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좌

 


1. 개요
2. 각국의 정좌


1. 개요


正坐
좌식생활을 하는 나라에서 예의를 갖추고 바르게 앉는 자세. 좌식생활이란 집안에 난방 시스템이 있거나 장판이 깔려 있으며, 실내에 신발을 벗고 들어가 생활하고, 잘 때는 바닥에 이불을 까는 문화가 주류이다. 동양이라고 다 그런 건 아니고 좌식생활로는 한국과 일본이 대표적이다. 다른 아시아 국가들은 이러한 주택 시스템이 만들어지기엔 너무 낙후되어 있고, 중국을 포함한 중화권 국가들은 좌식생활을 하지 않는다. 사실상 이 자세를 하는 건 한국인/일본인들이 거의 전부라고 봐도 무방하다.
좌식 생활을 하면서 이 자세로 앉는 한국인들과 일본인들은 O다리(무릎 관절 사이가 벌어지고 다리가 휘어지는 증상)가 많다. 반면에 입식 생활을 하는 중국, 서양 사람들은 다리가 반듯하다.
사실 관절 건강엔 그다지 좋지 않다. 팔자걸음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이 자세로 앉으면 허리를 곧게 펼 수 없어, 허리 건강에도 좋지 않다.
현대인들은 과거에 비해 평균수명이 길고, 따라서 노후 생활이 길어서 젊을 때 관절을 망치면 나중에 오래 고생하게 된다. 편리함으로나 보나 개인적인 건강으로 보나 입식 생활을 하는 것이 몸에 이롭다. 비록 현재 사회적으로 통용되는 문화를 하루아침에 뜯어 고칠 수는 없는 법이지만, 이후에 집을 사서 가구를 배치해야 할 일이 있으면 참고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2. 각국의 정좌



2.1. 대한민국


한국의 정좌는 보통 양반다리, 또는 아빠다리라고 불리며, 다리를 양쪽으로 피고 한번 접고 무릎 아래로 한쪽 발을 밀어넣고 앉는다. 가끔 가부좌로 앉다가 다리 찢어지는 사람들도 몇몇 보인다.
가부좌를 할때는 보통 방석을 2개 이상 사용하는데, 하나는 바닥에 깔고 다른 하나는 접어서 엉덩이 아래에 놓고 깔고 앉는다. 이렇게 앉으면 접힌 방석만큼 높이가 생겨 쉽게 앉을수 있다.
일본식의 무릎으로 꿇어 앉는 정좌는 고려시대까지 있던 것으로 보인다. 사서에는 심지어는 무릎 걸음까지 등장한다.
교회성당에서 기도할 때에 보통은 일어서서 두 팔을 벌리거나 두 손을 모으고 기도하거나[1] 의자에 앉아서 하지만 의자가 없는 경우 바닥에 양반다리 자세로 앉거나 무릎꿇고 앉아서 두 손 모으고 기도하는 곳도 있다. 대표적으로 사이비 종교신천지가 있다.

