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eyes -죄와 벌과 속죄의 소녀-

 


<color=#fff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9924D 32%, #BD232F 33%, #BD232F 67%, #005598 68%)" '''미소녀 게임 연말 시상식 수상 실적'''
[ 펼치기 · 접기 ]




[image]
1. 개요
2. 주제가
3. 줄거리
4. 등장인물
5. 설정
6. BGM 일람
7. 미디어 믹스
7.1. 애니메이션
7.1.1. 주제가
7.1.2. 회차 목록
7.1.3. 평가
7.2. 코믹스
8. 관련 문서


1. 개요


11eyes -罪と罰と贖いの少女-

그 아이(눈/사랑)가 운명을 바꾼다[1]


そのアイ(眼/愛)が運命を変える

Lass사가 2008년 4월 발매한 에로게. 판타지 전기물이다.
핏빛처럼 붉은 하늘에 검은 달이 떠 있는 '붉은 밤'이라는 시공이 불분명한 정체불명의 세계를 배경으로 한다. 주인공을 비롯한 6명의 소년소녀들은 어느 날 영문도 모른 채 '붉은 밤'에 빨려들어간다. 알 수 없는 세계를 방황하던 그들 앞에 '흑기사'라 불리는 6명의 전사들이 나타나 그들을 습격하고, 6명의 주인공들은 '붉은 밤'의 비밀을 풀어내고 일상을 되찾기 위해 싸워 나간다는 스토리.
이고깽물은 아니다. '붉은 밤'은 흑기사들을 비롯한 인외의 존재들을 제외하고는 6명의 주연들밖에 인간이 존재하지 않는, 폐허나 다름없는 곳이다. 또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붕괴하며, 검은 달을 제외하고는 원래 세계로 돌아온다.
주인공을 비롯한 모든 캐릭터들에게 특수한 능력과 불행한 과거가 있으며, 시나리오를 진행할수록 이를 비롯한 작중 설정들의 수수께끼가 풀려가는 것이 포인트인 게임.
특정 장면에 한해서, 주인공 카케루 이외에 다른 사람들의 시점을 볼 수 있는 'Cross vision'이란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카케루가 가진 능력을 반영한 시스템으로 지원되는 캐릭터는 주인공 사츠키 카케루 이외에는 미나세 유카, 쿠사카베 미스즈, 타치바나 쿠쿠리, 히로하라 유키코, 타지마 타카히사, 리젯트 벨토르, 베라드, 수페르비아 8명이다. 진엔딩에서 공개되는 시점이 2명 존재.
3days -차오르는 시간의 저편에-에 이어 팬들에게서 준수한 스토리와 디자인으로 제법 호응을 얻었다. 전형적인 전기물의 공식을 충실히 따른다는 평. 이에 검열삭제씬 등을 제거하고 추가 캐릭터를 집어 넣은 '11eyes CrossOver'가 2009년 XBOX360용으로 발매되었으며, 2010년에는 PSP용으로 이식되었다.
팬디스크11eyes -Resona Forma-가 발매되었다. 원래 2010년 8월에 나올 예정이었던 게 결국 8개월이나 밀려 2011년 4월에야 나오긴 했지만.

2. 주제가


OP 및 ED가 정평이 나 있다.
  • 오프닝 테마 Lunatic tears…

'''11eyes PC판 OP - Lunatic Tears… (Vocal. 彩音(아야네))'''
  • 엔딩 테마 穢れ亡き夢(더렵혀져 사라진 꿈)
    • 작곡: 쿠로세 케이스케(Asriel 멤버)
    • 보컬: Asriel

