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

 


1. 개요
2. 사례
2.1. 스포츠 팀
2.2. 정치권
3. 관련 어휘
3.1. 한국어
3.2. 영어
3.3. 일본어
4. 임대로 인한 피해
5. 관련 문서

'''Lease, Rent''' / 賃貸

1. 개요


'''을 받고''' 자기 물건을 빌려줌. 부동산 거래가 일상에서 가장 흔한 용례지만 기계, 자동차, 컴퓨터, 카메라, 의류동산에도 흔히 쓰인다. 민법상이든 무엇이든 상호간 물건을 이용할 때 흔히 이뤄지는 계약 방식이다. 이것의 반대말인 임차와 합쳐 민법에서 임대차라는 용어를 사용해 다룬다.
자동차동산의 경우 리스를, 부동산의 경우 월세 문서 참고. 아파트에 대해서도 임대아파트 문서를 참고하길 바란다.

2. 사례



2.1. 스포츠 팀


스포츠 분야, 그 중에서도 주로 축구계에서는 자신의 팀 소속 선수를 타팀으로 임시로[1] 이적시킨다는 의미로서 쓰이기도 하는데, 이 때는 영어로 '''Loan'''이라고 한다.
이 경우 비록 다른 팀에서 뛴다고 할지라도 공식적인 소속팀은 그 선수의 원 소속팀으로 그대로 유지된다. 경우에 따라서 A팀에서 B팀으로 임대간 선수가 완전 이적 협상을 거쳐서 B팀 소속이 되는 경우나 B팀 임대 종료 후 C팀으로 다시 임대 이적하거나 완전 이적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또한 임대 신분인 선수의 원 소속팀과 임대 이적한 팀이 서로 같은 리그에 있을 경우, 원 소속팀을 상대로는 경기에 출장하지 않는 조건을 계약에 넣는다.
주로 부상이나 주전 경쟁 실패 등으로 부진을 겪고 있는 선수나, 갓 데뷔해서 뛸 자리가 없는 신인 선수들에게 경기를 뛸 기회를 주기 위해서 시행된다. 보통 원 소속팀보다 하위권 리그 및 팀으로 보내는 방식이 많으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서 레알 마드리드로 임대간 치차리토같은 예외의 사례도 몇몇 존재한다. 이는 다급한 전력 보강이나 이적을 염두로 선수의 기량을 잠시 테스트하는 목적이 대부분. 반대로 필리페 쿠티뉴처럼[2] 원 소속팀의 전술에 맞지 않아서 부진할 경우 하위권이 아닌 동급이나 더 상위권 팀으로 임대를 보내는 경우도 있다.[3] 여기서 새 소속팀의 전술에 잘 녹아드는 모습을 보이면 임대 연장이나 완전 이적을 노려볼 수 있고, 반대로 새 팀의 전술에서도 겉도는 모습을 보인다면 임대 복귀한 뒤 다른 팀으로 재임대되거나 완전 이적을 하게 된다.
그리고 흔치는 않은 경우지만, 특정 리그가 종료되어 비시즌 동안 휴식을 취하는 선수를 시즌이 한창 진행중인 다른 리그에서 단기로 임대하는 사례도 존재한다.[4] 헨릭 라르손, 데이비드 베컴, 랜던 도노반, 로비 킨, 티에리 앙리 등이 대표적.

2.2. 정치권


분야는 다르지만 정치권에서는 스포츠계에서의 임대와 비슷한 사례로 2001년 DJP연합 공조 강화를 위해 당시 여당이었던 새천년민주당자민련대한민국 국회의원을 빌려 주어 원내교섭단체로 만들어 준 적이 있다. 그러나 얼마 못 가 임대의원 4인이 통일부 장관 해임건의안 가결에 반발해 자민련을 탈당함으로써 씁쓸한 뒷맛을 남기기도 했다.
2020년에는 더불어민주당이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때문에 미래통합당에서 새로 창당했던 미래한국당에 맞불을 놓기 위해 더불어시민당을 창당했는데 일부 비례대표 순번에 군소정당 후보를 임대 개념으로 해서 넣어주기로 했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군소정당은 더불어시민당과의 합류를 거부해서 소속 기본소득당용혜인시대전환조정훈만 더불어시민당으로 들어갔고 당선되고 난 뒤 사전에 합의됐던 그대로 더불어민주당과의 통합 전 제명되는 방식으로 의원직을 유지한 채 원래 소속정당으로 복귀했다.

3. 관련 어휘


임대와 관련된 어휘는 외국어마다 개념이 다소 달라 외국어 학습에 헷갈리는 부분이 될 수 있다.

3.1. 한국어


임대는 빌려주는 것이고, 반대로 빌려오는 것을 '''임차(賃借)'''라고 한다.

3.2. 영어


영어로는 빌려주는 것이 '''Lend''', 빌려오는 것이 '''Borrow'''이다. 의외로 헷갈리는 사람이 많다. 단, Lend와 Borrow는 대가가 없이 빌려주는 경우에 쓰는 말이다. 돈을 주고 빌리는 것은 '''Rent'''.
'''Lease'''와 '''Rent'''는 둘 다 임대와 임차를 의미하지만 'Lease'는 설비나 기계 등을 비교적 장기 계약을 통해 임대차하는 경우를 가리킨다. 두 동사는 '임대하다'와 '임차하다'를 모두 의미할 수 있으나 상황적인 맥락, 또는 전치사를 통해 충분히 주어가 임대를 하는 것인지 임차를 하는 것인지 파악할 수 있다.
영국에서는 '''Hire'''라는 단어를 사람을 고용할 때 뿐만 아니라 차를 돈 주고 빌릴 때도 사용한다. 미국에서는 물론 'Rent'라고 표현한다.
또한 상술했듯 축구 등의 스포츠에서의 임대는 '''Loan'''이라는 단어를 쓴다.

3.3. 일본어


일본어로 빌려주다는 카스(貸す), 빌리다는 카리루(借りる)이다. 음은 비슷하지만 한자가 다르므로 주의해야 한다.스포츠 용어에 쓰이는 임대라면 レンタル移籍(렌탈이적)이라고 한다.

4. 임대로 인한 피해


  • 빌리고 보니 물건이 불량이었다.
  • 물건을 돌려주지 않는다.
  • 을 임대했는데 집주인이 과도하게 월세를 올린다.
  • 물건을 빌려주었는데 파손된 채로 돌려준다.

5. 관련 문서



[1] 보통 반시즌~1시즌 내외의 단기.[2] FC 바르셀로나 소속이지만, 4-3-3을 체택한 바르샤 특성상 중앙 공격형 미드필더 또는 4-2-3-1에서의 왼쪽 윙어가 적합한 쿠티뉴가 들어갈 자리는 없다. 게다가 쿠티뉴의 플레이 스타일은 넘사벽 of 넘사벽의 존재와 겹친다. 게다가 4-3-3에서 중미로 넣는것도 부족한 수비가담 때문에 불가능이다. 그래서 에르네스토 발베르데가 억지로 왼쪽 윙어로 넣은 것. 사실 윙어도 쿠티뉴한테는 적합한 포지션이 아니다. 결국 FC 바이에른 뮌헨으로 임대 이적했다. [3] 사족으로 이러는 과정에서 지동원FC 아우크스부르크보루시아 도르트문트와의 2중 계약이라는 특이한 사례도 존재한다.[4] 현재 질롱 코리아의 대부분의 선수들이 이런 사례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