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제스드 마린
'''Possessed Marines'''

파이어 워리어들을 공격하는 포제스드 마린.
카오스 신께 몸과 영혼을 바친다, 이보다 더한 헌신이 있겠는가?
1. 개요
Warhammer 40,000에 나오는 카오스 스페이스 마린의 기본 병과 중 하나. 카오스 데몬에게 빙의를 당하여 강력한 육체적 능력을 얻어 싸우는 병과이다.
2. 설정
대성전 ~ 호루스 헤러시 시절에 존재하던 스페이스 마린 군단 중 하나인 워드 베어러의 정예 부대인 '갈 보르박'이 포제스드 마린의 기원이 된다.
대성전 말기까지만 해도 스페이스 마린은 물론 프라이마크들조차 카오스에 대해 아는 것이 일절 없었다. 카오스에 대한 정보는 황제와 일부 최측근들, 그리고 소수의 프라이마크들만 알고 있던 기밀사항이였다. 그러나 대성전 말기 황제 신앙을 전파하고 다니던 로가 아우렐리안과 워드 베어러는 결국 은퇴를 준비하던 황제에게 찍혀 다시는 황제 신앙을 전파하지 말라며 제대로 불호령을 당했다. 이에 상심한 로가가 황제에 대한 충성심을 잃어가던 찰나 측근인 에레부스와 코르 파에론을 통하여 카오스 신을 영접하였고, 카오스 신을 따르기로 맹세하면서 휘하 군단원들 중 일부를 7중대장 아르겔 탈을 필두로 하여 아무것도 알려주지 않고 아이 오브 테러 안으로 순회를 돌게 한다. 여기서 살아나온 마린들의 몸엔 카오스의 악마들이 빙의하고 있었고 이들이 최초의 포제스드 마린이 되었다. '갈 보르박'은 이 때 만들어진 포제스드 마린 부대를 로가가 지은 이름이다.
포제스드 마린의 특징은 외적으로는 악마가 빙의한 상태이니 카오스의 힘이 온몸에 충만해지므로 몸이 변이해 뿔이나 촉수 등이 달려 있고, 사지가 이상하게 변형되어 있는 기묘한 생김새가 특징이다. 물론 카오스 스폰과는 달리 대체로 인간의 형태는 제대로 유지하고 있는 편. 다만 레란 소드에 깃든 슬라네쉬의 악마에게 지배당한 적이 있는 펄그림이나, Warhammer 40,000: Dawn of War 2 - Chaos Rising의 블러드 레이븐의 아너 가드 아포세카리 갈란이나 4중대 소속 라이브러리안 요나 오리온[1] 의 경우를 보면 꼭 악마가 빙의했다고 해서 괴상하게 변하는 것만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물론 위 사례 당사자들의 공통점은 다른 마린들을 속이고 비밀 공작을 행하던 경우였으므로 필요에 의해 변이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2]
사실 데몬 웨폰을 사용해도 사용자는 충분히 강해질 수 있으나, 그저 그 무기만 대단한 것일 뿐 사용자 자신은 별 차이가 없는 반면 포제스드 마린은 악마의 힘을 무기가 아닌 자기 몸에다 끌어 쓰는 식인지라 사용자 그 자체가 엄청나게 강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문제는 이렇게 악마의 힘을 끌어다 쓰는 대가로 대체적으로 악마들이 사용자의 육체 주도권을 빼앗아 간다는 점이다. 그리고 악마는 자기 숙주의 몸이 부서지든 어찌 되든 신경 안 쓰고 마구 사납게 날뛰는데다, 변이가 막 일어나는지라, 악마가 들린 마린들은 그다지 오래 살지 못한다.
빙의 대상자는 각양각색인데 당연히 대부분은 카오스 스페이스 마린들이지만, 카오스의 타락이 항상 대상자가 원해야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닌고로 당사자가 포제스드 마린이 될 의사가 없어도 일단 악마가 들러붙으면 포제스드 마린이 될 수 있다. 브락스 공성전에서는 작전 실패로 카오스의 군세에게 생포된 인류제국 레드 헌터 챕터의 마린들이 고문을 당하고 악마에게 영혼을 먹혀 포제스드 마린이 될 것이라는 언급도 있다. 상술한 펄그림과 갈란, 요나도 본인이 원치 않음에도 빙의당한 케이스이다.
다만 자신에게 빙의한 악마와의 싸움에서 이겨 주도권을 뺏기지 않은 채로(사실상 동등한 입장) 악마의 힘을 끌어내는 이들도 있었다. 상술한 최초의 포제스드 마린인 갈 보르박의 멤버들은 예외적으로 포제스드 마린이 되었지만 자아를 빼앗기지 않고 자신들에게 빙의한 악마들과 동등한 권리를 지녔는데, 이는 갈 보르박 멤버들이 워프나 카오스에 대해 아는게 없이도 아이 오브 테러에서 살아올 정도의 강자들이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현재의 카오스 스페이스 마린이나 스페이스 마린은 정신적 지주가 될 프라이마크들도 곁에 없고, 특히나 카오스 마린은 자긍심이고 충성심이고 진작에 갖다버린 이기주의자들로 돌변한지 오래인지라 정신력이 대단치 않으니 악마를 불러내면 당연히 악마에게 이길리가 없는 상황이다. 애초에 헤러시 당시에도 원년 갈 보르박 멤버가 전멸하고 난 후 새로 창설한 갈 보르박은 지금의 포제스드 마린과 다를 바 없는 카오스에 종속된 노예가 되어있던 만큼, 이건 그저 서레이티드 선의 생존자의 정신력이 특출나게 강했기에 나온 결과인 셈.
같은 회사에서 만든 게임 워해머 판타지에서 카오스 스페이스 마린에 대응되는 진영인 워리어 오브 카오스엔 '포세이큰'이라는, 카오스의 가호를 잘못 받아 몸에 변이가 진행되고 있는데다 동물 이하의 지능으로 퇴화하게 된 자들이 있는데, 설정은 아예 다르지만 생긴 건 은근히 비슷하게 생겼다.
3. 미니어처 게임에서의 모습
3.1. Warhammer 40,000

