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영균(배우)

 

''' 신영균의 주요 수상 이력 '''
[ 펼치기 · 접기 ]

''''''역대''' '''
[image]
'''남우주연상'''
''' 제3회
(1965년) '''

''' 제4회
(1966년) '''

''' 제5회
(1967년) '''
최무룡
(남과 북)

'''신영균
(시장)'''

김승호
(만선)

''' 제5회
(1967년) '''

''' 제6회
(1969년) '''

''' 제7회
(1970년) '''
김승호
(만선)

'''신영균
(대원군)'''

박노식
(돌아온 팔도 사나이)

''' 제9회
(1972년) '''

''' 제10회
(1973년) '''

''' 제11회
(1990년) '''[10]
박노식
(소장수)

'''신영균
(삼일천하)'''

안성기
(남부군)


<color=#373a3c> '''역대'''
[image]
<color=#373a3c> '''남우주연상'''


''' 제1회
(1962년) '''

''' 제2회
(1963년) '''
[11]

'''신영균
(연산군)'''

신영균
(열녀문)
<color=#373a3c>
''' 제1회
(1962년) '''

''' 제2회
(1963년) '''

''' 제3회
(1964년) '''
신영균
(연산군)

'''신영균
(열녀문)'''

김승호
(혈맥)
<color=#373a3c>
''' 제3회
(1964년) '''

''' 제4회
(1965년) '''

''' 제5회
(1966년) '''
김승호
(혈맥)

'''신영균
(달기)'''

김진규
(태양은 다시 뜬다)
<color=#373a3c>

<color=#373a3c> ''' 영화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김진규
(1965)

'''신영균
(1966)'''

김진규
(1967)
최남현
(1968)

'''신영균
(1969)'''

황해#s-3
(1970)

<colbgcolor=#E61E2B><colcolor=#ffffff> '''성명'''
신영균(申榮均)
'''출생'''
1928년 11월 6일 (96세)
황해도 평산군 금암면 필대리[1]
'''본관'''
평산 신씨[2]
'''가족'''
배우자 김선희
슬하 1남 1녀
친손주 3명
외손주 2명
'''학력'''
서울대학교 (치의학과 / 학사)
서강대학교 (문학 / 명예박사)
'''데뷔'''
1960년 영화 '과부'
'''종교'''
개신교(침례회)
'''정당'''

<color=#fff> '''1962년 연산군 포스터다.'''
1. 개요
2. 생애
3. 연예계 생활
4. 소속 정당
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배우, 정당인이다.

2. 생애


1928년 11월 6일, 황해도에서 태어난 실향민이다. 자라면서 연기에 꿈을 가졌지만 공부도 잘해서 진로를 두고 고민하다가 서울대학교 치과대학을 지원해 합격했다. 군의관으로 복무하며 현재의 배우자를 만나고, 개인 병원을 개업해 많은 돈을 벌었지만 연기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다시 연극무대에 섰고, 이어서 영화에 출연해 오늘날의 레전드가 되었다고 한다. 남성적이면서 지적인 이미지 덕분에 주인공으로 감독들이나 제작자들 사이에서 선호도가 높아 다소 무리를 감수하면서도 다작을 하게 되었다고. 선이 굵은 미남형 얼굴에다 당대의 인기 배우로서는 드물게도 거의 스캔들을 일으키지 않았다. 일설에 따르면 연기자로 전향할 당시 부인에게 '바람을 피우지 않겠다'고 서약서를 썼다는데, 서약서를 썼다고 다 그 내용대로 행동하지는 않으므로 원래 성품 자체가 그러한 듯하다.

