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 트랜스타

 

[image]
1. 개요
2. 개발배경
3. 주요특징
4. 제원
5. 주요 운행회사
6. 여담
7. 둘러보기

'''Ssangyong Transstar'''[1][2]

1. 개요


[image]
[image]
베이스 모델인 '''벤츠 O404 RH'''[3]
'''트랜스타'''
[image]
[image]
'''트랜스타 전기형'''
(1994년 6월 출시 초기 ~ 1996년 6월식까지)[4]
'''트랜스타 후기형'''
(1996년 7월 ~ 1998년 초 단종 직전 연식까지.)[5]
[image]
트랜스타 운전대. 쌍용 SY트럭부품 일부를 공유한다.

'''땅 위의 호화유람선'''[6]

쌍용자동차에서 쌍용 에어로버스의 후속으로 1994년 6월에 출시하여 1998년 초까지 생산한 쌍용자동차의 '''마지막''' 대형버스이다.

2. 개발배경


1990년대 초반, 쌍용자동차는 여러모로 위기를 맞은 상황이었다. 주력이었던 코란도현대 갤로퍼가 출시되면서 판매량이 뚝 떨어졌고, 상용차 부문에서도 동아자동차 시절부터 모델 체인지를 거쳐 판매하던 DA 시리즈 트럭DA/SB 시리즈 버스현대, 대우[7], 아시아의 경쟁차종에 비하면 판매량이 보잘 것없는 수준이었다.[8] 심지어 당시 대우 BH120F, 현대 에어로 H/D·퀸, 아시아 AM939와 경쟁을 위해 출시한 12m급 HD 모델 SB66A는 약 2년간의 생산기간에도 불구하고 전국 판매량이 한자리수에 수렴하는 수준이었다.[9] 타사 고속형 버스들처럼 우등 옵션도 있었지만 1군 고속회사에서는 거들떠보지도 않았고 시외·고속회사 중에서는 동해상사고속에서만 몇 대, 그 외 전세버스로 소수가 출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상황에서 독일 벤츠와의 기술협조를 통해 SUV 무쏘를 출시했고, 이어서 O404RH를 기초로 트랜스타를 출시했다.[10] 중동, 남미, 중국 등에 일부가 수출되기도 하였다.

3. 주요특징


벤츠 O404를 베이스로 한 모델이기에, 당시 경쟁 모델들과는 차별화된 점이 많았다. 무쏘 출시부터 질리게 광고하던 벤츠 엔진은 물론이고, 내/외장 디자인도 국내 상용차 최초로 리어 스포일러를 채택했다. 대한민국의 역대 버스 중 유일하게 모든 라인업이 HD급으로 생산되었으며, 2019년 현재 고급 전세버스의 대세가 되어가고 있는 수평 와이퍼 옵션도 있었던 데다가[11] 외관 디자인도 현재의 차량과 비교해 봐도 크게 모자람이 없을 만큼 다른 경쟁 차종과는 달리 선진적 디자인이었다.[12]
당시의 타사 버스들과 비교하면 그야말로 '''"다른 세계에서 온 차"''' 같다는 평가가 많았다. 실제로 일본 차량의 색이 짙었던 현대(미쓰비시 후소와 기술제휴), 아시아(히노자동차와 기술제휴), 대우(이스즈자동차와 기술제휴)의 버스들과 달리 유럽(메르세데스-벤츠)의 색이 묻어 있었으니 다른 세계에서 온 차라는 말이 아예 말도 안되는 평가는 아니었던 셈.
다만 가격 또한 일반고속형인 H형의 기본 가격이 당시로써는 파격적으로 1억 원을 넘어가는 등[13][14] 매우 고가(高價)의 차량이었다.
구동계만 빌려온 무쏘와는 달리, 벤츠의 모델을 면허 생산한차였다. 찻값도 매우 비쌌지만, 로열티로 지불하는 금액이 많다 보니 차량 판매 실적이 좋아도 수익은 그리 크지 않았다고 한다. 이는 같은 배경으로 탄생한 SY트럭 또한 마찬가지였다. 1998년 쌍용자동차대우자동차로 넘어간 직후에 단종되었다. 쌍용자동차가 다시 독립한 이후에도 상용차 생산을 재개하지는 않았고,[15][16] 이후 상하이자동차가 쌍용자동차를 인수하면서 상용차 라인과 상용차사업부를 중국으로 이전해 현재 중국에서 유사 모델이 생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결론적으로 말해 '''여러모로 시대를 너무 앞선 버스'''였다고 볼 수 있다.

