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노사이드 커터

 


[image]
[image]
[image]
[image]
95
98 루갈 번스타인의 제노사이드 커터[1]
98 오메가 루갈 다크 제노사이드
2002, 2002UM 강 제노사이드 커터
1. 설명
2. 시리즈별 특성
2.6. 네오웨이브
2.7. CAPCOM VS SNK 시리즈
2.8. 아델하이드 번스타인이 쓰는 G.크라이스
3. 유사 기술
3.1. KOF 시리즈
3.2. KOF 시리즈 외
4. 기타


1. 설명


KOF의 보스 캐릭터 루갈 번스타인의 '''가장 대표적이자 악랄한 대공기 필살기.''' 열풍권이나 카이저 웨이브 등 남의 기술을 빌려 쓰는 루갈의 아이덴티티를 확 살려주는 기술로 루갈의 상징이나 다름없다. 살짝 뛰어오르며 한 발을 올려 베듯이 원 형태로 차는[2] 루갈의 상징적인 필살기이며, 후에 아들인 아델하이드 번스타인도 'G.크라이스'라는 이름으로 거의 같은 모션의 응용기를 쓴다.
일반적인 대공기와 달리 판정 범위가 매우 넓고 쓰고 난 후의 딜레이가 거의 없으며, 빠른 발동과 압도적인 공중판정을 지닌 개사기 기술로 루갈을 최상위 티어의 개캐로 만들어 준 기술이기도 하다. 커맨드도 쉽다. 일반 버전일때도 사기인 이 기술이 보스 버전일때는 한방에 1/2 정도의 에너지를 까기도 한다.
성능도 성능이지만, 간지나는 모션과 멋들어진 이름으로 인해 '''KOF에서 가장 인기 있는 기술 중 하나'''이다.

2. 시리즈별 특성


시리즈가 갈수록 성능이 변화하며 1히트씩 히트수가 늘어나는 필살기다. 커맨드는 94는 ↓↘→ + B or D, 95가 ↓↙←↖ + B or D, 그 이후는 →↓↘ + B or D.

2.1. KOF 94


[image]

94에선 선택불가 보스 캐릭터[3]인지라 판정과 위력이 그야말로 개사기. 발동시 전신 무적에 게이지가 '''MAX가 아님'''에도 한 대 맞으면(정확하게는 근접 2히트 시) 체력이 반 이상, 풀피의 60%가 날아간다. 게이지 MAX시에는 '''풀피의 80%.''' 워낙에 강력했던지라 물건너에서도 발음이 유사함을 이용한 말장난으로 제노사이드… 이겼다!(ジェノサイド…勝った!)[4] 라는 네타가 있을 정도. 94 RE-Bout에서는 공격력이 당연히 하향.

2.2. KOF 95


95에서는 루갈이 선택 가능하게 되면서 아케이드에서 쓸 수 있게 되었는데, 데미지와 무적시간은 94보단 약화되었지만 기게이지가 MAX시에 풀피의 50~60%가 날아가는 위력을 선보인다. 점프 강킥 - 서서 강펀치 - 제노사이드 커터의 콤보로 체력을 2/3 이상 빼면서 기절까지 시켜버린다. 게이지 MAX시에는 넉백 때문에 점프 공격을 역가드로 넣어야 하지만 동일 연속기가 들어가면 즉사. 대신 무적 판정이 사라지고 판정 자체는 상당히 좋으나 피격판정이 커져서 같이 맞는 경우가 많이 나올 정도로 약화되었다는 점은 그나마 양심적...인 것처럼 보였으나 문제는 가캔. 커맨드가 ↓↙←↖+발이라서 대공기로 빨리 입력하기가 어렵고 뒤로 헛점프를 할 가능성도 있어서 그다지 좋은 커맨드는 아닌데 파워MAX가되면 이야기가 다르다. 도중에 가드방향이 들어가기에 상대가 공격시에 ↓↙←를 입력해서 가드를 하고 가드하는 즉시↖+킥버튼을 입력하면 엄청 여유롭게 가캔이 된다. 그리고 대미지는 50%를 날려버리니 상대방 입장에서는 뭘 내밀 수가 없게 된다.[5] 루갈을 고성능 회피공격+무한콤 조합의 쿄와 함께 95 양강으로 올려놓은 일등공신. 덕분에 97의 폭주 이오리와 함께 리얼 파이트의 주범으로 악명 높았다. 94에서는 고를 수 없어서 맞아도 보스니까 아프겠거니 하는데 95에서 상대가 루갈을 '''골라서(!)''' 이걸 두어 방만 맞으면 거의 빈사상태가 될 정도로 어처구니 없이 강했던 기술.

