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ic Rap Battles of History/시즌 4 Episode 10
원본
비하인드 1
비하인드 2
비하인드 3[1]
자막
ERB 위키
'''공자, 노자, 손자''' VS '''소크라테스, 프리드리히 니체, 볼테르'''[2]
각각 동양과 서양을 대표하는 철학의 아버지들이 배틀한다.
시즌 4의 피날레였어도 손색이 없었을 랩과[3] , 4분이라는 장대한 시간을 자랑하는데, 마지막에 가서는 자기들끼리 서로 싸운다 그래서 그런지, 배틀이 끝나고서도 서로 말싸움하는 철학자들한테 조용히 하라고 소리친다.
각 철학자들의 주제를 잘 반영한 가사가 일품인데 덤으로, 철학자들답게 배틀이 끝나고 Who Won?(누가 이겼는가?) 대신 What is Winning? (승리란 무엇인가?) 라는 문구가 나온다.
중간에 노자를 연기한 KRNFX가 비트박스를 하고 공자를 연기한 MC Jin[4] 이 빠른 랩을 쏟아내는 것 또한 일품이다. 여기서 손자는 시즌 1 에피소드 5에 나온 '''김정일'''을 연기한 사람이면서, 유튜브에 흔하지않은 아시아계 유튜버인 Timothy DeLaGhehtto이다. 참고로, KRNFX는 고스트 버스터즈 vs 미스 버스터즈에서 그랜트 이마라하를 맡은 적이 있는 한국계 캐나다인이다.
대체로 호평을 받는 에피소드지만 서양 철학자들은 다양한 국가, 시대 출신인데에 비해[5] 동양 철학자들은 전부 춘추전국시대의 중국인이라는 것이 아쉬운 점으로 꼽힌다. 자세한 건 Epic Rap Battles of History/등장인물 항목으로.
참고로 동양 철학자는 셋다 중국인이지만 진짜 중국계는 공자를 연기한 MC Jin 한명뿐이다. 손자를 연기한 Timothy DeLaGhehtto는 태국계 미국인, 노자를 연기한 KRNFX는 한국계 캐나다인이기 때문.
1. 가사
[1] 본편에서 볼테르 역을 맡은 잭 셜윈 시점이다.[2] 동영상 제목은 동양 철학자 vs 서양 철학자이며 유튜브에 돌아다니는 한국어 자막도 이렇게 번역한다.[3] 그래서인지 ERB2에서 각 시즌의 마지막 배틀이라고 압축해서 올린 영상이 있는데 시즌 4는 짐 헨슨 VS 스탠 리 배틀이 아닌 이 배틀을 대신 넣었다.[4] 중국계 미국인 래퍼로 미국 내 동양인 래퍼들 중 상당한 인지도를 지니고 있으며, DMX를 리더로 내세운 러프 라이더스에도 가입한적이 있다.[5] 일단 소크라테스는 고대 그리스, 볼테르는 근세(18세기) 프랑스, 니체는 근대(19세기) 독일 출신이다.배경도 위키에 따르면 파르테논 신전, 독일 국회의사당, 파리의 거리 같은 해당 인물이 살았던 지역의 랜드마크들이다. 단 독일 국회의사당이 그리스 신전처럼 생겨서 고대 그리스가 배경인 줄 아는 사람들이 있다.[6] 아크로폴리스는 고대 그리스에서 도시마다 제일 높은 곳에 세워진 신전을 뜻하나, 가장 유명한 것은 역시 아테네에 있는 파르테논 신전이다. 소크라테스는 이 곳에서 자신의 철학으로 고대 그리스 사람들에게 대혼란을 일으켰다.[7] 심포지엄은 고대 그리스의 향연(Συμπόσιον symposion)에서 유래한 토론회를 가리키는 말이며 Pimp Slap은 강력한 따귀를 의미하는 용어다.[8] <소크라테스의 변명>에서 소크라테스는 자신이 소에게 달라붙는 파리같은 존재라고 말했고, 결국 쇠가죽파리라는 뜻의 gadfly는 그대로 '잔소리쟁이'라는 뜻이 붙었다.[9] 소크라테스는 상대방에게 계속 질문을 해서 자신의 무지를 깨닫게 하는 방법을 많이 썼는데, 이런 질문을 중심으로 하는 교수법을 소크라테스식 문답법, 혹은 산파법(산파술)이라고 한다. 그런 소크라테스마저 서양 철학자들의 지혜와 재치는 질문할 수 없다는 뜻이다.[10] 질의 칸디다증을 yeast infection이라고 부르는데 east와 yeast가 얼핏 들으면 비슷하게 들리는 것을 이용한 말장난이다.