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모토씨

 


1. 개요
3. 역사
3.1. 네타 발생기
3.2. 삭제 휴식기(전성기)
3.3. 에어 코스트(S작전)기
3.4. 의사모토씨 삭제 사태 및 그 이후
4. 탄압(?)의 유사사례
4.1. 일본
4.2. 한국
4.3. YTPMV계
5. 시나노프리
5.1. 의사모토씨
5.2. 그 외 안전소재
6. MAD관련 문화
7. 용어
8. 기념일
9. 니코동에서 영상을 볼 수 있는 태그
10. 니코니코 외 MAD 투고 사이트
12. 관련 사이트


1. 개요


[image]

'''頭がパーン!''' (머리가 파앙!)

'''やったぁ!'''・'''面白かったねー!''' (해냈다!/재밌었네-!)[1]

'''┗(^o^ )┓三''' [2]

일본의 연예인인 히사모토 마사미는 1990년 후반 창가학회의 홍보 비디오인 《멋진 우리의 인생 Part2》 (すばらしきわが人生 Part2)에 출연했다.[3] 이 비디오에서 히사모토는, 1992년 1월 5일 창가학회 신년간부연합총회에서 시바타 리에와 함께 사회를 맡았을 때, 행사가 끝난 뒤 이케다 다이사쿠 회장이 재미있었다고 말을 해 주자 "감동으로 인해 '''머리가 팡~'''했다"며, 그 정도로 큰 감동을 받았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이 비디오가 정식 발매된 몇 년 뒤인 2000년 초에, 모 5ch(당시 2ch) 이용자가 창가학회 신자로서의 마사미를 비방하려[4][P헌금][놀림의사례] 이 비디오를 소량 유통하였고[5], * 당시까지만 해도 '유명한 개그우먼이 이상한 사이비 종교 홍보 비디오에 나왔다'라는 주제 정도로만 화제가 되었지만...

'''2007년, 위 음식 레이스 MAD 영상을 기점으로 니코니코 동화에서 매드 무비 소재로 유행하기 시작하였다.'''[6]
[ 대사 해석 ]
달리게 해주십니다
파앙☆파앙☆머리가 파앙☆
머-리가 파앙☆파앙☆파앙☆
기쁨과 감동으로 머리가 파앙☆
[파앙 생략]
입을 열자마자 말씀하신 거에요
인간혁명... 머리가 파앙☆
파앙☆ 파앙☆ 파앙파앙파앙파앙
(여기부터 시작하는 My Revolution~♪)
뭐랄까, 따뜻하다고나 할까...
뭐랄까, 파파파파팡 파파팡 이라고나 할까...
선생님이 "재미있었네-"하고
듣는 순간 머리가 파앙☆
언제나 용기와 희망과 용기와 희망과 용기와 희망과 활기를 내어주시는
용기와 희망과 용기와 희망과 용기와 희망과 ㅎ-ㅎ-활기를 내어주시는
(얼마 안 되는 시간을 내어 My Revolution~♪ 하는 히사모토씨.)
[이하생략]
...정말~로 놀랐습니다!
그런가 그런가! (창가 창가!)


그러나 해당 영상의 원소재인 <우리들의 멋진 인생 Part2>는 시나노 기획[7]라고 하는 법인에서 저작권을 갖고 있었고, 이에 재생수 6만을 조금 넘긴 상태에서 신고에 의해 지워지고 만다. 이후에 따라서 만들어진 다른 매드들 역시 운영자에 의해서 지워져갔고[8]. 그러다가 한 유저가 구루메 레이스의 리믹스가 흘러나오는 영상[9] 투고, 설명문과 투고자 전용 코멘트 란을 이 네타 관련 코멘트로 채워 넣어 어그로를 끌었고, 이를 보고 스레 등지에서 끌려온 많은 이들이 일종의 풍평피해를 남기기 시작하며 '''제 2의 성지'''로 변모하였다. 이때,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원 매드의 환청이 들린다는 뜻에서 "에어히사모토씨"라는 호칭이 사용되었고, 이를 줄여 쓰기 시작하면서 '''에어모토씨'''라는 역사깊은 단어가 등장하게 된다.
이후로도 많은 매드가 만들어지며 운영에 의해 지워지고, 그렇게 지워도 계속해서 다시 올라오는지라 '불사조 동화'라는 별명과 영상/탄막에 '삭제하면 증가합니다'라는 태그 도 생겨났다. 회사 영문이름인 SHINANO를 거꾸로 하면 ONANIHS인지라 이것도 네타로 사용되기도 한다.[10] 에어모토 관련 동영상에는 보통 필수아모토산 (必須アモト酸)이라는 태그가 붙어있는데, 모 스레민이 '필수아미노산'을 조금 뒤틀어 놓은 것. 일어 독음으로 '힛스아모토상' → '히사모토상'이라고 읽는다. 즉 '히사모토씨'. 참고로 이 문서도 필수아모토산으로 들어올 수 있다. 에어모토씨와 같은 별명이기 때문.

매우 오랜 시간 동안 인기를 끌어온 소재로서, 시나노기화의 비디오에 출연한 거의 모든 인물이 소재화되어 있다. 게다가 2007년부터 2011년 초반까지 가치무치 팬티 레슬링, 마츠오카 슈조과 함께 은근히 니코니코에서 세력을 형성하고 있다. 현재의 예의 그것 카테고리는 음몽이 지배한 상태라 많이 쇠퇴된 상태지만, 당대 이들과 함께 음MAD계에 큰 획을 그었던 키보드 크래셔, 도날드를 제외한 나머지 니코니코 3대 종교등의 거대한 쇠퇴, 당시엔 음매드도 상당히 나왔으나 가짜자막 시리즈로 완전히 주도권이 넘어간 다운폴[11]을 생각하면 아직까지 현역인 몇 안 되는 고전 소재 중 하나.

2. 주요 등장인물


항목 참고.

3. 역사



3.1. 네타 발생기


2007년 구루메 레이스 MAD를 기점으로 해서 대부분의 에어모토 관련 매드는 삭제되었다. 이를 회피하려는 목적으로 낚시가 엄청나게 많다는 것도 특징. 낚시는 대개 엄한 제목과 제목에 걸맞는 썸네일을 달고 야한 동영상인 척 하거나 인기 애니메이션 동영상인 척 하다가, 갑자기 특정 부분이 반복되거나 기습적으로 내용이 바뀌며 필수아모토산 동영상이 되어 버리는 형태. 이 종류로 유명(?)한 것으로 'xx에게 성적인 장난을 쳐보았다' 시리즈 (대체로 동방)라든가, 켄킨!, AirngelsPeech 등이 있다. 이 중에는 쓸데없이 퀄리티가 높은 낚시동영상도 다수 포함되어 있다. 퀄리티 좋은 것들은 낚시가 아니었다면 재생수를 다섯자리수 정도는 가볍게 넘겼을만한 퀄리티의 영상으로 낚기 때문에 '낚여서 다행이다' 등의 태그가 붙기도. 이러한 문화는 현재까지도 지속되어 가치무치와 함께 낚시 MAD의 대표주자로서 달리고 있다.

3.2. 삭제 휴식기(전성기)


그런데 2008년 7월 경 니코니코 동화 정책 변경으로 권리자 삭제 시 해당 권리자의 이름 (또는 법인명)을 기재하도록 바뀐 이후로 삭제가 멈추었다. 법인명이 밝혀지고 싶지 않아서였다기엔 이미 유튜브에서는 Shiano art라는 이름을 내걸고 삭제를 거행했었기 때문에 정확한 이유는 불분명. 어쨌거나 이를 기점으로 08년~10년 초까지의 에어모토는 르네상스를 맞이하여 창가의 에어모토신앙 ~ Parning head, HON ZONE, Big apple!! feat.izumi 등 여러 불작을 등에 업고 날아올랐다. 10년 이후로는 "예의 그것" 카테고리 창설로 레슬링 영상의 압도적인 퀄리티와 지지층에 밀려 주춤했지만 그런대로 큰 세력을 유지하고 있었다.