3. 연예계 생활


주로 60~70년대 영화에서 활동했던 배우다. 일본의 대배우 미후네 토시로를 모티브로 선이 굵은 남성적인 캐릭터를 내세웠기 때문에 사극이나 시대극, 혹은 가부장적인 남성 역할로 활동했는데, 신상옥 감독의 연산군이나 대원군 등의 역할로 유명했고, 6.25 당시 대한민국 공군을 소재로 한 빨간 마후라의 주인공을 맡기도 했다. 그 외에도 '미워도 다시 한번' 시리즈 등으로 거의 300여 편에 달하는 영화에서 열연했던 다작 배우. 청룡영화제 남우주연상 3회 수상. 그러나 1978년 <화조>를 마지막으로 개인 사업과 정치 활동으로 인해 영화배우 은퇴 상태이다.
195-60년대 홍콩 최고의 여배우였던 임대(林黛, Linda Lin Dai)[3]가 1967년 갑작스레 자살했을 당시 신영균에게 고백한 사랑이 거절당하자 괴로워하다 죽음을 결심했다는 소문이 몇몇 미디어에 보도되기도 했는데, 이는 사실무근이다. 임대와 신영균은 홍콩의 쇼 브라더스와 한국의 신필름의 합작 영화 달기에서 같이 연기했던 적이 있다. 다만 신영균은 촬영 중 린다이가 자신에게 사랑을 고백했던 것은 사실이라고 주장했다.
원로 영화배우 중 김지미와 더불어 배우 생활은 물론이고 개인 사업으로도 굉장히 성공한 인물이다. 1977년에는 명동의 랜드마크 격인 명보극장을 인수했고, 1991년에는 맥도날드의 한국 법인인 신맥을 설립하는 등 현금으로만 500억을 상회하는 개인 재산을 보유하고 있고[4][5], 원로 배우 상당수가 그러했듯이 예총 회장을 거쳐 연예계 몫으로 신한국당, 한나라당 전국구 국회의원을 두 차례 지내기도 했다. 다만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성동구[6] 선거구에 출마하였다가 통일민주당 박용만에 밀려 낙선하였다.
2010년, 당시 500억 원 상당의 가치를 가진 명보극장과 제주도 신영영화박물관을 영화계, 예술계의 공유재산으로 기증해 모처럼 영화계의 좌우합작을 이끌었고,서울대에 발전기금으로 100억 원 상당의 토지를 기부하기도 했다.2012년에는 이순재, 심양홍 등 서울대 연극동아리 출신 후배들과 함께 '하얀 중립국'이라는 연극에 출연해 대중들에게 모처럼 배우로써의 존재감을 보였다.
2011년 대중문화예술상 은관문화훈장을 받았다.#
그 후 특별한 근황이 없다가 2015년에도 영화 배우 후배들을 초청하여 식사를 한 사진이 올라왔다.
2017년부터 자유한국당 상임고문으로 위촉되어 있으나, 정당 활동은 하지 않고 있다고 당시 인터뷰에서 말했다.
2019년 11월, 전 재산을 사회에 환원하겠다고 선언했다. 그 이유에 대해서 "이제는 욕심이 없다. 그저 마지막으로 가지고 갈 것은 40~50년 된 내 성경책 하나다. 가족들에겐 나중에 관 속에 이 성경책과 함께 묻어달라고 했다."고 말했다.
2020년 TV조선에서 진행한 트롯 어워즈 심사위원장을 맡았고, '''트롯 100년 심사위원 특별상'''의 시상자로 나와서 시상을 진행하였다.

4.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1970 - 1980
정계 입문

1980 - 1981
정당 해산

1981 - 1990
창당

1990 - 1991
합당[7]

1991 - 1996
탈당

1996 - 1997
복당

1997 - 2012
합당[8]
정계 은퇴

2012 - 2017
당명 변경

2017 - 2020
당명 변경

2020
합당[9]

2020 -
당명 변경

5. 둘러보기






[1] #[2] 평산 신씨 32세손 '均'자 항렬이다. 현재 살아있는 평산 신씨 사이에서 항렬이 굉장히 높은 편에 속한다.[3] 임대 라는 예명은 영어 이름 린다의 중문 음차이다.[4] 현재는 아들이 운영하고 있다.[5] 신영균은 배우 생활을 하며 모든 돈을 착실하게 굴려 연예계 최고의 재력가에 등극하였지만 현역 시절 신영균보다 많은 돈을 벌었던 신성일은 낭비를 해서 그저 그런 부자가 되었다. 당시 신성일 신영균 최무룡같은 1급 배우뿐 아니라 악역을 맡던 허장강 트위스트김 같은 2진급 조연 배우도 현재 가치로 연간 수십억을 벌던 때이다.[6] 1995년성동구 일부가 광진구로 분구 되었고 이듬해인 1996년 제15대 총선광진구 , 선거구로 분구되어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7]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과 신설 합당, 이른바 3당 합당[8] 통합민주당과 신설 합당[9] 새로운보수당, 미래를향한전진4.0과 신설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