[11] 모든것은 시작과 끝이 있다는 것이 주체인 서양 철학과 다르게, 동양 철학은 모든 것이 돌고 돈다는 믿음이기 때문에, 동서양의 철학이 하나가 될 수 없음은 자명하긴 하다.[12] 여담이지만 mental brethren이라는 부분이 판다렌으로 들리는 몬데그린이 있다.[13] 볼테르의 능글맞은 표정과 여성편력을 고려하면 lovers는 애호자 보다는 성관계를 더 잘한다는 편으로 이해해야 할것이다.[14] 존경은 동양 철학, 나아가 동양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이지만, 동시에 랩에서 자주 쓰이는 리스펙을 뜻할수도 있음을 이용했다.[15] 서양철학에 비해 동양철학은 삶 속에서 철학을 완성시키는 데에 더 집중하는 것을 이야기한다. 서양철학자들은 철학은 위대했어도 정작 그들의 삶은 개판인 경우가 많았다. 이에 비해 노자가 주장한 도교는 평화로운 삶을 강조한다.[16] MC는 힙합에서 흔히 Microphone Controller의 약자로 여겨지는데, Control이 부족하니 MC자격이 없다고 하는 것이다.[17] 손자병법에서, 손자는 상대를 정확하게 알고 정확하게 공격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전략 중 하나로 삼았다.[18] 이 부분에서 각각 공자는 논어, 노자는 도덕경 그리고 손자는 손자병법을 꺼내드는 것이 일품이다.[19] never/not hold a candle은 실력 차이가 압도적이어서 감히 비길 수 없다는 뜻이다.[20] 고두, 또는 삼궤구고두례(三跪九叩頭禮)는 황제나 대신을 만났을 때 머리를 조아려 절하는 고대 중국의 예법이다.[21] 노자가 창설한 도교를 이용했는데, 미국에는 곰돌이 푸 캐릭터들을 이용해 도교를 설명한 '타오 오브 푸' 라는 책이 있다. 푸가 똥을 뜻하는 은어인 Poo와 발음이 비슷함을 이용했다.[22] 니체 철학의 중심이 되는 위버맨쉬는 초인간 정도의 뜻으로, 니체는 개별적 인간들이 '노예도덕'에서 벗어나 종래의 인간을 뛰어넘은 사람이 되기를 종용했다. 여기서는 '위버'가 라이드 쉐어링 서비스 Uber와 철자가 같다는 점때문에 'driven'이라는 단어를 썼다.[23] 유교로 대표되는 동양 철학은 삼강오륜을 비롯해 똑똑한 자나 어르신들에게 순응하는 것을 대표로 삼고 있는 것을 말한다. 볼테르는 평생을 권위, 종교와 비관용에 맞서 싸운 인물이기에, 그의 일이 맞기는 한데, 실제로 볼테르는 공자를 빨았다.[24] 대충 '컨퓨셔스'로 쓸 수 있는 공자의 영어 발음의 마지막 음절이 유명한 꼬챙이 음식인 쉬쉬케밥의 '쉬쉬'와 비슷한 걸 이용했다.[25] 볼테르는 다작으로 유명하다. 생전 20,000통 이상의 편지와 2,000권 이상의 저서를 냈다고 한다.[26] Ying Yang Twins는 2인조 힙합 듀오의 이름이다. Yin과 Yang이라는 쌍둥이 토끼를 주인공으로 한 코미디 TV애니메이션 Yin Yang Yo(국내명 우당탕탕 잉양요)도 존재한다.[27] 음양오행을 중시하고 도교를 창시한 공자와 노자를 음양 쌍둥이라고 디스한 뒤, 무술을 하고 병법을 쓴 손자를 유명한 무술인 성룡에 비유하고 있다. 일종의 인종차별 디스라고 볼 수 있다.[28] 전설적인 힙합 그룹 우-탱 클랜의 '우'와 그 멤버인 '메소드 맨'(Method은 방식이라는 뜻이 있다)을 이용했다.[29] Wu는 손자의 본명인 손무의 '무'를 영어식으로 독음한 명칭이며, 춘추전국시대 때 손자를 등용하여 패권을 차지한 합려의 오나라 역시 Wu로 쓴다.[30] pick apart는 매우 속속들이 본다는 뜻이 있지만 산산조각낸다는 뜻도 있는데, 전자의 의미로 해석할 경우에는 뭐든지 꼬치꼬치 캐물어 논리의 빈틈을 찾는 소크라테스식 문답법, 후자의 의미로 해석할 경우에는 손자를 비롯한 제자백가의 주 활동 시기가 중국 대륙 전체가 수많은 나라로 쪼개진 춘추전국시대였다는 것과 연관지을 수 있다. 