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데이 2/장비

 




1. 개요
2. 무기류
2.1. 무기 조합
2.2. 능력치
2.3. 조준기 개조
2.4. 사격 개조
2.5. 스탯 부스트/팀 부스트
3. 방어구
3.1. 투피스 정장
3.2. 방탄 조끼
3.3. 경량형 방탄 조끼
3.4. 중량형 방탄 조끼
3.5. 방편복
3.6. 복합 전술 조끼
3.7. 개량형 복합 전술 조끼
4. 개인 도구
4.1. 케이블 타이
4.2. 시체 가방
4.3. 의료 가방
4.4. 탄약 가방
4.5. ECM 재머
4.6. 트립 마인 & 성형작약탄
4.7. 센트리 건
4.8. 방탄복 가방
4.9. 구급 키트
4.10. 시체 가방 상자
5. 도구 및 상호작용
6. 가면
7. 전리품


1. 개요


페이데이 갱들이 현장에서 사용하는 업계 전문 도구들. 하는 일이 그렇고 그런 일인 만큼 대다수는 살상용이다. 주무기, 보조무기, 복장, 설치품, 가면의 다섯 가지 카테고리에 속하는 물건들 중 하나를 선택해 착용할 수 있으며, 그 외에 인질 포박용 케이블 타이 두 개를 기본 소지하고, 알람이 울리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 가능한 시체 처리용 가방 1개를 기본적으로 소지하게 된다.
  • 장비 대조 용어 및 공통적 성능,
    • Base: 장비 고유의 성능.
    • Skill: 관련 스킬에 의해 변화된 수치. Base의 수치를 포함하여 계산한다.
    • Mod: 해당 장비에 부착된 부착물의 성능보정.
    • Total: 각 무기의 성능 + 스킬, 부착물에 의한 보정을 표현.
    • Detection Risk - 발각 위험도: 현장의 보안 요원 및 경찰로부터 정체를 들키는데 걸리는 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낮을수록 시간도 더 걸리고 더 가까이 접근해야 의심받으며, 시작하는 퍼센트가 적고, 더 빠르게 의심이 지워진다. 최소 수치는 3이고, 최대 수치는 75. 잠행 하이스트에서 가장 중요한 성능. 참고로 스텔스 보정은 수치에 정비례하지 않는다. 즉, 수치가 6인 경우 최소 수치가 3인 경우보다 2배 더 잘 발각되거나 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은닉성이 높을 수록 낮아진다. 정말 쉽게 설명하자면 위험도가 75라면 발각도가 75% 부터 올라가고 위험도가 3 이라면 발각도가 3% 부터 올라간다는 거다. 그러니 75일때는 25%가 올라가기전 까지 벗어나야 하지만 반대로 3일때는 97%가 차기 전까지 벗어나면 된다.

2. 무기류




(기본형을 포함해 개조 부품 적용에 의해 나오는 파생형도 포함한 영상, 무지막지한 재생시간의 압박에 주의할 것.)
페이데이 갱들이 현장에서 사용하는 업계 전문 도구들 중 살상용 무기들이며, 주무기, 보조무기, 근접무기, 투척무기에서 각각 하나를 선택해 휴대할 수 있다. 각 무기는 일정 레벨이 되면 상점에서 해금되고 이를 구매해야 사용할 수 있다. 또 컨티넨탈 코인으로 개조 부품을 사거나 하이스트 마지막 날을 끝내면 받는 카드 보상으로부터 개조 부품을 구해 총기를 개조할 수 있는데, 역시 개조할 때마다 돈을 소모하지만 탈착할 때는 돈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단순히 무기의 자체 스탯만 보고 무기를 고르는 것은 때에 따라 비효율적일 수 있다. 일부 무기는 개조, 스킬에 따라 성능이 180도 바뀌는 무기가 있는 반면 그렇지 못한 무기들도 있다.
오버킬 소프트웨어가 총기 라이센스는 얻지 않았던 모양인지 자국인 무기인 스웨덴 무기인 AK-5나 일부 몇개의 무기들을 제외하면 대다수 무기의 이름이 실물과는 다르며, 주로 총기의 명칭을 그대로 이어 쓴 이름이거나 별명을 붙힌 경우가 많다. 필요하다면 모드를 이용해 실물 이름으로 고칠수 있다. 아니면 인벤토리에서 원하는 이름으로 고쳐준다던지.

2.1. 무기 조합


일반경찰용 탄 수급 무난한 무기 하나와 특수경찰용 폭발/관통형 무기를 챙기는 게 좋다. 보통 주무기를 일반경찰 대용, 보조무기를 특수경찰 대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보조무기를 메인으로 굴리고 싶다면 주무기를 특수경찰 대용, 보조무기를 일반경찰 대용으로 사용해도 전혀 상관없다.
각 스킬트리에는 고유의 무기 특화스킬이 있는데 마스터마인드는 저격소총 및 단발 무기, 인포서는 산탄총, 테크니션은 연발 무기, 고스트는 소음기와 고은폐 무기, 퓨지티브는 권총과 아킴보, 근접무기를 담당한다.

2.2. 능력치


다음은 인벤토리에서 보여지는 장비 공통 성능을 제외한, 무기에 관한 성능에 대한 설명이다.
  • Magazine - 장탄수
말 그대로 한 탄창 안에 들어가는 탄약의 수. 무기 장전 속도가 만족스러울 만큼 빠르다면 자주 재장전을 하면 되니 아무래도 상관 없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라 무장을 고를 때 눈여겨 보게 되는 수치. 그리고 탄창 확장 개조가 희귀하고 있다해도 주로 은폐도면에서 패널티가 존재하거나 상승량이 적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부착물은 30발 탄창에 38발이 들어가는 등 고증 오류가 판치고 그냥 탄창만 바꿨을 뿐인데 명중률이나 안정성이 줄어들고 늘어난다.
  • Total Ammo - 탄약 소지량
대체적으로 대미지와 반비례하는 양상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무기의 기본 장탄량의 배수인데, 적으면 2배, 보통은 3~4배 많게는 5~6배 정도. 개조로 소지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총기는 손에 꼽을 정도라서 다른 수치에 비해 조금 더 중요하게 고려된다. 물론 적들을 해치워서 드랍되는 탄약으로 보충할 수 있지만,[1] 소지량도 적은데 탄약가방도 부족하면 전투가 대단히 곤란해진다. 대부분의 FPS와는 다르게 게임 내에서 HUD에 그대로 표기되는데, 따라서 비숙련자의 경우 ‘'''지금 장전한 것'''을 제외하고도 이만큼 남았다’고 생각하다가 탄약 관리를 실패하기도 하니 주의.
  • Damage - 공격력
난이도가 낮거나 잠입한다면 대체로 체력이 낮은 적들이 출현하기 때문에 별로 중요시되지는 않지만, 난이도가 올라갈 수록 적들의 체력이 상당히 높아지기 때문에 중요한 수치
페이데이 2에서 법 집행자들은 피격당할 시 공격력/넉백 수치와 피격부위에 걸맞는 넉백 모션을 취한다. 넉백(혹은 경직)이 유발될 확률은 피해량에 따라서 결정되며, 폭발물이나 특정 스킬을 통해서 스턴을 유발시킬 수 있는 경우도 있다. 공격력에 따라 일정한 확률로 발동되는만큼 낮은 공격력의 무기를 쓸 경우 법 집행관이 죽을 때까지 넉백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헤드샷의 경우엔 배율에 따른 피해 증가 덕분에 넉백당할 확률이 굉장히 높아 머리에 쏠 때 만큼은 대부분의 경우 사격할 때마다 넉백이 발동된다. 문제는 이 넉백으로 인해 적들이 비틀거리며 머리가 이리저리 움직이기 때문에, 탄약 문제로 헤드샷을 노려야 하는 플레이어에게는 상당히 불리하게 작용된다는 점이다. 특히나 헤드샷으로 인해 유발되는 넉백 모션은 적이 머리를 보호하려는 모양새가 많다. 대상이 머리가 아니라면 유의미한 대미지를 입히기가 어려운 FBI 중무장 SWAT이라면 뒤로 누워버리는 모션이 방어자세로 보일 정도. 즉, 적을 한 발로 처리하지 못하면 바로 다음 사격으로 처치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적이 자세를 추스리기까지 공들여 기다린 후 처치해야 한다는 소리다. 때문에 페이데이 2의 무기들은 연사력이 조금 낮더라도 적당한 대미지를 갖추는 것이 권장된다.
테이저와 저격수를 제외한 특수유닛들과 데스위시의 머키워터 용병과 엘리트 SWAT은 일반적인 총기의 사격과 근접공격으로는 넉백을 유발시킬 수 없다. 데스 위시에서는 주적인 엘리트 SWAT이 폭발물을 제외한 넉백에 면역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공격력에 연연하지 않고 DPS에 초점을 맞추어도 문제가 없다. 다만 데스위시의 테이저는 맷집이 크게 강화되어 공격력이 약한 무기로는 아무리 사격해도 넉백이 거의 되질 않아 감전당할 시 자력으로 빠져나오기가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산탄총은 산탄 한 발이라도 맞으면 표기된 대미지가 그대로 들어가며 대신 한 번에 산탄을 여러발 맞혀도 중첩되지 않는다. 폭발물의 경우 각각의 대미지 고유값이 존재하며 대미지 공식은 "(1 - 폭발물과 대상의 거리/폭발 범위)^고유값"이다.
  • Accuracy - 명중률:
사격의 정확성에 영향을 주는 성능으로 최대치는 100. 아무리 총을 쏴도 빗맞으면 적이 죽지 않으니 중요한 요소지만, 실내전 위주의 하이스트를 한다던가, 대충 쏴도 상대가 죽는 스텔스를 한다던가 하면 필요성은 크게 격감한다. 산탄총의 경우 집탄성을 좌우하므로 높이 올릴수록 조준점 안에 더 많이 박아넣는 것이므로 헤드샷을 노리기 쉬운 대신 여럿 맞추기가 어렵고, 낮을 수록 조준점보다 넓게 퍼져서 더 많은 적들을 맞출 수 있는 대신 거리가 조금만 벌어져도 산탄이 빗겨나간다.
  • Stability - 안정성
총기의 반동 제어에 관여하는 요소로 최대치는 100. 다만 안정성 100을 달성한다고 무반동이 되는 것은 아니고, 안정성 0과 비교했을 때 반동이 1/6이 된다. 높을 수록 총구가 적게 튀어 연사무기를 사용할 때 중요한 능력치. 반면 사격과 사격 간의 시간간격이 넓은 단발화기는 딜레이 동안 에임이 원위치로 돌아가므로 중요하지 않은 요소가 된다.
  • Concealment - 은닉성
무기를 소지했을 때 얼마나 티가 나지 않는가를 가늠하는 성능. 즉, 타인들에게 얼마나 자신이 일반인처럼 보이는지에 대해 영향을 끼치는 요소. 발각 위험도는 이 수치의 합산으로 결정되며 주무기, 보조무기, 근접무기, 방어구의 은닉성 합이 119 이상일 때 최저치인 3이 된다. 무기를 최대한 작거나 짧게 해 감추는 것이므로 반대의 경우인 정확도, 안정성과는 공존하기 힘든 수치. 라우드에서는 회피 빌드를 쓰거나 크리티컬을 쓰지 않는 이상 은폐도는 게임 내에서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 Threat - 위협성
적에게 사격했을 때 적이 몸을 던져 회피할 확률을 결정하는 성능이다.
이 제압은 호불호가 꽤 갈리는데, 잠시간 적의 총격을 저지할 수 있으니 좋은 것이지만 문제는 회피동작이 너무 빨라서 정조준하던 타겟들이 돌연 숨어버리면 은근히 짜증이 나기 때문. 회피 동작에도 여러가지가 있는데, 옆으로 엎어지며 슬라이딩을 한 후 머리를 쑥 내놓은 채로 한동안 몸을 추스리느라 아무것도 안하는 고마운 동작이 있는가 하면 옆으로 슬쩍 구른 후 자세를 잡자마자 바로 조준사격을 가해서 조준점만 흐트려놓는 동작도 있다.
위협성 수치는 총열 혹은 확장 총열 개조를 통해 조절할 수 있으며, 총기에 소음기를 끼면 거들떠 볼 여지도 없을 정도로 대폭 감소한다. 제압효과의 경우 단발무기든 연발무기든 사람마다 제압되는 체감정도가 다르기에 본인이 제압효과를 쓰길 원한다면 직접 써보면서 적절히 조율하는것이 필요하다, 사람에 따라 단발에 높은 제압수치를 가진 무기가 잘되는 경우도 있고 연발에 낮은 제압 수치의 무기가 더 잘되는 경우도 있기에 탄약수와 대미지를 적당히 따지면서 조율할것을 추천하는편, 아무리 제압력이 높다해도 특수경찰의 경우엔 제압이 안되기에 제압 사격만으론 한계가 있고, 탄약의 문제도 있기 때문에 적당히 조정하는것이 가장 바람직한편.
  • Rate of Fire - 연사력
공격력와 더불어 살상력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이 큰 스탯이다. 단발무기의 경우 높을수록 사격과 사격사이의 딜레이가 줄어든다. 안정성과 탄창크기에 크게 영향을 받는 능력치이기에 연발무기의 경우 탄창 확대와 안정성 확보에 주력하는게 좋다.
  • Reloading Speed - 장전 속도
권총류의 장전 속도가 가장 빠르고 튜브 탄창을 쓰는 펌프액션 산탄총 계열이 가장 느리다. 페이데이 2 대부분의 무기들이 전술 재장전이 구현되어 있으므로 재장전하기전에 1발이라도 탄이 남았다면 좀더 빠르게 장전한다. 주로 돌격소총이나 기관단총계열에 장전속도를 빠르게 하는 개조가 많이 존재한다. 최소 0.1초대로 줄일 수 있다.
  • Aggravation - 어그로
어디에도 수치화되어 보여주지는 않지만 분명히 존재하는 수치다. Concealment - 은닉성과 Threat - 위협성하고는 아무상관없다. 어그로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명확하게 나와있지 않기 때문에 임의로 하나는 '''가청범위'''이며, 다른 하나는 '''도발수치'''라고 명명한다.
'''가청범위(m)'''내에 있는 모든 적에게 플레이어의 위치를 노출시킨다. 예를 들어, 총기가 내는 소리의 가청범위가 30m라면 플레이어를 기준으로 30m안에 있는 적들이 '''총기소리가 난 쪽'''으로 가게 된다. 실내외 상관없이 반지름 30m짜리 원 안에 있는 모든 적들이 플레이어가 '''총을 쏜 지점'''으로 간다는 것이다. 소음기를 달면 이 가청범위가 엄청나게 줄어드는데 정확한 수치는 모르겠으나 대략 플레이어의 근처에 있는 적들만 온다. 소음기를 달게 되면 적들은 소리에 반응하여 플레이어를 인식하지 못하게 되므로 시각(정면 시야)과 피격에만 반응하여 플레이어를 사격하게 된다. 총을 쏘자마자 모든 적들이 봇이나 조커를 무시하고 이쪽을 돌아보는 현상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소음기를 끼게되면 조커가 어그로를 많이 끌어주므로 시너지가 좋다.
'''도발 수치'''는 자신이 타겟팅 당하는 수치다. 이러한 도발 수치를 줄여줄 수 있는 건 로그 퍽 덱 - '''Elusive(보호색)[15%]'''과 스킬 - 고스트 - Silent killer(조용한 킬러) - 2티어 - '''Optical Illusions(착시현상)'''[35%]이고 반대로 높여줄 수 있는 건 머슬 퍽 덱 - '''Meat Shield(고기방패)'''[15%] 증가 뿐이다. 가령 4명이 함께 모여있는데 A가 머슬 퍽 덱에 옵티컬 일루젼을 안찍었고 나머지 팀원들은 모두 로그 퍽 덱에 옵티컬 일루젼을 찍었다고 가정하면, 거의 모든 적의 총구는 A를 향하게 된다는 것이다. 중요한건 이러한 도발 수치는 어디까지나 다른 팀원과 같이 있을 때만 발생하며 적이 공격할 대상을 정하는 '''확률'''에 불과하므로 맹신해서는 안 된다. 즉, 혼자 있다면 플레이어를 인식한 적은 도발 수치와 관계없이 공격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플레이어가 혼자 남거나, AI를 끄고 솔로 플레이 중 플랜 B로 전환 시 적은 무조건 플레이어쪽으로 가게된다. 위의 모든 사항을 무시하고 '''반드시 플레이어를 향해 간다'''.