3.3. 에어 코스트(S작전)기


그러나 이런 흐름은 2013년 1월을 기점으로 격변을 맞이하는데, 창가학회가 MAD나 소재를 니코니코에 투고한 사람들 중 일부에게 IP 개시 요구 통지서를 보내고 있음이 알려진 것. 이를 옆동네 한여름 밤의 음몽의 대량삭제를 홀로코스트에서 빗댄 호모코스트라는 용어를 계승해 에어코스트라고 부른다. 적당히 안 보이면(...)삭제량이 많이 줄어든 음몽에 비하면 현재진행중으로, 큰 흐름은 주요 개시청구 5건과[12] 대량 삭제 4건[13]으로 들고 있다.
물론 비슷하게 IP 개시청구로 유명한 카라사와 타카히로 관련 내용에서 알 수 있듯 해당 조치 자체는 실질적으로 다른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없는, 우리나라로 치면 내용증명보다도 한참 하위호환인 조치라서 별 문제가 없다. 그러나 이쪽은 대상자 중 일부에겐 '''오프라인으로 개시 청구 또는 합의요구서를 보내온다!''' 물론 경험자들 말로는 청구액수 자체는 소액이거나 아예 조건만 다는 경우도 있다고 하지만 카라사와와 다르게 명백하게 위협적일 수 있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 또한 이례적으로 학회어참도재업의 경우 창가학회가 업로더를 저작권 위반으로 고소하여 '''실제 법정 싸움에 갔다.'''[14][15]
에어모토계 2ch스레는 이로 인해 몇달간 떠들썩했으며 수많은 작품들을 자진 삭제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에 그치지 않고 창가학회는 4월 경 아직 남아있는 수많은 불작들을 일제히 삭제하기에 이르고 이후에도 과거처럼 계속 삭제를 이어나갔다. 12년 말 창가대학 출신의 호시노 코우지(星野康二)가 니코니코 운영사인 드왕고의 사외 이사로 취직한 사실이 드러났었기 때문에 이것과의 연관성을 추구하고 있는 이들도 있다. 삭제된 영상을 추모하는 MAD
이런 충격적인 사태로 많은 이들이 에어모토씨의 존폐를 걱정했고, 실제로 많은 제작자들이 에어모토를 포기하기도 했지만 이에 기죽지 않고 새로운 방법을 선택한 작자들도 다수 있었다. 많은 유저들이 VPN이나 Tor 브라우저 등으로 자신의 IP를 감추고 추가적으로 이름 없는 부계정을 만들어 에어모토 영상을 투고하기 시작했다. 위조 IP가 까일 확률이 적고 먹튀로부터 안전한 고급 유료 VPN을 쓰는 유저의 경우 이러한 방식으로 다른 유저들의 영상을 대리투고해주기도 한다. 단 IP위조가 아닌 단순히 해외에서의 투고는 개시로부터 완전히 안전하지는 못하다. 스위스인 제작자인 gi97ol의 경우 여태까지 삭제는 당해도 개시 청구를 받지는 않았지만, 합필갤 출신 제작자 닥바의 경우 에어모토 영상의 첫 투고부터 개시 청구를 받았다는 이야기가 있고 중국의[16] 니코니코 업로더 중에도 사례가 있다고 전해진다. 아마 거리에 따라서 어느정도 차이가 있기도 한 듯 하나 일단 해외에서 개시청구를 받은 사람 중 실제 피해를 입은 사람은 나오지 않았다.
이러한 회피법이 있는가 하면 처음부터 시나노 기획 및 창가학회의 권리 주장과 무관한 소재만으로 제작하는 사람도 생겼는데, 이러한 매드 소재를 시나노프리라고 부른다. 초기에는 13년 이전부터 에어모토 매드에 자주 쓰이던 CM이나 코미디 쇼 등의 소재, 그리고 그 이후로 발굴된 에어모토 등장 인물의 여러 방송물, 그리고 '올리버'라는 닉네임의 유저가 업로드한 '히사모토 마사미자위했다'나, 히사모토 마사미의 얼굴을 괴상하게 편집한 영상인 HRHR, 에호마키 등, 시나노 기획의 동영상이 아닌 2차 창작물 등등을 가지고 만들었지만, 이에 한계를 느낀 사람들은 영상을 직접 그려내기 시작했고, 13년 7월 이후 음성만으로도 삭제 및 개시가 이루어지자 DAW툴(주로 REAPER)를 이용해 음성마저 비슷한 소리를 만들어내어 매드를 만들게 되는데 이것이 후술할 "의사모토씨" 소재. 아예 시나노 기획의 삭제 공세에서 자유롭다는 면에서 '시나노프리'라고도 칭했다. 이후 15년 중반 시나노프리 합작이 투고되고 니코동 종합랭킹 100위권에 오르며 대☆승☆리를 거두게 된다.
그러자 2015년 말 창가학회에서는 본래 시나노 기획의 비디오가 아닌 "치매와의 조우"와 해당 영상을 사용한 MAD들을 "제 2회 미국SGI 총회"에 대한 권리 위반이라며 다시 삭제를 시작했다. 위에서 언급된 시나노프리 합작 역시 삭제되었으며 창가학회는 추가적으로 "죽었습니다" 시리즈로서 영상에 자주 사용된 이케다 다이사쿠의 화상 역시 일본의 창가학회 회지인 성교신문에 나왔다는 점을 근거로 삭제하기 시작했다. 물론 이 소재들 역시 의사음성 또는 성대모사에 손그림화된 소재로 절찬리에 사용되고 있다.
2016년까지도 대량삭제가 이루어지고, 2017년 초반에 들어서야 그나마 소강상태가 되며 야금야금 삭제가 이루어졌다. 그러다가 2017년 후반에 들어 급 삭제가 줄어들었는데, 당시에는 3년간의 고투때문이었는지 에어모토 자체가 상당히 암흑기가 되어 눈에 띄지 않았다. 그러다가 2017년 11월 30일 구루메 레이스 10주년 투고제에 본가 소재 위주의 메들리합작이 투고되고, 재규어맨에 의해 점령당한 일기 랭킹을 수직관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삭제되지 않으면서 분위기가 반전되기 시작했다. 2월 초 낚시 영상 1개와 치매와의 조우 클립 영상이 삭제된 이후로 18년 7월 30일 기준 추가적인 '''권리자 삭제가 한번도 일어나지 않았고''' 낚시로 인한 가이드라인 위반 삭제만 있었다. 그렇다고 학회측이 08년처럼 에어모토 삭제에 대한 의지를 상실했느냐 하면 그것도 아닌것이 유튜브의 삭제는 이후로도 몇번 있었고 '''2018년 2월 일본 클라우드 서비스의 일종인 uxgetuploader에 업로드된 자료가 누군가에 의해 게시 중단당한 사례가 생겼다'''.[17]
물론 08년 멈춘 삭제가 13년 부활한 사례를 생각하면 전혀 안심할 수는 없는 상황이지만, 결국 히사모토 마사미가 환갑이 되는 18년 탄생제 기념 합작의 대승리공작, 낚시로 랭킹에서 한번 더 수직상승하며 재흥의 신호탄을 당겼다. 7월 7일 창가학회, 행복의 과학과 함께 3대 컬트로 불리던 옴진리교아사하라 쇼코 사형집행의 영향도 큰 듯.[18]
그러나 역시 행복은 잠시뿐이었는지, 18년 11월 4일 몇개의 영상이 삭제됨을 기점으로 윗 문단의 기념 합작과 낚시 영상을 포함한 18년 탄생제 영상이 20건 가까이 사라졌으며[19] 이 외에도 5월 신앙제의 영상 등 눈에 띄는 다수가 삭제된것으로 보인다. 대량삭제 5호로 분류될지 여부는 아직 논의하지 않은 듯 하다. 아직 2월 uxgetuploader이후의 개시청구까지는 눈에 띄지 않지만, 대부분 VPN내지는 해외투고이기 때문에 그런 것으로 보인다. 그래도 같은 11월 니코동 정치 카테고리 트롤링용으로 업로드된 구루메 레이스 MAD의 밀리언 달성과 기적의 생존을 진행중인 16년도 불작의 하프 밀리언 달성 등 겹경사가 터지기도 했다.
그리고 2020년부터는 의사모토씨 소재를 사용한 매드무비도 삭제되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하단의 문단 참고.