게다가 Socratic Method라는 말이 통상적으로 소크라테스의 질문법을 지칭할때 쓰이기에, 방식 이상의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다.[31] 손자가 쓴 손자병법이 군대를 가장 잘 이용하는 법을 서술하고 있는 만큼, 이런 랩을 하는 손자가 랩을 잘 하는 법이라는 책을 쓰지 않은 것이 다행이라고 하는 것이다.[32] 손자를 영어로 쓰면 Sun Tzu인데, 해를 뜻하는 단어 또한 Sun임을 이용했고 또한, 백인들은 일광욕을 즐길 때 화상을 입기 쉬운 피부를 가지고 있음을 이용했다. 또 다르게 해는 '동쪽'에서 뜬다는 걸 이용하기도 했다.[33] get burned는 속어로 심하게 디스당해서 모욕감을 받는다는 의미도 가지고 있다.[34] 아프다라는 뜻의 sick은 은어로 쩐다 라는 뜻 또한 가지고 있다. 중국에서부터 시작된 전염병 사스를 이용했다.[35] 노자를 연기한 KRNFX의 장기가 비트박스이기도 하다.[36] Candid는 솔직해지자는 뜻이지만, 동시에 이와 발음이 같은 <캉디드> 는 볼테르의 소설이다.[37] egg noodle은 계란을 넣은 꼬불꼬불한 중국 면의 일종이다.[38] 공자가 볼테르에서 니체로 옮겨간다. 니체는 '신은 죽었다'라는 명언으로 가장 유명한데, 그는 이 아포리즘을 통해 '신'처럼 받들어진 모든 서양적 가치들의 종말을 선언했다.[39] 니체 역의 피터도 잘 표현했는데, 니체의 수염은 상당히 크고 옆으로 매우 길다.[40] 허무주의와 실존주의로 유명한 니체의 철학은 독일 철학 전체, 좀 더 나아가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에서 시작한 서양 철학 전체를 뒤집는 철학으로 평가받는데, 그는 포스트모더니즘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 철학의 근간을 마련했다.[41] 나치 독일로 대표되는 제3제국의 총통이었던 아돌프 히틀러는 니체의 철학을 오독하여 파시즘과 반유대주의를 정당화했다. 또한, '때려부수는 철학자'라는 별명이 있을 정도였던 니체는 무척 공격적이었기에, 몇몇 사람들은 그를 적그리스도라고 표현하곤 했었다.[42] 제국을 뜻하는 독일어인 Reich이 좋아하다라는 뜻의 Like와 발음이 비슷함을 이용했다.[43] Like와 Reich는 동양 사람들이 영어를 구사할 때 L 발음을 R 발음으로 한다는 영미권의 고정관념을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문장 전체도 흔히 생각하는 영어 못하는 아시안이 쓸법한 구조인데,(me no) 정확히 말하면 영어가 능통하지 않는 중국인들이 자주 사용한다는 편견이 있는 말이다.[44] 소크라테스가 서양 철학, 더 나아가 인류 철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것을 말한다.[45] 플라톤이 쓴 <소크라테스의 변명> 혹은 <변론>은 영미권에서는 Apology라고 부른다. Apology는 사과라는 뜻도 있음을 이용했다.[46] 위에서 말한대로 니체는 소크라테스에서 시작된 서양 철학의 체제 전체를 부정했으니 당연히 그 시초를 싫어할 것인데다가, 공격적이기까지 했으니 소크라테스를 디스하는 것도 당연하지만 실제로는 애증이 겹쳤던 것으로 보인다. 니체는 소크라테스를 까다가도 내가 소크라테스라는 식으로 말하기도 했다.[47] 니체의 '니'가 무릎을 뜻하는 Knee와 발음이 비슷하고, '체'가 '기(氣)'의 중국식 발음인 '치'와 비슷한 걸 이용했다.[48] 니체는 독일인인만큼, 상당히 외우기 힘든 철자를 가지고 있다. Spelling Bee는 외국에서 아이들을 모아놓고 철자법 외우기를 하는 대회인데, 많은 참가자들이 니체의 철자때문에 탈락했을 것임을 이용했다.[49] 플라톤의 책에 의하면, 소크라테스는 재판에 거쳐 사형을 선고받았을 때 중추신경계를 공격하는 독약인 독미나리 즙을 먹고 사망했다. 