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인 구달

 


'''Dame Jane Goodall'''
'''DBE'''
'''본명'''
'''제인 모리스 구돌
Jane Morris Goodall'''
'''국적'''
'''[image] 영국'''
'''출생'''
'''1934년 4월 3일 (90세)'''
'''[image] 런던'''
'''학력'''
'''케임브리지 대학교 동물행동학 박사'''
'''직업'''
'''동물학자, 환경운동가'''
'''상훈'''
'''DBE'''[1]
'''링크'''
''' '''
1. 개요
2. 설명
3. 매체
4. 기타
5. 같이보기

[clearfix]

1. 개요


[image]
영국의 동물행동학자, 환경운동가. 아프리카 침팬지 연구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2. 설명


[image]
어린 시절의 제인 구달.
1934년 4월 3일생, 영국 런던카레이서였던 아버지 모티머 구달[2]과 어머니 마가렛 조지프 사이에서 첫째로 태어났다. 그녀는 아주 어렸을 때부터 동물에 남다른 관심이 많았다고 한다.[3] 8살 때는 틈만 나면 동물과 자연을 관찰했으며, 소설을 읽고 아프리카로 가고 싶다는 꿈을 꾸었다. 12살의 나이에는 친구들과 동물사랑단체를 결성해 박물관을 만들고 전시회를 개최하기도 했으며, 또한 기금을 마련해 늙었다는 이유로 안락사당할 위기에 처한 을 구해 주는 등 행동력이 높았다고 한다.
1952년 고등학교를 졸업하였으나 대학에 갈 돈이 없어서 비서, 영화제작사 등에서 고졸아르바이트를 했다. 1956년 5월 케냐에 있던 학교 친구가 초대를 했고, 케냐로 갈 배삯과 생활비를 벌기 위해 웨이트리스로 일했다. 한 달 정도 친구네 농장에서 지내던 중, 지역 주민이 구달의 동물에 대한 관심을 알아보고 루이스 리키 박사에 대해 이야기해주었다.
루이스 리키 박사는 케냐 나이로비의 국립 자연사 박물관장이었다. 구달은 그의 비서가 되었다.[4]
몇 년 동안 비서일을 하던 그녀를 눈여겨 본 리키 박사는 그녀에게 침팬지에 대한 관찰과 연구를 추천했고, 그 제안에 기뻐한 제인은 자신의 어머니와 함께 침팬지 서식지로 떠나게 된다.
헌데 침팬지가 난폭하고도 조심성이 많은 지라 몇 개월 동안 모습을 감추는 통에 제인은 매일매일 숲에 가서 침팬지를 찾다가 우여곡절 끝에 침팬지들을 만나게 되었다. 침팬지 무리를 관찰하던 그녀는 차츰차츰 그들을 이해하면서 새로운 사실들을 발견하기도 한다. 가장 중요한 발견 중 하나는 침팬치가 도구를 사용한다는 사실이다. 기존에는 "오직 인간만이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라고 믿어왔기 때문에, 이는 그때까지 동물과 인간을 구분짓는 관점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5]
[image]
제인 구달, 20대 중반.
그간 모은 자료들을 기초로 학계에 발표하고 영국으로 돌아와 학위를 따내는 와중에 침팬지들이 위기에 처하려 한다는 것을 알고 침팬지들의 진실에 대한 강의를 여럿 열고 현지 주민들에게 숲과 그것을 둘러싼 생태계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을 받도록 함으로써 숲과 침팬지들의 존속을 인정받게 만든다.
구달은 1962년까지 아무 학위도 없었으나 1962년~1965년에 '''학사 학위 없이 곧바로 케임브리지 대학교 박사 과정에 입학'''했다. 이것을 허락받은 사람은 그 때까지 8명밖에 없었다.
1964년 네덜란드인 사진작가 휴고 반 라윅(1937~2002)과 결혼, 아들 휴고 에릭 루이스(애칭은 그럽(Grub))를 낳았다. 그러나 아들 에릭이 짐승 흉내를 내는 등 모글리 현상을 보이며 정글 속에서의 생활이 악영향을 미쳐서 이를 싫어한 남편과 자주 다투다가 결국 10년 만에 이혼한다. 그리고 바로 다음 해인 1975년에 탄자니아인(귀화한 영국인)인 탄자니아 국립공원 관리자 데릭 브라이슨(1915~1980)과 재혼했다. 데릭 브라이슨은 백인으로서 드물게 탄자니아에서 투표로 국회의원도 한 바 있을 정도로[6] 탄자니아에서 잘 지내던 사람이라 그녀의 연구를 잘 도왔으나 아쉽게도 1980년에 암으로 사망했다. 전 남편 반 라윅은 1978년에 테레사 라이스와 재혼했지만 1984년에 이혼했고 2002년에 사망했다.
현재도 침팬지의 존망과 지구 환경의 중요성을 설파하기 위해 활발한 활동을 벌이는 중. 나이를 먹으면서도 침팬지에 대한 사랑과 이해,[7] 지구 생태계에 대한 헌신을 놓지 않고 있다.