2.3. KOF 98, KOF 98UM


98 노멀 루갈의 제노사이드 커터는 약으로 쓰면 95처럼 살짝 뜨고 강으로 쓰면 화면 높이 치솟는데 둘다 무적시간은 발동 직전 찰나의 전신무적뿐이며 후딜레이도 비슷하게 크다. 그나마 강으로 쓰면 상대방이 연속기 타이밍을 놓쳐 공중에서 맞아서 되려 덜 얻어터지기 때문에 98에서의 강 제노사이드 커터는 상대와 같이 맞는다는 심정으로 지르는 기술이 되었다. 같이 맞아서 1히트한 경우 상대방을 수직으로 상승시키는데, 이 상태에서 루갈이 맞은 공격이 강제다운기가 아닐 시에 수직으로 뜬 상대에게 초필살기 같은 다른 기술을 넣어주는 것이다. 약은 더 처참하다. 칼날 이팩트는 크고 아름다운데 딥스위치나 툴을 이용해서 판정박스를 보면 공격판정이 '''아랫쪽에만 있다.''' 절대로 대공기로 쓸 수 없는 수준이지만 강 제노사이드 커터가 앉은키 작은 상대에게는 닿지 않기 때문에 지상 리버설을 위해서는 싫어도 이걸 써야 한다. 이래저래 개안습. 98UM에선 무적시간이 길어져서 쓸만해졌다. 다만 무적시간은 길어지긴 했지만 여전히 찰나만 유지되며 판정이 전방에만 있는 문제 또한 여전해서 자신구석일 때는 근접약손으로 대공을 처리해야 했다.
오메가 루갈의 제노사이드 커터는 이름이 '''다크 제노사이드'''로 바뀌면서(그러나 기술을 사용할때 나오는 기합은 여전히 제노사이드 컷터) 마지막에 반대쪽 발 올려차기의 추가로 3히트짜리 기술이 되며 데미지도 대폭 상승한다. 판정도 물론 사기급. 하지만 판정이 전방에만 있는 문제는 여전해서 이오리의 강 귀신 태우기와 치즈루의 천신의 리, 마리의 버티컬 애로우엔 영 좋지 않은 곳을 처맞고 털린다. 심지어 무적이 없는 점프 기본기 같은 기술과 붙어도 머리쪽 칼날에 타격판정이 없어서 타이밍과 위치에 따라 지는 경우가 많다.
이후엔 다크 제노사이드가 제노사이드 커터의 자리를 빼앗아 한발로 원을 그리며 차올리기만 하는 제노사이드 커터는 노멀 디스트럭션 오메가의 마무리 모션으로만 볼수 있다.

2.4. KOF 2000


정규 출연은 아니고 쿨라의 매니악 스트라이커 등장. 해당 기술을 쓴다. 모션은 98 노멀 루갈의 제노사이드 커터.
발동은 좀 느리지만 상대를 띄우며 심지어 강제 기상도 된다. 쿄와 잘 맞는다.

2.5. KOF 2002, KOF 2002 UM


98/98 UM 오메가 루갈의 다크 제노사이드를 사용하지만 기술명은 제노사이드 커터로 표기하고 있으며, 기합도 제노사이드 커터. 강 버전 한정으로 3타 후 내려찍기 막타가 추가되며 4히트가 되었다. 약 버전은 2히트째에 상대를 수직으로 띄우는 특성이 있는데 여기서 추가타가 가능하며 제노사이드 커터를 또 먹일 수 있다.[6] 02UM에서는 이 특성이 강화되어 아예 제노사이드 커터로 공놀이를 하는 루갈을 볼 수 있다. 무적시간이 꽤 빵빵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찰나라서 호포 같은 대공기와 맞짱뜰 경우 영 좋지 않은 곳에 주먹을 맞고 나가떨어지는 모습을 가끔 볼 수 있다. 강버전 사용시 내려찍기에 하하하! 하고 웃는 대사가 추가되어 호쾌함을 더한다.
이 기술을 포함하여 오메가 루갈에게는 02/02UM 모두 슈퍼 캔슬 대응기가 존재하지 않으나, 02UM에서 시스템 변경으로 인해 MAX모드 한정으로 제노사이드 1타 후 초필살기로 연계할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까지 할 필요도 없는게, 애초에 02UM의 루갈은 모든 초필살기들이 '''절대판정'''이라 모콤이 필요없는 셈인데다, 절대판정 덕분에 온갖 콤보에서 다 이어진다.
KOF 올스타의 94 루갈 번스타인이 사용하는 피니시 스킬 제노사이드 커터 EX가 이 버전이다.