다만, 심한 구토증세를 일으키면서 전신의 마비와 경련과 함께 사망에 이르는 독미나리가 아닌 독당근을 먹고 차분하게 죽었다는 얘기도 있다.[50] 애인과 성관계를 할 때 방해하지 말라는 뜻으로 방문에 양말과 넥타이를 걸어놓는 습관을 인용한 것으로, 고대 그리스에는 신발이 없었으므로 그 대신 샌달을 걸어놓으라고 하는 것이다. 또한 suck 발음과 soc 발음이 비슷한 것을 아용한 라임이기도 하다.[51] 시즌 1의 나폴레옹도 그랬듯 Sacrebleu는 프랑스어로 젠장이란 뜻이다. 앞에 소크라와 발음이 비슷함을 이용했다.[52] 이때 살금살금 걸어와서 사진을 찍는 손자를 볼 수 있다.[53] 계몽주의는 18세기부터 뚜렷하게 형성된 서구 사상의 흐름을 가리키며, 볼테르 또한 계몽주의의 철학자 중 하나였다.[54] 개구리 뒷다리 요리를 먹는 프랑스인들을 조롱하는 인종차별 디스다. 실제로 프랑스인에게 하면 굉장히 싫어한다고 한다.[55] 볼테르는 사람들을 풀어 매달 열리는 파리 복권을 모두 모아 조작하여, 백만 프랑이 넘는 떼돈을 벌어들였다고 한다.[56] 볼테르는 커피 중독으로 유명하다. 하루에 50잔 넘게 마셨다는 얘기가 있을 정도다.[57] 역디스를 당하고 부들부들 떨고 있는 니체와 반대로 차분하게 말했다가 디스를 당한 볼테르가 반격을 한다.[58] Frank는 서부 유럽 사람, 혹은 프랑스사람이라는 뜻의 시어다. 볼테르의 본명인 '프랑수아'에서 따온 것이기도 하다.[59] 볼테르는 벤자민 프랭클린과 만난 적이 있음을 이용했고 미국에서 100달러를 벤이라고 부르는 것에서 착안해 자신이 부자라고 하는 것이다. 소시지는 성기를 뜻한다.[60] 손자병법에서 적들끼리 분열시키라는 전술이 적혀 있다.[61] 유명한 노자의 격언이다. 그릇은 비었을때서야 비로소 쓸모있다는 뜻인데, 수레의 소용은 짐칸이나 사람이 올라타는 공간이 비었기 때문에 나온다 같은 뜻으로, 손자에게 겸손해지라고 조언하고 있다.[62] 서양권에서 일종의 필수요소가 된 래퍼 Ludacris의 'move, bitch, get out the way'을 인용했고 또한, Ludacris가 미국 동부 vs 서부 랩 대결 등지에서 동부를 대표하는 래퍼였던 것 중 하나임을 인용했다.[63] 가사의 'path'와 'the way'는 노자의 도가사상의 핵심용어인 '도(道)'를 가리키는 말이다. 말 그대로 '길'이라는 뜻의 단어들을 이용했다.[64] 공자의 철학에서는 만물과 모든 사람들이 이치에 맞게 제자리에서 역할을 해야함(정명, 군군신신부부자자)을 강조한다.[65] 영상에서의 손자의 상투는 서양권에서 중국 음식을 배달시켜 먹을 때의 상자와 비슷하게 생겼음을 이용했다.[66] [image][67] 많은 철학 사상에서 강조하며 자신과 타인에게 다른 기준을 적용하지 말라는 보편적인 가르침을 가리킨다. 남에게 대접받고자 하는 대로 남을 대접하라는 예수의 격언과 자신이 원치 않는 것은 남에게 하지 말라는 공자의 격언이 특히 유명하기에 여기서는 공자의 주장으로 나왔다. 제일 잘 알려진 황금률의 예시는 저 둘이지만 실제로는 도덕경과 코란에서도 유사한 말이 등장하고 그리스 철학자 탈레스도 같은 취지의 말을 하는 등 지역을 가리지 않고 퍼진 격률이다.[68] 원래는 Confucius says가 맞지만, 이것 역시 영미권에서 동양인, 특히 중국인들에 대한 고정관념 중에 두 가지가 합쳐졌다. 동양인들이 동사 변형(I say, he says 등)을 습득하는 것을 어려워 하는 점과, 미국에 사는 중국 아줌마들이 맨날 공자 타령하고 다닌다는 고정관념이 합쳐졌고 그래서 Confucius say는 이제 중국계 미국인들 조차 자학개그로 즐겨쓰는 기본적인 고정관념이 되었다.[69] 포춘 쿠키는 미국, 유럽 등지의 중국 음식점에서 후식으로 나누어 주는 전병으로, 여기서는 고환의 은어로 사용되었다. 실제로 남성이 꽉끼는 바지등을 입고 서있을때 생기는 모양을 보고 포춘쿠키라고 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