3. 매체


  • 2017년 10월, 침팬지와 함께한 제인 구달의 50여년 여정을 필름에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 《제인(Jane)》이 개봉되었다. 저명한 현대음악 작곡가 필립 글래스OST의 작곡을 맡아서 화제가 되었다.


4. 기타


  • 안면인식장애가 있었다. 구달을 다룬 여러 책에서 구달의 안면인식장애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 내셔널 지오그래픽 2014년 8월호에 젊은 시절의 사진과 이야기가 나왔다. 구글링해 봐도 관련 항목에 바로 Jane Goodall Young이 뜨니… 내셔널 지오그래픽 2010년 10월호에서는 그녀의 침팬지 연구에 대한 심도있는 기사를 내보냈다. 2017년 10월호에서는 제인 구달의 젊은 시절 이야기를 다루었다.
  • 도널드 트럼프에 대해서 수컷 침팬지같다는 평을 내리기도 했다. 제인 구달의 행적을 보면 그렇게까지 부정적인 평가는 아닐 것으로 추측되나, 오히려 그 점을 역으로 이용한 중의적인 표현으로도 생각할 수 있어, 여러 가지로 해석된다.

5. 같이보기



[1] 영국 2등급 훈장. 영국에서 2등급 이상의 수훈자에게는 기사 칭호가 붙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이름 앞에 'Dame'이 붙는다. 2003년 6월 서훈명단(2003 Birthday Honours)에 등재.[2] 당시 영국 유일의 카레이서였다고 한다.[3] 마당에서 지렁이를 직접 잡아와 베개 밑에 놔두기도 했고, 위 사진에서 볼 수 있듯 무섭게 생긴 침팬지 인형을 좋아해서 부모님을 당황시켰다고 한다. [4] 침팬지 연구자 제인 구달, 고릴라 연구자 다이앤 포시, 오랑우탄 연구자 비루테 갈디카스 이 세 사람을 '루이스 리키의 세 딸'이라 칭하기도 한다.[5] 이전까지는 도구를 쓰는가를 기준으로 보았는데 갈수록 도구를 쓰는 동물이 발견됨에 따라 심지어는 해달이 조개 껍데기를 가기 위해 돌을 사용하는걸 보고 '해달을 인간으로 인정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라는 주제의 진지한 토론까지 있었다. 결국 인류의 기준은 도구의 사용 유무에서 직립보행을 하는 원숭이로 변경. 이것조차 유인원 중 일부 개체는 성공하는 사례가 많지만 종 전체의 특징은 아니기 때문에 제외가 된다.[6] 탄자니아에도 백인계가 좀 남아있으나 투표로 정치인이 된다는 것은 대다수 흑인들에게도 지지를 얻었다는 셈.[7] 구달이 일본영장류 연구소를 방문할 당시, 연구소의 실험동물 중 상당히 난폭한 침팬지가 있었는데 귀한 손님 다칠까 봐 걱정하는 연구자들이 놀랄 정도로 쉽게(?) 그 침팬지의 경계심을 해제시켰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