2.3. 조준기 개조


페이데이 2에서는 따로 크로스헤어가 표시되지 않으며 지향사격 시 집탄율 패널티가 있어 정조준이 필요한 경우가 많은데, 정조준 시 조준을 편하게 하기 위해 조준기를 장착할 수 있다. 물론 장착하려면 카드를 통해서 조준기를 얻어야 하며, 대부분의 조준기는 장착시 은닉도가 감소하며 안정성이 상승한다.
수치로는 표시안되지만 조준기를 달 경우 에임속도가 살짝 느려진다. 패드 유저에겐 의외로 치명적이라, 패드만으로 조작한다면 조준기를 달지 않거나 자동조준을 활용하도록 하자. 옵션에서 조준 시의 에임속도를 별도로 설정할 수 있기도 하다.
각 조준기마다 조준점의 모양과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손가락 욕부터 오버킬 소프트웨어, 스타브리즈 스튜디오, 라이언 게임 라이언의 로고까지 다양한 편이지만 2번 업데이트 추가 후 더 이상 추가를 안하고 있다.
각 무기마다 기본적으로 달려있는 조준기. 성능 상승도 없을 뿐더러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기계식 조준기가 조준하기 굉장히 불편하기 때문에 대부분 안정성 상승도 고려해서 조준기를 장착하지만, 기계식 조준기가 더 깔끔하다거나 조준기를 달때 조준 속도가 약간 느려지는걸 꺼리거나, 스텔스 전용으로 개조할때 조준기의 은폐력 감소도 아까워서 장착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서 기계식 조준기를 쓰는 경우도 있다. 거의 대부분의 산탄총, 기관단총, 권총들은 기계식 조준기도 나쁘지 않으니 무작정 달고 볼 필요는 없다.
  • Marksman Sight
권총 전용 조준기. Bernetti 9, Crosskill, Deagle에만 장착 가능하다. 안정성 상승 및 명중률 2 상승. Gage Mod Courier DLC가 추가되기 이전엔 유일한 권총전용 조준기였다.
  • Gage Sniper Pack DLC 전용 조준기
    • Angled Sight
Gage Sniper Pack에 추가된 저격총 전용 기계식 조준기. Gadget 탭에서 장착하며, 플래쉬나 레이저 조준기를 대체한다. 다른 Gadget과 같은 방식으로 Q를 눌러 켜고 끌 수 있다. 사용하게 되면 총을 45도로 기울인채 조준하게 되는데, 이 조준기로 조준 시 줌 배율이 낮아져 줌 배율이 높아 노리기 힘든 근접해 있는 적을 처치하는데 효과적이다. 은폐력이나 안정성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 도전 과제: Triple Kill: 총 한방으로 3명을 동시에 처리. 굳이 저격총이 아니라 산탄에 슬러그를 달고 관통킬을 해도 인정된다. Angled Sight 언락. 시민 사살은 인정되지 않는다.
  • Gage Shotgun Pack DLC 전용 조준기
  • Flip-up Sight
Gage Shotgun Pack DLC에 추가된 Raven전용 기계식 조준기. 안정성 상승치는 없고 은폐력만 2 상승
  • 도전 과제: Lock, Stock & Eight Smoking Barrels - 모든 산탄총을 1개씩 구입하기. 도전과제 이름은 1998년 영화 Lock, Stock and Two Smoking Barrels의 패러디.
  • Gage Historical Pack DLC 전용 조준기
  • Iron Sight
Gage Historical Pack DLC에 추가된 Nagant전용 기계식 조준기. 안정성 감소 및 은폐력 2 상승.
  • Surgeon sight
실제 모델은 Larue Tactical에서 제작한 IRONDOT-DO 사이트. 줌배율이 가장 작다. 은폐력(Concealment) 1 감소
  • The professional's choice
실제 모델은 Aimpoint 사에서 나온 Micro T-1. 단축 튜브형 조준기. 주변시야 확보엔 최고지만, 조준배율이 낮은 무기에 장착하면 오히려 조준경으로 조준하기 힘들다. 은폐력(Concealment) 1 감소
  • See More Sight
첫번째 DLC 아머드 트랜스포트 업데이트 구입시 추가되는 C-more railway. 은폐력(Concealment) 1 감소
  • Holographic Sight
실제 모델은 이오텍 553. 의외로 사이즈가 크며 조준시 주변시야 확보가 용이하다.배율은 무난하며 은폐력(Concealment) 2 감소
  • Military red dot
Milspec과 함께 조준기 중 가장 큰 크기를 가졌다. 은폐력(Concealment) 3 감소. 예약 구매자에겐 덥개 부분에 오버킬 로고와 페이데이가 써있으며, 조준기들 중에서 장착 비용이 제일 싼 특별한 조준기가 주어졌다.
  • Milspec scope
실제 모델은 엘칸社의 4배율 스코프. 스코프라는 이름답게 조준경에 점만 찍혀있지 않고 십자로 선이 그려져 있는 것이 특징. Military red dot과는 외양만 다를 뿐 모든 수치가 똑같다. 은폐력(Concealment) 3 감소
  • Acough Optic
2013년 크리스마스 업데이트 이후 추가된 조준기. 실제 모델은 ACOG의 3.5x35 Scope 모델. Milspec scope와 마찬가지로 조준점과 십자선이 그려저 있는것이 특징. 그리고 줌배율이 가장 크며 Milspec scope 조준경보다 줌배율이 2배정도 높다. 은폐력(Concealment) 3 감소
  • Gage Mod Courier DLC 전용 조준기
Gage Mod Courier DLC 업데이트 이후로 추가된 조준기들. 카드 뒤집기로는 절대 얻을 수 없고, 각 맵마다 흩어진 Gage의 패키지를 획득하고 일정 갯수가 채워지면 해당 패키지의 물품을 지급하는 형태. 조준기 뿐만 아니라 공용 혹은 일부 무기전용 개조품도 획득 가능하다. 필요 요구치는 아래에 설명.
  • Compact Holosight
실제 모델은 이오텍 XPS3. Gage Mod Courier DLC 구입후 Green Mantis 패키지를 5개 모을시 획득 가능. 은폐력 2 감소.
  • Speculator Sight
실제 모델은 NcStar 택티컬 리플렉스 레드닷 Sight Gage Mod Courier DLC 구입후 Green Mantis 패키지를 5개 모을시 획득 가능. 은폐력 1 감소.
  • Trigonom Sight
실제 모델은 Trijicon社의 RX01 Reflex Sight. Gage Mod Courier DLC 구입후 Yellow Bull 패키지를 10개 모을시 획득 가능. 은폐력 1 감소.
  • Combat Sight
Gage Mod Courier DLC 구입후 Blue Eagle 패키지를 20개 모을시 획득 가능. 은폐력 1 감소.
  • Solar Sight
실제 모델은 Trijicon社의 RX30 Reflex Sight. Gage Mod Courier DLC 구입후 Blue Eagle 패키지를 20개 모을시 획득 가능. 은폐력 2 감소.
  • Pistol Red Dot Sight
실제 모델은 Trijicon社의 RM06 RMR sight. Gage Mod Courier DLC 구입후 Purple Snake 패키지를 25개 모을시 획득 가능. 이름답게 권총에만 장착 가능하다. 은폐력 1 감소.
  • Gage Sniper Pack DLC 전용 조준기
    • SHORT DOT
기본 장착 되는 저격총 전용 조준기. 실제 모델은 Schmidt & Bender社의 1-8x24 pm short dot. 전형적인 스코프이며 크로스 헤어가 달려있다. 성능 변화 없음.
  • THEIA Magnified Scope
Gage Sniper Pack으로 추가된 스코프. 저격총 전용이다. 실제 모델은 BORS(Barrett Optical Ranging System)이 달린 Leupold Mark 4 LR/T M1. 두가지 기능이 있는데, 하나는 거리 측정기로, 200m 내에 있는 적들의 거리를 측정해준다. 또 하나는 자동 태그로, 스코프로 스탤스중에 경비원을 마크 하거나, 특수 경찰들을 마킹할 수 있는 기능이다.[2] 안정성(Stability) 3 증가, 은폐력(Concealment) 3 감소. 일반적인 모드와는 다르게 도전과제를 언락해야 얻을 수 있다. 여러번 다운되어서 화면이 흑백일때도 이 스코프의 거리계는 초록색으로 빛난다.
  • 도전 과제: Didn't See That Coming Did you?: 무슨 저격총을 쓰든 집 라인을 탄 상태에서 집행관 10명 처리. THEIA Magnified Scope 언락. 가장 쉬운 방법은 Bank Heist에서 저격 위치(Vantage Point) 에셋을 구매하여 경찰들을 은행 옥상의 집라인을 타면서 쏴주면 된다
  • Gage Spec Ops Pack DLC 전용 조준기
  • Box Buddy Scope
Gage Spec Ops Pack으로 추가된 스코프. 저격총 전용이다. 테이아처럼 자동 마킹 능력이 있으면서도 배율이 같다. 차이점이라면 테이아보다 좌우 시야각이 넒은 대신 상하 시야각은 좁다. 테이아와는 달리 별도의 도전과제를 달성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다.

2.4. 사격 개조


Gage Weapon Pack #01에 추가된 모드로, 기존의 연발/단발 소총 및 기관단총을 단발/연발로 바꿀 수 있으며 게이지 무기팩 #01을 구입하면 일점사 고정/자동사격 고정 모드를 5개 지급하고, 개조품을 다 쓰면 카드 드랍으로 얻을 수 있다.
단발 모드의 경우 개조품으로 고정시 마스터마인드의 샤프슈터의 스킬 효과를 얻으며, 명중률이 오르고, 안정성이 내려간다. 연발 모드의 경우 개조품으로 고정시 테크니션의 오프레서의 스킬 효과를 얻으며, 대미지와 안정성이 소량 상승하고, 명중률이 떨어진다. 물론 단발무기 스킬효과를 받았던 무기는 연발 모드를 달경우 더이상 스킬효과를 받지 못한다.