- 구판 시절 포제스드 마린 제품. 현재도 심심찮게 이베이에서 판매하고 있다.

- 이후 리뉴얼 때 나온 제품. 다양한 파츠를 넣어주어서 발매 당시부터 그 부품들의 다양한 활용에 대해 주목받았다.[3]
과거에는 워기어의 장비에 따라 강화성이 높은 근접전용 마린에 가까웠지만 5판에서는 굉장히 쓰이는 유닛과 안 쓰이는 유닛이 극명한 카오스 마린 중에서도 '''대단히 안 쓰이는 유닛'''이 되었다. 과거 특수 룰인 데몬킨 룰 역시 주사위 값에 따라 너무 많은 능력을 분화시켰기 때문에 받는 보너스를 일정량 기대를 못하는 게 큰 문제였다. 그 탓인지 이후 주사위 값으로 랜덤을 결정하는 임페리얼 가드의 페널 리전은 깔끔하게 만들어져 있다.
S와 A가 보통의 마린보다 1 더 높고 인불 세이브까지 있는 상당히 고급 근접유닛이고, 아이콘을 주기에 따라서 능력치가 강화된다. 문제는 카오스는 이미 근접용 유닛이 넘치고 넘친다는거… 코른 버저커나 카오스 랩터에 비교하면 두당 5 ~ 6포인트 비싸고, 원거리 무기가 없이 근접무장 뿐인데다가 공격횟수 보너스 같은 것도 없기에 공격횟수가 우월한 것도 아니다. 게다가 수류탄이 없어서 엄폐되어 있는 적에게 근접전을 걸 때 불이익을 본다.
6판 코덱스 업데이트에서 룰이 그럴듯하게 교체되어 뭐가 나와도 쓸만하게 변했다. 그러나 역시 문제는 카오스에 이미 버저커, 카오스 터미네이터, 랩터 등이 있고 HQ 유닛들 포함해서 '''대부분의 유닛이 근거리, 근접전용이거나 만능 유닛'''이라는 것이다. 기본적인 종족의 세트박스라 할 수 있는 배틀포스에는 항상 끼어 있어서 처음에만 좀 써보거나 컨버전 키트로 사용되는 안습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룰북과 코덱스에서도 컨버전 예시가 있을 정도다.
신판에서는 매 근접전 단계마다 D3을 굴려서 투 운드 리롤, 파워 웨폰화, A와 I의 +1 보너스 중 하나를 받게 되었다. 게다가 플릿을 기본으로 받고, 카오스 데몬이 빙의했다는 설정을 살려 데몬 특수 규칙까지 적용받는다. 포인트는 그대로. 슬라네쉬 소속으로 무절제의 인장(Icon of Excess)을 장비하면 3+/5++에 5+ 필 노 페인까지 적용받아 동급 보병을 상대로는 플레이그 마린에 필적하는 맷집을 자랑하게 되었다.
크림슨 슬로터 챕터 규칙을 사용할 경우 데모닉 기프트가 슈라우디드(커버 세이브 +2 강화), 비스트(12인치 이동, 험지 이동), 혹은 3++ 렌딩 중 하나로 변경된다.
3.2. 호루스 헤러시