3.4. 의사모토씨 삭제 사태 및 그 이후


2020년 3월 18일부터는, 손그림 소재와 의사음성을 조합한 매드무비까지도 창가학회의 저작권 침해 신고로 삭제되는 해프닝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에어모토씨는 물론 사자에상이나 각 나라의 이중극점을 검증해 보기 등 에어모토씨 팬덤의 의사모토씨 MAD처럼 직접 손그림을 그리는 비슷한 방법으로 명맥을 이어가는 다른 소재들에 있어서도 너무나 새롭고도 충격적인 국면을 맞이하게 된 것인데, 손그림 동영상만 문제인지, 아니면 의사음성이나 성대모사 음성까지도 삭제 요소에 해당하는지[20], 해당 삭제 건에 대해서 단순히 니코동 내 제재를 넘어서 법적 조치(IP개시)까지 가능한 사안인지 등, 모든 것이 불명확하기 때문에 많은 혼란이 일고 있다.
3월엔 에어모토씨 관련 소재만 단독적으로 사용된 MAD만 삭제되었으나, 4월에는 손그림 소재를 포함한 올스타 계열 매드에 대한 삭제도 이루어졌다. 더더욱 특이한 점은 이 기간 동안 '''시나노 기획의 원본 동영상을 소재로 사용한 MAD는 하나도 삭제되지 않았다!''' 때문에 제작자들 대부분이 이 상황을 일종의 협박적 메시지로 인식하고 있다.
덕분에, 이 분야의 대가이자, 이전에 '치매와의 조우' 영상 사용으로 삭제의 아픔을 겪었던 소리MAD 제작자 회색 마테리얼은 자신의 대표작 격인, ATAMATALE 시리즈[21]를 포함한 시나노프리 매드무비들을 전부 비공개 처리[22]시켰고, 4월에 업로드한 올스타 매드들은 삭제를 당하는 등[23] 최대 타격을 입고 매우 안타까워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 이후에는 당연하게도 원본 소재의 삭제도 다시 시작되었는데 이 행보가 범상치 않다. 기본적으로 봇을 대동해 권리 침해 영상을 자동으로 지우는 사자에상등의 애니메이션과 다르게 직접 탐색하여 권리침해를 신청하는 창가학회의 특성상 태그나 설명문에 관련 내용을 최대한 쓰지 않거나 삭제를 피하고 어느정도 시간이 흐르면 대부분 살아남았는데 이들 역시 점점 레이더망으로 들어가기 시작한 것. 2020년 중순에 이르러 3~4년 전의 영상도 지워지는 등 충격적인 삭제 행보를 보이고 있다.
2020년 6월, stein의 The Sokapet을 의사모토씨 소재로 재현한 yomos의 The Sokapet(Shinano Free)과, 시나노프리 동방두파칠분 합작이 유튜브에서 창가학회의 저작권 침해 신고로 삭제되어, 유튜브도 더 이상 안전지대가 아님이 확인되었다.
이와는 별개로 2021년 초 성교신문의 다이사쿠 사진을 근거로 '''트위터'''에서 개시청구 및 '''재판이행'''이 이루어진 것이 밝혀졌다. 다만 해당 사건 자체는 손그림 삭제가 이루어지던 2020년초의 일로 보인다.

4. 탄압(?)의 유사사례



4.1. 일본


우리나라의 경우 디시인사이드라는, 폐쇄적임은 물론 영상이 메인이 아닌 사이트에서 MAD문화가 시작된 바 삭제사례는 과거보단 최근, 특히 2010년대 후반이 많다. 그러나 일본은 니코니코 동화라는, '''엄연한 동영상 스트리밍 사이트이며 다양한 대형 저작사와 보호계약이 가능하거나 되어있는 상황'''이었던 만큼 에어모토씨 이외에도 삭제크리의 위험을 받은 MAD는 많다.[24] 당연히 음성MAD만의 문제도 아니었다.
그 와중에도 에어모토씨와 함께 정점을 찍었던 것은 각 나라의 이중극점을 검증해 보기(일명 KYM)로[25] 소재를 전부 다 그려낸다는 발상 역시 KYM가 2009년에 먼저 해냈으며 현재는 극히 드물지만 필수아모토산xKYM시리즈 같은 태그도 존재했었고, 손꼽히는 에어모토씨 명작이자 사상 최초의 RED ZONE 소리MAD인 HON ZONE의 양식을 차용한 MAD가 3편이나 투고되기도 했다. 물론 에어모토씨 쪽은 음성조차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었고 나중에는 손그림 영상마저 삭제 크리를 피치 못했다는 차이가 존재.
이후 오랜시간 새로운 삭제네타의 흥망이 없었다. 차지맨 켄 삭제 소동이 있었으나 운영진 측의 오판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쿠키☆역시 한때 삭제 소동이 있었으나 이를 주도한 보이스 드라마 디렉터가 성희롱 논란으로 잠적하면서 없던 일이 되었다. 이후 풍평피해로 엮인 타 보이스 드라마에서 개인 캐릭터를 들이밀며 삭제하는 성우가 있었으나 큰 사건은 아니었다.
2016년 3월 23일에는 '키쿠타 마사타로' (菊田正太郎) 라는 이름의 고등학생이 자신의 고교 졸업장을 찢는 영상[26]을 소재로 한 MAD 영상들이 한꺼번에 삭제되는 사례가 발생했었다. 일명 '키쿠타코스트'. 다만 의문스러운 점은 MAD가 업로드된 페이지가 통째로 사라지거나, 권리자 권한이 아닌 '''관리자''' 권한으로 삭제되었다는 것. 해당 동영상[27]이 <저, 이 학교 싫어하니까, 이거 찢을게요!> 라는 이름으로 소재화된 뒤 키쿠타의 트위터 계정인 @kikusho0109gma1가 비공개 처리된 것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얼굴이 퍼지는 것을 꺼려한 키쿠타 본인의 초상권 침해 신고로 삭제된 것이 아닌가 하는 시각도 있다.
2019년에는 유루캠케무리쿠사 등 일부 애니메이션 MAD가 "주식회사 몰비트"라는 저작권 대행업체로 추정되는 회사 명의로 지워진 정도가 있었다.
그러던 와중 2020년 5월 26일에 마츠코 디럭스가 출연하는 아사히 TV의 프로그램 '밤의 거리를 배회하다'를 소재로 한, '배회 마츠코레이션' # 재업 이라는 제목의 연애 서큘레이션 MAD가 업로드되자 큰 인기를 끌게 되었다. 이후 같은 달 30일까지 해당 MAD를 육성으로 부른 파생 영상만 25개가 생겨나니 아사히 TV는 그 다음달인 6월에 일제히 권리자 삭제를 감행하였고, 소리MAD 계에서는 이를 '호모코스트', '에어코스트'에 이은 '마츠코스트'라 명명하였다. 이 삭제 공세는 지금까지도 계속되는 중.
이후 무료 일러스트 배포 사이트인 이라스토의 이미지로 대강 재현해 음성만 붙인 MAD가 나왔으나 역시 삭제, 간만에 '''음성만으로 삭제된 MAD소재가 되었다!'''[28] 이후 의사음성마냥 음성도 MIDI로 변환해 겨우 생존.
다만 여기에 일부 에어모토민들이 오버를 하면서 마찰이 생겼다. 삭제회피 영상을 마츠코프리라고 부르거나 상황에 코스트를 붙인것까진 좋았는데, 굳이 Tor 익명화를 통해 재업을 하거나 트위터에 올린 관련 영상을 전부 니코동에 퍼가는 행위를 하자 관련 투고자들이 한 목소리로 "삭제네타라고 해서 위법을 무릅쓰고 익명툴을 사용하는 인상의 네타는 만들고싶지 않다"라는 불만의 목소리를 내어, 해당 유저가 본편 재업 이외의 것을 전부 지우면서 갈등이 종결...되는 듯 했다.
그러나 개인정보 익명화에 자신 있다고 자칭하던 유저가 자신의 부계정을 이용해 무한 재업로드를 강행하다가 삭제를 계속하던 아사히 TV 측에서 이 유저에게 '''개시 청구 경고장'''을[29] 보내면서 재업로드 소동은 진짜 마무리되었다. 이 유저는 Tor 브라우저는 사용했지만 본인의 전화번호로 계정을 만든 것이 화근이 되어[30] 이용 중이었던 통신사 소프트뱅크를 통해 신원이 특정되었다고. 주변의 반응은 또 다른 개시 네타가 등장한 것은 두렵긴 하나 계속된 조언과 불만을 무시해 초래된 결과이므로 동정은 잘 보내지 않는 모양이다.
모든 소리매드 제작자들이 어그로성을 띄는 에어모토민의 짓궂은 문화에 긍정적인 시선을 보내지는 않는다. 특히 2016~2017년 "숨은 에어민"이라는 닉네임의 유저가 소리MAD와 에어모토 관련 스레나 트위터를 휩쓸고 다니며 제대로 어그로를 끈 적이 있으므로, 채신머리 없이 설치고 다니는 것은 절대 금물이다.