2.5. 스탯 부스트/팀 부스트


2015년 12월 18일자 업데이트로 추가된 개조. 기존의 총기 스킨에 붙어있던 스탯 부스트와 팀 부스트만 따로 떼서 무기를 개조하도록 한 시스템이다. 스탯 부스트/팀 부스트는 카드 드랍으로 얻거나 월간 사이드 잡(Monthly Job)을 완료하여 얻을 수 있다. 원래 스탯 부스트 스킨이 있던 총기[3]들은 별도의 스탯 부스트가 있지만 그 외의 총기에는 기본 스탯 부스트(은닉도 +1, 명중률 +4, 안정성 +4, 팀 부스트 +3%, 샷건 한정 명중률 -4, 저격총과 활, 기관총, 화염 방사기 한정으로 탄약량 증가.)만 사용할 수 있고, 총기 한자루에 한가지 부스트만 적용 가능하다. 스탯 부스트와 스킨을 같이 사용하면 스킨의 스탯과 합산되지 않는다.

3. 방어구


방어구의 능력치는 인벤토리에 방어력(Armor), 체력(Health), 은닉성(Concealment), 이동 속도(Speed), 회피율(Dodge), 균형력(Steadiness), 지구력(Stamina) 총 일곱 개의 수치가 표시되어 있으며 의미는 다음과 같다.
  • Armor - 방어력: 착용자가 피해를 입을 때 흡수가능한 양. 체력 게이지 바깥의 흰색으로 표시된다. 방어력은 피해를 입으면 소모되며, 기본적으로 적에게 조준당하지 않고 3초가 지나면 다시 회복된다. 저격수에게 맞는게 아닌 이상 남은 방어력보다 더 큰 피해를 입더라도 방어력만 전부 소진되고 체력에 피해를 주지 않는다.
  • Health - 체력: 착용자의 체력. 방어력과는 달리 기본적으로 다시 회복되지 않고 0이 되면 다운 상태가 된다.
  • Concealment - 은닉성: 발각 위험도에 영향을 주는 수치. 은닉성이 높을 수록 위험도는 낮아진다. 최대는 75 최소는 3.
  • Speed - 이동 속도: 말 그대로 복장 착용 시의 이동 속도. 최대 195%까지 늘릴 수 있다. 그러면 1분 안에 사거리를 3번이나 넘어 갈 수 있다.
  • Dodge - 회피율: 회피는 피격당했을 때 일정 확률로 피해를 무시하는 경우로, 회피율은 말 그대로 그 수치만큼의 확률로 회피가 일어난다.
  • Steadiness - 균형력: 피해를 입었을 때 화면이 흐려지거나 흔들리는 것을 억제하는 성능.
  • Stamina - 지구력: 전력질주 시 소모되는 심폐 지구력의 총량.

3.1. 투피스 정장


[image]
요구 레벨
0
방어력
20
은닉성
30
이동 속도
37
회피율
5
균형력
11
지구력
21
넥타이까지 깔끔하게 메고있는 Two-Piece Suit. 기본적으로 주어지는 방어구. 유일하게 이동속도 페널티가 없는 대신 스치면 방어력이 사라지는 수준. 스텔스의 모범 방어구로 은닉성이 가장 높아 잠입미션에서 대부분 애용하는 편. 하지만 퓨지티브와 퍽 덱 업데이트로 로그 덱이 등장함에 따라 스킬에 의한 보정을 얻을 시 높은 회피율과 이동속도가 결합되면서 격한 전투에서도 운빨에 기대는 편이기는 해도 슈트 플레이가 가능하게 되었다.
100 업데이트 후 로그 덱 회피율을 모두 합치면 45%라는 회피를 보이고, 고스트의 Duck and Cover와 Sneaky Bastard 스킬 효과를 포함하면 기본 55%, 달릴 시에 65%의 회피율이 나와 수월하진 않지만 어느정도 플레이를 보장해준다. 오직 로그뿐만 아니라 그라인더는 체력 회복 조건이 슈트 혹은 경량 방탄 조끼 장비에, 아나키스트도 자동재생되는 체력삼아 쓰기위해 정장플레이를 하는 경우도 있고 엑스-프레지던트도 스택량과 아머회복속도, 그리고 회피율을 활용하고자 입기도 하며, 시카리오도 일단 회피형 퍽덱이기에 자주 입는다.

3.2. 방탄 조끼


[image]
요구 레벨
1
방어력
60
은닉성
23
이동 속도
35
회피율
-10
균형력
12
지구력
19
Ballistic Vest. 레벨 12에 풀리는 중 방탄 조끼를 얻기 전까진 그나마 높은 아머이기 때문에 극저렙 유저로선 유일한 방어구. 다만 경방탄과 중방탄사이라 어중간 한데다 요즘은 튜토리얼만 해도 12레벨정도까지는 열려서 잘 버려진다. 다만 경방탄과 중방탄 사이를 원하면 채용하기도 한다. 아나키스트라던가...

3.3. 경량형 방탄 조끼


[image]
요구 레벨
7
방어력
50
은닉성
26
이동 속도
36
회피율
-5
균형력
11
지구력
20
Lightweight Ballistic Vest. 일명 LBV. 레벨 7에 주어지는 방탄복으로, 정장 안에 껴입는다. 이동 페널티가 적지만 그만큼 방탄 수치도 적다. 레벨이 올라가며 다른 방어구들이 풀리면 애매한 수치 때문에 보기 힘들지만, 정장과의 속도 차이는 겨우 1이지만 회피 패널티가 -5이다. 100 업데이트 이후 크룩 퍽덱과 스킬을 이용해 회피율 40%, 방어력을 136.5를 확보할 수 있어서 방어력을 우선하면 중방탄을, 회피를 우선하면 경방탄을 고르는 편이다.
그라인더 덱은 정장 또는 경방탄만 적용되어 쓰이는 편이지만, 30 증가하는 아머에 비해 회피율 페널티가 커서 주로 정장을 착용한다.

3.4. 중량형 방탄 조끼


[image]
요구 레벨
12
방어력
70
은닉성
21
이동 속도
33
회피율
-15
균형력
13
지구력
18
Heavy Ballistic Vest. 일명 HBV. 레벨 12에 풀리는 방탄복으로 이때부터 방탄 수치가 늘어나며 이동 페널티도 늘어난다. 원래는 크룩 퍽 덱 전용 방어구라고 불릴 정도였으나, 스토익이 쓸때 더욱 효과적인 방어구이기도 하다. 경량방탄보다는 탱킹에 조금 더 중점을 둔 형태이다.
인포서의 다이하드 에이스 효과인 방탄 조끼류 방어력 20 상승과 아이언맨 베이직의 방어력 증가 30%, 그리고 퍽덱으로 크룩을 껴주면 방어력이 175.5가 된다. 이는 중량방탄 한정으로 아머러와 거의 비슷한 수치. 그러나 175라는 애매한 아머는 데스위시에서 효율이 떨어지는데다 데스센텐스에서는 쓰레기나 다름이 없으므로 오바킬 이상만 가도 버려지게 된다. 따라서 고난이도에서 볼 수 있는 중량방탄복은 주로 스토익 유저들이 쓰게 되는데, 위 크룩과 같은 스킬 세팅으로 347의 체력을 만들 수 있다[4]만약 아이언맨 에이스를 찍고 ICTV를 입는다면 100hp가량을 더 얻을 수 있지만, 중량방탄 빌드에 비해 이동속도와 스테미너가 크게 뒤쳐지게 되며 무엇보다 8스킬포인트를 더 소모해야 한다는 점이 패널티이다. 이렇게 아낀 스킬포인트로 인스완송과 무기 관련 딜스킬을 찍고도 조커 에이스 - 호스티지 테이커 에이스까지 찍을 수 있어 생존력이 굉장히 좋아지게 된다.스토익의 특이한 매커니즘덕분에 다른 퍽덱에선 애매한 중량방탄이 오히려 여기선 득을 보는 것.

3.5. 방편복


[image]
요구 레벨
21
방어력
90
은닉성
18
이동 속도
26
회피율
-20
균형력
14
지구력
17
Flak Jacket. 어깨방어구만 추가된 만큼 방탄 조끼와 비교해서 아머 증가량은 적은 반면 이동속도 페널티가 상당히 크다. 다이하드 에이스나 크룩도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매우 비추천되며, 복합 전술 조끼를 입는 사람은 있어도 이걸 입는 사람은 없다. 방편복이라는 이름이 무색하게 폭발물 등에 대한 효과도 없기 때문에 더더욱.

3.6. 복합 전술 조끼


[image]
요구 레벨
31
방어력
110
은닉성
12
이동 속도
23
회피율
-25
균형력
16
지구력
16
Combined Tactical Vest. 일명 CTV. 방탄 수치가 두 번째로 높다. 회피에 페널티가 크게 붙고 정장이나 방탄조끼와 비교해도 이동속도 페널티가 크게 와닿을 정도로 속도가 느려진다. 은폐력 또한 바닥을 치기 때문에 아무리 극한 은폐 개조한 무기만 골라 잡아도 플랜 A에 쓰긴 어렵다. 오버킬 난이도까진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데스위시에선 이정도 방어력으론 부족하여 절대 쓰이지 않는다.
페이데이 2 팬덤에서는 '''초보자의 상징 그 자체'''이다. 별다른 스킬이 없이도 어느 정도 방어력을 챙길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많은 초보자들이 아무 것도 모를 때 자주 선택하는 방탄복이지만, 사실 조목조목 따져보면 절대로 권장할 수 없는 방탄복이다. 첫째로 스킬포인트를 투자하고 퍽 덱이 좀 갖춰지면 극회피 정장이나 떡장갑 ICTV 등 훨씬 좋은 방어구들을 사용할 수 있다. 둘째로는 기동성이 ICTV 수준으로 무척 떨어진다는 점인데, CTV와 ICTV의 방어력 차이는 거의 두 배에 가깝다. 셋째로, 다이하드 스킬을 에이스만 찍으면 CTV에 비해 방어력이 살짝 떨어지지만 기동성이 몇 배는 좋은 HBV가 있다. '''까놓고 말해 함정카드나 다름없는 물건.'''
데스 센텐스 난이도에서 아머러+프렌지 에이스 조합으로 ICTV와 같은 225데미지 2발을 버티며 스테미나와 이동속도가 높기에 아머러 프렌지 빌드에서는 채용가능성이 있다.(아이언맨 베이직+프렌지 에이스와 아이언맨 에이스+프렌지 베이직은 들어가는 스킬포인트가 같다)
여담으로 팔에도 어깨에 방어구가 있지만 1인칭으로 보면 아무것도 없다.

3.7. 개량형 복합 전술 조끼


  • 인포서의 Iron Man 에이스 스킬 필요
[image]
방어력
170
은닉성
1
이동 속도
20
회피율
-55
균형력
22
지구력
14
Improved Combined Tactical Vest. 일명 ICTV. 본래 화이트 메사의 기술로 만들어진 프로토타입 방탄복으로, 보안 업체 젠섹(GenSec)에서 실험하던 도중 도난 당해 불법적으로 제조 및 유통되어 젠섹이 추적 중이다.[5], 혹스턴 리벤지에서 나오는 배신자는 라우드로 갈 경우, 이걸 입고 나온다.
등장하는 방탄복 중에 방탄 수치가 제일 높은 것이 장점. 기본적인 아이언맨의 30% 증가를 받으면 221, 아머러를 사용시 총 280의 방어력을 얻으며, 아나키스트를 사용하면 400.4까지 올라간다. 단점은 이동 페널티도 제일 높아서 걸어다니는게 무슨 기어다는것 같고 뛰다 보면 얼마 안가 헉헉댄다. 즉 기동성이 극도로 떨어지기 때문에 파쿠르 베이직은 거의 필수 스킬 취급. 기본 방어력이 복합 전술 조끼의 2배 정도이지만[6], 데스 위시에선 이정도 방어력도 부족해 아머쪽 퍽 덱과 조합은 필수. 문제는 데스 센텐스인데, 주적인 헤비스왓의 공격력이 '''225'''로 ''' ICTV의 방어력보다 4높기 때문에 별도의 퍽 덱없이 사용시 정장과 마찬가지로 한방에 깨져버린다는 것'''. 이동속도도 떨어지고, 회피율도 없는데다 은폐도가 바닥을 치니 사용할 이유가 거의 없다. 이거 찍자고 아이언맨 에이스 찍을 바에 정장입고 회피나 크리쪽으로 올려 생존이나 공격력을 높이는 게 더 도움이 되기 때문. 사실상 데스 센텐스에선 쓸모가 없어진다. 굳이 써야한다면 언더독 에이스나, 프렌지 스킬을 올려 한방 더 버티던지, 아머러 또는 아나키스트로 방어력을 늘려서 2발은 버티고 방어가 까이면 2초 무적으로 뻗대던지 해야한다.
여담으로 팔에도 방어구가 있지만 1인칭으로 보면 아무것도 없다.

4. 개인 도구


페이데이 2에서는 플랜 A, B에 따라 개인 도구를 적절히 이용해야 한다. 이런 보조적인 장비는 스킬에 따라 나뉘기도 하며, 필요에 따라 게임 시작전에 소지한 장비를 변경한 뒤 시작 할 수 있다. 대부분의 도구는 G키로 설치가 가능하며, 케이블 타이만 F키로 사용이 가능하다.
케이블 타이와 시체가방은 따로 선택하지 않아도 기본적으로 소지하며, 나머지 장비는 한 개만 선택이 가능하며, 예외적으로 테크니션의 팔방미인 에이스가 있으면 모든 개인 도구를 두 종류 선택할 수 있는 대신 보조 도구는 소지량이 절반으로 제한 되는 식으로 사용 가능하다. 개편 이전에는 트립 마인과 센트리건 한쪽을 모두 소모하면 다른 하나를 설치하는 방식이었기에, 테크니션이 아니면 거들떠도 안보는 스킬이었지만 지금은 범용성이 생긴 편.

