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움 히어로즈/보유기록
- 순위에서 괄호 안의 숫자는 타이기록의 수를 의미합니다.
1. 팀 기록
- 팀 전체 또는 2인 이상의 선수가 달성한 기록입니다.
2. 개인 기록
2.1. 정규 시즌
2.1.1. 시즌 기록
- 등번호는 기록을 달성한 시즌을 기준으로 하며, 동일 선수가 다른 등번호를 사용하던 시즌의 기록들은 가장 빠른 시즌을 기준으로 이어붙여 서술합니다.
2.1.2. 통산 기록
2.2. 포스트 시즌
2.2.1. 시즌 기록
2.2.2. 통산 기록
2.3. 기타
[1] 1999년 이승엽과 스미스가 달성했었다. 토종선수만으로는 역대 최초.[2] 김성래, 김시진, 이만수, 장효조가 후보였으며, 두 팀 모두 한국시리즈에서 준우승을 한 것, 해당 팀을 꺾고 우승한 팀이 방어율왕을 MVP후보로 1명씩 배출한 것, 타격왕이 다승왕과 홈런-타점왕을 제치고 MVP를 수상한 결과까지 비슷하다.## [3] 더 대단한 것은 지금 같은 144경기가 아니라 128경기 때 나온 기록이다. 최근 가장 근접한 경우는 2020년 페르난데스의 199안타.[4] 소속팀이 중간에 재창단되긴 했지만 KBO에서 단일팀 소속으로 인정해줬다.[5] 첫번째로 골든글러브 수상한 마무리투수인 정명원(現 kt wiz 코치, 당시 태평양 돌핀스), 두번째로 골든글러브 수상한 마무리투수인 구대성(現 질롱 코리아 감독, 당시 한화 이글스) 이후 17년 만의 기록.[6] 유격수 최초의 20-20 클럽 달성자는 바람의 아들. [7] 참고로 프로통산 역대 첫번째 20-20 클럽과 홈런왕 최초의 20-20 클럽 기록은 김성한이 무려, '''1989년'''에 달성한 것. 물론 그 때에는 20-20 클럽이란 의미가 없었던 시절[8] 이승엽(97~03), 타이론 우즈(98~01) [9] 이승엽(97~03)[10] 1위는 당연히 이 분(당시 35세), 2위는 1994년 당시 롯데 자이언츠의 감독으로 들어갔던 전 SK 와이번스 감독(당시 40세), 공동 3위는 절친인 김기태(당시 LG)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