4.2. 한국


국내에서는 합성 갤러리가 쇠퇴하고 MAD 제작자들의 주 무대가 티비플/유튜브로 바뀌면서 저작권 이슈가 본격적으로 떠올랐다. 티비플 초~중반기 PD대정령 MAD와 대출광고[31] MAD가 그 첫 갈등이라 할 수 있다. 다만 당시에는 뒷담화 사건 이전이었던 만큼 대정령의 이미지도 지금보다 훨씬 좋을 때였으며 소동의 전말이 작자들 사이에 알려진 상황이어서 재업을 안하는 쪽으로 잘 넘어갔고, 대출광고는 반발심은 컸으나 대정령 시절이 일종의 전례 느낌이 되어서인지, 혹은 네타 자체가 개발 단계여서인지 금방 사장되었다.
인터넷 방송인 철구를 소재로 사용하려는 시도도 있었고, 온라인 관종으로 유명한 96년생 최유준[32]를 소재화하려는 시도도 있었지만, 전자는 당사자의 고소 시도로 MAD 영상이 금방 삭제되었고, 후자는 당사자의 초상권 침해 신고로 해당 MAD 제작자의 계정 자체가 삭제되면서 무산되었다.
2019년에는 고난을 딛고 고전 인터넷 밈으로서는 드물게 재기에 성공한 심영물대량삭제 사태를 겪자 저작권 관련 갑론을박이 제대로 화제로 떠오르게 되었다[33].
브베의 경우 MAD 영상이 삭제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소재가 되는 방송 캡쳐본은 자신의 명의뿐만 아니라 갖가지의 명의를 사용하여 필사적으로 삭제하려 들기 때문에 초심자들은 입문하기조차 어렵고, 또 이미 입문한 이들도 원본 영상을 부지런히 모아두지 않았다면 소재로 사용하기 힘들다.
2020년에는 신천지 대구교회 코로나19 집단 감염 사건 이후 비판의 의미로 만들어지기 시작한 신천지예수교 합성 매드가 신천지교의 악의적인 삭제 크리를 당하면서 에어모토와 매우 비슷한 처지를 겪고 있다. 삭제당하면 늘어나는 것은 물론이고, 저작권 침해 신고 시 사용하는 명의가 '신천지', '신천지예수교증거장막성전' 2개로 나뉜다는 점, 에어모토가 마이너한 국내 특성상 직접 연관이 없을 텐데도 비슷한 유행 양상을 보이는 점은 수렴진화를 방불케 할 정도다.
태조 왕건궁예 소재를 활용한 MAD들도 2020년 6월부터 KBS의 저작권 침해 신고로 삭제되고 있다. 재미있는 점은 해당 드라마의 장면을 단지 클립 형식으로 잘라놓기만 한 영상들은 놔두고 합성 영상들만 삭제시키고 있다는 것. 또한, 동일 작품의 캐릭터이자 '수달이가 죽었어!', '또 졌어!' 등의 발언으로 유명한 견훤의 경우는 아예 삭제된 사례조차 찾아보기 힘들다.
2020년 10월부터는 행정안전부의 저작권 침해 신고로 안전가족 MAD들이 삭제되는 사태가 벌어졌으며, 이에 공포심을 느낀 안전가족 MAD 제작자들이 자신의 영상을 비공개 상태로 전환하거나 자발적으로 삭제하는 경우가 적지 않게 발생했다. 사상 최초로 정부 부처가 MAD 영상에 저작권 침해 신고 조치를 취한 이례적인 사건이라 볼 수 있겠다.

4.3. YTPMV계


미국의 유튜버 Ray William Johnson # 은 =3 (Equal 3) 시리즈에 속하는 거의 모든 영상을 "What's Happening Forum" 이라고 말하면서 시작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OH MY GOSH!! 라는 영상을 소재로 Xarlable 이라는 닉네임의 이용자가 한 편의 YTPMV를 제작하였으니 바로 Rock My Forum # 재업이었다.[34] 그러나 레이는 이 동영상을 저작권 침해 신고로 삭제시키고 만다. '''그것도 "3 Inc." 라는, 실제로 존재하지도 않는 회사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후 해당 YTPMV의 소재가 되었던 자신의 영상을 삭제하고, 자신을 소재화한 여러 작품들에 저작권 침해 신고를 접수하여 삭제시켰다. 가장 괘씸한 것은 '''자신이 삭제시킨 YTPMV 영상인 Rock My Forum 자체를 자신의 저작물인 양 사용하며 저작권 침해 신고에도 써먹는다는 것'''이다. # 이에 맞서 서양계 에어모토민 유저에 의해 의사모토씨 소재화 방식을 차용한 손그림 소재가 나왔지만 이용층의 반응은 꽤나 회의적이다. 이것만으로 삭제 공세를 막을 수 있을 지 의심스럽다는 반응.[35]

5. 시나노프리


에어코스트 이후 에어모토민들은 VPN이나 프록시 등 익명 웹을 이용해 투고를 이어나가는 한편, 삭제될 염려가 없는 에어모토 매드를 만드는데도 힘을 기울이기 시작한다. 이를 시나노 기획으로부터 자유롭다는 의미에서 시나노프리 소재라고 부른다.

