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블러/플레이한 게임
1. 개요
감블러의 플레이한 게임을 정리한 문서.
2. 러스트
원시 상태로 돌아가 돌과 나무를 캐며 집을 짓고 전쟁을 하는 생존형 게임으로, 본인이 굉장히 재밌게 플레이 했다고 말하는 게임. 러스트 합방을 할 동안에는 거의 눈을 뜰 때부터 자기 전까지 러스트를 한다.
2.1. 러스트 대규모 합방
2018년 11월 지누가 주최한 러스트 대규모 합방 시즌 1에 참여했으며 지누가 방송에서 러스트 얘기만 하면 나타나서 언제하냐고 말할 정도로 2019년 러스트 대규모 합방 시즌 2가 주최되기만을 손꼽아 기다렸다.
결국 2019년 7월과 8월, 3주에 걸쳐서 진행된 러스트 스트리머 서버에서 물 만난 고기처럼 활약했다. 1회차에는 지누, 실프, 김뚜띠, 김뿡, 탬탬버린, 고차비, 나나양과 함께 지누팀으로 활동했는데 서버에서 크게 4개의 강팀으로 나뉘었던 팀 중 하나였으나 4일차에 공성 레이드을 하러나갔다가 비축해두었던 로켓 80발 중 단 8발밖에 쏘지못한 채 빅헤드 팀에게 자원을 전부 소모하고 무참히 패배하여 귀농엔딩을 맞이했다. 모두 머리에 호박을 뒤집어 쓰고 횃불을 맞대며 지누가 '우리는 병신이다!'를 외치는 장면은 러스트 1회차 레전드 장면으로 남았다. 그 후 마지막까지 살아남은 강팀인 강지 팀에 용병으로 들어가 푸린 팀과의 1회차 마지막 수성 레이드에 참여했다.
2회차에는 1회차에서 마지막까지 살아남았던 강지 팀의 리더, 강지를 팀에 영입했고 후반에 맥마를 영입해 활동했다. 초반에는 자원이 많지 않아 1회차에 비해서 약하다는 평이 있었으나, 각자 몇 인분은 할 수 있는 멤버들로 금방 다시 강팀의 반열에 올랐다. 열심히 모은 자원으로 두 차례 레이드를 했으나 공성에는 실패하고 수성에는 성공하였다. 이후 대부분의 팀원들이 러스트를 접었고, 그러던 와중 로켓 500발을 들고 온 새초롬 팀에게 집을 내어주며 결국 2회차 러스트는 막을 내렸다.
2019년 진행된 러스트 스트리머 서버는 결론적으로 스트리머 감블러에게 큰 득이 되었다. 같은 팀의 실프, 김뚜띠와 함께 놀라운 에임과 실력[1] 으로 레이드와 밴딧을 함과 동시에 #, 평소에도 눈에 띄었던 입담으로 재미있는 장면 또한 많이 연출하였다. 또 강지와 서로를 낑깡님, 감자님이라고 부르며 강감듀오의 좋은 케미를 보여주었다.
3. 레인보우 식스 시즈
'''본계정''' : BBambler 전적
전 FPS 프로 답게 시작부터 준수한 실력을 보여줬다. 티어는 주로 골드에 위치하고 있다. 수비팀 카베이라 원픽 유저로, 카베이라가 밴 당하면 비질, 뮤트를 선택해 권총을 들고 카베이라 느낌을 낸다. 그래도 카베이라 승률은 70%대로 상당히 높은 편. 같은 이유로 공격팀에서는 뇌크, 노매드를 선호한다. 가끔 에임이 상당히 필요한 오퍼인 칼리도 공격에서 한다.
2019년 말 ~ 2020년 초, 같이 게임을 하는 친구들 사이에서 레식 열풍이 불어 방송을 켜고 레식을 정말 많이 했는데, 카베이라가 리스크가 너무 큰 챔피언임을 깨닫고는 팀에게 도움이 될 만한 오퍼들을 많이 한다.
3.1. 레식 스트리머 내전
6월 12일 지누가 레식을 같이 할 멤버를 구하다가 갑자기 스트리머들을 모아서 내전을 하게되었다.