4.1. 케이블 타이


Cable Tie. 전작과 마찬가지로 민간인의 손목을 묶어 인질로 만들때 쓰는 도구로 기본 지급되는 수량 외에 탄약상자 회수시 20%의 확률로 추가입수가 가능하다. 케이블 타이로 묶은 민간인은 인질 취급이 되는데, 이 때에는 도망가거나 경찰에 신고를 할 수 없고, 플레이어가 일으켜 따라오게 할 수 있다.
스텔스와 라우드 모두 유용하게 쓰이는 도구로 스텔스에선 민간인의 신고를 방지하고 사각 지대로 옮겨 시체 가방을 절약할 수 있다. 라우드에선 인질을 잡으면 경찰 측의 어설트 준비시간을 오버킬까진 30초, 메이헴 이상부턴 10초 늘려 준다. 또한 구금되면 어설트 준비 시간에 협상시간을 지낸 이후 인질거래를 통해서 리스폰될 수 있다. 또한 교전도중 민간인이 여기저기 돌아다는 것을 예방하여 불필요한 민간인 사상자를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스텔스에서 NPC가 다른 NPC를 인식하는 부위는 머리이기 때문에, 타이로 묶어서 눕힐 때 지형물 안쪽에 머리가 전부 들어갈 경우 경비가 봐도 느낌표를 띄우지 않는다. 하지만 머리가 벽을 뚫고 나와 반대편에서 느낌표가 뜰 수 있으니 주의.
시민을 묶는데는 2초가 소모되며, 강제된 우정 베이직을 찍으면 0.7초가 소모된다. 여기에다가 Quick 봇 스킬을 쓰면, 속도를 25% 줄일 수 있다.

4.2. 시체 가방


Body Bag. 잠입 하이스트에서 경비나 민간인의 시체를 누군가 발견할 경우 곧바로 느낌표 표시가 뜨며 신고를 시도하는데, 이를 막기 위해 시체를 싸 옮길 수 있는 도구. 기본적으로 모든 플레이어가 1개씩 휴대하고, 최대 3개까지 휴대 가능하다. 고스트의 청소부 베이직을 찍으면 기본 소지량이 2개로 늘어난다. 시체 가까이 가서 상호작용 버튼을 눌러 가방에 시체를 담고, 동료들도 그 시체가방을 집어 옮길 수 있다.
가방은 금괴보다 살짝 가벼운 정도의 무게로 들고서 달릴 수 없고 멀리 던질 수도 없다. 다만 경비는 먼저 응답부터 해야 하며, 잠입 시에만 사용 가능하고 알람이 울리면 더이상 만들 수 없다. 시체의 경우 기본 발각도가 최대치라 굉장히 발각되기가 쉬운데 시체 가방은 시체보다 발각도가 낮아 발견되더라도 대처할 시간을 벌 수 있다.
고스트의 청소부 베이직을 보유하고 있다면 잠입이 가능한 미션에선 시체가방이 3개 들어있는 시체가방상자를 에셋으로 구입하거나, 프리플래닝으로 세팅할 수 있는 맵들은 원하는 곳에 배치할 수 있다. 에셋은 시작지점 근처에 배치되며, 소모할때마다 가지러 돌아다녀야 하기 때문에 맵의 구조상 시작지점이 안전하지 않은 몇몇 하이스트 같은 경우엔 활용성이 크게 부각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버글러없이 시체를 싸는 데는 2초가 소모되며, 시체 가방 에셋에서 시체 가방을 보충하는것은 1초가 소모된다.

4.3. 의료 가방


[image]


Doctor Bag.[7]다운에서 회복했을때 가장 많이 찾게 되는 것. 사용 시에 사용자의 체력을 모두 채워주고 다운 카운트를 초기화시킨다. 기본 소지 갯수는 2회분 1개이지만, 마스터마인드의 의무관을 에이스까지 찍으면 4회분짜리 2개를 소지한다. 오른쪽 하단에 큼지막하게 놓여있는 혈액팩의 개수로 남은 사용 횟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플레이어는 3회 다운시 화면이 흑백으로 흐려지고, 다시 일어난 뒤에도 체력이 낮아질수록 화면이 흑백톤 위주로 변하는데, 여기서 다시 다운시에 즉시 구금이 된다.[8][9] 이 상황에서 닥터백을 사용하는것으로 체력을 회복할 수 있으며, 이 다운제한 횟수를 초기화 시킬수 있다. 오버킬 이상의 난이도, 특히 데스 위시에서 3회 다운전까지는 사용하지 말고 아껴두었다가 3회 다운시나 가방을 옮길때와 같은 장거리 이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원다운 옵션을 켤경우, 특히 데스 센텐스라면 드러눕기도 쉬운데다, 나인 라이브즈 에이스를 찍어도 2번까지는 다운되었다가 일어날 수 있지만, 그 다음에 다운당하면 즉시 구금이므로 사실상 필수 아이템이다.
기본적으로 배치하는데 2초, 사용하는데 3.5초가 걸리며, Fast and furious 퍽을 적용받고 있다면 사용하는데 2.8초가 걸린다.

4.4. 탄약 가방


[image]
Ammo Bag. 팀원들이 싸울수 있는 기반인 탄약을 제공하는 가방. 사용자의 주무기와 보조무기의 탄약을 400% 채워줄수 있으며 인포서 추가탄약통 스킬 에이스로 600%분량을 2개 챙길 수 있다. 탄약 회수량 너프 전까지는 탄약 관리를 제대로 하면 탄약이 지나치게 고픈 몇몇 총기들이나 OVE9000를 제외하면 쓸 일이 없는 장비였으나, 탄약 회수량이 크게 너프된 후로 예전보다는 자주 보이는 편.
채워주는 탄약량은 소모량의 %로 계산한다. 예를들어 AK.762는 총탄약이 90발이므로 45발쓰고 탄약가방에서 보충하면 50%가 소모되고, 총 탄약이 60발인 Krinkov 기관단총은 45발쓰고 탄약가방에서 보충하면 75%가 소모된다. 이 때문에 총 탄약량이 적은 무기일수록 탄약가방을 빨리 소모시킨다. 인포서의 탄약증가 스킬을 찍으면 탄약 상한량이 늘어나므로 그만큼 탄약가방에 주는 부담이 줄어든다. 참고로 탄약 보충 우선권은 부무장에 있기 때문에, 탄약가방이 얼마 안남은 상태라 주무장과 부무장의 탄약을 모두 가득 채울수 없다면 부무장의 탄약을 우선시해서 보충하니 유의하자.
배치하는데 2초, 사용하는데 3.5초가 걸린다.
실제로 게임에서 모양은 저렇게 생기지 않았다. 사실 모래색 방탄복에다가 AMCAR 탄창으로 가득 차 있는 모습이다.

4.5. ECM 재머


[image]

ECM Jammer. 각종 전자기기를 무력화 시키는 장비로 보통은 스텔스 위주 장비이다. 기본적으로 배치하는데 2초가 걸리며 20초 동안 시민의 휴대전화와 CCTV 등을 무력화시켜 범위 관계 없이 감지와 신고를 불가능하게 만든다.[10] 빠르게 다수의 시민 제압이 필요한 상황이나 CCTV를 지나쳐야 하는 구간에서 깔고 빠르게 해결하거나, 실수로 인해 스텔스가 통째로 거덜나게 생겼을 때 일단 부착해 신고부터 막고 뒷처리를 하거나 빠르게 탈출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고스트쪽 스킬 투자로 2개까지 장비가 가능하며, 최대 30초의 시간을 가지고 지속시간 동안 경비의 페이저를 미루는 기능까지 업그레이드 가능하다. 이미 온 페이저는 막히지 않는다는 점을 이용해 경비 1을 죽인 후, 페이저가 오면 경비 2를 죽이고 바로 ECM 재머를 붙여 2개의 페이저를 관리하는 방법도 가능. 참고로 보안문은 ECM 오버드라이브 에이스가 필요하지만, ATM은 그냥 열린다.
다만 스텔스 한정으로 활용도가 극에 달한 만큼 라우드에서는 큰 도움을 주지 못한다. 그나마 ECM 재머 지속시간동안 적의 터렛을 해킹해 경찰을 공격시킬 수 있지만 라우드에 스텔스용 스킬트리인 시노비에 포인트를 몰아 넣고 올 리는 없으니 길어야 20초짜리 단 한번이다.
어떻게든 라우드에도 좀 써먹어 보라는 의도인지 ECM 피드백이란 액티브효과가 존재하는데, ECM 재머를 설치하고 재머에 F를 눌러 피드백을 활성화시키면 좁은 범위에 고주파음을 발산해 별도의 스턴 모션이 없는 클로커를 제외한 모든 시민과 적들이 일정 확률로 일정 시간동안 귀를 막고 아무 행동도 하지 않는다.'''불도저도 예외 없다'''. 문제는 재사용 대기시간이 4분으로 긴 편이라 고난이도에서 방어 포인트에 짱박혀 있을 때를 제외하면 활용도가 적은 편이고 거기에 경직을 줄 확률은 틱당 50%. 보통은 차라리 화력투사에 도움되는 탄약낭을 챙겨가는게 낫기 때문에 도저히 라우드에서 메인으로 들고가는건 보기 힘들고, 팔방미인을 찍고 보조장비로나 챙겨가는 편이다. 라우드에는 시노비 쪽을 전혀 안쓰기 때문에 주장비에 넣든 보조장비에 넣든 어차피 소지량도 같고, 지속시간도 20초로 같다.
터렛 밴이 작동중일 때 설치하면 ECM의 지속시간동안 '''터렛의 레이저가 초록색이 되며, 경찰을 공격한다.''' 때문에 터렛이 등장하는 맵에서 ecm을 보조장비로 하나 정도 챙겨가서 적절히 활용하면 나쁘지만은 않다. 활용하기 좋은 맵은 히트 스트리트, 헨리의 바위산, 백악관, 비니스 더 마운틴, 바이커 하이스트 등.
당연하지만 스텔스에서 피드백을 켜버리면 거의 맵 전체에 소음을 발생시키게 되어 하이스트가 터지게 되므로 주의.
여담으로 게임상의 기능과 다르지만 실제로 존재하는 장비이다.#
범위는 최대 15미터에 작동시간은 1시간 반 정도.

4.6. 트립 마인 & 성형작약탄


[image]
Trip Mine. 벽면, 천장, 바닥 등의 어떠한 면에도 부착 가능한 레이저 감지식 IED. 소지랑은 기본 3/3[11]이지만 테크니션의 추가 화력을 에이스하면 14/6개가 된다.
폭발 범위는 설치위치로부터 반원이며, 벽과 장애물을 뚫고 피해를 입힌다. 크리티컬이 적용되며 불도저에겐 남은 장갑의 개수만큼 추가피해를 입히고(최대 7배) 폭발물임에도 거리에 상관없이 최대 데미지를 입힌다.
닿는 곳이면 어디에도 부착 가능해 숙련 유저가 위치를 잘 잡을 경우 1회성 지옥행 입구를 만들 수도 있다. 팀원이나 전향된 경찰이 지나가면 괜찮지만, 민간인과 적 경찰이 지나가면 폭발한다. 센서 모드로 전환하면 레이저 감지 선이 파란색으로 변경되며, 스텔스 중엔 지나가는 경비와 경찰을 소리와 함께 마킹해주고 비 스텔스 시엔 지나가는 특수경찰을 자동으로 마킹해준다. 센서 모드인 상태라도 사격이나 폭발물 등으로 수동으로 터트릴 수 있다.
트립 마인 자체로는 스텔스에서 발각되지 않는다. 트립 마인이 붙어있는걸 보거나 삐빅거리는걸 바로 옆에서 들어도 아무런 반응 없이 지나가기 때문에 카메라의 사각지대 같은 적절한 위치에 깔아 두면 경비의 동선을 알 수 있어 좋다. 혹시 나도 실수로 지나가면 터지게 설정해버린다면 터지는 순간 맵전체에 느낌표가 뜬다.
기본 공격력은 1000에 관련스킬을 찍으면 1500까지 증가하며 발화성 함정을 찍으면 폭발한 자리가 불바다가 되기까지 하니 센스있는 테크니션이라면 여러 곳에 닥치고 설치하기 보단 특수 경찰을 보고 이동경로에 설치하게 된다.[12] 기본 폭발범위는 반경 3m이며 스킬을 통해 6m까지 증가시킬 수 있는데, 생각보다 굉장히 넓은 범위이니만큼 농성 전에 벽면이나 바닥에 설치해놓고 센서모드로 전환 후 원하는 타이밍에 사격해서 터뜨려주면 확실한 범위타격을 가할 수 있다. 수류탄과 유탄발사기에 비할 수 없을 정도로 강력한 대미지를 자랑하는 만큼 데스위시에서도 위기를 타개하는 데 유용히 사용될 수 있다. 여담으로 폭탄과 폭탄 사이를 멀리 띄워놓지 않고 설치하면 연쇄 폭발을 일으키기 때문에 사용자의 눈에서 땀을 흐르게 할 수 있으니 주의. 수류탄이나 파쇄탄의 폭발에도 얄짤없이 터져나가기 때문에 근처에 트립 마인이 부착되어 있다면 폭발물 사용을 자제하자.[13]
트립 마인과 함께 지급되는 C4는 일반 금고와 잠긴 문을 여는데 사용할 수 있어 몇몇 하이스트의 클리어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참고로 아머드 트랜스포트 하이스트의 젠섹 수송차량을 빠르게 따는데도 쓸 수 있지만 4개나 필요한데다 문쪽에 있는 금고 2개가 날아가니 주의.
트립마인 풀업, 로블로 30퍼 기준 꽤 높은 확률로 '''데센도저를 한방낼 수 있다.''' 그 이유는 트립마인 특유의 중첩데미지가 들어갈때마다 따로따로 크리티컬 확률을 계산하기 때문. 데센도저의 피통이 24000으로 버프됨에 따라 타나토스나 RPG로 한방이 불가능해졌으므로 데센도저를 한방컷 낼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무기라고 보면 된다.
비슷한 발음, 함정과 유사한 특성 탓에 자주 오해 받지만 '''절대로 트랩마인이 아니다.'''