Dark Brethren - Gal Vorbak
어둠의 형제들 - 갈 보르박

갈 보르박의 기원은 아르겔 탈이 지휘했던 서레이티드 선 챕터이다. 40K의 포제스드 마린과는 덩치부터가 다르다.
WS, BS, T, A, W 등의 모든 스텟이 현대의 포제스드 마린과는 판이하며, 특히 분대장의 W는 거의 HQ급이다. 무장으로는 기본적으로 수류탄에 제한적인 숫자이지만 파워 소드,라이트닝 클로 같은 것들은 물론이고 사격무장으로는 기본적으로 볼터나 볼트 피스톨을, 추가 비용 지불 시 플라즈마, 멜타건, 플레이머를 지닐 수 있다, 포제스드와 달리 볼트 피스톨에 근접 무장을 기본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A+1되는건 덤이다.어떤 무기를 사용하건 간에 모든 근접공격은 렌딩이 있는 걸로 취급하며 분대장인 어둠의 순례자는 파워 피스트와 멜타밤, 그리고 즉사를 유발하는 근접무기인 테인티드 웨폰을 사용할수 있고 아티피서 아머를 입을 수도 있다. 심심하면 3+ 갑옷이 널려있는 헤러시 환경에선 한정적인 파워 웨폰과 렌딩에 의존해서 상대의 갑옷을 깨부숴야 하는 문제가 있지만, 공격 회수와 능력치가 엄청 우월하기에 그 정도는 감수할 만 하다.
로가와 합류하여 투명화 사이킥 버프를 받아서 달려드는 전술이 악명이 높았는데, 결국 헤러시 5권에 이르러 로가가 텔레파시 사이킥을 못쓰도록 너프를 당하게 되었다. 그래도 사이커가 철철 넘치는데다 카오스 데몬을 동맹으로 불러올 수 있는 워드 베어러인 만큼, 데몬인 갈 보르박을 버프할 방법은 얼마든지 있다.
4. PC 게임에서의 모습
Warhammer 40,000: Dawn of War 시리즈에서는 카오스 진영의 3티어 유닛으로 등장한다. 랩코포(카오스 랩터 - 코른 버저커 - 포제스드 마린)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유닛. 이 게임 유닛 중 상위권 근접전 스펙을 자랑하며, 업글을 통해 입냄새...가 아니라 데모닉 파이어를 내뿜을 수 있는데, 적 보병을 모랄빵 내는게 굉장히 탁월하다. 게다가 이동속도가 모든 보병 중에서 굉장히 빠른 편이기 때문에 중화기를 든 적에게 빠르게 달라붙거나, 도망치는 적에게 계속 화염 방사를 선사해줄 수도 있다.
카오스 로드를 붙이면 분대 속도가 카로의 이속에 맞추어서 느려지는 대신 카오스 로드의 사기치가 무적이 되며, 카오스 로드의 업그레이드 효과를 분대 전체가 다 받을 수 있다. 평소에는 따로 운용하되 전면전이 벌어질 것이 예상된다면 주변에 카오스로드를 배치시켜두고 적당히 합류시켜서 버프를 받는 것도 나쁘진 않다.
단점은 단 1분대만 뽑을 수 있어서 물량이 부족하다는 것. 게다가 카오스의 제일 심각한 문제점인 동티어 유닛 싸움에서 밀린다는 문제점을 여실히 보여주는 유닛이기도 하다. 성능은 좋지만 전투가 지속되어 물량이 쌓이고 한타가 벌어질 상황이 되면 고작 포제스드 마린 한분대로 할 수 있는 일은 지극히 제한적이기 때문에..[4] 3티어에서 나오는 스페이스 마린의 터미네이터 스쿼드와 같은 입장인데, 터미네이터 분대는 워기어도 붙일 수 있고 몸빵이나 공격력이 훨씬 더 좋다. 포제스드 마린은 단순 스펙에서는 터미네이터 분대에게 밀리기 때문에, 특유의 기동성과 데모닉 파이어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하느냐에 따라 유용성이 갈리게 된다.
[1] 해당 게임에서 분대원 중 한명은 반드시 막판에 배신을 하고 카오스로 전향하게 되는데, 요나가 배신하는 경우는 악마에게 빙의를 당해서 배신했다는 설정이다. 참고로 후속작에서 밝혀진 공식 설정상 진짜 배신자는 요나가 아니다.[2] 펄그림은 휘하 엠퍼러스 칠드런 군단을 조종하였고, 갈란은 블러드 레이븐의 아너 가드를 타락시켰으며, 갈란과 요나는 4중대의 기밀정보들을 빼내어 계승자 엘리파스에게 건네주는 식으로 외형변화가 없어야 할 수 있는 임무들을 수행했다.[3] 특히. 날개 파츠는 대단히 인기 있는 부품. 기본적으로 매우 간지가 나는 데다가, 거기다가 카오스 로드나 소서러에게 워기어로 날개(Wing)를 장비시켜줄 경우 필수적으로 날개 모습으로 컨버전을 해야 하기 때문에 이쪽으로도 자주 쓰인다.[4] 따라서 카오스 스페이스 마린은 이러한 물량전이 벌어지지 않도록 속공으로 게임을 끝내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다. 포제스드마린과 오블리터레이터가 생산되었 때 바로 게임을 접수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