4. 제원


  • TRANSSTAR S(SB85S) : 전장 11.5m, 높이 3.45m OM401LA, OM441LA
현대 에어로 스페이스 LS, 아시아 그랜버드 그린필드, 대우 BH116 로얄 럭셔리와 동급.
  • TRANSSTAR P(SB85P) : 전장 11.5m, 높이 3.45m OM441LA
현대 에어로 익스프레스 LDX, 아시아 그랜버드 파크웨이, 대우 BH117H 로얄 크루스타와 동급.[17]
  • TRANSSTAR H(SB88H) : 전장 11.96m, 높이 3.45m OM441LA, OM442A
현대 에어로 익스프레스 HSX, 아시아 그랜버드 블루스카이, 대우 BH120F 로얄크루저와 동급.
  • TRANSSTAR V(SB88V) : 전장 11.96m, 높이 3.45m OM441LA, OM442A
현대 에어로 퀸, 아시아 그랜버드 선샤인, 대우 BH120F 로얄크루저(우등)와 동급.
기본적으로 출시 때에는 V6 터보 인터쿨러 엔진인 OM401LA와 V8 터보 엔진인 OM442A 엔진을[18] 사용했으며 OM401LA 엔진은 국내 버스에서 처음으로 채택된 터보 인터쿨러 엔진이었다. 1996년에 모델 체인지가 이루어지면서[19] 출력 부족으로 말이 많던 OM401LA를 OM441LA로 대체하였다. 401은 V6 터보 인터쿨러 310마력, 441은 V6 터보 인터쿨러 340마력, 442는 V8 터보 340마력이었다. 441과 442는 본래 360마력 엔진이지만, 국내에 들어오면서 국산 통일중공업 제작 수동변속기 채용관계로 340마력으로 출력을 조정했다. [20]

5. 주요 운행회사


고속버스 쪽에서는 금호고속에서 우등형인 V442형을 40대 가량 운행했으며, '''전량 호남선에만 투입했었다.'''[21] 중앙고속에서도 우등고속 몇 대를 소수 운행하기도 했다. 시외버스 쪽에서는 충남고속에서 일반고속형인 H442형을 40대, S441형을 6대 운행했고[22], 신흥여객, 경남고속(당시 경남버스)에서 S형을 다수, P형을 소수 운행하기도 했다.[23] 전북고속에서는 S, P, H, V 모두 보유하고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S형, H형을 다수 보유했다. 이 외에도 메르세데스-벤츠라는 이름값 때문인지, 평소 쌍용버스를 운행하지 않던 회사들도 몇 대씩은 뽑아서 운행해 본 회사들이 많았다. 특히 충남고속, 경남고속, 동해상사고속 등 기존에 쌍용버스를 운행하던 회사들은 대부분 트랜스타로 구매가 이어지는 모습을 보였다.
물론 전세버스로도 많이 출고되었다. 트랜스타가 생산되었던 1994~1998년 당시에는 고급 옵션을 포함한 전세버스의 수요가 적었기 때문에 전세버스로 운영되던 트랜스타는 대부분 S급 위주에, P급·H급 약간, V급 극소수였지만, 타사 동급 모델에 비해 선진적인 내·외부 디자인 덕분에 당시 승객으로부터의 인기도 상당히 좋은 편이었다.
하부냉방 사양도 있었는데 일부 야구단이나 전세버스 등에서 소수 운행했다고 한다.