5.1. 의사모토씨


일반적으로 "의사"라는 접두사는 음성에 한해서 붙지만, 보통은 의사음성과 손으로 따라 그린 소재를 합쳐 "의사모토씨"라고 부른다. 이 의사모토씨는 모두 에어모토 MAD 제작자들이 만든 것으로, '''손톱만큼이라도 창가학회에서 저작권을 주장할 수 있는 음성 및 이미지가 직접 들어가있지 않아야 한다.''' 보통 원본 영상 그대로인 장면만 없으면 삭제율이 확 떨어지는 다른 권리자 삭제 소재들과는 달리 블러나 모자이크는 물론이고 음성만으로도 삭제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
손그림 영상 소재의 경우 그림실력과 근성이 모든걸 좌우하지만, 의사음성은 제작 과정이 꽤 복잡하기 때문에 방법을 익혀야만 만들 수 있다. 보통은 아래의 3가지 방법이 대표적이다.
1) Night 식
'''재현하려는 대사의 각 자음과 모음을 분석/재현하여 원본에 가깝게 조합하는 방법. 그리고 가장 먼저 등장한 의사음성 제작법''' 먼저 해당 대사의 자음과 모음을 분리 한 후 길게 늘려 신디사이저처럼 만든다. 그 후 각각의 음성 샘플을 wavetone이라는 프로그램으로 각 자모가 어떤 음계로 이루어져 있는지 분석한다. 그 이후 DAW의 가상악기를[36] 불러와 wavetone의 분석결과와 일치하도록 노트를 찍고, 각 노트의 볼륨을 조정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자모를 원 음성에 맞춰 조합한 뒤, vocalshifter를 이용해 음성의 높낮이도 원본에 맞게 조절하면 완성. 해당 방법의 공개 이후 가상악기 뿐만 아니라 백색 잡음을 활용하여 더 다양한 연출을 시도하는 경우도 있다.
다른 방법에 비해 어떤 특색을 가진 원본 음성이라도 재현이 가능하고, 제작 과정 중에 필연적으로 악기화된 샘플이 나오기 때문에 완성 이후 별도로 가공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 장점이지만, 다른 방법에 비해 노가다가 매우 심해 음절이 많은 대사는 재현하기 어려우며 모음 제작 중 각 노트의 볼륨조절에 실패할 경우 깨지는 소리가 나와 매우 세심한 조절이 필요하다는 점이 단점이다.
2) 유샤어시스턴트 식
'''재현하려는 대사를 말한 인물의 시나노프리인 대사의 발음을 재조합해 만드는 방법.''' 다시 말하자면 창가학회가 저작권을 주장할 수 없는, 타 방송이나 무대에서의 말을 가지고 만드는 것이다. 예를 들어 Parn2에서 마사미의 "面白かったねー!"를 재현하고 싶을 경우 오, 모, 시, 로, 캇, 타, 네 의 발음을 타 방송에서 마사미의대사에서 따와 시간대와 음정을 원 음성에 맞게 조합하고, vocalshifter로 음정을 미세조정하는 것.
가상악기나 백색잡음이 아닌 명백하게 사람의 음성을 가지고 조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훨씬 더 해당 인물 특유의 톤에 가깝게 낼 수 있는것이 특징이지만, 타 영상물에 의존해야 하는 만큼 만들 수 있는 대사에 한계가 있다는 점이 문제. 특히 "팡-!"등 소리를 지르는 등의 음성은 재현해내기 힘들다. 주로 이 라디오의 발음을 조합한다.
3) 후마지메 식
2017년 말에 새롭게 등장한 제작법으로 '''REAPER의 내장 플러그인을 이용해 원본 음성을 상쇄하는 수치를 추출한 뒤, 그 수치를 반대로 올리고 백색잡음을 집어넣어 원본에 가까운 소리를 만드는 방법.''' 원본 음성을 가능한 한 여러 구간으로 나누고, 구간만큼트랙을 추가한 뒤 구간의 길이만큼 백색잡음을 넣는다. 그리고 백색잡음이 있는 각 트랙에 Reafir라는 내장 플러그인을 추가, 설정을 Subtract로 두고 자동추출에 체크 한 뒤 백색잡음이 있는 트랙은 뮤트하고 각 구간을 루프재생 한다. 이후 Subtract를 모두 EQ로 바꾸면 끝.
원리만 알면 다른 방법에 비해 혁명적으로 쉬우면서도, 후마지메가 해당 방법을 사용해 만든 의사음성이 원본과 매우 유사해서 각광받았다. 다만 원 음성이 노이즈가 적은 일반 대사를 재현했을때는 백색잡음 특유의 노이즈가 사라지지 않아 깔끔하지 못하게 나온다. 따라서 해당 방법은 위의 맑은 소리를 재현하는데는 추천하지 않는다.
이외에도 대사를 직접 읽어 올리는 "낭독모토씨"가 의사음성이 없거나 부실한 음성을 위해 쓰이기도 하고, 정말 비슷한 경우 준 의사음성취급되기도 한다. 또한 내레이터 죠오 타츠야의 음성은 해당 성우의 목소리로 텍스트를 읽어주는 프로그램이 있어 이것도 같은 원리로 절찬리에 쓰이는 중.
상술했듯 2020년부터는 창가학회의 삭제 단행으로 인해 시나노 기획 비디오와 거의 같은 취급이 되어버렸고, 어차피 삭제/개시가 똑같이 이루어진다면 영상소재나 대사가 부족한 의사모토를 쓸 동기가 없으니 몰락한 소재가 되었다. 다만 아직까지는 강제삭제 문제가 발생한 적이 없는 의사음성만 사용하거나 좀 더 나아가면 실루엣 노출 정도까지만 간간히 사용되고 있기는 하다.

5.2. 그 외 안전소재


가장 기본적인 예시로 시나노 기획의 비디오에 출연했던 인물들, 혹은 그들과 닮거나 이름이 같은 인물들이 얼굴을 비춘 다른 동영상, 또는 시나노 기획의 비디오를 흉내낸 동영상이나 비슷한 장면이 나오는 동영상, 동일한 효과음이 사용됐거나 에어모토씨 네타로서의 발언과 비슷한 발언을 하는 동영상이 대체 소재로 사용되는데, 당연하지만 이 동영상들은 저작권 문제로 권리자의 삭제 요청을 받는다 해도 타사에 의해 지워질지언정, 결코 창가학회의 IP청구는 받지 않는다.
시나노 기획 영상인 우리들의 멋진 인생 part2에 나온 장면이지만, WAHAHA혼포에서 저작권을 가지고 있는 "재즈만담" 공연 부분은 삭제나 개시가 불가능하다.[37] 또한 이외의 WAHAHA본포 내 학회 인물들의 공연 영상[38], part에 나온 야마모토 린다의 공연 장면 및 노래 역시 창가학회에 의해 삭제되지 않지만, 원래 저작권자인 NHK에 의해서는 삭제될 수 있다. 일단은 개시를 당할 일은 없기 때문에 시나노프리로 쓰이...지만 parn1의 장면은 정지화면이라서 원래 동영상을 찾아서 쓰는 경우가 더 많다.
이외에도 영상을 만들면서 마이크에 녹음된 음성이 아니라 편집 과정중에 들어간 효과음 및 BGM 역시 창가학회에서 저작권을 주장할 수 없다. 가장 대표적인것이 우시로군의 벨 및 신디 소리로, 상술했듯 Nash Music Library의 무료 배포 음악인 "늦잠잤다!"의 일부이다. 또한 part4의 셔터 소리, "위풍당당히"의 일련정종 책 드럼 소리 와 v○의 '기이이이이이잉'[39] 등도 같은 경우. 이들의 경우 영상은 손그림이 필요하지만 음성은 그대로 써도 문제가 없다.
반대로 시나노 기획의 영상이 아니고, 오히려 이케다 다이사쿠를 디스하는 내용이지만 <치매와의 조우>는 상술했듯 창가학회의 신청으로 삭제될 수 있기에 의사음성 및 손그림 소재가 존재한다. 다만 이 영상의 대표 소재인 이누사쿠 드럼(犬作ドラム)는 굳이 음성까지 의사음성을 사용하지는 않는 듯 하며, 호시노 코우지의 테마로 애용되는 치매와의 조우 OST는 위의 우시로군과 마찬가지로 권리 요청을 할 수 없다. "죽었습니다" 시리즈의 이케다 화상도 시나노프리로 사용되었지만 "성교 신문에 게재된 사진" 이라면서 삭제된 사례가 발생하여 #[40]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전술한 것처럼, 2020년 3월에 발생한 의사모토씨 소재 삭제 사태 이후로는 의사모토씨 소재도 삭제의 반열에 오르면서 주로 이 쪽의 동영상들을 소재로 사용하는 추세로 바뀌어가고 있다.
직접 노래를 불러 올리는 경우도 있다.
Do You Want to Build a Snowman 일판 원곡
Love is an Open Door 일판 원곡
For the First Time in Forever reprise 일판 원곡
이제는 인디 음악가 마냥 오리지널 곡+직접 노래+직접 그린 그림으로 올리기도 한다. 범인은 MACHANY GIRLS.

