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충왕자 무시킹
甲虫王者ムシキング ~森の民の伝説~
Mushiking: King of the Beetles
갑충왕자 무시킹: 숲의 백성의 전설
[image]
세가에서 개발한 트레이닝 카드 게임 방식의 아케이드 게임과 이를 원작으로 한 애니메이션으로, 장수풍뎅이와 사슴벌레를 주인공으로 만든 게임이다.
일본의 애완곤충 시장의 기폭제 역할을 한 기념비적인 게임.[1] 2003년 1월부터 설치되기 시작한 본 아케이드 게임[2] 은 장수풍뎅이와 사슴벌레로 결투를 벌이는 주제의 게임이다. 가위바위보 시스템으로 공격을 가할 수 있게 되어있으며, 바위는 타격, 가위는 잡기, 보자기는 던지기식으로 되어있다.[3] 각 갑충의 종류마다 필살기를 발동할 수 있는 특정한 기술이 존재하고 가위바위보에 각각 상응하는 스킬을 발동할 수도 있다. 동전을 넣으면 일단 카드가 한 장 나오게 되어있는데 이 게임이 2005년 7월까지의 카드 출하 매수만도 약 '''2억 3000만장'''에 달했다고 한다. 하야테처럼에서는 작가가 이 게임의 언급 허가를 세가에게 받았기 때문에 다른 게임의 패러디와는 달리 대놓고 이름을 그대로 쓰고 이 게임에 등장하는 캐릭터의 이름까지 언급하기도 한다.[4] 주로 일반적인 청소년 오락실보다는 마트 같은 데 입고가 되는 식으로 설치되었다.[5] 국내는 광고는 했지만 카드와 기기가 설치된 곳을 엄청 찾기 어려운 수준이였고 그마저도 마트가 아닌 문구점에 있었다.(까르푸에도있었다)
이러한 세가 쪽의 적극적인 사업 확장으로 인해 게임, 만화, 영화, 프로레슬링계와도 연계가 기획되는 등 큰 인기를 모았다.
같은 세가의 게임인 용과 같이: 극에선 게임 내의 미니게임 '''"곤충여왕 메스킹"'''으로 등장하는데[6] 용과 같이: 극이 청불 등급이라서 그런지 곤충 장식을 달고 있는 헐벗은 여캐들이 몸으로 치고받고 싸우는 여러모로 비범한 미니 게임으로 등장한다. 작중 설정으로는 '''어린아이들에게 매우 인기있는 게임'''이라고...[7]
가정용으로 제작된 작품 중 甲虫王者ムシキング スーパーコレクション(NDS)은 GBA 슬롯에 장착하는 카드리더기가 부속되어있고 기존의 아케이드판의 카드를 읽어들일수있는 특징이 있다.
이 작품의 후속작이 곤충 대신 공룡이라는 소재를 쓴 작품인 고대왕자 공룡킹. 물론 한국에서 개발된 공룡왕과는 관련 없다.
2016년 신 갑충왕자 무시킹이라는 명칭으로 신작이 나왔다.
위 항목의 게임을 원작으로 한 애니메이션. 총 52화로 완결되었다. 감독은 야마우치 시게야스
국내에서는 '숲 속의 전설 무시킹'이라는 제목으로 2006년 투니버스에서 방영되었는데 번역은 권이강, 연출은 당시 투니 외주 PD였던 조정란 PD가 맡았다.
주제곡도 KIRORO가 부른 일본 오프닝 곡인 生きてこそ를 그대로 번역하여 이소정이 불렀다.[8] 번역 제목은 이 길에 서서.
우울한 걸 좋아하는 감독이 만들어 소년 만화임에도 그리 밝지 않는 전개가 특징이다. 작중에서 죽는 캐릭터 및 곤충들도 있고, 열린 결말과 같은 스토리들도 있기 때문. 도무지 애들이 볼 작품이 아니어서 나중에 시청자들이 나이를 먹고 그 충격적인 내용을 재조명하기도 했다.
그래도 고요하고 고귀한 느낌의 배경이 이 작품의 분위기를 잘 살려준다. 특히 이 작품의 주가 되는 갑충들은 전부 3D모델을 사용하는데, 모델링이 세세하고 아주 깔끔함과 동시에 주변 작화와 위화감이 별로 없다. 거기다가 갑충들의 액션도 굉장히 멋진 편. 우울하고 충격적이라는 것이지 작품의 평은 꽤 괜찮은 편이다.
더빙판은 성우진도 자사, 타사 성우들이 골고루 배치되는 등 준수했고 주제곡 번안도 괜찮은 수준이었다.[9] 하지만 저조한 시청률로 인해 소리소문 없이 묻히고 말았다.[10] 다만 이러한 악조건 속에서도 꾸준한 재방송과 원작 게임의 높은 인기와 꽤나 치밀한 스토리 전개 및 떡밥 뿌리기 회수 등으로 주 타겟이었던 어린아이들에게 큰 인기를 끌 수 있었다.[11]
일본판에서는 엔딩 후 '네브 박사와 블랙 박사의 무시킹 교실'이라는 코너가 있어 카드 기술과 곤충을 소개했지만 국내판에서는 그런 거 없다. 게다가 애니메이션 도입부도 잘려서 나왔다.