4.7. 센트리 건


[image]
Sentry Gun. 거치식 소형 포탑으로 100발[14]의 탄약이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으며, 탄환의 공격력은 10이다. 기본적으로 머리를 노리도록 설계되어 있으나 스킬효과가 없을 때의 명중률은 좋지 않은 편. 체력은 100이지만 경찰들로부터 받는 데미지가 25%밖에 적용이 되지 않아 실질적인 체력은 400 가량이다. 다만 플레이어의 폭발물에 의해서는 얄짤없이 100% 피해를 받는다. 기본 성능은 좋지 못하지만 스킬포인트를 먹는양에 비례해서 위력이 상당히 올라간다. 도주시, 또는 한 포인트에 짱박혀서 버틸때 굉장한 위력을 발휘하며 4명 모두 센트리를 들었을 경우 이것들이 배치된 곳은 경찰에겐 지옥 그 자체. 다만 인공지능은 좋지 못해 쉴드에 탄약을 낭비하는 경우가 있으니 적절한 엄호와 탄환 모드 변경이 필요하다. 회전 기능이 있어 360도 사방에 있는 적들을 공격 할수 있지만 상하로는 제약이 있어 위 아래로 약 45도 이내에 있는 적들만 공격 가능하다. 자체 어그로가 강력해서 설치하면 적들이 센트리건을 우선적으로 노리는 경우가 많다. 탄약을 전부 소모하면 공격을 멈추고, 경찰들의 어그로도 더 이상 끌지 못한다. 저소음 센트리건의 경우 경찰들의 어그로를 덜 끌어서 공격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으므로 자체 생존력이 올라가는 대신, 그 어그로는 유저들이 먹는다.
배치에 기본적으로 2초가 소모된다.
개편 이전에는 멍청한 AI, 전투 지속력 부족 등 여러가지 실망스러운 성능으로 인해 선택률이 매우 저조했으나, 이런 인식은 스킬 개편 이후 완전히 뒤집어졌다. 사실상 이번 개편은 센트리를 위한 것이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 이제 센트리가 1인당 2개가 아닌 최대 '''6개'''를 들고 갈수 있게 되어 진짜 우주방어가 실현되었으며 설치시 탄약을 소모하지만 배치 된 센트리가 잡는 적의 수가 너무 많아서(...) 오히려 탄이 남아돌며 회수해서 다시 설치를 할 수 있는데다가 탄만 남아돌면 부담없이 설치가 가능하다. 팔방미인 스킬을 찍었을 경우 주 장비, 보조 장비에 각각 일반 센트리건과 저소음 센트리건을 선택해 1인당 6개까지 가져가는 것도 가능하다. 무엇보다 철갑탄 모드의 추가로 그동안 센트리건을 엿 먹이던 쉴드를 역카운터 할 수 있게 되었다. 센트리가 얻어맞기 시작하면 스파크가 튀어 빨리 회수해야 할 센트리가 어느건지 파악하기도 쉬워졌다.
그러나 이후 원다운이 개편되어 데스 센텐스가 등장하고 잡경들의 공격력이 폭증하며 데스 센텐스에서의 센트리 활용도는 다시 크게 떨어졌다. 풀체력의 센트리도 잡경 한 명의 사격 3초만에 박살이 나는데다, 메딕의 등장으로 인해 공격우선도가 딱히 없는 센트리의 공격은 의미가 없어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되었다. 안전하게 활용하려면 센트리의 전면 방탄을 십분 살려 경찰의 진입 경로가 제한적인 일자 복도 끄트머리에 설치하면 괜찮은데, 문제는 이렇게 후미진 곳에 설치하면 센트리의 역할 자체가 미비해져 수십 포인트를 추가한 것만큼의 활약상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개편 전 센트리 건의 모델링은 열려있는 가방에 개머리판이 없는 H&K MP5가 달려있는 모습이였으나, 개편 후로는 4개의 다리가 달린 고정대에 일반탄과 AP탄 상자가 탄창부분에 붙은 FN P90의 모습으로 바뀌었다.
여담으로 그라인더나 매니악처럼 적을 타격하거나 사살하는 것이 조건으로 붙은 퍽덱은 센트리로도 효과를 발동시킬 수 있다.

4.8. 방탄복 가방


[image]
  • 현재 장착한 퍽 덱의 6번째 카드 Walk-in Closet가 해금되어 있어야 한다.
Armor Bag. 크라임페스트 이벤트의 두 번째 보상인 스킬 개편으로 인해 추가된 보조장비. 인게임에서 방탄복을 바꾸는 데 사용된다.
수트를 입은 채로 들고 가야 하는 것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방탄복을 장비한 채로 가방을 들고 게임에 들어가면 자동으로 수트을 입고 시작한다. 그 후 가방을 설치하면 원래 선택한 방탄복으로 갈아입는 방식. 퍽 보너스의 공통 부분으로 당당히 자리매김 해놓고도 거의 없다시피 한 활용도로 도대체 왜 추가했는지를 알 수 없는 장비.[15] 일단 재접속 없이 플랜 A에서 B 세팅이 가능하단 것 하나만이 장점이나 어차피 방어구를 제외한 다른 무기는 은폐 개조를 한 그대로 그대로고 아머 백을 장비해도 은폐도는 같아진다. 말 그대로 옷만 갈아입는 것이기 때문에 방어복을 교체한다는 것만 제외하면 생존력에서는 조금은 도움이 될 진 몰라도 화력 면에서는 여전히 도움이 안 되는 수준이다.[16]
여담으로 방어구로 수트를 장비하고 방탄복 가방을 사용하면 수트 위에 수트를 입는다. 물론 아무 의미도 없는 짓이다.

4.9. 구급 키트


[image]
First Aid Kit. 퓨지티브 트리와 함께 추가된 보조장비. 의료가방과 같은 체력 회복 수단이지만 의료가방과는 달리 다운 횟수를 초기화시켜주지 않는다. 설치 속도가 매우 빠르고 사용 속도도 무지막지하게 빠르며, 1회성인데다가 최대 소지 개수가 14개로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많아 방어 자리에 깔아놓고 깔린 위치를 중심으로 방어전을 펼쳐야 하는 의료가방와는 달리 부담 없이 필요할 때 설치하고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다. 말 그대로 비상시 사용하는 체력회복 수단. 하지만 의료상자가 다운횟수가 넉넉히 남아있는데 체력이 깎였다고 마구 집어먹으면 욕 먹는 것과 마찬가지로, 체력이 많이 깎이지도 않았는데 사탕 까먹듯이 덥석덥석 집어먹으면 욕을 얻어먹기 딱 좋다.
의료가방보다 수가 많다는 특징 덕에 오버킬 이하의 난이도에서는 하이스트의 난이도 정도에 따라 의료가방보다 효율적이기도 하고, 하이스트의 종류에 따라서도 미션 목표의 이동이 잦거나 할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다만 팀의 화력의 적들의 공세를 감당하지 못해 심심하면 다운되고 회색화면의 위협과 함께하는 판이거나 마찬가지로 툭하면 다운되고 일어나는 데스위시의 경우엔 의료상자의 아성에 미치지 못하니 다른 팀원들의 장비를 보고 잘 선택하자.
원다운이 적용된 데스 센텐스에선 한번도 안 누울 자신이 없다면 닥터백 들자. 일단 나인 라이브즈 에이스를 찍어도 3번이면 구금되는데다, 헤비스왓의 공격력 때문에 후술할 스토익을 제외하면 체력회복이 크게 의미가 없다.
그라인더 퍽덱의 추가와 기존 퍽덱의 개편으로 자체 힐이 되면서 성능도 준수한 퍽덱이 늘어나고 기존의 로그퍽이 너프를 먹게 되면서 에이드의 효용성이 많이 줄어들었다. 고난이도에서 주로 사용되는 퍽인 아나키스트와 아머러의 경우, 대부분이 버서커와 프렌지를 병행하기에 에이드가 남아도는 상황이 더더욱 많아졌다.
스토익 퍽덱의 추가로 채용률이 상승했다. 퍽덱의 특성상 다운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기에 다운되기 전에 아래에 깔아 아예 다운되는 것 자체를 무마할 수 있다. 덕분에 고난이도에서도 눕지 않고 하이스트를 깰 수 있는 여지가 생겼다. 데스 센텐스에서 스토익의 주가가 하늘을 찌르고 있기 때문에 그 단짝인 응급키트 또한 재조명을 받았으며, 데스 센텐스에서는 사실상 스토익의 전용 장비 취급이다.
스킬 개편 후 새로운 성능이 추가 되었는데, 마스터마인드의 스킬을 찍으면 구급 키트가 설치 된 지점으로부터 반경 5미터 이내의 플레이어의 체력이 0이 되면 자동으로 구급 키트가 사용되며 쓰러지지 않을 수 있다. 이 기능은 20초에 한 번씩만 발동할 수 있다.
되도록이면 농성 지점에 1~2개씩 미리 깔아놓자. 체력이 없는 팀원이 에이드킷 설치를 기다리지 않고도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데다가, 고난이도에선 다운되고 일어나서 하나씩 사용하는 것보다 자동 부활 효과를 얻는 편이 훨씬 더 유용하다.
닥터 백을 med라고 해도 다 알아듣는 것처럼 구급 키트도 aid, kit, fak이라고 하면 다들 알아 듣는다.

4.10. 시체 가방 상자


[image]
Body Bag Case. 퓨지티브 트리와 함께 추가된 보조장비. 에셋으로 구매 가능한 시체가방을 보조장비화해서 들고 다닐 수 있게 된다. 기본적으로 에셋과 동일하게 3개의 시체가방이 들어있으며 배치 후 집어서 사용하는 방식. 같은 스킬을 통해 최대 2개까지 수를 늘릴 수 있다. 에셋으로 주어지는 시체가방은 설치 장소가 고정되어 있고 사용할 때마다 매번 시작 지점으로 돌아와 다시 집어가야 하는 수고가 있었던 반면 보조장비 시체가방은 필요한 곳에 설치해서 위급할 때마다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ECM의 활용도가 낮고 돌아다니는 경비 및 시민이 많은 하이스트에서 특화된 장비. 스킬 트리 개편 이후로 잭 오브 올 트레이드 스킬을 사용하면 ECM과 시체가방을 동시에 들고 다닐 수 있어 예전보다 사용률이 많이 늘었다.