2.6. 네오웨이브


네오웨이브에서는 2002를 베이스로 삼은 게임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약화되었다. 판정 강력한건 변함이 없지만, 발동이 환장할정도로 느려졌다. 대신 무적시간은 빵빵하지만 상승할 때까지만 무적이며 상승하고 나면 2002 수준으로 찰나만 유지되고 사라진다. 비즈 디스트럭션과 함께 가장 뼈아픈 약화점. 물론 그래도 보스는 보스이므로 제노사이드 커터 없이도 강력하긴 하다.

2.7. CAPCOM VS SNK 시리즈


[image]
CAPCOM VS SNK 시리즈에서는 특이하게도 98 이후가 아닌 98 이전, 즉 94, 95 버전의 이펙트를 베이스로 나왔다. (이펙트 뿐만 아니라 모션도 98 이후의 그것이 아닌 94, 95 시절의 모션이다) 기가 없을 때 약공격에서 마음놓고 들어가는 필살기가 이거 하나라 일단은 밥줄이다.
참고로 외수판에서는 Destroyer Cutter(디스트로이어 커터)로 표기가 변경되었다. 나치 독일홀로코스트 때문인 듯. 음성 역시 제노사이드 커터 음성을 삭제하고, '''기합소리만 나온다.'''
[image]
갓 루갈의 제노사이드 커터는 약의 경우는 원작과 같지만, 강의 경우는 2히트짜리 올려차기를 추가로 먹이는 4히트짜리 기술. 본디 그냥 다크 제노사이드 커터 이지만 캡콤 특유의 재해석으로 다시 탄생한 케이스이다.
[image]
[image]
'''제노사이드 헤븐''' 이라는 제노사이드 커터의 초필살기 버전도 존재한다. 다리로 지상에서 두번 그은 후 제노사이드 커터로 마무리하는 기술인데 레벨에 따라 히트수가 다르다. 노멀 레벨은 두번 그은 후 일반 제노사이드 커터로 총 3히트 하지만, MAX 레벨은 두번 그은 후 갓 루갈의 강 제노사이드 커터 처럼 마무리를 하며 총 6히트 한다. 갓 프레스나 기간틱 프레셔 후 추가타로 들어가긴 하지만 자체 연속기로써의 가치는 똥파워 기간틱 프레셔에 비했을 때 좀 떨어지는 편. C그루브의 경우 2레벨 제노사이드 헤븐 후 캔슬로 다크 스매셔를 넣은 뒤 다시 1레벨 제노사이드 헤븐이 들어가는 연속기도 있다. 갓 루갈의 제노사이드 헤븐도 이와 다르지 않다.
MUGEN에서는 갓 루갈 한정(별도의 캐릭터가 있는 경우도 있고 일반 루갈의 팔레트 스왑인 경우도 있다) 약-중-강의 순서로 제노사이드 커터-다크 제노사이드 커터-2002 강 제노사이드 커터가 되기도 한다. 제노사이드 헤븐도 같은 사양.

2.8. 아델하이드 번스타인이 쓰는 G.크라이스


[image]
아델의 G.크라이스는 98 노멀 루갈과 동일한 이펙트를 가지고 있지만, 루갈의 제노사이드 커터가 거의 제자리 수직 상승인 반면 아델의 약 버전 G.크라이스는 전방으로 뛰면서 시전한다. 장풍 상쇄 판정이 있으며 발동이 빠른데다 무적 시간도 충분하고[7] 판정도 절륜급으로 강력한 대공 초필살기... 지만 도중에 공격판정이 없어졌다 다시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어서 상대의 무적기에 털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image]
강 버전 G.크라이스는 하단 킥 모션의 슬라이딩 - 제노사이드 커터. 모션 때문에 대공으로는 부적합하나 하단 판정에 스피드도 빨라서 기습으로 쓰기 좋다. 약 버전 강 버전 전부 자주 애용해 주어야 할 초필살기. 뭐 이건 어차피 기 게이지가 한개일 때 얘기고, 두개 이상이면 닥치고 슐라겐(...) 상대가 대점프로 역가드를 노리는 점프일 땐 슐라겐이 상대를 넘어가는 불상사가 있으므로 이 때는 G.크라이스로 격추시키는 것이 좋다. 진짜 오묘한 각도로 넘어오는 점프의 경우 기 3개와 스킬게이지 1개를 소비하여 강 크라이스->상대를 넘어갈때 드림캔슬 슐라겐으로 대공을 처리하는 퍼포먼스를 선보일 수 있다. 기가 아깝긴 하지만 S급 아델 유저는 이후 미칠듯한 정역심리를 걸면서 순식간에 기를 모아댄다.

