less than you deserve.
수용소 교도관: 우리가 주는 것들을 최대한 잘 활용하면 치러야 할 죗값 이상으로 고생하지는 않을거다.
Prisoner: I know you, you're Degas. You're a very intelligent man!
Dega: Thank you. I seem to be known in all the wrong places.
죄수: 나 당신 알아. 당신 드가잖아. 진짜 똑똑한 친구!
드가: 고마워. 난 알려지지 말아야 할 곳에 전부 알려져 버린 것 같군.
Doctor: (Briefly examining Dega in a prefunctory manner) You're fine. NEXT!
Dega: (Walking away) Must be better than I feel.
Doctor: (Briefly examining Papillon) You're in wonderful shape.
Papillon: How do you fail an examination like this?
Doctor: NEXT!
의사: (드가를 성의없이 대충 검진하며) 당신은 정상. 다음!
드가: (걸어가며) 느낌은 정상이 아닌데.
의사: [빠삐용을 건성으로 검진하며] 최고로 건강하군.
빠삐용: 이건 불합격받기가 불가능한 검진인데?
의사: 다음!
6. 리메이크
- 빠삐용(2017) 문서 참고.
2017년, 미국, 세르비아,몰타 등 합작으로 만들어져 미국에선 2018년 8월 24일에서야 개봉했다. 평은 그럭저럭 볼만하지만, 73년생이 워낙 전설이라 가려질 수 밖에 없다는 평도 많았고 개봉도 제한적으로 상영하며 흥행수익도 전세계적으로 451만 6,580달러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