3. 줄거리


외눈의 소년 사츠키 카케루가 유일한 육친인 누나를 잃은 것은 5년 전의 일이었다.
소꿉친구 미나세 유카 덕분에 지금은 어떻게든 마음의 평정을 되찾고는 있지만, 카케루의 마음에는 어딘가 허무감이 감돌아 미래에 희망을 품지 않은 채 나태한 나날을 보내고 있었다.
신흥 도시 '아야메가오카 시'에 있는 '코료칸 학원', 통칭 '무지개교(虹校)'에 다니는 2명. 마치 당연한 듯이 카케루와 함께 하는 기특한 유카였지만 무기력한 카케루와의 관계는 좀처럼 앞으로 나가질 않았다.
그런데도 아주 조금 앞으로 나아가려 하고 있던 2명이었지만 그를 조소하듯 그들의 운명은 극적인 변화가 일어난다.
거리에서 사람의 기색이 사라져 마치 무인의 폐허가 떠오르도록 고요함에 싸인다.
하늘은 선혈을 채운 샘과 같이 붉은 색에 물들고 먹을 떨어뜨린 것 같은 칠흑의 달이 걸린다.
자기 이외에는 아무도 없는 듯한 황량한 세계로 바뀐 아야메가오카. 검고 거대한 달 아래, 붉은 밤의 세계에 카케루와 유카는 남겨진 것이다. 거리는 사람 대신에 이형의 존재가 기분 나쁘게 다가와 손쓸 방법이 없는 카케루와 유카는 단지 도망칠 수 밖에 없었다.
이윽고 어느 정도의 시간이 지나자 '붉은 밤'의 세계로부터 현실로 돌아올 수 있었지만 '붉은 밤'은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갑작스럽게 찾아온다.
그 반복에 완전히 지쳐버려 생명의 위기에 닥친 2명…….
그 와중에 카케루와 유카는 가신들 외에도 '붉은 밤'의 세계에 내던져진 인간, 동료가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
'붉은 밤'의 세계에서 만난 동료들은 카케루와 유카의 상식을 뛰어넘는 이능력자였던 것이다.
붉은 밤에 출입하는 인간의 수는 카케루들을 포함하여 6명. 그들은 붉은 밤에서 살아 남기 위해 서로 협력하게 된다.
하지만 그런 그들의 앞에 명확한 살의를 가지고 나타나는 6개의 그림자.
다른 이형과는 비교도 되지 않는 힘을 가진 6명의 흑기사들을 상대로 카케루들은 결사적으로 싸워나간다.
각각의 싸움의 의미는 다르지만 학원 생활을 함께 보내고 함께 싸워 가면서 둘도 없는 동료를 지키기 위한 싸움으로 바뀌어간다.
장렬한 싸움의 끝에서 '붉은 밤'의 진실을 알게 되고 카케루들은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붉은 밤'의 세계에 침식되는 거리를 무대로 장렬한 싸움에 말려 들어간 소년소녀들의 운명을 그리는 대형 학원전기, 여기에 개막!

4. 등장인물


  • 흑기사[2]

5. 설정


  • 금서목록성성
  • 나락 떨구기(케스 퓨트스)
  • 드라스베니아
  • 붉은 밤
  • 아이온의 눈(겁의 눈)
  • 아브락사스
  • 취옥비의 조각
  • 판타즈마고리아(환등결계)[3]

6. BGM 일람


Disc 1
01 우리들의 제일 소중한, 시간(僕たちの一番大切な、時間)
02 개였으니까 팝 비트로(晴れたからポップ・ビートで)
03 기분은 하이파이!(気分はハイ・ファイ!)
04 슬랩스틱 리로드(スラップスティック・リロード)
05 아야메가오카 노스텔지어(綾女ヶ丘ノスタルジア)
06 어지러진 마음을 가슴에 안은 채(欠けた想いを胸に抱いたまま)
07 침식(侵食)
08 침식 드럼 컷ver.(侵食 ドラムカットver.)
09 붉은 죽음의 왈츠(赤き死のワルツ)
10 퇴폐 광상담(退廃狂想譚)
11 천인난무(千刃乱舞)
12 Valgar Souls From Hell
13 보라, 나의 검(마음)은 접히지 않는다!(見よ、我が剣こころは未だ折れぬ!)
14 최후로부터 두번째 추억(最後から二番目の追憶)
15 네가 최후에 보는 세계(君が最後に見る世界)
Disc 2
01 번제(燔祭)
02 무너져가는 마음(壊れゆく心)
03 Rapid heart
04 사랑하는 데, 애달퍼서(愛すれど、切なくて)
05 사랑에 시간을(愛に時間を)
06 주님은 자기 자식을 알아보신다(神は神のものを知りたまう)
07 현월영락(玄月落魄)
08 성시편666 ~The Last Testament~(聖詩篇666 ~The Last Testament~
09 겁(아이온)의 눈(劫の眼)
10 신고(神告)
11 The Ethereal Mirror
12 단독망상지지거(単独妄想紙芝居)
13 몽환포옹(夢幻抱擁)
14 Lunatic Tears... (short ver.)
15 망각의 검(short ver.)(忘却の剣 short ver.)
16 더렵혀져 사라진 꿈(short ver.)(穢れ亡き夢 short ver.)