2.2. 일본


이쪽은 무릎을 꿇고 앉거나 여성이라면 안짱다리[2] 앉는다. 한국사람이 무릎 꿇은 걸 보면 다리나 발이 저려 쥐날 것 같이 불편해보이나, 어렸을 때부터 이렇게 앉는 데 익숙한 일본 사람들은 딱히 불편하다고 생각하지 않는 모양이다.[3] 물론 어디까지나 익숙해질뿐 다리 건강에는 좋지 좋다. 반대로 일본인들은 양반다리 자세가 익숙하지 않아 오히려 더 힘든 모양. 일본 만화나 소설 등에서 학생들이 다도 등을 하느라 오랫동안 정좌를 했더니 다리가 마비됐다거나 괴롭다거나 하는 식으로 묘사하는 것을 보면, 이 자세를 많이 하지 않은 90년대 이후로 출생한 젊은 일본인들이나 2000년대 이후 출생한 미성년자 일본인들은 정좌 자세에 익숙해지지 않아서 괴롭긴 마찬가지인 모양이다. 체중이 많이 나가거나, 스키니진같이 꽉 끼는 바지를 입은 사람의 경우 특히 힘들다. 정장이나 교복이 아닌 하카마까지는 아니더라도, 헐렁한 츄리닝을 입으면 다소 편해진다. 물론 예의를 갖출 때는 하카마 등을 입어야 하지만.
한국인이 일본에 가서 (예를 들어 사찰에서 템플 스테이 등의 다도 체험을 하면서) 정좌에 익숙해지면 생각보다는 힘들지 않음을 느낄 수 있다. 우리는 온돌바닥과 장판에 무릎을 꿇는 것이지만 일본에선 다다미에 무릎을 꿇는 것이라, 지면에 닿는 부분이 훨씬 편안하기 때문이다. 정 무릎꿇기가 불편한 사람들을 위해 작은 의자처럼 생긴 받침을 준비해두기도 한다. 무릎을 꿇을 때 엉덩이 밑에 까는 용도로, 엉덩이가 발을 직접 깔고 앉는 것이 아니기에 체중이 다소 분산되어 보다 편하게 앉을 수 있다. 정말로 정좌 자세가 죽을 것 같이 불편한 사람들은 양해를 구하면 의자를 준비하거나 다리를 모으고[4][5] 앉을 수 있게 배려해주는 곳도 많다. 일본에도 외국인이나 무릎이 불편한 노인층은 정좌를 매우 힘들어하기 때문에, 의외로 배려가 잘 되어있다.
한국의 정좌와 비교해보자면 허리는 비교적 곧게 펴지지만 무릎관절시망하는 건 마찬가지다. 가장 이상적인 자세는 의자에 앉는 서양식 입식문화다.
한국에서는 보통 잘못을 하여 체벌을 받을 때나[6] 잔소리를 들을 때만 무릎을 끓고 앉기때문에 '''이 자세에 부정적인 시선이 매우 많다.''' 심지어는 '무릎을 꿇는다'라는 말 자체에서 굴욕감을 느끼는 사람들도 꽤 있는 듯하다. 어린 시절에 이런 식으로 야단을 맞아 본 사람들의 경험도 이에 영향을 미치는 듯하다.
BDSM에서는 사디즘을 가진 가학적 성향을 가진 사람이 마조히즘을 가진 성향의 사람에게 굴욕감과 복종심을 고취시키기 위해 자신 앞에 무릎꿇고 앉아있는 자세를 취할 것을 강요하기도 한다.[7]
[1] 일반적인 묵상기도가 아닌 통성기도의 경우 주로 일어서서 온갖 제스쳐를 취하며 이런저런 방언도 많이 나온다.[2] 아니면 W자 앉기체육 앉기로 앉기도 한다.[3] 검도 등의 일본에서 들여온 스포츠는 바닥에 꿇어앉는 정좌 자세가 기본 앉는 자세인데, 어렸을 때부터 이를 하면 오히려 양반다리가 더 불편한 경지에 오를 수 있다.[4] 양반다리가 아니라, 일본 애니메이션에서 남자들이 자주 취하는 자세인 두 다리를 접어 발을 고간 앞에 두는 자세이다. 일본에서 양반다리는 다소 거만하거나 예의가 없다는 인상을 줄 가능성이 적게나마 있다. 전통적으로 양반다리는 일본에서 천황이나 정이대장군 정도만이 취할 수 있는 자세였기 때문.[5] 요즘 청소년들이나 젊은 일본인들은 정좌 자세 대신 바닥에 다리를 웅크리고 앉아있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6] 누구라도 "무릎꿇고 손 들기"같은 간접체벌을 어렸을 적 부터 가정이나 학교에서 받아 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특히 2000년데까지는 학교에서 단체기합으로 책상위에 올라가 무릎꿇고 의자들기같은 체벌을 많이 받아봤을 것이다.[7] 성향에 따라 다르지만 주로 나체 상태로 행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