5. 도구 및 상호작용


해당 미션을 해결하기 위해 금고에 드릴을 설치한다던가, 총알이나 적이 들어오는것을 막기 위해 창문을 막는 등 여러가지 작업을 위해서 사용하는 물건들이다. 사용하기 위해서 요구하는 스킬은 없지만 드릴같은 경우엔 스킬로 시간을 단축시킨다던가 소리를 줄이는 등 여러가지 보조적인 스킬은 있다.
잠입(Plan A)으로 진행중인 도중에는 경비를 사살하게 되면 특정한 경비를 제외하고는 무전으로 응답을 해 줘야 경보가 울리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 약 12초내에 응답해야 되며 응답에는 기본 10초, 버글러 퍽 덱을 사용하면 9초가 걸리지만 응답 대기 시간 이내에 응답을 시작하면 시간이 넘는다고 경보가 울리지는 않는다. 또한 맵마다 4번을 넘어서 5번째 페이저 응답을 하게 되면 무조건 경보가 울리게 되므로 경비가 많은 하이스트의 경우 최대한 적을 죽이지 않고 진행하는 것이 좋다. 다만 이론상 7명을 죽이고 4명이 돌아가면서 페이저를 돌려받는다면 알람이 울리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론상.
또한 F키를 떼는 등 응답을 도중에 멈추게 되면 응답 가능시간 이내라 해도 무조건 경보가 울리므로 주변에서 !가 뜨게 된다 하더라도 어쩔 수 없는 상황(즉 죽을 상황)이 아니면 절대 페이저 응답을 멈추지 말자. 사실상 페이저 응답 중에는 완전히 무력화되는 것이니 동료가 옆에서 망을 봐주며 근접한 타 경비나 시민을 처리해 주는 경우가 많다.
고스트의 티어 4 ECM 스페셜리스트 에이스 스킬이 적용된 ECM이 작동중인 동안에는 페이저 응답을 지연시킬 수 있다. 이 스킬이 적용된 ECM이 가동중인 동안에는 응답이 아예 불가능하므로 페이저 응답이 된 줄 알고 경비를 지나치기 쉬운데, 지속시간이 끝나면 다시 가능해지고 이를 놓치면 경보가 울리므로 꼭 확인해서 불상사를 막는 것이 좋다. 일단 한번 울린 페이저를 중단시킬 수는 없으니 주의.
  • 마킹(Marking)
F키로 사용하며 잠입 중에는 조준점 근처의 적이나 카메라를 마킹한다. 마킹한 적은 팀 전원에게 약 5초 동안 붉은 윤곽선으로 표시되게 되며, 경보가 울린 경우에는 특수경찰만 마킹할 수 있다. 고스트 티어 2 카멜레온 스킬이 없다면 가면을 쓴 상태에서만 마킹이 가능하다. 잠입 중에는 경비 혹은 경찰이 어디 있는지만 알아도 큰 도움이 되고, 난전 중에서는 특수경찰이 귀찮아지므로 내가 경찰 어디있는지 안다고 그냥 지나가는 게 아니라 꼭 마킹해주고 가도록 하자. 타이핑하거나 말로 경찰의 위치를 알릴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할뿐만 아니라 벽 뒤로 적이 돌아가도 윤곽선으로 잠시동안 표시가 되기 때문에 잠입 미션에 매우 도움이 된다.
쉴드를 마킹하면 방패 뒤의 SWAT 대원이 윤곽선으로 보이기 때문에 관통 성능이 있는 무기를 사용 시 헤드샷을 하기가 매우 편해지며, 고스트의 High Value Target을 찍었다면 마킹시 데미지가 더들어간다. 그리고 스나이퍼 전용 스코프의 경우 줌한 상태로 특수경찰이 조준점에 들어오기만 해도 마킹이 돼서 여러모로 편리하다. 마킹을 자주 하는 것은 좋긴 하지만 순간적으로 마킹당한 특수경찰의 타겟팅이 마킹한 유저에게 옮겨가므로 상황을 봐 가면서 쓰는게 좋다.
곳곳을 감시하고 있는 카메라로 특정 맵에서는 카메라 피드 에셋을 구입하거나 경비실을 통해 적 경비를 감시 및 마킹 가능하다. 오버킬 이하 난이도에서는 사격 혹은 근접공격으로 파괴 가능하며, 감시 카메라 제어실이 있는 맵이라면 해당 장소의 경비를 처치하는 것으로 맵 상의 모든 카메라를 비활성화 할 수 있다. 메이헴 이상에서는 티타늄 케이스가 덧씌워진 타이탄 카메라가 나오므로 고스트의 티어 3 님블 스킬 에이스나 카메라 룸 경비를 제압하지 않으면 비활성화 할 수 없고, 부술 수도 없다.[17]
만약 경비실을 제압하지 않은 상태에서 카메라를 부수면 경비가 확인 차 해당 카메라까지 이동하며, 경비실을 제압한 상태라도 부서진 카메라를 경비가 보게 되면 신고 후 경보가 울리므로 스텔스가 특히 중요한 특정 맵에서는 카메라를 절대 건드리지 않는 것이 좋다. 혹은 부순 카메라 근처에서 대기하고 있다가 경비를 유인/제압하는 용도로 사용하거나. 또한 카메라에 포착 된 다음에는 ECM을 붙여놔도 경보가 무조건 울리게 되므로 포착될 것 같은 카메라는 미리 ECM을 붙이거나 카메라 루프를 돌려주는 식으로 지나치는 것이 좋다.
카메라 에셋을 구입하면 카메라를 이리저리 돌려보거나 확대/축소 할 수 있지만 실제 카메라는 언제나 한 방향만 보고 있다.
  • 드릴(Drill, Thermal Drill)
금고나 보안문, 셔터, 은행 금고 문을 열기위해 설치하는 도구들로, 전동 드릴에 여러가지 장비를 단 기본적인 드릴부터 금고 문을 열기위한 Thermal Drill (열천공기)로 나뉜다. 금고의 크기마다 열리는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빠르게 열고 싶다면 테크니션의 드릴 관련 스킬을 찍는것이 좋다. Thermal Drill 같은 경우엔 주황색 가방에 보관 되어서 들고 다녀야 하고, 은행(Bank heist, GO Bank) 및 수송열차 금고(Train)에서만 사용돼서 보기 힘들지만, 이런 금고문은 주로 Thermal Drill이 없으면 열 수 없기 때문에 해당 맵에선 반드시 필요한 물건.
트레인 하이스트에서는 일반 드릴로는 금고를 열지 못해 드릴이 아닌 산소 절단기를 사용하고 베인도 Lance라고 부르지만, 모양도 성능도 크기도 일반적인 Thermal Drill과 완전히 똑같다.
빅 뱅크와 산 마르틴 은행에서만 등장하는 드릴로 괴물(The Beast)이 있다.[18] 거대한 금고에 어울리는 드릴로 3개의 가방에 나누어져 있으며 한 번 고치기 위해서는 함께 떨어지는 드릴 파츠가 필요하다. 일반 가방과는 달리 이동속도와 던지는 거리는 무기 가방과 같다.
골드 그린 카지노 하이스트에서는 플랜 B로 진행 시 존나 큰 드릴(Big Fucking Drill, BFD)를 사용한다.
  • 널빤지(Planks)
맵 곳곳에 존재하는 창문이나, 철창등에 설치하여 총알과 경찰의 진입을 막는 용도로 사용된다. 공격을 받으면 파괴 되긴 하지만 Rats 1일차 건물이나 은행 창문에 설치해놓으면 부숴지기 전까지 경찰이 들어오지 못하고 저격수의 공격도 차단되므로 방어에 수월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보통 맵 구석구석에 놓여 있다. 부서지면 그 자리에는 다시 설치하지 못하므로 주의. GO Bank나 은행 하이스트등에서 창문을 가려서 밖에서 내부를 못보게 해서 스텔스용으로 사용도 가능하다. 아군의 총격이나 폭발류 무기에도 부서질 수 있으니 이 점도 유의할 것.
  • 키카드(Keycard)
게임 곳곳에서 쓰이는 도구로 통로가 젠섹 보안문으로 막혀 있는 경우 이 키카드가 필요하다. 이것 외에도 각종 보안 장치를 해제해 무력화 할 수 있으며[19] 하이스트에 따라서는 타임락 금고를 열기 위해서 필요하다. 키카드가 필요한 문은 ECM 재머나 드릴, 톱, C4 등으로도 열리는 경우가 있지만, 스텔스 중 톱이나 C4 사용은 당연히 지양되고 드릴은 경비에게 발각될 위험이 있는 관계로 ECM 재머만이 대안으로써 활용되는 정도. 그마저도 일렉션데이 2일차처럼 ECM으로 키카드를 대체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키카드 외에는 답이 없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스폰 장소들이 정해져 있어 그 중 일부에 스폰되며, 사람들 중에는 매니저와 경비 중 일부, 혹은 특수한 관계자가 소지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몇몇 잠입 미션에선 에셋으로 구매가 가능한데, 대부분 고스트의 스킬인 Sixth Sense 에이스를 요구한다. 꼼수로 2인 이상이 바닥에 떨어져 있는 키카드를 동시에 주우면 같이 획득할 수 있는 버그가 있다.
키카드를 들었을 때는 드릴 취급에 주의를 기울이자. 보통 드릴로 뚫는 문은 키카드로도 열 수 있는 경우가 많고, 키카드 투입구와 드릴작동 오브젝트는 거의 붙어있다. 드릴을 설치하거나 수리하려는데 키카드 투입구에 키카드가 빨려들어가는 안습한 경우가 많이 벌어진다.
쇠지렛대, 속칭 빠루라고 불리는 물건. 크로우바로만 열 수 있는 상자를 열 수 있게 해준다. Meltdown 하이스트에선 쿨러에 끼워서 쿨러의 작동을 멈추는 용도로 쓰며 유일하게 소모품으로서 사용 된다.
  • 써멀 페이스트(Thermal Paste)
쇠창살 등을 녹여 진입하는데 쓰인다.
First World Bank와 Big Bank 하이스트에서만 등장하는 특별한 도구이며, 비스트 드릴는 다르게 한번 불을 붙이면 멈추지 않고 그대로 금고의 천장을 녹여버리는 장비. 처음 설치와 불을 붙이는데 약 30초 정도 소모된다.
  • 열쇠꾸러미(Keys)
Big Bank와 Bank Heist에서 등장하는 도구이다. 금고 안의 철창을 여는데 쓰이며, 아무 키나 꽂아보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 시 철창이 일정 확률로 열린다. Big Bank에선 정해진 장소들 중 한 곳에 생겨나지만,[20] Bank Heist에선 특권포인트를 3이나 주고 사는 수 밖에 없다.
Golden Grin Casino 하이스트 에서도 등장하는 도구이다. 특권 포인트는 2며. Bank Heist 처럼 특권 포인트 2를 줘야 얻을 수있다.
  • 수리 부품(Spare Parts)
Big Bank 맵에서만 등장하는 도구. The Beast 드릴이 고장났을때 수리할때 쓰이는 부품이다. 이 부품 없이는 드릴을 수리할 수 없다. 드릴백을 집으면서 팀원 전원이 하나씩 집어두면 나중에 다시 가지러 갈 일이 없어지니 미리 챙겨두자.
  • BFD 부품 (BFD Tool)
Golden Grin Casino 하이스트 에서만 등장하는 도구. BFD가 작동할 때 냉각수를 안 갈아주면 고장이나서 이 도구로 수리해야 한다.
  • 수면 가스 (Sleeping Gas)
Golden Grin Casino 하이스트에서 스텔스 한정으로 얻을 수 있는 경비실 안에 있는 경비들을 잠 재울수 있는 도구. 기타 케이스 안에 있는 무기와 함께 들어있다. 이걸 객실과 경비실에 연결된 환풍구에다가 수면 가스를 살포하면 경비실 안의 경비들이 쓰러진다.
  • 반지(Ring)
Birth of Sky 한정. 아무것도 아니고 소량의 돈 만 주지만, 9를 모두 먹으면 Mellon 도전 과제를 깰 수 있다.
  • 수갑(Handcuff)
그린 브릿지 한정. 아무 것도 아니지만, 6개 중 4개를 먹으면 TIDE UP 트로피를 깰 수 있다.

6. 가면


페이데이 갱단의 강도들이 착용하는 가면.[21] 가면이라고는 하지만 선글라스도 있고 모자와 선캡, 티아라, 빵모자 등도 포함되어 있다.
가면의 재질, 색, 무늬을 각각 하나씩 선택하여 모습을 바꿀 수 있다. 이 요소들은 하이스트 성공 후 페이데이 카드 뽑기나 특정 조건을 완수하면 얻을 수 있다.
악명 포인트를 소모해서 얻거나 데스 위시 업데이트 이후 추가된 가면 및 패턴의 경우엔 구입 비용이 무료이며, 인벤토리에서 제거 시 보관함으로 옮겨진다.