3. 유사 기술



3.1. KOF 시리즈



3.1.1. 오로치


[image]
KOF 96 과 97에서는 루갈이 등장하지는 않았는데, 엉뚱하게 오로치가 제노사이드 커터와 모션이 비슷한 기술을 쓴다. 단지 이쪽은 '''기본기'''(지상 B or D)에 제자리 시전. 강은 그냥 기본기라 가뎀이 없지만, 맞고 날아가서 끝이다. 근데, 문제는 B. '''필살기 판정'''으로 가뎀도 있는 데다가[8], 공중에서 맞지 않은 이상 다운되지 않지만 약 기본기 주제에 상대에게 주는 딜레이가 끝내주기 때문. 끝에 걸쳐서 맞아도 혼이 들어가서 걸레짝이 되거나 특히 규를 조합하는 순간... 스턴치도 기본기의 수준을 초월했다. 훗날 NBC의 미즈치와 98 UM의 오로치가 이 기술을 서약이라는 이름의 필살기로 들고와 버렸다. 그것도 제노사이드 커터와 커맨드가 동일한 →↓↘ + B or D 로.

3.1.2. 크리자리드


[image]
루갈의 오마쥬성 캐릭터인 크리자리드가 라이징 다크 문이라는 기술로 따라했다. 이팩트나 모션을 보면 그냥 손으로 시전하는 제노사이드 커터. 성능은 무적떡칠로[9] 인해 최강 그 자체. KOF 99의 카운터 모드랑 KOF 2002 UM 공통으로 1타에서 슈퍼 캔슬이 가능하긴 한데, 캔슬 타이밍이 매우 짧다.

3.2. KOF 시리즈 외


가로우 마크 오브 더 울브스의 중간보스인 그랜트가 사용하는 초필살기 '''마신원월륜'''의 모션이 제노사이드 커터와 동일하며 이쪽은 연속으로 날린다.
스트리트 파이터 제로 시리즈에서 찰리 내쉬의 서머솔트 셸[10]의 모션이 제노사이드 커터를 연상시킨다. 스트리트 파이터 5에서의 필살기 소닉 사이드의 강 버전과 EX 버전도 마찬가지이다. 강 버전은 1번, EX 버전은 2번 올려베기를 한다.
철권 7의 캐릭터 클라우디오 세라피노의 주력 기술 중 하나인 스카이 슬래시 노바의 모션이 제노사이드 커터와 매우 흡사하다.
메탈슬러그 디펜스에서 루갈의 근접 공격으로 나온다.이오리의 시화 데미지의 두 배 가량을 뽑는 정신나간 데미지를 가졌지만 유닛 특성상 자주 쓸 일이 없는 것이 문제.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에서도 일부 캐릭터가 이 기술과 유사한 모션을 가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X부터 참전한 루카리오의 위 강공격이나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얼티밋부터 참전한 잉클링의 공중 위 공격.
데빌 메이 크라이 시리즈에서 버질이 격투 무장 베오울프를 착용하고 사용하는 기술 중에 라이징 선이라는 비슷한 모션의 기술이 있다.

