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티 캐리어

 



1. 개요


스타크래프트에서 테란의 對 프로토스 캐리어 전략에 대한 대응법을 의미한다.

2. 상세


안티 리버 캐리어 빌드로 상대 토스의 리버 캐리어 혹은 지상군 운영을 상대하는 대표적인 경기로는 이영호 vs 송병구의 곰TV스타인비테이셔널 2007 결승전, 이영호 vs 오영종의 곰TV인비테이셔널 4강전, 그리고 이영호 vs 김택용박카스 스타리그 2008 4강전 등이 있다.
2007년 말엽 경, 송병구를 필두로 한 1류급 토스들의 강력한 '''리버 캐리어''' 빌드에 테란들이 족족 썰려나가자 이에 대한 카운터로 이영호가 곰TV 스타 인비테이셔널에서 송병구를 상대로 사용해서 승리하기도한 전략이다.
이영호 본인도 Daum스타리그 3,4위전 1경기에서 송병구의 지상 병력을 전부 무손실로 쌈싸먹고 승기를 잡았으나 단 6기의 캐리어에 패배해 버린 뒤 절치부심하며 준비한 것이다. (이 빌드로 이영호는 박카스 스타리그 2008과 곰TV 스타 인비테이셔널에서 1류급 토스들을 족족 제압하고 우승했으며 육룡들을 모조리 토막냈다.)[1]
김택용과의 박카스 4강전은 안티 캐리어 대응이 꼭 '''리버 캐리어같은 캐리어 전략'''에만 강한건 아니고 아비터+지상군을 상대도 된다는 것을 보여준 경기다. 3경기 카트리나에서도 안티 캐리어로 출발하긴 했으나 상대 전진 로보틱스를 정찰로 발견하자 골리앗 대신 엔베를 짓고 미사일 터렛 장벽으로 수비를 했다. 4경기 블루스톰에서도 안티 리버 캐리어 빌드가 나왔다.
송병구는 XNOTE-인텔센트리노 곰TV 스타 인비테이셔널 결승전에서 안티 리버 캐리어를 준비한 이영호에게 2:3로 패배했다.
송병구에 의해 테프전에서 리버 캐리어가 판치자 이영호가 이 빌드를 변용해 빠른 2팩토리에서 아머리-아카데미를 동시에 지어 초반에 3~4골리앗을 추가해 셔틀 견제를 피해없이 막고 추가 아머리 건설 후 업그레이드를 시작, 베슬 나오는 타이밍에 두 번째 멀티를 가져가 2/1업 타이밍에 진출하는 '안티 캐리어' 빌드로 맞선다. 이 안티 캐리어와 이전 업테란의 차이점은 이전에 두 번째 멀티를 가져가는 타이밍이 5팩이던 시절에서 2~3팩으로 매우 빨라졌다는 점이다. 물론 이는 점차 많은 자원을 주어지게 만드는 맵의 풍조가 도와줬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안티 캐리어 빌드로 이영호는 2007년 최고의 프로토스였던 오영종, 김택용을 다전제에서 잡아내고 급기야 송병구마저 꺾으며 리버 캐리어의 종말을 알린다. 송병구는 이 빌드를 잡기 위해 2008 박카스 스타리그 결승전에서 절차부심하나 이영호의 타이밍 러쉬에 역관광 당한다. 이후 리버 캐리어가 사라지고 토스는 대부분 트리플넥서스로 회귀해 아비터의 스테이시스 필드와 사이오닉스톰을 이용했으나 카트리나콜로세움 등 여전히 테란도 트리플 하기 좋은 맵이 많았기 때문에 골리앗을 제외하고도 업테란 빌드는 꾸준히 이용되었다.
이후, 박카스 스타리그 2008 결승전 1,2경기에서 기존의 셔틀,리버 빌드의 빈틈을 1경기에서는 팩더블 투팩 러쉬로 리버 아케이드가 격파되고, 2경기에서는 BBS 벙커링으로 찌른 이영호에게 0:3으로 패배했다.
이후 송병구는 인크루트 스타리그 결승전에서 리버 아케이드가 아닌, 아비터 테크를 주력으로 사용하였고, 정명훈을 상대로 3:2로 우승하였다.
그후, 박카스 스타리그 2010에서 토스들이 테란의 초반 러쉬에 대비하여 셔틀, 리버 빌드 오더를 개선해서 사용하였고, 그후에 박카스 스타리그 2010 결승전에서 정명훈을 상대로 1,2경기 2연속으로 리버 아케이드를 사용하였고, 1경기에서는 최적화된[안티 리버 캐리어에 송병구는 깡통 캐리어가 나왔고, 2경기는 정명훈의 레이스에 의해 송병구의 셔틀, 리버가 아무것도 못하고 막혔고, 결국 송병구는 정명훈에게 0:3 셧아웃으로 패배했다.