7. 미디어 믹스



7.1. 애니메이션


'''11eyes'''
작품 정보 ▼
'''원작'''
Lass
'''캐릭터 원안'''
치코타무(ちこたむ)
하기와라 온센(萩原音泉)
오자와 유우(小沢 悠)
KENGOU
나루미 유우(鳴海ゆう)
조 아자라시(ぞうあざらし)
'''감독'''
시모다 마사미
'''시리즈 구성'''
카네마키 켄이치(金巻兼一)
'''캐릭터 디자인'''
하라 쇼지(原 将治)
'''총 작화감독'''
'''미술 감독'''
미야케 마사토(三宅正人)
'''색채 설계'''
이시구로 케이(石黒けい)
'''촬영 감독'''
키무라 야스시(木村康史)
'''편집'''
니시야마 시게루(西山 茂)
'''음향 감독'''
이와나미 요시카즈
'''음향 효과'''
코야마 야스마사(小山恭正)
'''음악'''
사카모토 쇼이치로(坂本昌一郎)[9]
'''음악 제작'''
5pb.
슈퍼 스윕(スーパースィープ)
'''슈퍼바이저'''
LEGIOん
'''애니메이션 제작'''
동화공방
'''제작'''
니지교 고현학부(虹校考現学部)
'''방영 기간'''
2009. 10. 07. ~ 2009. 12. 23.
'''방송국'''
[image] 지바 TV / (수) 01:00
'''편당 방영 시간'''
24분
'''화수'''
전12화+OVA 1화
'''국내 심의 등급'''
심의 없음
}}}
2009년 6월 TV 애니메이션화가 결정. 2009년 10월 방영되었다. 제목은 부제를 제거하고 '11eyes'로 결정되었다. 제작사는 동화공방.
발표 초기에는 원작 게임이 전기물로서 괜찮은 평가를 받았던지라 당시에는 본작의 애니화에 기대를 거는 반응이 적지 않았다. 그러나…

7.1.1. 주제가


'''11eyes 여는 노래'''

'''TV ver.'''

'''Full ver.'''
'''제목'''
Arrival of tears
'''노래'''
아야네
'''작사'''
'''작곡'''
Tatsh
'''편곡'''
'''콘티'''
시모다 마사미
'''연출'''
'''작화감독'''
카리노 마사시(狩野正志)
하라 쇼지(原 将治)
'''11eyes 닫는 노래'''

'''TV ver.'''

'''Full ver.'''
'''제목'''
Sequentia
'''노래'''
Asriel
'''작사'''
KOKOMI
'''작곡'''
쿠로다 케이스케(黒瀬圭亮)
'''편곡'''
무라카미 준(村上 純)
'''콘티'''
시모다 마사미
'''연출'''
'''작화감독'''
카리노 마사시(狩野正志)
하라 쇼지(原 将治)

7.1.2. 회차 목록


'''회차'''
'''제목'''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TVA'''
제1화
赤い夜 〜Piros éjszaka
붉은 밤

카네마키 켄이치
(金巻兼一)

시모다 마사미
카리노 마사시
(狩野正志)

2009.10.07.
제2화
水晶の少女 〜egy lány -ban kristály
수정의 소녀

하카타 마사토시
(博多正寿)

오오타 토모아키
(太田知章)

홍석표
(洪錫杓)
김기남
(金祈南)
김산
(金山)

2009.10.14.
제3화
孤独な誇り 〜egyedülálló büszkeség
고독한 긍지

타카무라 유타
(高村雄太)

야마구치 요리후사
(山口頼房)

코미야마 유미코
(小宮山由美子)

2009.10.21.
제4화
仮面の微笑 〜a doboz mögött maszk
가면의 미소

세키지마 마요리
(関島眞頼)

야나세 유지
하타 요시토
(秦 義人)

스기모토 코지
(杉本光司)

2009.10.28.
제5화
友と明日のために 〜barátoknak,holnapra
친구와 내일을 위해

카네마키 켄이치
카가 미사토
(加賀未恵)

소~토메 코이치로
(そ〜とめこういちろう)

오제키 미야비
(小関 雅)

2009.11.04.
제6화
心乱れて 〜szíbtép fájdalom
마음은 헝클어지고

카네마키 켄이치
호소다 마사히로
(細田雅弘)

코야마 토모히로
(小山知洋)

2009.11.11.
제7화
歪んだ覚醒 〜kanyargós ébredés
일그러진 각성

세키지마 마요리
카와바타 타카시
(川畑 喬)