6. MAD관련 문화


이렇게 기구한 역사 덕에 타 소재 MAD들과 구분되는 다양한 특징들이 존재한다.
  • 낚시
주로 동방 프로젝트(두파칠분) 관련 낚시가 많이 보이는데 이는 07~08년도 학회의 감시를 피하기 위해 생긴 문화이지만 삭제가 정지되었던 08~12년에도 계속되었고 오히려 성행하였다. 레슬링 시리즈와는 다르게 "일반인 을 낚는 것"이 목적이 아닌 엄연히 삭제에 대한 회피기 때문에, 알만한 사람들은 고의적으로 떡밥 물러 가거나 피해갈 수 있을 수준으로 대놓고 낚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에로 책(エロ本)이 에어모토(エア本)와 한 글자만 다르다는 점을 이용해 가운데만 특수문자 ○로 해놓기도 하고 핑크한 여자애(에어모토씨의 코트 색)라던가 팡팡 한다던가 그곳이 폭발(머리가)한다던가 H한(HISAMOTO) 화보집... 등등 "화보첩 시리즈"라는 태그가 별도로 있는 수준.
13년 사건 이후로는 당시 이후로 쭉 "예의 그것"을 독점중인 음몽 관련 낚시로 영상을 재업하는 경우도 있고, 특히나 동방 관련 낚시 작품이 지워진 경우 이름만 쿠키☆ 캐릭터로 바꿔서 올리는 경우도 부지기수.
  • 공작
삭제때문에 태그를 안다는 등 은밀하게 올리는 경우가 많다보니 삭제에 이를만큼 알려지긴 커녕 조회수 1천 밑으로 묻히는 영상들이 많이 생기다보니, 서버 해킹을 통한 공작으로 랭킹에 올려버리는 에어모토민들도 부지기수. 그 자유분방하고 민폐로 유명한 한여름 밤의 음몽 팬덤에서도 공작은 상당히 금기시되지만 에어모토 팬덤에서는 공작 선생이라고 부르며 상당히 환영해준다.
또한 조회수와 마이리스 공작 뿐만 아니라 레어품번 따내기에도 상당히 재능을 보이는데, sm7자리대에도 에어모토 레어 품번이 많지만 sm1천만(구루메 레이스, 삭제됨), 2천만(실루엣), 3천만(손그림)이 모두 에어모토 영상이다! 이는 중국의 비리비리에서도 그치지 않고 av88888을 차지하기도 했다.
  • 대리투고
삭제될 수 있는 본가소재의 MAD는 제작자와 업로더가 다른 경우가 있는데, 개시로부터 안전한 유저(해외파/VPN유저)에게 업로드를 맡김으로서 개시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는것. 에어코스트의 시작을 알린 13년에는 해외 거주자로서 삭제된 동영상을 재업하던 犬hkアーカイブ久(NHK아카이브를 뒤튼 것)가 일부 해주었지만 DDoS로 추정되는 공격으로 회선이 나간 이후로 활동을 접었다. 최근의 대리투고는 작자명을 적지 않는 경우도 있어 잘 모르는 사람은 그냥 저 사람이 제작자구나 생각하는 경우도 있는 듯.

7. 용어


이 문단에서는 에어모토 관련 어록집에 없거나 있더라도 원소재 내의 의미와 다른 새 의미가 부여된, 에어모토민들이 만들어낸 용어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 완성(完成): 영상의 삭제, 특히 권리자 삭제를 의미. IP개시를 피하기 위한 삭제는 "자주완성"이라 부른다. 또한 여기에서 확장된 의미로 어느 단체의 멸망이나 사람의 죽음을 이르는 용어로도 쓰이며, 실제로 빌리 헤링턴의 사망 소식에 대해서 머리가 팡 위키에 "완성"이라는 용어를 기재하였다.
  • 적자선생(赤字先生): 2009년 경 에어모토 관련 MAD에 "인터넷에서만 괴롭힐 수 있는 겁쟁이" 라던가 "불법은 우주이며 그를 거역하면 불벌이 내릴 것" 같은 에어모토 MAD의 창가학회에 대한 비판성을 강하게 비판하는 코멘트를 빨간색, 大자 사이즈로 적은 것이 그 시초. 처음의 작자층은 이런 비판성 소재에 보이는 과민 반응이 매우 불쾌하고 짜증난다는 입장을 보였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이런걸 달아도 지워지지 않으니 실은 츤데레" 라던가 여러 설정이 붙고 에어모토민들이 적자 코멘트를 직접 작성하기 시작하면서 에어모토 MAD의 엄연한 요소중 하나로 취급되고 있다. 어록집
  • 고등정신병(高等精神病): 오쵸모토씨를 발원지로 하는 에어모토 관련 그로테스크 영상을 이르는 명칭. 중국측에서는 av10492로 유명하며 이것이 중국에 에어모토 소재가 전파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 천마운영(天魔運営): 에어모토 관련 네타를 억압하는 니코니코 운영측을 비꼬는 말. 주로 섬네일 낚시로 올라온 작품을 관리자 권한으로 삭제할 때[41] 제일 많이 불리며, 에어모토 관련 카테고리 개편 사태나 니코니코 공식 생방송 등에서 에어모토 관련 용어를 NG처리시키는 등의 억압에서도 자주 불린다.
  • 불작(仏作)/초견작(超犬作): "명작"을 이르는 용어. 후자의 "초견작"은 이케다 이누사쿠처럼 클 대자에 점 하나를 붙인것. 두 용어를 공식적으로 구분하지는 않지만. 보통 초견작은 충분히 잘 만든 명작이면 꽤 태그를 붙여주는 편이고 불작의 경우 에어모토 역사에, 때로는 전 소리MAD역사에 길이 남을 작품에 붙여주는 편으로 더 까다롭다.

8. 기념일


공작에 있어서는 축제날만 되면 필수아모토산 동영상 한두개쯤이 꼭 '그밖의' 카테고리 랭킹 20위 안에 들어간다는 점에서 잘 알 수 있다. 필수아모토산이 소속된 '예의 그것' 카테고리는 '그밖의'의 하위 카테고리로, 레슬링 시리즈, 한여름 밤의 음몽 등이 같이 들어 있다.

날짜
기념일명
유래
1/5
에어모토 폭발제
1992년 신춘 간부회에서 히사모토와 시바타가 만담을 하고, 이케다 다이사쿠에게 칭찬받아 감동에 머리가 터진 날
5/3
에어모토 신앙제
이케다 다이사쿠의 창가학회 명예회장 취임일
7/9
에어모토 탄생제
히사모토 마사미의 생일
9/28
에어모토 입신제
히사모토 마사미의 창가학회 입신일
11/30
에어모토 투고제
어본존님(구루메 레이스) 투고일
이 외의 작은 기념일도 많으며 매년 상기된 날마다 많은 축전 동영상이 올라오고 있다.