2.1. 5팩 타이밍 러쉬


5팩 타이밍 러쉬 자체가 기본적으로, 리버 캐리어패스트 캐리어를 포함해서 예외없이, 캐리어를 상정한 전략에 대한 하드 카운터로 작용한다.
리버 아케이드와 캐리어를 확실하게 담가버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셔틀+다크'같은, 셔틀 견제 플레이 관련된 웬만한 빌드는 거의 다 녹여버린다.

2.2. 트리플 커맨드


박카스 스타리그 2010 결승전 '''1'''경기 정명훈 vs 송병구

먼저 플릿 비컨을 스캔이나 벌쳐 드랍 등으로 발견한 후에 이에 대한 대비를 시작하는 것이 주류이다.
플릿 비컨을 발견하기도 전에 '빠른 골리앗의 추가' 혹은 '팩토리 추가 대신에 스타포트를 빠르게 올려서 레이스를 생산'를 할 경우, 리버 캐리어의 전단계인 리버 아케이드 카운터에 최적이다.그러너 아비터 테크의 발업 질럿, 사업 드라군 조합을 상대로 트리플 넥서스 견제에 벌처,탱크 조합 보다는 비 효율적이며, 생더블같은 초반 자원 확장 위주 운영에는 상당히 좋지 않다. 원팩 상태에서 아머리/아카데미를 동시에 올리거나 스타포트를 올리기 때문에 타이밍 러시를 가기에는 팩토리 추가가 한 박자 늦어 충분한 병력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럴 때는 수비용 골리앗보단 테란도 트리플 확장으로 가거나 투팩으로 압박하는 것이 나을 수도 있다.
어쨌든 테란이 이렇게 대응하면 토스의 리버 아케이드는 손도 못써보고 패배히게 되면서, 캐리어는 셔틀,리버와 함께 과거 테프전의 정석 전략이었던 영광을 완전히 잃고 가끔씩 기습적으로 나오는 깜짝 빌드 오더정도가 되어버렸다.
리버 아케이드 대비로는 빠르게 골리앗이나 레이스를 추가하여 셔틀, 리버를 방어하는 것에 있다.
터렛을 박아서 셔틀을 막는 것은 상대 토스에게 어떻게든 파고들 틈을 주는 경우가 많은데, 이에 기동력을 갖춘 골리앗을 빠르게 4기 정도 생산함으로써 본진, 앞마당 안으로 셔틀의 진입 자체를 허용하지 않는 것이 기본 개념이다. 리버 캐리어의 핵심이 바로 리버 견제로 시간을 많이 벌어야하는데 시간을 버는 목적 자체를 상쇄시킨다는 컨셉인 셈. 엔베와 터렛은 상대가 전진 로보틱스나 패스트 다크 템플러를 가는 것을 발견하지 않는 한 초반엔 짓지 않는다.
보통은 초반 수비용 마린 숫자는 상황에 따라 조절하며 첫 탱크를 누르고 원팩 더블을 가져간다. 그 후 엔지니어링 베이를 아예 배제하고 아머리아카데미를 동시에 올린 후 투팩까지 늘린다. 처음엔 2~3탱크를 뽑지만 아머리가 완성되면 공업을 누르고 2+2 → 4골리앗을 뽑고 벌쳐의 마인업보다 골리앗 대공사거리 업그레이드를 먼저 누른다.[2] 그리고 앞마당 입구는 심시티와 탱크, 마린으로 상대 지상 압박을 방어하고 셔틀이 날아올만한 경로에 골리앗을 세워 상대 리버 견제를 거의 원천 봉쇄시킨다.
이렇게 되자 프로토스는 메카닉의 차원이 다른 화력에 밀릴 수밖에 없었다. FD테란의 등장 이후 빌드싸움은 테프전은 서로 앞마당을 먹는 것으로 귀결되었기에 테란은 최소 2가스를 확보해서 막을 수가 없었다. '''답이 없어요, 캐리어 가야해요!'''가 등장한 것도 이 시점. 박지호오영종의 신3대 토스들은 아비터를 활용해 후방을 치고 자원줄을 끊고, 다수 게이트웨이의 회전력으로 승부하는 방법으로 이에 맞섰다.