4. 기타


[image]
몬데그린의 영향으로 좁싸리커터, 또는 ZOT싸이다, 초싸이다, 잽사이다, 제노사이드 콧털, 조사이 카카라고 불리기도 한다. 2002에서는 목소리톤의 변화로 인생역전이라고도 들린다.
손노리에서 만든 다크 사이드 스토리에서도 등장한다.
참치캔에 손가락을 베이면 이것을 맞은 것과 같다고 한다.
어째 백괴사전에서도 자주 쓰이는 표현이다 카더라. (...) 백괴사전에 의하면 '''신발에 칼날을 달아'''[11]# 사용한다고, 번스타인 일족이 유일한 예외이며 척 노리스를 이길 수 있는 유일한 기술(...)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덤으로 조선시대에 망나니들이 사형을 집행할 때 사용했던 기술이라는 소리까지 덧붙였다. 한문 가차로 '''재노사이두 각타'''라나 뭐라나(...).
스카이 스테이지에선...제노사이드 커터를 '''발사'''한다(...).
덤으로 서머솔트 킥과 연출은 비슷하지만 모션은 전혀 다르다. 그러고 보니 VS. 시리즈에서 내쉬가일의 서머솔트 킥이 위 대각선으로 전진하는 장풍을 발사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는데... 위의 스카이 스테이지에서 발사하는 것은 여기서 아이디어를 따오지 않았나 싶다.
타카미사키 료가 그린 KOF 만화에서는 하이데른의 한쪽 눈을 이 기술로 앗아간 듯 묘사되어 있지만, 공식 설정은 아니다.
드래곤플라이 사에 나온 AOS버젼의 경우, 주위에 근접한 적들을 그대로 제노사이드 컷터! 하고 올려버리는 기술이다. 꽤 근접해야하니 그래비티 스매쉬 연계를 잘 노리자.
캐슬바니아 오더 오브 에클레시아에서 '''드라큘라'''가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다만 기술의 연출 효과가 비슷한 거지 제노사이드 커터와는 다르게 쓰인다. 점프하면서 위로 올려차는 제노사이드 커터와 달리, 드라큘라의 기술은 다리를 올렸다가 내려찍으면 제노사이드 커터 같은 연출효과가 나오는 것.
메탈슬러그 디펜스에서도 루갈이 근접 공격으로 사용. 공격력은 야가미 이오리시화의 배가 넘는 무식한 똥파워를 보여 주지만 루갈 자체가 근접 공격을 할 기회가 별로 없어 자주 보기는 힘들다.
대전 액션 게임은 아니지만 유희왕 GX에 나온 암드 드래곤 LV7의 효과 명이기도 하다.
한편, 제노사이드란 타 인종간 집단살해를 뜻하는 말이다. 사실 한일 서브컬쳐에서 별 생각없이 쓰는 단어이긴 하지만 어원부터 '인종'이라는 단어를 포함하고 있어 단순한 '학살'보다는 '인종청소'로 해석될 여지가 크다. 때문에 사용에 있어 주의를 요해야 하는 단어이건만 이 필살기의 명칭이 변경된 경우는 CVS 시리즈의 외수판 외에는 없다.

[1] 자세히 보면 시전 동작이 달라졌는데, 94/95 버전은 뒤로 돌려차지만 98 이후 버전은 앞으로 후려찬다. 후술할 CVS2에서는 뒤로 돌려차는 모션을 가져왔다.[2] 94와 95에선 몸을 한 바퀴 돌리면서 차는 돌려차기 비슷한 모양새였지만 98 이후부터는 몸은 돌리지 않고 발만 올려찬다.[3] 오락실에서는 못고르지만 딥스위치나 에뮬레이터의 치트 기능으로 선택할 수 있다.[4] 음독하면 제노사이드 캇타! 실제로도 95까지 제노사이드 커터로 라운드를 딸 때 제노사이드!-상대 캐릭터 비명-커터!로 들린다. 98에서도 강 다크 제노사이드 커터 풀 히트로 스테이지를 KO로 마칠 경우 3타에서 커터!를 외친다.[5] CPU루갈은 레벨을 최하로 맞춰도 이 가캔을 아주 잘 활용한다. 95 컴퓨터의 흉악한 인공지능을 알 수 있는 부분.[6] 그런데 2타의 공중 판정이 거의 없는 느낌이나 다름없어서 조금만 아차하면 3타가 맞는다.[7] 무적시간 자체는 2프레임에 불과해서 아주 짧지만 발동시간도 2프레임이라서 공격판정이 나오기 전까지는 무적상태가 유지되는 셈이다.[8] 이와 비슷한 기본기는 C가 있지만 오로치의 품격을 생각해서 이런 기본기는 쓰지 말자(...)[9] 발동부터 상승 중에는 '''피격판정이 없다.'''[10] 서머솔트 킥의 내쉬 버전[11] 고추참치를 부른 네티즌, DORKAS의 노래 '제노사이드 커터 강좌'의 한 대목이다. 해당 누리꾼의 쯔꾸르 게임 The Doritos에서도 알 수 있듯, KOF 시리즈의 광팬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