코미야마 유미코
타니구치 시게노리
(谷口繁則)

2009.11.18.
제8화
逢魔が時 〜félhomály öv
땅거미 질 적에

카네마키 켄이치
타카무라 유타
시미즈 카츠유키
(清水勝祐)
코다 토모키
(香田智樹)
츠즈쿠 류지
(都竹隆治)

2009.11.25.
제9화
壊れた絆 〜törött kötés
부서진 인연

세키지마 마요리
야나세 유지
하타 요시토
키쿠치 마사요시
(菊池政芳)
키쿠나가 치사토
(菊永千里)
스기모토 코지

2009.12.01.
제10화
魔女覚醒 〜bukott angyal
마녀 각성

카네마키 켄이치
소~토메 코이치로
오제키 미야비
2009.12.08.
제11화
滅亡という選択 〜válogatott -hoz kialvás
멸망이라는 선택

세키지마 마요리
후쿠시마 히로유키
(福島宏之)

스즈키 카즈히로
(鈴木和弘)

코야마 토모히로
2009.12.15.
제12화
闇夜の暁 〜a sötét hajnal
어두운 밤의 새벽

카네마키 켄이치
사와무라 루이
(沢村 塁)

시모다 마사미
카리노 마사시
야나세 유지
키쿠치 마사요시
키쿠나가 치사토

2009.12.22.
'''OVA'''
제13화
桃色幻夢譚 〜ró zsaszí n é jszaka
복숭아 색 환몽담

카네마키 켄이치
후지와라 료지
(藤原良二)

타카무라 유타
하리 헤이키치
(梁 炳吉)

2010.06.25.

7.1.3. 평가


작화도 좋고 붉은 밤에 빨려들어가는 연출을 심심했던 원작과 달리 좀 더 강렬하게 표현하는 등, 에로게 원작 애니메이션 중에서는 그럭저럭 괜찮은 영상 퀄리티를 자랑한다. 그러나 본작의 문제는 감독 시모다 마사미를 포함해 제작 스태프가 원작을 완전히 잘못 해석해버렸다는 점에 있다.
원작 팬들에게서는 혹평만 쏟아졌으며, 원작을 해보지 않은 팬들에게서는 작안의 샤나, 페르소나 3 짝퉁 같다며 관심을 모으지 못했다. 작중 무대인 '붉은 밤'의 애니판 연출이 봉절과 매우 유사하기 때문. 원작에서는 문자 그대로 '붉은 세계'라는 느낌이었으나, 애니판에서는 진짜 결계같은 이미지로 처리했다. 또한 붉은 밤에 존재하는 이형의 존재들이 린네와 유사한 느낌인 것도 한몫했다. 물론 실제로 각자의 세계관에 뚜렷한 관련성은 없으나 페르소나 3의 경우 '''붉은 밤의 설정이 우연히[4] 쉐도타임의 설정이 일치'''하는데다가 특히 '''사츠키 카케루쿠사카베 미스즈, 이 두 캐릭터'''의 경우 '''페르소나 3의 주인공키리조 미츠루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라는 말이 있다.
원작을 모르는 사람에게는 그냥 듣보잡화. 그리고 후반부로 갈수록 넘쳐나는 허세와 막나가는 대사에 심심하면 보이는 작붕과 뱅크신, 개성없는 캐릭터 그리고 '''과도한 설정변경'''으로 인해 나쁜 애니화의 표본이 되어버렸다.
심지어 설정변경으로 원작의 캐릭터가 이상하게 변해버리는 경우가 자주 있었는데 대표적으로 미나세 유카가 있다. 안그래도 원작도 얀데레라는 낌새가 있었고 결국 후반부에 일을 크게 저지르는 바람에 안티가 많은 캐릭터인데 그 속성을 극대화시키면서 완전히 찌질한 천하의 미친X이 돼버렸다. 원작도 공감을 사기 어려운 캐릭터였으나 애니에서는 아예 공감을 할 수 없다. 그나마 12화 카케루의 과거 회상신에서 보여주는 유카의 헌신적인 모습이 없었다면 정말로 최악의 캐릭이 됐을 것이라는 반응이 많다. 그 외 흑기사들의 설정과 성격도 묘하게 변해버려 원작보다 위엄을 잃어버리는 등[5] 캐릭터 붕괴의 절정을 달했다.
그 결과 달랑 255장 팔렸다. 덕분에 제작사인 동화공방유루유리를 만들기 전까지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었다. 시간이 흐르고 동화공방의 명성이 높아지면서 과거 제작 작품들을 찾아보다 이 작품을 감상하고 기겁하는 반응도 종종 나오고 있다. 당시 얼마나 반응이 나쁘고 흥행이 심각했던지 감독인 시모다 마사미도 이 작품의 여파로 커리어에 심각한 타격을 입어[6] 이후로는 제가페인 adaption만 감독하고 더 이상 감독직을 맡지 못하고 있다.
애니판의 경우 판치라가 지나치게 자주 일어나 '판치라물'이라고도 불린다(...). 12화로 완결이 났으며 결국 사람들에게 그다지 관심을 모으지 못하고 골수 팬들에게 까인 채 끝났다.
전체적으로 보면 막장 드라마. 스토리도 개판에 제정신이 아닌데다가 공감이 안가는 인물들, 억지스러운 결말 등 실로 막장스러워서 까일 만도 한 작품. 거기다 면도날 홍차, 쓸데없는 카케루와 미스즈의 배드신, 리제롯테의 "이거놔! 싫어!"등 무거워보일 것 같지만 실상은 개그물처럼 보일 정도로 쓸데없는 장면까지 나온다. 명작 내지 수작 평가를 받는 에로게 작품이 애니화가 되었을때 100% 폭망한다는 케이스라고 봐도 되는 오만가지 스토리를 다 짬뽕한 것을 원작을 플레이해보지 않은 시청자들도 다 알 수 있을 정도로 막장 전개와 스토리를 보여준다. 그래도 원작의 설정과 배경 자체가 수작인, 즉 기본'''만''' 잘 되어있는 작품인지라 뒷 내용이 궁금해서 계속 보게 되는 중독성이 있다는 평도 있다. 결국 이 애니메이션의 의의는 작화BGM 뿐이라고 봐도 무방하다.[7] 다만 상술했듯이 에로게 원작 영상화로서는 작화와 연출 퀄리티가 그럭저럭 괜찮았기 때문에[8] 차라리 이 퀄리티로 원작 전개를 그대로 영상화했어야 한다는 아쉬운 반응들도 있다.
DVD/Bluray 최종권에 '''OVA 1화를 수록'''했으나, 본편 스토리와는 1mg만큼의 연관성도 없는 서비스 장면뿐인 추가 영상이었다.
흑기사들을 주제로 한 개그 만화가 홈페이지에서 연재되다가, BD에 음성을 입혀서 부록으로 제공되었는데 이쪽이 오히려 본편이라는 평가가 있다.