7. 전리품


종류에 따라 가방에 보관하는 형태(Secured Loot)나 바로 현금으로 보관(Instant Cash)하는 형태가 있다.
Instant Cash는 그야말로 가치는 있지만 잡다한 물건들로, 돈다발이나 금괴 한덩이, 목걸이나 반지같은 보석류.카지노 칩 등 그야말로 가방에 담기에는 내용물이 적은 물건들을 집으면 물건들에 따라 가치가 올라간다. 대다수의 경우 난이도에 따라 가치가 달라지며[22], 고스트의 Dead Presidents 스킬로도 가치를 올릴 수 있다. 쉽게 표현하자면 바로 현금화 하면 Instant Cash, 가방으로 싸면 Secured Loot로 생각하면 된다. 업데이트 35 전에는 인스턴트 캐쉬의 획득 상한이 $1,100,000이었지만 이후로는 상한이 없어지고 난이도에 따라 금액도 변하게 바뀌어 ATM을 지나치기 힘들어졌다. 몰 크러셔나 뱅크 하이스트(이 경우는 다소 랜덤이지만), 포 스토어같은 몇몇 하이스트에서는 가방 탈취물이 아닌 Instant Cash가 더 많을 정도.
Secured Loot는 Instant Cash를 제외한 본격적으로 돈을 벌기위해 훔치는 전리품들로, 흔히 생각하는 돈다발이나 금괴, 보석류들과 마약, 총기, 심지어 군용 터렛도 포함된다(...). Secured Loot의 경우엔 미션에 따라 요구하는 종류(Mission Bags)가 있고, 미션도중 얻게 되는 추가 가방(Additional Bags)으로 나뉜다. 가방의 경우엔 보관하고 있는 물건에 따라 무게가 달라진다. 미션에서 요구하는 가방인지 추가적으로 얻게된 가방인지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고[23], 미션을 의뢰한 사람 및 난이도에 따라 얻게 되는 돈도 달라진다. 가방에 보관된 전리품의 경우엔 일부 경우를 제외하면(예:파이어스타터 1일차의 무기 등) 근처에 경찰이 있으면 집어가며,[24]베인이 친절하게 경찰이 훔쳐간다고 알려준다. 인포서의 Transporter 스킬이 있을 경우 던지는 거리를 장대 선수 급으로 엄청 크게 늘려주고 와 가방을 들고 있을 시 이동 속도 감소를 어느 정도 상쇄할 수 있으므로 가방이 많은 미션일 경우 해당 스킬을 찍은 유저가 있으면 한결 수월해진다.
가방의 무게는 편의상 1~4까지 나눈다. 1은 들고도 뛸수 있는 무게, 2는 이동속도에 변함은 거의 없으나 뛸수가 없는 무게, 3은 이동속도가 크게 줄어들고 점프력이 있으나 마나한 무게, 4는 '''그냥 기어다니는 수준이 되는 무게.''' 이 무게는 가방을 들려준 A.I. crew의 이동속도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플레이어와 달리 이동속도 증가/무게페널티 완화 등의 보너스를 받지 않으므로 실질적으로 유저가 직접 옮기는 것보다 좀 더 느려지게 된다.
흰색 봉투에 포장된 마약. 랫츠[25]나 와치독스 등 갱단과 관련되거나 프래밍 프레임[26] 하이스트 등 불법적인 활동이 있을 경우 심심치않게 볼 수 있는 전리품이다. 가방들 중 가벼운 편에 속하므로 들고 뛰어다닐 수 있으며 투척시 멀리 날아간다. 크게 메스암페타민코카인 두 종류의 마약 가방이 있지만 무게는 둘다 동일. 무게에 비해 가치가 매우 높으므로 이것들을 전리품으로 얻었을 시 챙길 가치는 충분하다.
여담으로 랫츠와 쿡 오프 하이스트에서 메스암페타민을 만드는 재료들(HCl, CS, Mu)은 각각 염화수소(HCl, 기체), 가성소다(NaOH), 염산(HCl, 액체)으로, 화학식으로 나타내면 NaOH + HCl → H2O + NaCl. 즉, 소금물이다. 게임에 실제 마약 제조법을 넣을 수 없기 때문.
스카페이스 맨션 하이스트에서는 Yayo라는 이름의 마약 가방이 등장한다. 코카인과 동일.
Jewelry Store나 Diamond Store 하이스트, Armored Transport 개인금고 등에서 발견 할 수 있는 전리품. 부피와 무게가 작아 마약가방처럼 가방을 맨 상태에서 달릴 수 있다. 하지만 대개 가치는 그렇게 높지 않은 편이다.
다이아몬드 하이스트, 저수지의 개들 하이스트에서 등장하는 전리품으로, 위의 보석보다 가치가 매우 높다. 무게도 가벼워서 들고 뛰어다닐 수도 있다.
  • 증거물(Evidence) (무게 1)
Hoxton Revenge 하이스트에서 등장하는 목표물. 배신자를 처리한 후 Crime.net 관계자들의 정보 보호를 위해 FBI 안전가옥 곳곳에 박스형태로 있거나 벽에 붙어있으며 오버킬 난이도 기준으로 이 증거물 6개 가량을 저격수들과 터렛이 상시대기하는 옥상의 헬기로 옮겨야 한다. 다행인건 무게가 가벼워서 들고 달릴 수 있다.
  • 그림(Painting) (무게 1)

'''이 그림은 이라크 미술관에서 마지막으로 전시되었어. 이 자식들 완전 뻔뻔하군.''' -베인. 쉐도우 레이드

높은 가치를 가진 미술품. 하이스트에 따라 현대미술 작품부터 소실되었던 그림들까지 다양한 그림이 등장한다. 다른 가방들처럼 더플백에 담는게 아닌 원형 화구통에 담아서 보관하며 무게도 마약이나 보석류와 같이 가볍기 때문에 멀리 던질 수 있고 달리기도 가능. Framing Frame 1일차에선 4개 이상의 그림을 훔치는 것이 목표이고, 2일차에선 훔쳐온 그림만큼 현금으로 거래가 가능하다. 거래전 그림에 카메라를 설치해서 3일차에 건물 내부를 확인할 수 있기에 훔친 그림 갯수가 많을 수록 3일차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Shadow Raid에선 약탈해 왔다는 설정으로 크로우바로 뜯어내야 하는 나무상자에 보관되어 있다. The Golden Grin 하이스트에선 금고 위에 걸려 있다. Beneath the Mountain 하이스트에선 명작(masterpiece)이라는 이름으로 1개 등장한다.

'''이미 사용된 중동 지폐군, 이런 건 추적이 힘들지. 잘했어.''' -베인

적게는 수만부터 많게는 수십만 달러 상당의 현금 돈다발을 담은 가방. 무게가 제법 돼서 들고 달릴 수 없고 속도가 조금 감소되지만 이속 감소는 그렇게 체감되진 않는 수준이며 던지는 거리는 마약이나 보석류와 같다. 아머드 트렌스포트에서 돈다발이 들어있는 무장 수송 차량을 C4로 열게 되면 돈들이 불타오르면서 흩어지는 연출이 나온다. 다른 물건들 같은 경우엔 의뢰자에 따라 거래시 수수료등으로 떼먹기 때문에 가격이 달라진다고 하면 이해하게 되지만, 그냥 일반적인 돈다발인데도 왜 의뢰자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는지는 의문. Shadow Raid에선 다른 화폐로 나오지만[27] 가방 가치도 일반적인 달러 묶음과 동일. 의뢰인 로크의 Birth of Sky 하이스트에서도 돈다발이 있는데, 지면에 떨어진 충격으로 흩어진 돈다발 파렛을 다시 복구하는데에 쓰인다. 이상하게도 Firestarter 1일차에서 무기를 태워야 하는 미션에 돈을 태워도 된다. 심지어 무기처럼 터진다.

'''금괴를 가방에 담는 순간은 언제 봐도 질리지 않단말야''' -베인

보통 금괴라고 하면 딱 떠오를만한 사각형의 금괴 무더기들. 보통 개인금고나 무장수송차량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 돈다발보다 등장 빈도가 눈에 띄게 낮지만 그만큼 가치가 더욱 높다. 무게가 무게인만큼 들고 다닐시 이동속도가 많이 느려지고 달리지 못하게 되며, 던지는 거리도 짧다. 옮기기 힘든 만큼 가방 1개분의 가치가 높아 제법 돈이 되므로 뱅크 하이스트: 금괴를 즐겨 찾는 유저들도 많은 편. First World Bank 하이스트에서 오버드릴에선 70개의 금괴 무더기를 챙길 수 있다.
인스턴트 캐시로 챙길 수 있는 금괴도 존재하는데, 이 경우 가방에 담는 금괴보다 훨씬 작고, 낱개로 나온다.
  • 돌격소총(Assault Rifle) (무게 3)

'''잘했어, 항상 추적 불가능한 무기들은 사려는 사람이 많거든.''' -베인, 쉐도우 레이드

말그대로 검은 직사각형의 총기 보관함에 담겨있는 총기를 가방에 담은 것들이며, 생김새로 미루어 보아 AK-74계열인 듯하다. 무게와 던지는 거리는 금괴와 같다. Firestarter 1일차에선 폭발시키거나 밴으로 가져오게 되는데, 무기의 가치가 웬만한 가방들보다 높기 때문에 전부 털어가면 꽤나 짭짤한 돈을 만질 수 있다. 참고로 파괴시킬 때에는 폭발을 일으키기 때문에 불덩이에 던지고 재빨리 뒤로 물러나지 않으면 그대로 눕는다. Firestarter 2일차의 증거물 보관창고나 Big Oil 1일차 갱단의 안전가옥에서 일정한 확률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전에는 무기(Weapon)라는 이름이었으나 전투소총과 권총 전리품 추가로 인해 이름이 바뀌었다.
  • 서버(Server) (무게 3)
각종 정보들을 담은 서버로, Firestarter 2일차, Shadow Raid, Hoxton Breakout 2일차, Boiling Point에서 등장. Firestarter 2일차와 Hoxton Breakout의 FBI 서버는 가치가 없으며, 겉으로 보이는 크기는 상당히 작은 편이지만 금괴와 무게가 동급이라서 나르는데 주의가 필요하다. 무거워서 던지는 거리가 생각보다 짧기에 그냥 걸어서 옮기는 게 편하다. Shadow Raid에선 머키워터의 서버가 전리품으로 등장하는데, 다른 하이스트와 모델이 살짝 다르고 가치도 정해져 있다. Beneath the Mountain 하이스트에서 마스터 서버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그리고 하드코어 헨리 업데이트로 추가된 Boiling Point 하이스트에서도 등장하는데 여기서는 스캔을 하면 할 수록 가치가 올라간다.
  • 엔진(Engine) (무게 3)
Big Oil 2일차때 훔쳐야 하는 목표물이며 역시나 엔진 자체의 가치는 없지만 미션을 위해 필요하다. 엔진마다 기화 물질 종류(탱크의 색), 열결된 호수의 갯수, 압력에 따라 Engine 뒤에 붙는 숫자가 달라지며, 필요한 엔진의 정보는 게임 내에서 메모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조건에 걸맞는 엔진은 랜덤이라 게임마다 달라진다. 참고로 루팅이 가능하다고 멋모르고 달려들어서 모조리 가방으로 만들어 놓을 경우 꽤나 곤란해지는데, 가방이 된 엔진은 Engine 1,2 식으로 숫자가 나오고, 엔진이 놓여있는 위치는 고정이기에 엔진의 정보를 확인했는데 엔진 번호를 모르겠다면 여기랑 여기에서 확인해보자.
최근 업데이트로 인해 무게가 4에서 3으로 하향되었다.
  • 터렛 부품(Turret Part) (무게 3)
Armored Transport: Train 하이스트에서만 등장하는 전리품. 프로토타입 터렛 "RC1"을 3등분한 것으로 트레인 하이스트에서 요구하는 목표물 중 하나. 무게는 금괴나 총기와 동급이며, 열차의 금고를 열면 그 안에 들어 있는데, 터렛을 분해하여 총 3개의 부품을 얻을 수 있으며, 오버킬 난이도 기준 부품 1개의 가치가 $1,000,000가 넘기 때문에 트레인 하이스트가 난이도가 어렵더라도 압도적인 보상을 노리고 많이 도전하게 된다.
  • 포탄(Shells) (무게 2)
역시 Train 하이스트에서만 나오는 전리품. 무게는 돈 가방과 같으며 트레인 하이스트에서 터릿 부품을 수송하면 추가적인 목표물로 가져갈 수 있게 된다. 가치는 그렇게 높지 않지만 트레인 하이스트에서 무려 20개씩이나 나오기 때문에 전부 가져가면 엄청난 돈을 벌 수 있다. 갯수는 고정. 전부 확보하는 도전과제도 있다. 이전에는 충격을 주면 폭발했으나 해당 미션이 스탠드얼론으로 변경되면서 터지지 않게 바뀌었다.
  • 유물(Artifact) (무게 4)

'''사람들이 이 바빌론 고물딱지를 거금을 들여서 살 거야.''' -베인

Shadow Raid에서 기다란 나무상자를 크로우바로 뜯어 찾을 수 있는 전리품. 조각상의 모양을 하고 있으며 베인의 언급으로 보아 바빌론의 유물로 보인다. 무게가 업데이트 이전 엔진(Engine)급이라 속도를 많이 감소시킨다. 이런 이유로 옮기다가 경비에 걸릴 가능성이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The Diamond에 나오는 유물과는 별도의 전리품.
  • 사무라이 갑옷(Samurai Armor) (무게 2)