이 빌드는 주로 1업이 완료될 타이밍에 센터를 치고 나간다. 이 타이밍에 병력과의 교전을 통해 이득을 보며 센터와 거점장악의 이득을 챙기고 2업 타이밍에 모인 한방 병력으로 경기를 끝낸다. 중앙에서 한타 병력 분쇄 후 빠르게 거점을 장악해 각 멀티에 흩어진 게이트에서 나오는 프로토스 병력이 모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진출 타이밍은 상대가 캐리어로 전환하는 것을 확인했을 때다.''' 대부분 첫 2~3캐리어가 나와서 인터셉터를 채우려는 순간이 가장 약한 타이밍이다. 물론 상대가 아비터를 추가할 경우에는 진출타이밍에 압박받지 않고 그냥 200채우고 풀업을 기다리면 된다.
리버로 일단 피해를 주기는 고사하고, 골리앗들이 어슬렁거려서 적진 진입 자체가 불가능해 시간조차 벌 수 없기 때문에 프로토스는 추가 확장을 하기도 어렵거니와 테란이 진군하는 타이밍에 프로토스는 지상군도 어정쩡한 양으로 모여있고 캐리어도 숫자가 적거나 인터셉터를 다 채우기도 전이기 때문. 거기에 이미 골리앗은 공격력+1업이 찍혀있으므로 소수 캐리어를 상대로는 가만히 놔둬도 인터셉터가 녹아난다. 이 타이밍엔 프로토스도 자원을 굉장히 빡빡하게 돌리기 때문에 인터셉터를 녹이면 프로토스의 자원도 바닥나게 할 수 있다.[3]
설사 캐리어가 뜨더라도 그 타이밍과 테크가 올라가는 것을 보고도 골리앗을 생산해 대처할 수 있고 또 인터셉터를 터트려서 깡통 캐리어로 만들어 프로토스의 자원을 역으로 말려 죽이는 플레이가 가능하다. 상대 토스가 캐리어를 가지 않더라도 업그레이드도 빠르게 돌릴 수 있어 업테란을 구사하기도 매우 좋다. 꼭 캐리어 상대가 아니더라도 후반 아비터+지상 물량 상대하기에도 좋다는 말.
[1] 아이러니하게 도재욱의 캐리어에 당해 연승이 끊겼다. 캐리어 가는 토스 요리하는 장인이었던 이영호가 말이다. 여담으로 이영호는 2009년 후반~2010년 전성기에 네이트 MSL 8강에서 도재욱을 셧아웃 패배를 시키며 상대 전적도 따라잡았다.[2] 투 스캔을 달고 상대 본진을 확인한 후 다템 관련 빌드라면 마인 업부터 누른다. 남은 스캔은 최대한 아껴 다템을 잘 저격해야한다[3] 캐리어의 인터셉터 생산은 리버의 스캐럽처럼 일정 미네랄을 소비하여 생산하는 것이다. 그런만큼 인터셉터가 녹아 프로토스가 이를 보충하는 빈도가 늘어나게 된다면 필연적으로 골리앗을 제거해줘야할 프로토스의 지상 병력에 실리는 자원력이 떨어진다. 테란의 입장에선 골리앗의 기나긴 사거리로 편하게 케리어의 인터셉터만 줄곧 잡아 죽였을 뿐인데 프로토스의 지상 병력도 약해지는 개이득을 보게 된다. 더 골치아픈 것은 케리어의 인터셉터는 강력한 한방의 공격이 아닌 적은 데미지의 공격을 다수의 인터셉터가 연달아 퍼붓는 방식이기 때문에 테란이 지상 메카닉 방어력 업그레이드를 제대로 해준다면 골리앗이 잘 녹지도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