멤버로 실프, 김뚜띠, 뿡이, 삐부, 탬탬버린, 지누, 고차비, 꽃핀, 왈도쿤을 소환했고 유일하게 레식 내 부적이 있는 지누와 실프가 팀장을 맡았다. 그리고 팀원은 지누와 실프의 2 vs 2 칼전을 통해 이긴사람이 뽑기로 했고 지누의 승으로 인해 감블러, 고차비, 꽃핀, 왈도쿤을 데려갔다.
실프 팀의 승리로 끝이 났다.
2020년 3월 1일 레인보우 식스 시즈 내전이 진행되었다
4. 마인크래프트
중학생 시절 램램TV에 몸담았던 적이 있었던 만큼 나름 마인크래프트와 인연이 깊은 스트리머이다. 따라서 마인크래프트로 대규모 합방이 예정되어 있으면 상당한 기대를 하며, 서버가 열리면 그 누구보다 열심히 한다. 실제로 마인크래프트를 하는 것을 보면 놀라울 만큼 빠르게 성장한다.
2018년 8월 19일 지누와 쫀득이 주최한 '''마피아 게임 3회차'''에 참여했다. 꽃핀과 함께 마피아팀으로 우승하였다. #
2019년 8월 9일 양띵이 주최한 '''스카이블럭 서버'''에 지누, 쫀득과 함께 팀으로 참여했다. #
2020년 4월 8일 양띵과 악어의 '''뉴띵마을'''에 김똘복의 초대로 참가했다.
즐겁게 플레이했던 강지님의 '포포서버' 시즌 3를 본인이 개최하게 되었다.
4.1. 모티서버 시즌 1
방송에서 마인크래프트를 한동안 하지 않다가 2019년 6월 8일 김뚜띠가 운영하는 모티서버에 참여해 플레이 하였다. 러스트 순한맛이라고 칭하며 꽤나 재미있게 플레이 하는 중. 남들은 잘 하지 않는 탐험 위주 플레이로 난파선 찾아다니기, 지도를 가지고 보물 찾아다니기, 판다찾기 등등을 하였다.
4.2. 포켓몬 서버 섬머시즌
2019년 7월 4일 강지가 운영하는 포켓몬스터모드 서버에 참가하였다. 쫀득이 강자로 점쳐졌던 서버였는데, 감블러가 쫀득과의 1:1에서 강한 포켓몬들과 전략적인 모습으로 연달아 승리하자 쫀득의 멘탈이 터지는 모습도 보였다. 이에 서버 마지막에 열리는 스트리머 간 대회에 출전할 것이냐는 물음이 많았지만, 감블러는 자신은 킹메이커가 되고 싶다며 자신이 모은 강한 포켓몬들을 필요로 하는 스트리머들에게 모두 나눠주고 서버를 마무리했다.
4.3. 모티서버 시즌 2
9월 30일 김뚜띠가 오픈한 모티서버 시즌 2에 참여했다.
이번엔 시작부터 광산을 뚫으며 레벨링을 하고 낚시로 아이템 파밍과 다이아 파밍을 하며 모험준비를 했다. 그 후 혼자 열심히 돌아다니며 파밍을 하고 놀라운 성장을 했다. 결국 시작 4일차에 2트로 엔더드래곤을 클리어했다.
4.4. 포켓몬 서버 윈터시즌
20년 1월 5일부터 시작된 포포서버에도 참여 했다. 34시간 가량 포포서버를 하다가 서버장이 강제로 셧다운제를 하는 바람에 방송을 마무리했다. 오랜 플레이 타임덕인지 너무 강력하다고 대회에서도 배제되었지만 정작 대회 우승자인 이춘향에게 패배하였다.
5. 리그 오브 레전드
본캐로는 병원연못절번화가 을 사용중이다. 탑레이팅은 다이아 2, 포지션은 원딜이다.
부캐로는 뇌절하면핑찍어줘 를 사용중이다. 주로 친구들과의 자랭을 할 때, 타 라인으로 솔랭을 돌릴 때 사용한다. 라이엇 파트너 계정.
