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7016
1. 노선 소개
2. 개요
유성운수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총 운행거리는 56km다. 전체 정류소 목록
3. 역사
- 구 135-2번 도시형버스(서부면허시험장 - 평창동)가 전신이다.
- 2004년 8월 7일에 '남영역 - 광화문' 구간이 연장되었다.
- 2005년 8월 22일에 구룡로(현 월드컵로) 대신 난지도길(현 월드컵북로) 경유로 바뀌었고, '광화문 - 경기상고 - 상명대학교' 구간이 연장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상명대 측에서는 따로 스쿨버스를 운행했으나, 7016번이 상명대까지 들어오게 되면서 스쿨버스를 없앴다. 다만, 셔틀버스는 자하문터널 앞에서 상명대정문까지 뱅글뱅글 돌았기 때문에 이렇게 된 게 더 효율적이라 할 수 있겠다.
- 2018년 12월 1일부터 1일 총 운행횟수가 평일의 경우 2회, 토요일/공휴일의 경우는 각각 3회씩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감회 조치에 의해 배차간격에 생기는 변화는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관련 공문
4. 특징
- 일반버스 6대, 저상버스 27대를 투입하여 운행하며, 저상버스 투입률은 82%다. 그 중 전기버스는 9대이다.
- 상명대생의 발이자 유성운수 중에서 배차간격이 가장 짧고 인가대수도 가장 많은 노선.
- 산 위에 있어 걸어서 올라가기엔 힘들다는 상명대학교 정문 바로 앞까지 데려다주는 노선 중 하나이다.[2] 상명대에 정차한다는 다른 버스들은 실제로는 산 위에 있는 상명대 정문까지 가지 않고, 산 아래 상명대 근처 세검정파출소 인근에 정차한 후 각자의 경로를 간다.[3]
[image]
- 상명대정문까지의 극악한 경사를 자랑하는 도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저상버스가 투입된다.
- 상명대가 북한산 등반코스에 들어 있는 데다가, 학교에 가장 편하게 도달할 수 있는 방법인 버스인 만큼 사람들이 굉장히 많이 이용한다. 오전 8~11시 사이에는 앉아서 가는 건 당연히 포기해야 하고 그저 끼어서 탈 수 있으면 감지덕지해야 할 상황. 광화문역에 도착하기 이전[4] 에 이미 문 앞까지 사람이 모조리 타버려서 가끔 그냥 지나치는 경우도 발생한다. 또한 평일 오후에는 상명대 회차지점부터 이미 상명대생들로 가득 차기때문에, 상명대~경복궁역 구간에서 공덕역 방면 7016번을 타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경복궁역 이후부터는 비교적 여유로운 편. 하지만 이 시간대를 제외한 전체적으로 이용에 불편은 없다.
- 고속화도로인 강변북로를 경유하는 지선버스 중 하나다. 나머지 둘은 3012번과 7013번.[5] 구간은 마포대교북단 - 청암동. 예전에는 한강철교를 경유하고 이촌동까지 돌아갔는데, 원효로4가 산호아파트 쪽으로 다리가 놓이면서 거리가 훨씬 단축되었다.
- 노선의 반이 겹치는 1711번과 비교해보자면, 7016번과 1711번은 상명대~공덕역 구간에서 거의 동일한 노선을 가진다. 다만 상명대입구에서 각각 정차하는 위치가 다르다. 또한 삼성프라자앞에서 정차하는 위치도 각각 다르다. 원효로~공덕역 구간에서도 1711번은 용문시장을 경유하는 짧은 경로를 이용하는 반면, 7016번은 강변북로까지 갔다가 마포대교북단 쪽에서 공덕역으로 올라오는 멀리 돌아가는 경로를 이용한다. 그렇기에 당연히 1711번이 공덕역까지 가는데에 훨씬 빠르다.[6] 그리고 공덕역에서 정차하는 위치도 다르다.
- 세검정교차로 ~ 광화문역 구간은 7018번과 겹친다.
- 소속 차량 중에 7777호가 있다. 동남교통이 부도처리되었을 때 유성운수가 361번을 인수하면서 가지고 온 면허다. 관련 게시물 원래는 구형 버스로 운행하던 예비차였으나 개선형 저상버스로 대차한 후로 정규 버스로 승격되어 운행중이다.
- 저상버스 중에는 여전히 전광판에 Hi Seoul 슬로건이 출력되고 있는 버스가 존재한다. 예를들어 7779호.
- 마포역과 홍대입구를 오가는 유일한 노선이다.
- 굴곡이 심한 노선이다. 홍대입구에서 서울역이나 광화문을 갈 때[8] 공덕역, 마포역, 용산구 원효로, 남영역으로 돌아가기 때문. 양방향 동일하므로 이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마포구 상암동에서 서울역, 광화문, 상명대 이동 시에도 당연하다. 이 노선은 7권역 및 0권역 시티투어 노선이다. 다만 홍대입구역~마포역 구간과 원효로~상명대 구간은 거의 직선이다.
- 2019년 말부터 전기버스가 투입되며 일렉시티 5대, NEW e-화이버드 4대가 운행중이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 [image] 수도권 전철 1호선: 남영역, 서울역, 시청역
- [image] 서울 지하철 2호선: 홍대입구역, 신촌역, 시청역
- [image] 수도권 전철 3호선: 경복궁역
- [image] 수도권 전철 4호선: 숙대입구역, 서울역
- [image] 수도권 전철 5호선: 공덕역, 마포역, 광화문역
- [image] 서울 지하철 6호선: 대흥역, 공덕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A]
- [image]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홍대입구역, 공덕역, 서울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A]
- [image] 인천국제공항철도: 홍대입구역, 공덕역, 서울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A]
- 일반 철도역: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1] 토요일 26대 / 공휴일 19대 운행[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2] 상명대 정문까지 운행하는 노선은 이 노선 외에도 종로13번과 서대문08번이 있다.[3] 다른 정류장에 정차하는 버스들은 세검정.상명대 정류장에 정차하는 110A/B번, 153번, 7730번과 상명대입구.세검정교회 정류장에 정차하는 1020번, 1711번, 7018번, 7022번, 7212번이 있다. 물론 상명대입구.세검정교회 정류장에는 이 노선도 정차한다.[4] 특히 오전 시간에는 숙대입구역 정류장에서 사람이 가득 찬다.[5] 간선버스 중에서는 262번이 있다.[6] 공덕역에서 서울역 갈 때는 173번, 261번, 463번과 604번이 더 빠르게 가긴 하나, 역방향은 서울역버스환승센터에 정차하지 않는 공통점이 있다.[7] 양방향으로 서울역버스환승센터와 숭례문을 경유하는 노선들 중에서 서울역버스환승센터 진입 직전 한정으로 숭례문 중앙차로 정류장(시청/을지로/종로 방면에는 중앙차로 정류장이 없음)에 정차하는 노선이 있고, 반대로 서울역에서 시청 방면으로 갈 때만 숭례문에 정차하는 노선들이 있다.[8] 서울역의 경우 603번을 타면 홍대입구역에서 서울역까지 빠르게 갈 수 있다. 광화문은 271A번, 273번, 602번을 타는 것이 더 빠르다.[A] A B C 은평차고지 방향만 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