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GS

 

'''PIGS'''




[image]
1. 개요
2. 영국과 아일랜드는?
3. 기타


1. 개요


[image]
'''P'''ortugal, '''I'''taly, '''G'''reece, '''S'''pain. 유럽연합 회원국 중 2010년대 초부터 경제위기를 겪었던/겪고 있는 남유럽 4개 국가들을 의미하는 명칭. 그 외 서유럽'''I'''reland'''G'''reat Britain이 추가되어 PIIGS, PIIGGS라고도 한다. 하지만 이 축약어의 탄생 자체가 남유럽 국가들의 경제위기에 초점을 맞춘 것이므로 '''영국과 아일랜드는 제외하고 사실상 PIGS라고 부르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다.'''
Pig(s)라는 단어의 원래 정의는 잘 알다시피 돼지(들)인데, 게으르고 식량을 축내는 돼지의 일반적인 이미지가 시에스타[1] 문화와 유럽으로부터 구제금융을 받았다는 공통점을 가진 남유럽 4개국과 기가 막히게 잘 들어맞는다. 심지어 스펠링마저 한 치의 예외 없이 완벽(...).
그리스는 워낙 난장판이니 말할 것도 없고, 그로 인해 키프로스 경제에도 불똥이 튀어 터키의 지원을 받은 북키프로스가 키프로스를 맹추격 하기 시작했고, 포르투갈과 스페인 역시 유로존 위기의 핵심 국가들이다. 이탈리아는 조금 특이한 케이스인데, 경제적 규모나 기반이 약한 건 아니지만 국채가 상당히 많은 게 문제다.
이들 국가의 2010년 국채 만기가 도래하면서 일어난 금융위기 때문에 이들은 모두 디폴트 위기까지 몰렸었다. 하지만 지금 그 현재 위기를 극복해 나가는 모습은 다르다.

2. 영국과 아일랜드는?


일단 영국은 세계적으로도 손꼽히는 경제 강국이므로 남유럽 4개국과는 경제규모가 차원이 다르다. 그러나 한때 이들과 같이 거론되었던 이유는 2008년 전세계적인 대침체의 영향 때문이었다. 2009년 은행권 구제를 위한 2000억 파운드 대규모의 2차 구제금융조치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곤두박질치는 파운드화와 증시, 불어나는 재정적자 등으로 영국 경제는 그 해 -2.9~3.5%의 감소가 전망되었고, 특히 실업률은 10년 내 최고수준인 6.1%를 기록하기도 했다.
하지만 당시 고든 브라운 총리는 "지금 겪는 침체기는 독일, 일본도 똑같이 겪고 있으며, 동아시아 신흥국들 역시 고성장에 제동이 걸렸으므로 영국만의 문제는 아니다"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후 영국은 국제기구에 구제금융을 신청할 것도 없이 자국 내 건설업과 제조업[2] 등을 통해 빠르게 침체기를 극복하였다. 이후 PIGS 국가를 두고 "우리가 쟤들을 왜 먹여 살려야 하느냐", "언제까지 독일이 PIGS 봐주기만 하는 걸 지켜보고 있을 순 없다"는 영국 내부의 불만은 곧 브렉시트의 단초가 되었고[3], 결국 브렉시트가 현실이 되면서 영국은 이 그룹에 낄 명분조차도 없어졌다.

3. 기타



  • PIGS대한민국의 경제력을 비교하자면 국가별 명목 GDP 순위, 국가별 1인당 GDP 순위(명목), 국가별 1인당 GNI 순위(구매력 기준) 등을 기준으로 한국의 경제력은 그리스, 포르투갈, 스페인보다 앞서며 이탈리아와 비슷한 위치에 도달하였다. 이탈리아가 일찍이 OEEC, G7의 회원국으로 소위 '강대국 마지노선'이란 평가를 받을 때, 같은 시기의 한국은 최빈국의 입장에서 경제개발을 진행하던 중이었으니 참으로 격세지감.
  • PIGS 국가들의 축구 대표팀은 하나같이 월드컵에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에게 패배한 경험이 있다(...).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에서 한국 대표팀은 포르투갈 대표팀, 이탈리아 대표팀, 스페인 대표팀을 조별예선-16강-8강에서 차례로 만나 무너뜨리고 4강까지 갔다.[4] 그 외 그리스 대표팀 상대로는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조별예선에서 2-0으로 승리한 바 있다.[5]
  • 코로나 19 사태에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국가가 둘이나 있다. 2020년 4월 5일 21시 기준 누적 사망자수 1, 2위에 자리한 IS가 해당되며, P는 S 바로 옆에 있는 것을 감안하면 선전하는 편이고, G는 확진자 2000명 이하에서 막아내고 있는 중. 물론 막아내는 것과 경제 침체는 별개로 넷 다 심각한 경제 피해는 불가피하다.


[1] 시에스타의 기원 자체는 기후적 요인 때문이지 애초부터 일 하기 싫어서 생긴 문화는 결코 아니지만, 굳이 현대에 들어서까지 남유럽 국가들이 이걸 지킬 필요가 있느냐는 의문은 여전히 존재한다. 한 경제단체는 스페인의 긴 점심시간은 하루를 도막내 효율성을 떨어뜨리며, 이는 전체 국내총생산의 8%에 해당하는 손실을 가져온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스페인 정부는 시에스타를 2005년부터 공식적으로 폐지했지만, 민간 전체로 적용되기까진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2] 영국에는 제조업이 망했다고 하지만, 제약, 군수산업, 화학공업, 항공우주공학과 같은 고부가가치 제조업이 발달해있다.[3] 영국서유럽 국가들이기도 하고, 서유럽 문화들과 가까운 면도 많지만,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와 같은 CANZUK 구성국들이나 미국과 가깝기도 하다.[4] 스페인은 승부차기에서 승패가 결정났으므로 공식 전적은 무승부다.[5] 굳이 이 때 전적을 제외하더라도 그리스는 유독 한국 상대로 열세(역대 전적 3승 1무로 한국 우세)인지라 축구팬들에겐 한국의 몸보신용 맛집(...)으로 잘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