주 라인은 원딜. 주로 플레티넘 상위 ~ 다이아 하위를 왔다갔다한다. 라인을 딱히 가리진 않지만 자낳대에 원딜러로 나가게 되면서 포지션이 확립되었다. 과감한 플레이를 자주 보여주며 잘 풀릴때는 칼같은 수은과 정화 반응속도, 깔끔한 카이팅이 두드러지지만, 망하면 20분에 10데스를 하는 경우도 나온다. 롤을 오랜시간 플레이해서인지 다룰수 있는 챔피언의 폭이 넓은 편이다. 자낳대 이후 롤 랭겜만 하루에 열댓시간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2] 게임이 잘 안풀려 20연패를 한 이후에도 13연승으로 MMR을 복구해놓기도 하였고, 원픽이었던 애쉬 승률도 80%를 거뜬히 찍는 등 엄청난 전적들을 쌓았다. 2020년 중반기부터는 생방송 중 솔랭 비중이 많이 낮아진 편이다. 친구들과 함께 하는 팀게임을 좋아해서인지 본인이 멤버를 모아 5인큐를 자주 돌리곤 한다. 흔히 감블러식 오더[3] 로 친구들과 투닥투닥 하는 장면이 많이 나온다.
종종 롤토체스도 즐긴다. 롤토체스 역시 탑레이팅은 다이아4. 다이아를 찍은 후 박제해놓고 건들지 않고있다. 시즌4가 나오면 한두판 정도 할 예정이라고.
닉네임 변경이 많은 편이다. 본캐[4] 와 부캐[5] 닉네임 변천 과정.
최근 라이엇 파트너에 신청하였고 부캐인 뇌절하면핑찍어줘 가 라이엇 파트너 계정이 되었다.
5.1. 격전모드
2019년 9월 7일 격전모드 참가를 위해 격전팀을 만들었다. 자랭과 솔랭 기준 높은 티어로 팀의 티어가 결정되었는데, 코렛트와 탬탬버린은 2티어, 나머지 셋은 1티어로 팀이 1티어에 배정되었다.
이 날의 성적은 1승 1패.
연이어 다음날인 2019년 9월 8일, 또 격전 모드 참가를 위해 팀을 만들었다. 사정이 있어 빠진 탬탬버린과 실프를 대신하여 치킨쿤과 강지가 투입되었다. 치킨쿤은 1티어, 강지는 3티어로 이번엔 팀이 2티어로 배정되었다.
이번 격전 모드에서는 치킨쿤의 신들린 듯한 오더와 놀라운 팀합으로 결국 우승을 차지했다! 이 때의 게임은 감블러의 유튜브에도 올라와있다. #
5.2. 자낳대
2020년 6월 8일, 인벤을 통해 2020 AMD 자낳대 시즌 1에 원거리 딜러로 참여하는 것이 공지되었다.
원거리 딜러 경매가 맨 마지막에 이뤄졌는데, 감블러 올 인을 생각하여 모두가 포인트를 아끼던 순당무 팀에 545P[6] 로 낙찰되었다.
대회가 끝난 시점에서의 평가는 좋지 않다. 강력한 우승후보였던 순당무팀의 에이스로서 대회 최고 티어 다이아 원딜이었기 때문에 원딜 위주의 전략을 구상했음에도 불구하고 4강전과 3/4위전에서 기대에 비해서 활약하지 못했다. 게다가 스크림 중 계속 지적받았던 오더문제는 해결되지 않았고[7] 결국 NDS전에서 치명적인 오더 문제를 보여줬다.[8]
가장 논란이 되는 경기는 4강전 1세트. 10.13패치 시점 최고의 원딜인 이즈리얼로 무난한 성장을 하고 유미의 케어를 받으면서 바다용의 영혼을 가진 상태에서도 실버 등급 원딜인 따효니를 상대로 우위를 점하지 못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경기 참고.
그 외에도 경기가 끝난 뒤 인터뷰에서 시야 때문에 졌다는 말이 서포터를 탓하는 발언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었던 것과[9] , 자신의 자낳대 4강전 유튜브 영상에 자신을 비판하는 댓글을 고정시키고 답글로 ㅇㅈ을 달면서 투기장을 만드는 것처럼 오해할 수 있는 행동을 하는 것이 문제가 되었다.[10]
결국 위와 같이 본인의 오해를 사는 발언과 행동, 그리고 이후의 잘못된 대처로 인하여, 많은 갤러리 커뮤니티 유저들에게 비난과 비판을 받았고, 7월 1일 유튜브 커뮤니티에 위의 문제들에 해명하는 해명문을 올리고 자낳대 관련 영상을 비공개 처리하였다.