평화롭던 숲 속에 살던 숲의 백성[12] 인 포포는 동쪽 숲에 재앙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떠난 아버지 펠레를 따라 숲이 사라지는 걸 막기 위해 모험을 떠난다. 하지만 붉은 눈을 한 장수풍뎅이와 사슴벌레들이 포포를 없애려고 하는데...
Mushiking: King of the Beetles
갑충왕자 무시킹: 숲의 백성의 전설
1. 개요
[image]
세가에서 개발한 트레이닝 카드 게임 방식의 아케이드 게임과 이를 원작으로 한 애니메이션으로, 장수풍뎅이와 사슴벌레를 주인공으로 만든 게임이다.
2. 게임
일본의 애완곤충 시장의 기폭제 역할을 한 기념비적인 게임.[1] 2003년 1월부터 설치되기 시작한 본 아케이드 게임[2] 은 장수풍뎅이와 사슴벌레로 결투를 벌이는 주제의 게임이다. 가위바위보 시스템으로 공격을 가할 수 있게 되어있으며, 바위는 타격, 가위는 잡기, 보자기는 던지기식으로 되어있다.[3] 각 갑충의 종류마다 필살기를 발동할 수 있는 특정한 기술이 존재하고 가위바위보에 각각 상응하는 스킬을 발동할 수도 있다. 동전을 넣으면 일단 카드가 한 장 나오게 되어있는데 이 게임이 2005년 7월까지의 카드 출하 매수만도 약 '''2억 3000만장'''에 달했다고 한다. 하야테처럼에서는 작가가 이 게임의 언급 허가를 세가에게 받았기 때문에 다른 게임의 패러디와는 달리 대놓고 이름을 그대로 쓰고 이 게임에 등장하는 캐릭터의 이름까지 언급하기도 한다.[4] 주로 일반적인 청소년 오락실보다는 마트 같은 데 입고가 되는 식으로 설치되었다.[5] 국내는 광고는 했지만 카드와 기기가 설치된 곳을 엄청 찾기 어려운 수준이였고 그마저도 마트가 아닌 문구점에 있었다.(까르푸에도있었다)
이러한 세가 쪽의 적극적인 사업 확장으로 인해 게임, 만화, 영화, 프로레슬링계와도 연계가 기획되는 등 큰 인기를 모았다.
같은 세가의 게임인 용과 같이: 극에선 게임 내의 미니게임 '''"곤충여왕 메스킹"'''으로 등장하는데[6] 용과 같이: 극이 청불 등급이라서 그런지 곤충 장식을 달고 있는 헐벗은 여캐들이 몸으로 치고받고 싸우는 여러모로 비범한 미니 게임으로 등장한다. 작중 설정으로는 '''어린아이들에게 매우 인기있는 게임'''이라고...[7]
가정용으로 제작된 작품 중 甲虫王者ムシキング スーパーコレクション(NDS)은 GBA 슬롯에 장착하는 카드리더기가 부속되어있고 기존의 아케이드판의 카드를 읽어들일수있는 특징이 있다.
이 작품의 후속작이 곤충 대신 공룡이라는 소재를 쓴 작품인 고대왕자 공룡킹. 물론 한국에서 개발된 공룡왕과는 관련 없다.
2016년 신 갑충왕자 무시킹이라는 명칭으로 신작이 나왔다.
3. 미디어 믹스
3.1. 애니메이션
위 항목의 게임을 원작으로 한 애니메이션. 총 52화로 완결되었다. 감독은 야마우치 시게야스
국내에서는 '숲 속의 전설 무시킹'이라는 제목으로 2006년 투니버스에서 방영되었는데 번역은 권이강, 연출은 당시 투니 외주 PD였던 조정란 PD가 맡았다.
주제곡도 KIRORO가 부른 일본 오프닝 곡인 生きてこそ를 그대로 번역하여 이소정이 불렀다.[8] 번역 제목은 이 길에 서서.
우울한 걸 좋아하는 감독이 만들어 소년 만화임에도 그리 밝지 않는 전개가 특징이다. 작중에서 죽는 캐릭터 및 곤충들도 있고, 열린 결말과 같은 스토리들도 있기 때문. 도무지 애들이 볼 작품이 아니어서 나중에 시청자들이 나이를 먹고 그 충격적인 내용을 재조명하기도 했다.
그래도 고요하고 고귀한 느낌의 배경이 이 작품의 분위기를 잘 살려준다. 특히 이 작품의 주가 되는 갑충들은 전부 3D모델을 사용하는데, 모델링이 세세하고 아주 깔끔함과 동시에 주변 작화와 위화감이 별로 없다. 거기다가 갑충들의 액션도 굉장히 멋진 편. 우울하고 충격적이라는 것이지 작품의 평은 꽤 괜찮은 편이다.