7.2. 코믹스


코믹스판은 월간 콤프 에이스에서 2009년 10월호부터 2010년 11월호까지 연재. 쿠사카베 미스즈를 히로인으로 해서 전 3권으로 완결되었다.

8. 관련 문서


[1] 발매 시의 캐치프레이즈.[2] 흑기사의 이름은 라틴어로 7대 죄악을 의미한다. 단 '색욕(Luxuria)'이 제외되어서 6명.[3] 일본 웹에서 11eyes에 한해서는 판아즈마고리아라는 표현이 쓰이고 있다. 작중에서 ファンアズマゴリア가 아닌 ファンタズマゴリア로 쓰이고 있다.[4] 솔직히 우연히라고 보기에는 의심스러운 부분이 너무 많다. 애초에 원작부터 붉은 밤의 설정이 쉐도타임과 똑같은데다가 페르소나 3의 합체 장면의 모습과 비슷한 컷이 있으며, 무엇보다 페르소나 3에서 등장한 쉐도들의 디자인을 가진 흑기사들이 존재한다. 또한 페르소나 3의 발매일이 2006년이고 본작의 발매일이 2008년인 것을 봤을때 사실상 표절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5] 대표적으로 굴라가 있는데, 이 쪽은 원작에서는 진중한 무사에 가까운 캐릭터였으나 애니메이션에서는 찌질한 양아치스럽게 변해버렸다.[6] 그 전에도 신곡주계 폴리포니카의 참패로 입지가 흔들리고 있던 상황에서 본작이 쐐기를 박아버렸다.[7] 게임판 음악 담당이 작곡했다. 그래서인지 팬디스크 11eyes -Resona Forma-에서는 애니 OST도 동시에 수록되어 사용된다.[8] 당시는 에로게 애니화의 황혼기였기 때문에 아야카시같은 작화 붕괴 작품이 속출하고 있던 상황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