[ 해명문 ]
[ 추가안내 ]
6. 오버워치
본캐인 Gambler의 역대 경쟁전 시즌별 점수는 아래와 같다. 굵게 표시된 점수는 랭커. 랭커를 단 딜러부캐들도 있다.
본인이 프로게이머 생활을 했던 만큼 애정을 가지고 있는 게임. 최근들어 망겜이라고는 하지만 오버워치 이야기만 나오면 텐션이 올라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6.1. 감블러배 오버워치 스트리머 내전
2019년 8월 16일, 대규모 스트리머 러스트 합방을 접은 후, 오버워치를 다른 스트리머들과 함께 플레이하고 싶다고 하였다. 그러나 예전에 있었던 양학 사건으로 인해 비슷한 티어의 스트리머를 찾아야만 했었는데, 그랜드마스터였던 점수를 맞출 멤버를 찾기에는 힘들었고, 이에 6:6 스트리머 내전을 주최하게 되었다.
멤버로는 강지, 삐부, 꽃핀, 김뚜띠, 실프, 탬탬버린, 나나양, 치킨쿤, 양아지, 금사향, 김뿡을 섭외했고 중계로 김진우가 단독중계를 맡기로 했다.
중계영상
8월 21일에 밸런스조정 경기를 통해 팀을 구성했다.
8월 27일에 감블러 팀의 스크림#s-4이 있었는데 상대로 딜러에 맥마, 실프 탱커에 미로씌, 뿡이, 치킨쿤 힐러에 마뫄, 삐부가 참여했다.
8월 29일에 2번째 팀게임 연습을 했는데 도움을 주기위해 미로씌, 맥마가 참여했고 연습이 끝난 후 최약체 탬탬버린을 위한 특훈을 진행했다.
【경기 실황】
8월 31일에 내전을 진행했는데 위도우메이커와 둠피스트를 글로벌 밴을 하기로 결정했다. 5판 3선승제로 내전을 진행했는데 시작한지 1시간만에 끝나버려 경기종료 후 노 밴 이벤트전을 진행했다.[1] 1초에 11회의 단발 연사로 M92를 사용하여 감베이라라는 별명도 얻었다.[2] 자낳대 준비기간까지 합하면 근 한 달 동안은 거의 롤 강점기였다고 할 수 있을 정도.[3] 시작하면 무조건 인베부터 가는 식[4] 감붕어 → 행복한 붕어 → 연하감(우결시즌 꽃핀님과 커플닉) → 종합비타민세알씩 → OH7I허진우(자낳대 팀명) → 모두모두좋은하루 → 삐부보다못한놈(삐부님과의 야추 내기 벌칙) → 핑찍으면감정표현 → 병원연못절번화가[5] 닭은꼬꼬개는멍멍 → 뇌절하면핑찍어줘[6] 최대 895P까지 있었으나 다른 팀의 최대 잔여 포인트가 540P였다.[7] 팀이 이기고 있을 때는 오더가 하나로 통일되는 편이였지만, 지는 상황에서는 유독 순당무의 오더에 비해 무리한 오더를 하며 오더를 제대로 듣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8] 감독인 와디드도 오더문제를 계속 지적해왔고 다른 코치도 메인오더인 순당무의 오더를 따르지 않음을 계속 지적해왔다.[9] 해당 발언: 협곡에 모든 개구리들이 트위치를 보더라고요. 안 볼 줄 알았는데, 그래서 시야가 밀려서 진 것 같습니다[10] 이것을 보고 아예 다음 자낳대부터는 섭외하면 안된다는 주장까지 나왔으며, 해당 영상은 비공개 처리가 되기 전까지 1600개 가량의 댓글이 달렸다.[11] (전)manohana[12] 과거 딜러 연습용 계정이었던 부계정이다. 지금은 사실상 FLX로 남는 영웅을 주로 사용한다.[13] (전)허진우마루[14] 사실상 FLX로 남는 영웅을 주로 사용한다.[15] 과거 LW Blue에 있던 시절에 중간에 파르시에서 루시우 아나 2힐로 바꿀 경우, 메르시에서 루시우로 바꾸는게 아닌 아나로 바꾸는 경우가 자주 있다.[16] 과거 루시우보다 자주 픽하였다. 과거 LW Red 시절에도 팀에서 젠야타를 하기도 했었다. 최근 과거 LW 시절 동료이자 힐러 듀오로서 서브힐러를 담당하던 루나의 말에 따르면 원래 자신이 메인힐러, 감블러가 서브힐러 포지션이었지만 감블러의 에임이 아픈 관계로 포지션을 변경하여 자신이 아나와 젠야타를 하는 서브힐러가 되었다고 한다.[17] 80위
노 밴 이벤트전은 각 팀의 팀장(직박구리 감블러, 딱따구리 치킨쿤)을 교체하여 3판 2선승제로 진행하였는데 결과는 0:2로 딱따구리 팀의 승리
7. 배틀그라운드
과거에는 곧잘 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2019년 하반기에 들어서 본인의 실력이 마음에 들지 않아 배그는 내키지 않아 한다. 듀오나 스쿼드를 할 기회가 있으면 하는 편.