6. 여담


  • 정비가 상당히 까다로운 차량이었던 듯하다. 트랜스타를 다수 운행했고, 회사에 1급 공업사도 보유하고 있는 모 회사의 경우에도 경정비를 제외하면 트랜스타를 제대로 정비할 수 있는 곳은 본사 공장과 트랜스타가 주로 운행하던 서울 정비실밖에 없다고 할 정도다.
  • 많은 차량이 러시아로 수출되었다. 쌍용자동차가 1998년 트랜스타가 단종된 이후로는 상용차를 생산하지 않은데다, 쌍용자동차의 위기와 겹쳐 2000년대 초반부터 국내에서는 타 차량에 비해 부속수급이 상당히 어려웠지만, 당시에도 러시아에는 쌍용/벤츠 부속이 바닥에 굴러다닐정도로 여유있다는(...) 말이 많았고, 실제로 많은 수가 러시아로 수출되어 현역으로 활동하고 있다.
  • 현재 기준으로 봐도 모자랄 것 없는 디자인에, 당시 경쟁사들이 일본 후소, 히노의 엔진이나 MAN社의 구형 엔진을 라이선스 생산했던것과는 달리, 벤츠 엔진을 탑재한 덕분인지, 버스 동호인과 트랜스타를 운행해본 버스기사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인기 모델이자 환상(?)속에 남아있는 모델이다.[24]
  • 뒷좌석이 다른 버스들에 비해 상당히 길다.
  • 고강공영차고지 인근에 일반 버스를 세워놓은 곳 한편에 이 모델의 차량이 한 대가 있는데, 2017년 기준 한 사람의 집으로(...) 쓰이고 있다. 2019년 기준 현재 사라졌다.
  • 현재 국내에서는 소수의 차량이 남아있는것으로 추정된다. 한대는 국립경주박물관 주차장에, 한대는 문경선 인근 진남역, 그리고 마지막 한대는 파주쪽에 있는데 파주쪽에 있는 차량은 상태가 매우 좋으며 교회버스로 운용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는 생사불명. 안동에서는 고려여행사, 대마관광여행사, 안동우주관광, 월드관광 전세버스와 모 회사 통근버스로 운행했으며 길원여자고등학교에서는 대마관광여행사 97년식 트랜스타S를 통학 및 학교행사,여행용으로 굴렸으며 2010년~2011년까지 운행되었다 동부교회에서는 96년식 트랜스타를 한때 운행했었다. 현재 흑산도 항구에서는 관광버스 출신 트랜스타 한대가 포장마차로 영업중이다.
  • 버스모형계에서도 상당히 보기 힘든 차량으로 취급받고 있다. 구글에 '쌍용 트랜스타 전개도'라고 쳐도 검색결과가 드문드문 손에 꼽을 정도로 나올 뿐더러, 인터넷을 다 뒤져서 트랜스타만 골라 저장한다 해도 다른 나름 '인기 없는'차들보다 현저히 수확 수가 적다. 그것도 고속버스는 구하기 '나름' 쉽다고 하지만. 무도색 도면은 가뭄에 콩싹 찾기만큼 힘들다.[25] 그만큼 트랜스타가 버덕들에게도 외면받는 차란 뜻. 다만 2000년대 초반 까지만 해도 영업용으로 생존해 있는 개체들이 적지 않았던 만큼 트랜스타를 좋아하는 버덕들도 많았으나, 2000년대 중후반을 거치면서 영업용으로 모두 퇴역하여 최후에 출고된 1998년식 조차도 2008년을 끝으로 완전히 사라지면서, 2019년 현재 기준으로 단종된지도 21년이 지나고 영업용에서 모두 사라진지도 11년이 지나다보니 거의 잊혀진 차량이 되어버렸다. 그리고 현재 버덕 중에서도 중·고등학생 이하 연령의 저연령층들의 경우는 트랜스타를 거의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26]
[image]
  • 2008년 겨울에 인피니티 전시장 (현 서울모터스튜디오 강남)앞 사거리에 트랜스타 3대가 일렬로 지나가는 것이 다음 로드뷰 차량에 촬영되었다. 검색창에 '현대모터스튜디오 강남' 입력 후 현 아우디 매장 방면으로 차를 세운 다음 시기를 2008년 11월로 설정해 놓고 반대쪽 차로를 보면 트랜스타 3대를 확인 할 수 있다.
  • 2001년 당시 버스매니아 닷컴(現 버스라이프)에서 "트랜스타의 눈물"이라는 칼럼이 올라오기도 했었다.# 여기저기 오류가 있으니 걸러서 보자.[27]
  • 1994년 당시 자동차생활 7월호에서 아폴로 박사였던 조경철 박사가 이 버스를 시승 했던 적이 있었다.
  • 트랜스타가 유난히 버스사고가 잦았던 차량중 하나였다 지난 2003년 10월 21일 화요일 오후 3시 45분경, 경상북도 봉화군 명호면 청량산 진입로에서 대구 청솔고속관광 트랜스타S[28]관광버스가 20M 아래 개울로 떨어져 19명이 사망한 대참사가 일어났다. 이때 SBS 8 뉴스에서 사고 현장을 모자이크 없이 그대로 방송했다. 그 외에도 트랜스타 관련 버스 사고가 몇차례 더 발생한 적이 있는 흑역사가 많은차량이다.