'''세상에... 이건 오다 나부나가의 갑옷이잖아...! 가방에 나누어서 담아서 가져와. 만약 이게 진짜라면...''' -베인

오래된 일본산 무사 갑옷. 오다 노부나가가 입었던 갑옷이라고 하며, Shadow Raid에서 나오는 그림과 조각품들같이 분실되었다고 알려져있었다고 한다. 역시 Shadow Raid에서만 등장하는 특별한 전리품이며, 단 이 전리품은 창고 안에 있는 금고를 열어 획득 해야 한다. 사무라이 갑옷은 한 가방에 다 들어가진 않고, 4개 가방으로 나누어서 가방에 싸지는데, 무게는 돈 가방과 동일. 갑옷 4 조각 모두 입수하면 "I Will Walk Faceless Among Men" 도전 과제 달성 및 "Somen Mempo" 가면를 얻을 수 있다.
  • 박물관 유물(Artifact) (그림 유물은 무게 1 그림 유물을 제외한 모든 유물은 무게 2)
The Diamond에서 얻을 수 있는 전리품으로 맥켄드릭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진품 유물이다. 젠섹 스티커가 붙은 전시대를 글래스커터로 자르거나, 그냥 깨부신뒤 루팅할 수 있는 전리품. 무게는 돈과 동일하며 기존에는 그림을 가방에 담아도 Artifact로 표시되며 뛸 수 없었으나 업데이트로 인해 그림 형태의 유물은 들고 뛸 수 있게 되었다. 주의할 점은 도자기 형태의 유물은 데미지를 입으면 박살나며, 그림 형태도 대미지를 입으면 바닥으로 떨어져 사라진다. 길쭉한 형태의 전시대에서는 Instant Cash 형태의 유물 2개와 백으로 만들어야 하는 유물이 하나 들어있기도 하고 2개가 들어있다면 하나만 루팅가능한 경우도 있다. Plan B로 갈 경우 헬리콥터에 4개가 들어가면 물건 놓고 다시 온다며 가버리므로 빨리 탈출하고 싶으나 어느정도 루팅하고 싶다면 3개만 던져넣고 각자 1개씩 메고 탈출하는 방법도 있다. 10개 이상의 박물관 유물을 털고 탈출하면 'Culture Vultures' 도전 과제를 달성하고 'Medusa' 마스크, 'Rusting Metal' 재질과 'Runes' 패턴을 얻는다.
  • 더 다이아몬드(The Diamond) (무게 1)
저주받은 다이아몬드 중 하나인 호프 다이아몬드를 모델로 한 다이아몬드. The Diamond 하이스트에만 존재하며 The Diamond 하이스트의 최종목표이다. 일부 하이스트의 서버와 같이 벤이나 백맨, 헬기에 넣지 않으면 탈출지점 자체가 생기지 않으며 플렌 B로 할때는 이걸 가방에 담아야지만 헬기를 부르는 신호탄을 설치할수 있다. 압도적인 가격을 자랑하며 가방도 특이하게 스카이후크 부품가방과 같은 녹색 가방을 사용한다. 가격이 비싼만큼 보안도 철저한데 바닥에 있는 압력발판을 잘못밟고 가면 전시대가 아래로 내려가며 가스가 뿜어져나오고 알람이 울린다. B로 진행한다고 막 주으러 가다가는 전시대가 내려가고 가스가 다 살포될때까지 기다렸다가 그걸 또 드릴로 열어야 하므로 꼭 해킹후 올바른 발판을 밟고가서 주워오자. 이 다이아몬드를 싸면 베인이 "설마 우리가 이걸 훔칠 줄이야" 등의 반응을 보인다.
  • 알미르의 토스트(Almir's Toast) (무게 4)
문자 그대로 그냥 식빵 조각. White Xmas 하이스트에서 크리스마스 선물 상자에서 낮은 확률로 등장. 무게가 Shadow Raid의 유물급으로 무거운 대신 가치가 높다, 알미르의 토스트를 확보하면 Impossible, It Can't Be. Is it? 도전 과제가 달성된다. 이름의 유래는 페이데이 2의 공동 프로듀서인 알미르 리스토(Almir Listo).
  • 폭탄 부품(Bomb Part) (무게 2 혹은 3)
The Bomb 하이스트의 목표물. 컨테이너 화물선에 적재된 폭탄을 훔치거나(Dockyard), 폭탄이 적재된 열차를 탈선시키고 강제로 훔치는(Forest) 방법으로 획득해야 한다. 크기가 제법 되므로 4개로 분리시킨뒤 각각 가방에 넣은뒤 옮겨야 한다. 무게는 첫번째 부분과 끝부분은 돈다발과 무게가 동일하고, 중간 부분 2개는 금괴와 동일. 가격은 데스위시 기준으로 개당 2백만 달러의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전부 회수할 경우 8백만 달러로 더 다이아몬드보다 높은 가격을 지니고 있다.
  • 팔코기니(Falcogini) (탑승물)
람보르기니를 패러디한 고급 스포츠 카. Car Shop 하이스트의 목표물로 등장하며 플레이어가 직접 운전해서 컨테이너 까지 주차해야 한다.
  • 핵 미사일 탄두(Warhead) (무게 4)
Meltdown 하이스트의 목표물. 가방으로 만들었을 시의 모양이 Train heist에서 봤던 폭발물과 같다. 무게는 쉐도우 레이드 유물급인데 이걸 가지고 200M가 넘는 거리를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지게차와 롱펠로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 미사일 탄두를 발견하면 베인이 식겁하며 블라드에게 미쳤냐고 따지고 블라드는 오줌이 빛나면 병원에 가보라는 등 방사능 드립을 친다.(...)
  • 치과의사의 전리품(The Dentist's Loot) (무게 3)
골든 그린 카지노 하이스트의 최종 목표물. 지하 금고실 내부에 드릴로 열어야 되는 문 안쪽 레이저 경보장치 뒤에 있다. 무게는 조금 무거운 편이며 가치는 난이도 불문 500$ 이다. 여담으로 상자의 외관에 일루미나티의 피라미드 무늬가 새겨져 있다.
  • 금고(Safe) (무게 3)
Aftershock 하이스트에서만 등장하는 루트 아이템으로, 가방에 싸는 형태가 아니며 집을 경우 등에 지게를 지듯이 메게된다
  • 돼지(Pig) (무게 3)
Slaughterhouse 하이스트에서만 등장하는 전리품으로, X표시가 되어있다. 가방에 싸서 확보한 뒤에 하이스트를 성공할 시에 Slaughterhouse Vault를 주는데, 기간 한정 30일 동안만 주어진다. 무게는 금괴와 비슷.
  • 낙하산(Parachute) (무게 1)
Birth of Sky 하이스트에서만 등장하며, 머키워터의 비행기에서 뛰어내릴때 필요하다. 확보는 불가능하며, 만약 이걸 안 메고 밖으로 뛰어내리면 다운된다. 낙하중에는 버리는게 불가능하며 착지한 후에 버릴 수 있다.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확보하는게 불가능하므로 가격은 알려지지 않았다
  • 염소(Goat) (무게 2)
고트 시뮬레이터 하이스트에서 등장하는 전리품이다. 살아있는데도 불구하고 움직이거나 하지 않으며 가방에 싸서 가져가는 대신 등에 짊어지고 다닌다. 여담으로 염소에게 가까이 가면 머리로 들이받기도 하며 확보한 뒤에 던지면 그냥 쓰러져서 가만히 있는다. 무게는 대략 돈과 비슷한 수준이다. Firestarter 2일차에도 등장, 1층 철창방 내부에 금고와 함께 자리잡고 있다. 해당 염소를 확보하면 금고를 주었지만, 지금은 주지 않는다.
  • 아티팩트(무게 2)
Beneath the Mountain 하이스트에서 등장하는 유물이다.
  • 프로토타입(무게 2)
Beneath the Mountain 하이스트에서 등장하는 전리품으로 머키워터 상자를 열다보면 얻을 수 있다.
  • 전투소총(Battle Rifle) (무게 2)
하드코어 헨리 업데이트로 추가된 전리품으로 외형은 SCAR-H이고, 오직 Murky Station 하이스트에서만 나온다.
  • 권총(Pistol) (무게 1)
위의 전투소총과 마찬가지로 Murky Station에서만 나오는 전리품으로 외형은 글록 17이다. 무게는 가벼워서 보석, 증거품처럼 들고 뛰어다닐 수 있다.

[1] 드랍되는 탄약의 회수량은 기본 탄약 휴대량에서 2~3%가 회복된다. 스킬과 개조로 증가 및 감소된 탄약값은 포함하지 않는다. 저격총과 유탄발사기등 일부 무기군의 경우엔 아예 무기별로 최소, 최대 회수량이 고정되어 있다. [15%] A B [35%] [2] 이 자동마킹이 상당히 사기적인 성능인데, 200m내 특수유닛을 조준하면 자동으로 마킹이 되어서 멀리있는 저격수를 마킹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미리 마킹을 해서 팀원들이 쉽게 대비를 하게 하는등 플랜 B에서 매우 좋은 성능.[3] 클라리온 라이플과 그루버 쿠르즈 권총 등의 은폐도 +3 부스트, 브롱코 리볼버 등의 데미지+4 부스트 등[4] CTV를 입은것과 같은 수치가 나온다![5] 화이트 메사는 하프 라이프 시리즈블랙 메사의 패러디. 이건 1편에서도 나온 패러디인데, 카운터피트 하이스트의 지하실을 들어가기 위해 해킹해야 하는 패널도 화이트 메사에서 제작된 것이다.[6] 정작 스킨상 복합 전술 조끼에 팔다리방어구만 더 붙었다.[7] 여담으로 전작과 마찬가지로 정식 명칭은 Doctor Bag이지만 작중 등장인물들은 메디백(Medic bag) 또는 짧게 Medi, Med 정도의 약칭으로 부른다. 일본인인 지로만이 제대로 닥터백(발음연기상 독타바끄 정도)이라고 부른다.[8] 방 생성때 원다운 옵션을 킬경우 다운 횟수 제한이 1회로 팍 줄어들어서 2번만 다운되어도 바로 구금된다.[9] 하지만 클로커한테 처맞거나 테이저한테 오래 지져져서 다운된 것은 다운 횟수에 포함되지 않는다. 덕분에 오버킬 이하 난이도에서는 개피일때 팀원을 믿고 일부러 클로커에게 들이대어 체력을 공짜로 소량 회복하는 전법도 있다. 메이햄 이상 난이도에서는 반대로 버서커 스킬의 효과를 최대로 받기 위해서 일부러 클로커에게 들이대어 다운 횟수를 줄이지 않고 버서커의 위력을 올리는 전법도 있다. 이경우에는 버서커 에이스 기준 1.8배의 공격력 부스트를 받는다.[10] 단 CCTV의 경우 시체나 제압된 시민같은 의심스러운 상황을 포착한 순간 강제로 신고가 진행되기 때문에 이미 시민이나 경비와 달리 들키고 나서 재머를 까는 것은 의미가 없다.[11] 트립마인의 수량/C4의 수량[12] 다만 마킹시간이 그리 오래가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디펜스 지역의 위치를 고찰하고, 특수경찰이 올만한 이동경로마다 모두 설치해두도록 하자. 특히 딱봐도 클로커가 내려올듯한 환기통 구멍에는 반드시 설치해두자. 제대로만 설치해두면 특경에게 암살당하는 일은 없어진다. 132 패치로 High Value Target 스킬을 찍었다면 트립마인에도 적용되므로 마킹시간이 짧다는 단점은 어느정도 해소되었으며, 동시에 데미지 증가 효과도 노려볼 수 있게 되었다.[13] 하지만 그럴수가 없는게, 실드 때문에 답이 안나온다. 이놈이 트립마인과 근접해 있다면 일부 AP탄을 제외하면 못잡고, 폭발물을 사용하면 트립마인도 같이 터질수밖에 없다. 같은편이 센서모드 마인을 깔아두면 폭파모드로 전환하거나 고의로 부수지만 말자.[14] 기존 150발에서 바이커 DLC발매때 33%감소 너프를 받음[15] 몇 년전에 프로잡 이라는게 존재했는데 이는 경험치랑 돈을 더 받지만 실패시 바로 계약이 파기되는 일종의 고인물을 위한 옵션이였다. 그걸 위해서 쓰라고 만든거긴 하지만 그때도 쓰이지 않았다. 당시 프레이밍 프레임 프로잡을 하면 한 두명이 스텔스 전담하고 나머지 인원이 B를 대비해 기지에 짱박히는 전법을 쓰긴했다만..[16] 처음부터 라우드를 고려하고 설계한 무기와 스텔스를 고려하고 설계한 무기는 데미지, 명중률, 안정성 등에서 심각한 차이가 난다. 크리세팅이라면 스텔스 무기에 준하는 고은폐 무기를 들기도 하나, 고스트 트리의 아트풀 닷저나 사일런트 킬러 트리를 찍고 로그, 크룩, 엑스 프레지던트같은 퍽덱을 쓰지, 시노비를 찍고 버글러 퍽덱을 쓰는 경우는 절대 없으므로 결국 들키지만 않을 뿐이지 엄청 비효율적이다. 여기에 고은폐 고크리 세팅이 은폐도를 낮추는 아머로 갈아입을 이유도 없고.[17] 이 카메라 아래쪽에는 '''방탄 및 톱질, 근접공격, 수류탄에 끄떡 없음'''이라고 쓰여져 있다.[18] 베인 말에 의하면 업계 종사자들은 중공업 천공기(Heavy-duty Industrial drilling apparatus)라고 부르지만 강도들은 이렇게 부른다고 한다.[19] 대표적으로 다이아몬드 스토어에서 전시대에 있는 유리창을 깨면 알람이 울리게 되어 있는데, 키카드로 이를 무력화 시킬 수 있다.[20] 찾기 힘들 경우 사전계획에서 노란색으로 빛나도록 설정할 수 있다.[21] 북미 지역에선 은행에서 안경을 제외한 얼굴을 조금이라도 가리는 가면이나 색 안경을 절대 써선 안된다.[22] 필수 전리품 판정인 경우나 치과의사의 전리품 등은 가치가 고정이다.[23] 매번 그런건 아니고 미션에 따라 필수 전리품도 추가 가방으로 카운트 되는 경우도 있다.[24] 멀리서 보면 가만히 있어야 할 가방의 실루엣이 서서 꿈틀거리며 움직인다. 특수유닛들을 제외한 나머지 유닛들이 등에 매고 가는거니 우선적으로 쏴버리자. 공격받으면 가방을 떨어뜨린다. 공격하지 않고도 뒤에서 슬쩍 빼 갈 수 있다.[25] 랫츠 1일차에서 작업장을 점거해 일정량의 메스암페타민을 제조한 다음 2일차에서 이를 다른 갱단과 거래해서 카르텔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추가 메스암페타민을 제조했다면 1개당 돈가방 1개로 추가 보상을 준다.[26] 3일차를 플랜 A로 플레이할 시 상원위원의 비밀 금고에 마약을 채워서 누명을 씌우는 용도로 사용한다.[27] 돈의 색상이나 베인의 대사, 미션 시작 전 설명 내용을 종합해 보면 이라크 디나르인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