7.1. 김진우배 스트리머 60인 내전
9월 17일, 지누가 기획한 '''배틀그라운드 스트리머 60인 내전, 일명 좁밥대전'''에 참여했다.
1티어로 선정되어 감블러 팀의 팀장을 맡았고 헤징, 다유, 코렛트가 팀원으로 선정되었다.
2라운드에는 조디악 팀의 룬레이를 볼모로 삼았다가 같은 팀인 코렛트가 사살하기도 하고 3라운드에는 감블러가 확인사살로 인해 팀원에게 처형당하기도 했으며 마지막라운드에는 감블러가 혼자서 지누 팀과 푸린 팀을 괴멸시키고 5킬을 해 RAMPAGE 달성, 감블러 팀이 10킬을 해 KILLING SPREE 달성했다. 모든 라운드에서 총 20킬을 기록했다.
8. 링 피트 어드벤처
2019년 11월 21일 꽃핀의 주최로 삐부, 꽃핀, 솔빈, 김뿡과 함께 링피트 대결을 했다. 1시간동안 스토리 모드를 플레이해서 가장 멀리간 사람이 1등으로 건강(?)을 얻고 꼴등은 꽃핀이 사주는 공포게임 플레이를 걸고 대결을 펼쳤다. 삐부, 솔빈, 김뿡, 감블러는 캠을 켜고 플레이했는데 급속도로 지쳐서 정신이 나간듯한 곡소리와 함께 말수가 줄었고 특히 감블러는 거의 말 없이 플레이했다. 결과는 솔빈이 2-2 스테이지까지 클리어하고 1등, 감블러가 1스테이지 보스까지 클리어하고 꼴등을 해 벌칙으로 공포게임을 플레이하게되었다.
여담으로 감블러는 도중에 계정전환을 하다가 1스테이지 보스를 리트라이해 두번 클리어했고 삐부도 1스테이지 보스에서 죽어 리트라이를 하기도 했다.
9. 메이플스토리
2020년에 할 게임이 정말 없어지면 종종 키는 게임이다. 주변 스트리머에 비해 투자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그래도 부주까지 구하여 본격적으로 메이플을 하는 편이다.
10. 데바데
19.09.09에 시작. 원래 공포스러운 분위기의 게임을 좋아하지 않아 해본 적이 없었는데, 탬탬버린이 오버워치 내전 이후 원하는 게임을 한 번 같이 해주기로 한 소원을 사용하여 어쩔 수 없이 같이 하게 되었다. 멤버는 탬탬버린, 김뚜띠, 강지, 그리고 감블러.
11. 영원회귀: 블랙서바이벌
2020년 11월부터 시작한 배틀로얄 게임. 딱히 가리는 픽은 없지만, 대회에서 주력으로 꺼냈던 카드는 쇼이치, 나딘. 롤에서 배운 피지컬을 바탕으로 게임에 대한 빠른 습득력을 보여준다.