7. 둘러보기




[1] 발음으로 따지면 S가 하나인 것이 맞지만, 당시 쌍용의 로고이던 트윈 S로고를 차명에 사용하여 정식 명칭은 S가 두개인 것이 맞다. [2] 표기대로 발음한다면 "트랜ㅅ스타" 처럼 소리가 난다. [3] 원판인 벤츠 O404은 데크 높이에 따라 RH, RHD, SHD 세가지 옵션이 존재한다. 이중 트랜스타의 베이스가 된 모델은 데크가 가장 낮았던 RH 모델. 참고로 데크가 가장 높은, 최고급 사양이였던 O404 SHD는 이렇게 생겼다.[4] 사진은 러시아에 수출된 트랜스타와 중앙고속에서 운행했었던 트랜스타. 1996년 후반에 나온 후기형 모델과 구분하자면 후륜 스포일러가 길쭉하며 앞문, 앞창틀 위에 플라스틱 재질의 에어덕트가 없는 점. 후면의 에어덕트 모양과 운전석 쪽 창틀 모양이 후기형과 다르다.[5] 일명 '''뉴 트랜스타'''라고 하며 앞문, 앞창틀 위에 플라스틱 재질의 에어덕트가 생겼으며 후륜 스포일러가 길쭉했던 전기형 모델과 다르게 스포일러 길이가 짧아지고 운전석 쪽 창틀이 바뀌었으며 후면의 에어덕트 모양이 바뀌었다. 1998년 단종 직전의 연식은 가운데 속도등이 없어진 채로 생산분 모델이 나오면서 단종되었다. 그런데 사진의 차량, 휠커버가 대우버스 것이다. 트랜스타 순정 휠캡과 비슷하지만 조금 다르다. [6] 트랜스타의 어원은 '''Tran'''sportation과 '''Star'''의 합성어라고 한다. 즉 위에 나온 대로 '''땅 위의 호화유람선'''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사용하였다.[7] 당시에는 대우그룹이 공중분해되기 전이니 대우자동차에서 만들었다.[8] 1980년대 중반까지 국내 버스시장의 정점이라 할수있는 고속버스 시장에서는 아시아자동차B909L이 선두를 지키면서 동아자동차의 HA50/55계열이 뒤를 따르는 상황이었다. 당시 대우, 현대는 큰 점유율을 가지지 못했다. 이런 상황이었던 것이 1980년대 후반에 들어 동아의 HA60이 브레이크계통 결함으로 사고를 치고 몰락해버리고, 현대의 에어로 시리즈와 대우의 BH120H 로얄시리즈가 연달아서 등장하며 큰 인기를 끌게된다. '대형차는 대우'라는 말도 이 즈음부터 나오게 된것. 본문에서도 언급되지만 동아/쌍용의 버스는 다시는 예전의 명성을 찾지 못했다.[9] SB66이 안 팔린 이유는 일단HA60의 브레이크 결함 때문에 동아/쌍용 버스가 회사의 신뢰를 잃게 된 것도 있는데다가 SB66이 등장했을때 엔진 출력 장난질을 했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10] 트랜스타 출시와 함께 벤츠 SK 트럭을 베이스로 한 SY 트럭도 함께 출시했다. 영업용 버스에 비해 내구연한이 긴 트럭의 특성상 SY 트럭은 2020년 현재도 현역으로 종종 찾아볼 수 있다.[11] 다만 트랜스타가 생산된 1994년~1998년 당시에는 전세버스에 고급 옵션을 요구하지도 않았고, 전면 통유리의 내구성도 그리 좋지 않았기 때문에 수평 와이퍼 옵션은 별로 선택되지 않았다.[12] 당시 일명 '은하수 조명(갤럭시 램프)'으로 불리던 천장 조명은 당시에 상상할 수 없을만큼 충격적인 것이었다. 독서등과 스피커(음소거 버튼 포함), 에어컨 루버를 통합해서 적용했던 차종은 트랜스타가 최초였다. 에어컨 루버 또한 경쟁사의 동급 차종들이 중간의 레버를 돌리거나(원형 루버), 옆의 레버를 제껴서 여는(사각형 루버) 방식인 반면, 쌍용 트랜스타는 자일대우버스 BX212, 현대 유니버스, 기아 그랜버드 2세대 처럼 눌러서 여는 형태의 원형 에어컨 루버를 경쟁사 보다 무려 10년 앞서서 처음으로 도입하였다.[13] 다시 상기하지만 트랜스타는 '''1994년에''' 출시된 차량이었다. 1994년 당시 기본 가격으로 엘란트라가 720만 원, 쏘나타 2가 950만 원, 프린스가 하위 트림 가격이 965만 원, 풀 옵션 기준으로 1,500만 원, 아카디아가 4,230만 원 하던 시절이었다.