9. 니코동에서 영상을 볼 수 있는 태그


카테고리는 볼드체.
08년 12월 17일 니코니코 채널 서비스의 시작과 함께 추가된 카테고리이지만, 그래서 이 카테고리에 무슨 영상을 올리라는 건지 알 수가 없었기에 보름간 정전 카테고리로 방치되었다. 그러다가 09년 1월 경 에어모토 관련 동영상이 다수 업로드 되면서 에어모토씨 전용 카테고리로 활용되기 시작했는데, 이유는 ひとこと動画(히토코토 도우가)->ひ○○と動画->ひさもと動画(히사모토 도우가) 라서.
이후 이 카테고리는 09년 10월 29일자로 니코니코동화(9) 개편과 함께 사라진다.
갑작스러운 카테고리 삭제 소식을 들은 에어모토 투고자들이 새로 자리잡은 카테고리. 이유는 카테고리에 등록된 티셔츠 이미지가 후사코의 파랑-하양 스트라이프와 비슷해서. 이 당시에는 카테고리가 별도의 시스템이 아닌 일반적인 태그 등록이었기 때문에 대부분 업데이트 이전에 패션 태그로 예비 이적이 완료되었고, 이에 운영측에선 업데이트 당일 "카테고리 명과 무관한 영상 등록을 자제해달라"는 공지를 내보냈지만 5일 뒤 패션 카테고리의 필수아모토산 태그 동화는 1163개로 대☆승☆리를 거둔다.
결국 두달을 넘기지 못한 10년 1월 3일자로 역시 삭제된다.
10년 1월 3일, 패션에 카테고리명과 관계 없는 영상이 투고되는 것을 막기 위해 니코니코에서 에어모토 등 뒷골목 네타를 직접 수용하기 위해 만든 카테고리로, 이때부터 카테고리가 일반 태그와 독립되어 작성되는 시스템이 적용되었다. 문제는 이 개편을 위해 "패션"과 에어모토 관련 태그가 함께 달린 영상은 예의 그것 카테고리로 강제 이동되고 작성자가 카테고리를 변경할 수 없도록 조치한 것. 이는 업데이트 내용에서 고지된 것도 아니었다. 이 때문에 레슬링 시리즈한여름 밤의 음몽, 바람의 요정 등 타 네타의 팬덤에 비해 해당 조치에 대한 반발이 매우 컸다.
위의 카테고리 개편에 반발하여 새로이 점령을 시도한 카테고리. 점령 이유는 일기의 일본어 독음인 "닛키"가 이케다 다이사쿠와 창가학회의 종교적 라이벌이자 MAD 단골 조연[42] 중 하나인 닛켄과 비슷해서. 그러나 기존의 불작들 상당수가 예의 그것에 묶여버린 파장 덕에 패션 이주 당시만큼의 화력을 기대할 수가 없었다. 다만 현재도 적잖은 에어모토 영상(특히 삭제 및 개시의 위험이 있는 경우)은 이 카테고리에 투고되고 있다.
19년 6월부터 카테고리 및 랭킹 시스템이 완전 변경, 예의 그것과 일기의 상위 카테고리인 "그 외"만 장르라는 이름으로 남고 이 두 카테고리는 한마디 동화와 패션의 뒤를 이어 역사속으로 사라질 예정이 되었다. 다만 태그 제한수를 11개로 늘려주고 랭킹이 원하는 태그 커스터마이징이 들어가는 형태라 카테고리 자체가 의미가 없어진 것은 아니나, 대부분의 에어모토 동화는 이후 관련 태그 없이 투고되고 있다.
  • エア本さん(에어모토씨)
구루메 레이스 MAD로 시작한 초기에는 주로 "창가학회"라는 태그가 붙었지만 이는 언제나 주시당하는 태그였기에 기피되었고, 삭제로 인해 영상을 지우고 음원만 듣는 문화가 생기면서(당시에는 음성만으로는 삭제대상이 아니었다) 생긴 별명이 "에어모토씨" 였고, 이것이 그대로 네타의 이름으로서 불리게 되었다. 물론 이 역시 얼마 가지 않아 주시되는 태그가 되어 삭제요인이 없는 MAD 외에는 잘 쓰이지 않게 되었다.
  • 必須アモト酸(필수아모토산)
"필수아미노산"을 뒤틀은 것으로 일어 독음으로 읽을 시 힛수아모토산→빨리 읽을 시 히사모토상이 되는 구조. 해당 태그가 유행하고 얼마 있지 않아 삭제가 중단되었기 때문에 에어모토 MAD에는 대부분 이 태그가 달리고, 에어코스트 이후 여러 대체 태그(Air__book 등)가 나온 뒤에도 에어모토 MAD를 대표하는 태그로 쓰이는 중.

10. 니코니코 외 MAD 투고 사이트


이쪽에서 창가학회를 전도한 원흉으로 '高兴帝' (고흥제)[44]와 H娘[45]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다른 사람들도 많은 창가학회 영상들을 퍼왔으며 이 덕분인지 dailymotion 등지에 백업되어 있지 않은 영상도 비리비리에서 찾을 수 있다.[46] 시나노기획측의 손길이 닿지 않았기 때문.
또한 천만대 sm을 차례로 먹으며 레어 품번 공작의 진가를 달리던 본가처럼 av88888[47]에서도 에어모토가 올라와 대☆승☆리를 거뒀다. 중국인이 8을 특별히 좋아하는걸 생각하면 더욱 미묘.
그러나 2018년 비리비리, 아니 근본적으로는 중국 공산당의 검열 정책 강화로 많이 소강상태가 되었다. 저작권 문제로 자르는게 아니고 아예 업로드하기 전에 사전검열을 해 버리는 경우도 많아서 니코동보다도 골치아파졌다.
  • 태그: 创价学会, 必須アモト酸, 久本雅美 등
  • . 원본에 비해 화질이 떨어진다는 건 알아두자. 2011년 이후로 다른 계정으로 옮겼으며(airmoto), 원 블로그는 10년 가까이 방치되다가 결국 2021년에 폐쇄되었다.
  • 티비플 서비스 종료 이후 접근이 불가하다.
  • 데일리모션과 veoh등 소규모 사이트에도 올라왔으나 데일리모션과 veoh는 삭제가 이행되었다.
  • 가끔 그렇고 그런 사이트에 올라오기도 한다... Xvideos라던가. 단 Pornhub에 올리면 야동이 아니라고 삭제해버린다!!