지스타에서 주최한 대회에서 이초홍, 이솔레과 팀이 되어 한 라운드를 우승했고, 제 3회 따효니배 대회에서도 우정잉, 루다님과 함께 팀이 되어 우승을 하진 못했지만 6라운드 동안 19킬을 쓸어담고[18] 킬당 20만원, 총 380만원을 [19] 받아가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제 4회 따효니배 ER Invitational 에서 플러리, 스파이럴 캣츠 도레미와 같은 팀을 이루어 도블리라는 팀명으로 B조에 배정받았다. 조 지명식 당일의 경기에서는 1라운드는 1등을 했고, 2라운드는 2등을 하며 기분좋은 출발을 하였다. 조별 경기에서는 B조 3위로 상위 리그로 진출하였다. 그리고 다음날 상위 리그 4라운드에 쇼이치로 막금구싸움까지 끌고가 약 5초 차이로 이기면서 9킬을 쓸어담아 1위를 차지했다. [20] 이로써 지난 대회의 무관의 타이틀을 벗게되었다! 결국 16킬로 상위 티어 최종 킬 1등에 선정되었고 대회 2연속 킬 1등을 달성하게 되었다. 또한 4라운드의 임팩트[21] 덕분에 37%의 투표를 받고 MVP에 선정되며 총 상금 455만원을 가져갔다. MVP 인터뷰 당시에 해설분들이 소감을 이야기하라고 하자 소감을 제쳐두고 같은 팀원이였던 플러리와 스파이럴 캣츠 도레미, 해설분들, 심지어 옵저버분들을 언급하며 고생하셨다고 답하였다.[22]
제 5회 따효니배 ER Invitational 에 팀장으로 참가하였다.
12. 그 외
- 끄투 19.05.05 19.05.05
- 디비전 2 19.05.11 19.05.12
- 맞고 19.01.??
- 뿌요뿌요 테트리스 18.04.01 18.07.20
- 서든어택 19.04.25
- 섯다 19.02.11
- 스타크래프트 19.09.04
- 얼음과 불의 노래 19.08.27
- 에이펙스 레전드 19.02.??
- 오토 체스 19.03.27 19.08.17
- 워크래프트 3 19.03.04 19.03.07 20년 5월 주로 원피스 랜덤 디펜스를 플레이
- 캐치마인드 19.08.24
- 크레이지 아케이드 19.01.??
- 트리 오브 세이비어
- 트리키 타워즈
- 포탈 2 19.02.10
- 하스스톤
- 7포커 19.02.11
- 13일의 금요일 19.09.14
- 7 Days to Die 19.09
- Bouncing over it with friends
- Curious Cases 19.04.12
- Don't Starve Together 19.04.28
- Human Fall Flat 17.12.31
- Left 4 Dead 2 19.04.10
- Prerecipe 1부 2부
- Project Winter 19.08.30
- Super Bunny Man
- The Forest 19.04.14 19.04.21
- We Need to Go Deeper 19.05.11
- We Were Here 19.04.20
- Witch It 19.02.11 19.08.23
- Chasing Light 20.05.08
- VALORANT 20년 04월
- Teamfight Tactics 20년 상반기 자주 플레이
- Minecraft: Dungeons 20.05.26
- Sea of Thieves 20.06.05
- Gunfire Reborn 20.07.11
- Hyper Scape 20.07.15
- DJMAX RESPECT V 20.07.19
- ASTRONEER 20.07.29
[18] 1, 2라운드는 킬을 기록하지 못했다. 즉 4라운드 동안 킬을 쓸어담았다![19] 감블러보다 많은 상금을 받아간 사람은 최다우승팀인 김뿡, 다주, 피닉스박뿐으로 우승만 없었을 뿐 전반적으로 뛰어난경기력을 보여줬음을 알 수 있다. [20] https://www.twitch.tv/nimbleneuron/clip/HeadstrongKitschyTermitePraiseIt[21] 상위 리그 당일(2월 7일)이 감블러의 생일이라 여기에 표를 준 사람도 있을 수 있다[22] 인터뷰 내용 : 아 일단 소감 말하기 앞서서 2주동안 고생해주신 팀원분들, 플러리님이랑 도레미 누님.. 플러리 형님, 정말 고생 많으셨고요! 그리고 오늘 정말 정말 해설진분들 정말 고생 많이 하셨고! 모든 멋진 장면 담아주신 옵저버님도 고생 많이 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