[14]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겠지만, 당시의 엘란트라와 현재의 아반떼의 가격 비교를 통해 트랜스타 H형의 현재 가격을 구하면 약 1억 9천 4백만 원.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 일반고속 형 가격이 2019년 현재 1억 6천 8백만 원 정도이니, 현재 가격으로 따져도 약 2천 5백만 원 차이로 고가(高價)의 차량이다.[15] 대우자동차가 트랜스타를 단종시킨것은 당시 '대형차는 대우'라고 할 만큼 대우의 상용차 라인업이 경쟁력이 있는 상황에서 굳이 이익도 안나는 차량을 중복생산할 필요성이 떨어졌던것이 이유로 보인다. 이 당시 쌍용자동차가 벤츠와의 기술제휴로 만든 쌍용 SY트럭이나 트랜스타도 상품성 자체는 뛰어났었으나, 가격대 성능비는 대우자동차의 대형 상용차 보다는 떨어졌다. 또한 1990년대 개발된 모델로 디자인을 제외하면 모든것이 밀릴수밖에 없던 당시 상황에서 굳이 생산재개를 할 필요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신차종을 개발하기엔 상황도 너무 좋지 않았고...[16] 다만, 쌍용자동차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하동환자동차가 시초이고, 하동환자동차는 버스전문 메이커로 국내 최초로 버스 수출까지 했었으며 최소한 동아자동차 시절까진 동아버스에 대한 명성이 있었기에 쌍용차의 상용차 포기는 아쉬운 점이 있다.[17] 사실 트랜스타가 생산되던 당시에는 트랜스타 P와 같은 차급의 차량은 거의 없었다.[18] 본래 메르세데스-벤츠 원판에는 터보 인터쿨러 버전인 OM442LA 엔진도 있으나 출력이 약 440마력으로 오버스펙인데다 국산 통일 수동미션으로는 해당 출력을 절대 감당하지 못하는 문제로 인해 도입되지 못하였다.[19] 외관상 차이점은 거의 없다. 출입문/운전석 창문 위쪽 부분을 유리에서 플라스틱 판넬로 변경하고, 운전석 창문 형상변경, 후면 스포일러가 초기형 모델은 길어졌다가 모델 체인지 당시 짧아짐, 측면 가니쉬 모양을 변경한 정도. S형에 고급사양을 적용한 P형도 이때 출시됐다.[20] 그 당시 트랜스타에 채용된 통일중공업 제작 수동변속기가 메르세데스-벤츠 OM441LA/442LA 엔진의 순정 마력인 360마력을 버티지 못해 장기간 운행시 변속기의 수명이 단축되고 내부 부품에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견되어 부득이하게 터보압을 낮추어 엔진을 디튠할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물론 원판 O404에 들어가는 ZFAMT로 미션을 스왑하거나, 살짝 압력을 조정하면 본래의 벤츠 순정 출력으로 높일 수는 있지만 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는 쌍용자동차에서 책임을 지지 않았다고...[21] 대차를 코앞에 둔 시점에는 경부선에도 다니긴 했었다.[22] 다만, 이 회사에서 S형은 오래 운행하지 않고 매각했다.[23] 폐차 때까지 운행하지는 못했고 일부를 코리아와이드 경북, 푸른교통, 동부강남고속, (주)세원 등 업체에 중고로 팔았다.[24] 현재 나오는 현대 유니버스기아 그랜버드보다 훨씬 더 편하다는 평도 있다. 문제는 이 둘 보다 서스가 무르다는 것.[25] 그러나 2018년 9월에 버스모델러에서 트랜스타 모형이 공개되면서 길이 열렸다.[26] 사실 그럴수밖에 없는이유가 2010년대 기준 중·고등학생이 2001~2006년생이어서 더더욱 그럴수밖에 없다.[27] OM401 엔진이 직렬 엔진이라 나오고(실제로는 V6 엔진이다), 변속기의 다이렉트 드라이브(D.D)와 오버 드라이브(O.D) 설명도 잘못되었다.[28] 96년 2월에 제작출고되었으며 스포일러가 길쭉한게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