11. 팡 동영상·제작자 목록


항목 참고


12. 관련 사이트


  • 머리통이 팡~ @wiki 2nd (일본어, 클론): https://www65.atwiki.jp/atamagapan_2nd/ 아래 위키와 같지만, 본가는 내용을 관리자만 수정할 수 있게 되어 있고, 몇 년동안 방치되어 있기 때문에 지금은 이쪽이 자료량이 더 많다.
  • 자료량이 가장 많은 에어모토 전용 위키 사이트...였다.
2017년 7월 때 한 번 해킹당했지만, 곧 다시 돌아왔다. 범인은 자칭 여자 한국인...이었다가 상황이 루즈해지고 자신에게 불리하게 돌아가자 자신은 한국인이 아니고 그냥 관심받고 싶어서 했던 것이라고 밝혔다. 이후 에어모토 2ch(현 5ch)스레는 역으로 해킹범을 위로해주고 보듬어주는 괴랄한 상황이 연출되었다. 해킹당했을 때 메인 페이지에 걸려있던 어나니머스 밀피오레는 이미 에어모토씨 팬덤의 네타가 되었다.
그러나 해당 사건 전후로 관리자 전용 편집 위키임에도 이미 상당히 방치가 이루어지고 있었고, 해당 사건 직후의 축제인 입신제17 이후로는 축제 카운트다운조차 돌아가지 않는 상태가 되어 완전히 2nd로 이동해 버려진 상태...였다가 18년 6월 경 at위키 운영에 의해 동결된것이 밝혀졌다. uxget개시에 이어 18년 에어민들을 상당히 충격에 몰아넣은 사건. 물론 저작권 영향이라고 단정지을수는 없고 원래 at위키에서 활동이 지나치게 적은 쪽은 동결되는 경우가 잦다. 아카이브
  • 살아있었던 사이트지만 사이트 관리를 하지 않아 최근에는 들어가지지가 않는다. 2008년부터 호스팅한 것으로 보이며, 압도적인 자료량으로 많은 신사들을 생산해 냈다.
  • 2018년 1월 5일, 폭발제 10주년을 맞아 공개되어 구루메 레이스 투고로부터 10주년간 에어모토씨의 역사를 자세하게 다루고 있었으나, 18년 중순 경 에반게리온의 차회예고를 패러디한 이미지만 나오다가, 19년 초순부터는 아예 삭제되진 않았으나 위의 머리팡위키2로 리다이렉트되고 있다. 아카이브
[1] 전자는 모 영상에서 갑자기 에어모토와 관련된 장면이 튀어나왔을 때 (혹은 에어모토 관련 영상의 초반부에), 후자는 에어모토 MAD 영상 혹은 에어모토 MAD의 양식을 차용한 다른 MAD 영상이 끝났을 때 사용한다.[2] 후술할 《멋진 우리의 인생 Part2》에 나오는 '달리게 해주십니다' 라는 대사에서 나온 이모티콘. 에어모토 네타를 대표한다고 볼 수 있다.[3] 같은 비디오 시리즈의 Part4에서는 시바타 리에가 출연하였고, 시나노기획의 다른 비디오인 Future2에서는 이시카와라는 예명으로 호리에 카즈마도 나왔다.[4] 창가학회는 신흥종교를 표방하는 만큼, 실제 일본 사회 내의 인식이 좋지는 않은 편이다. 창가학회와 관련된 일본 정당 공명당에서는 각종 사건사고가 적지 않게 발생하며 (예로 P헌금 논란), 무엇보다도 학회 자체가 친한 성향을 갖고 있다고 여겨진다는 것이 주요 비판 논지다. 이런 이유로 5ch 및 니코니코 동화와 같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툭하면 놀림거리가 된다. 이런 종교를 유명 연예인이 독실히 믿는다는 소문이 퍼졌다고 생각해 보자.[P헌금] 모 의원에 따르면, 공명당 위원들은 학회 회장(President)인 이케다 다이사쿠에게 5월 3일 (회장 취임일)이나 11월 18일 (학회 창립기념일) 때 선물(헌금)을 해 줘야 한다고 한다 (=President헌금, 줄여서 P헌금).[놀림의사례] 단순히 '학회원'이라는 말도 욕이 되는 정도이며, 심지어는 종교 내 명예회장인 이케다 다이사쿠고인 또는 '성태작'이라는 재일 조선인이라고 놀림받는 일도 있다.[5] 그렇기 때문에 후술할 MAD 작품이 만들어지기 전인 니코니코 동화 서비스 초기에도 이 비디오의 캡쳐본이 가끔씩 올라왔고, 영상 자체가 앞서 나온 2ch 포스팅에서 받아내려진 걸로 추측된다.[6] 업로드 몇 년 이후, 본 영상 제작자인 닉네임 '자동판매기 속 사람'이 제작 동기를 밝혔는데, 당시 일본에서 유명하던 TV 프로그램이 창가학회 측의 클레임으로 인해 조기종영되었고, 이에 인터넷에서는 창가학회에 반발하는 분위기가 조성되었는데, 자기도 이 분위기를 타서 창가학회 MAD 무비를 만들어 올렸다는 것이다.[7] 창가학회 산하의 비디오 제작사이며, 카츠마타 토모하루 삼국지의 제작사이기도 하다. (애니메이션 제작과 배급은 토에이)[8] 심지어는 히사모토 그림'''만''' 나온 '''무음''' 영상도 그 패러디 영상을 '연상시킬 수 있어' 삭제되기도 하였다. 현재에도, 상술한 정도는 아니지만, 저작권으로 인한 삭제 자체는 아직 진행중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9] 원본 리믹스는 이쪽. [10] 2009년에 올라온 동영상을 기반으로 한, 이 네타거리를 0721 히사모토라 부르기도 한다[11] 그래도 이쪽은 원작자인 브루노 간츠가 합성을 허용했다.[12] 최초로 알려진 12년 12월 2회, 다수의 사람에게 발신된 13년 1월, 7월, 16년 7월[13] 13년 4월, 5월, 7월(음성만으로 삭제 시작), 15년 12월(치매와의 조우 삭제 시작)[14] 조회수는 1200대로 업로드 당시 기준으로 보나 지금 기준으로 보나 그다지 많은 호응을 받은 작품은 아님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봉변을 당했다. 즉, '''조회수가 낮다고 해서 안전 지대가 아니라는 것이다.'''[15] 이 때 판례문에서 저작권을 어떻게 위반했는지 조목조목 써놓은 부분이 또 하나의 네타가 되었다(...)[16] 중국은 유튜브와 마찬가지로 니코니코도 접속이 차단되어 있어 VPN을 기본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즉 돌아다니는 무료 VPN같은건 충분히 걸릴 수 있다는 것.[17] #1 #2 #3 #4[18] 물론 조금만 지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창가나 행과에 비해 옴 진리교의 만행은 비교가 안되는 수준임을 알 것이다(...).[19] 놀랍게도 공작 영상은 삭제되지 않았다![20] 손그림만 문제라면 원본 동영상과 지나치게 흡사한 것이 문제인지, 아니면 매우 간략화된 화풍이나 실루엣마저도 문제인지[21] 시나노프리 소재를 언더테일, 혹은 델타룬의 BGM에 맞춰 제작한 매드무비 시리즈[22] 유튜브에서는 시나노프리 소재를 사용한 매드무비들을 '일부 공개(미등록)' 상태로 전환시킨 뒤, 본인이 생성한 재생목록에 총정리시키는 식으로 원한다면 계속 찾아볼 수는 있게끔 조치했다.[23] 삭제당한 영상 중 하나인 "여러 소재로 요정난무"는 '''혼자서 11분을 때운 대작'''이었으나 2015년 치매와의 조우 사태로 한달만에 비공개 영상이 되었고, 그 후 2020년에 그걸 겨우 리메이크한 것이 또 한달만에 지워진 것이다.[24] 대표적으로 일본 코미디언(게닌)들의 코미디 무대 영상을 사용한 MAD들. 이 때문에 게닌MAD는 물론 그 원본 소재마저도 삭제되어 현재로서는 찾기 난해한 영상들이 많다.[25] 가치무치 팬티 레슬링이나 TDN시대의 한여름 밤의 음몽도 있으나 이들은 음란물로서 삭제된 것이라 경우가 다르다. 그 외에 저작권으로 비슷한 삭제빈도를 지닌 소재로 사자에상크레용 신짱, 도라에몽등이 있지만 이쪽은 네타화보다는 국민적 애니메이션 MAD로서의 위치가 강하다.[26] 최초 게시는 본인이 아닌 친구 (트위터 유저 @yatagai124) 가 한 것이다.[27] 화제가 되자 해당 동영상은 급히 삭제되었지만 이미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간파하고 있던 소리MAD 제작자 '타카나시(@TakanashiSaki)' 가 이를 재업로드하면서 결국 다시 확산되었다.[28] 음성만으로 삭제되어 삭제 사유에 "방송의 음성 사용"이라고 명기되었다. 명확한 규칙이 공공에 제시되지 않아 언제 어느 부분에서 짤릴지 모르는 에어모토씨와 다른 부분.[29] 말 그대로 단순 경고장이라 강행되지는 않은 듯 하다.[30] '''전화번호를 막 등록하면서 익명화에 자신 있다고 말하는 것 자체가 문제가 있다!''' 특히 일본도 우리나라와 비슷하게 통신사가 정부나 경찰에 어느정도 협조적인 편이고 아예 저작권 관련해서는 프로바이더들이 IP개시 등에 협조해야 한다고 못을 박아놓은 상황이라 VPN이나 프록시 등을 전부 걸어놓고 본인 실제 전화번호를 등록한 것은 심히 위험한 행위이다. 전화번호가 고유식별정보를 제외하고 개인 식별에 실명과 함께 가장 많이 쓰이는 개인정보인 것은 두말 할 필요도 없고.[31] '바로 빵빵 ○○론'이라는 CM송으로 유명한 그 업체.[32] 당시 고등학생이었고, 거기서도 심각한 정신질환자로 악명이 높았다..[33] 물론 이 사태는 후에 SBS 측의 처사가 아닌 일종의 엽기 해프닝임이 밝혀졌지만..[34] 니코동에서는 Rock My Emotions의 대표 MAD로 stein의 Rock My Revolution을 꼽는다면, YTPMV계에서는 Rock My Forum을 꼽을 정도로 유명한 작품이다.[35] 의사모토씨 소재도 유튜브에서 삭제를 당하고 있는 만큼, 이 쪽도 이 방법으로 삭제를 피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36] 보통은 REAPER의 내장 플러그인인 Reasynth[37] 히사모토가 WAHAHA혼포 활동을 중단한지 조금 되었기 때문에 앞으로도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38] 여수만담(女囚漫才) 등[39] 창가학회랑 연관되지 않은 타 음악을 길게 늘인 것이라서 가능[40] 심지어 손그림을 사용했었다.[41] 권리자 삭제와는 다르다. 저작권과 무관하게 섬네일 및 태그 록을 통한 낚시 영상은 원래 규약 위반이다[42] 닛켄 본인은 아니고 창가학회에서 만든 일련정종 비판용 영상의 재연배우이다.[43] 시나노기화의 영어 명칭이다. [44] 현재 한 계정은 잘렸고 남은 한 계정 (高興帝, 번체자이다)은 거의 활동을 하지 않는다[45] 2011년부터 현재까지 아직 활동중이며 에어모토 영상을 제외하고도 많은 니코니코 문물과 FGO 실황을 업로드한다[46] 다만 여기에서도 없는 영상들도 몇 있다[47] av10492 삭제가 이루어지고 얼마 안있어 같이 짤렸지만, 약간의 허셰('고등정신병' 파트와 행복의 과학 부분이 가려졌다)와 함께 복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