더빙판은 성우진도 자사, 타사 성우들이 골고루 배치되는 등 준수했고 주제곡 번안도 괜찮은 수준이었다.[9] 하지만 저조한 시청률로 인해 소리소문 없이 묻히고 말았다.[10] 다만 이러한 악조건 속에서도 꾸준한 재방송과 원작 게임의 높은 인기와 꽤나 치밀한 스토리 전개 및 떡밥 뿌리기 회수 등으로 주 타겟이었던 어린아이들에게 큰 인기를 끌 수 있었다.[11]
일본판에서는 엔딩 후 '네브 박사와 블랙 박사의 무시킹 교실'이라는 코너가 있어 카드 기술과 곤충을 소개했지만 국내판에서는 그런 거 없다. 게다가 애니메이션 도입부도 잘려서 나왔다.
4. 주요 내용
평화롭던 숲 속에 살던 숲의 백성[12] 인 포포는 동쪽 숲에 재앙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떠난 아버지 펠레를 따라 숲이 사라지는 걸 막기 위해 모험을 떠난다. 하지만 붉은 눈을 한 장수풍뎅이와 사슴벌레들이 포포를 없애려고 하는데...
5. 등장인물
5.1. 주연
5.2. 서커스단
5.3. 악역
5.4. 기타
5.4.1. 주제가
5.5. 일본판
- 오프닝 테마 生きてこそ
- 작사: 타마시로 치하루(玉城千春)
- 작곡, 노래: Kiroro
- 편곡: 시게미 토오루(重実 徹)
- 엔딩 테마 1 Let's HappiecE Life! (1~13화)
- 작사, 작곡: 오카히라 켄지(岡平健治)
- 편곡, 노래: 3B LAB.☆S
- 엔딩 테마 2 ムシキング・サンバ (14~26화)
- 작사: 아란 토모코(亜蘭知子)
- 작곡: OZA
- 편곡: 모리무라 켄(森村 献)
- 노래: 카오리 & 무시킹 아뮤즈(カオリ&ムシキング・アミーゴス)
- 엔딩 테마 3 think twice (27~39화)
- 작사, 작곡: JUON SATOKO JOE
- 편곡, 노래: FUZZY CONTROL
- 엔딩 테마 4 HIKARUステージ (40~51화)
- 작사: H☆P
- 작곡: MIU
- 편곡: Rockmore
- 노래: 하렌치☆펀치(ハレンチ☆パンチ)
5.6. 더빙판
- 오프닝 테마 이 길에 서서
- 작사: 박철민
- 작곡: Kiroro
- 노래: 이소정
- 음악 감독: 조장권
- 녹음&믹싱: 곽정신
- 녹음실: 바이브(The Vibe)
- 엔딩 테마 1 행복한 미래로
- 작사: 박철민
- 작곡: 오카히라 켄지(岡平健治)
- 노래: 한상두
- 음악 감독: 김정아
- 녹음&믹싱: 곽정신
- 녹음실: 바이브(The Vibe)
- 엔딩 테마 2 꿈을 꾸는 저 미래로
- 작사: 박철민
- 작곡: FUZZY CONTROL
- 노래: 장경주
- 음악감독: 김정아
- 음악프로듀서: 고병욱
- 녹음&믹싱: 곽정신
- 녹음실: 바이브(The Vibe)
5.6.1. 회차 목록
[1] 일본에서 99년도 왕사슴벌레가 약 1억원에 경매된 사건 이후 일본은 줄곧 애완곤충 장수풍뎅이와 사슴벌레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된다. 한국에서는 불법인 살아있는 외국곤충 수입허가와 사육을 허가해줌으로써 애완곤충 시장의 규모가 폭발적으로 늘기 시작했는데, 대중들에게 갑충의 멋짐을 아주 효과적으로 전달했던 미디어 매체가 바로 이 게임이다.[2] NAOMI기판으로 출시[3] 자신이 바위를 입력하고 상대가 가위를 입력했다면, 바위를 낸 쪽의 갑충이 공격하는 식으로.[4] 어지간한 것은 다 패러디하는(...) 은혼에서도 한 번 언급되었는데 도입부에 가구라가 아이들이 곤충 가지고 싸움 붙이는 것에 난입하는 장면이 있는 에피소드에서 나온다. 다만 상표권 허가를 받지 않았는지 게임 이름이 간접적으로 언급된다.[5] 아이들이 지나가다가 혹은 부모님이 쇼핑하는 동안 아이들은 오락기 앞에서 짬잠히 게임하기 좋은 수요를 노렸다. [6] 메스는 '''"암컷"'''이라는 의미이다.[7] 여기 나오는 캐릭터들은 용과 같이 제로: 맹세의 장소 미니 게임 '캣파이트'에 나온 캐릭터들을 재탕했다. 어떻게본다면 캣파이트 미니게임의 변형판. 대신 돈벌이는 안 된다.[8] 고대왕자 공룡킹도 일판 주제곡을 번역 후 불렀다.[9] 특히 여는 곡은 후렴부의 가사에 일본판 가사 '生きてこそ(이키테코소)'와 발음이 비슷한 '이 길에 서서'가 들어가는 등 극강의 센스를 보여주었는데 심지어 제목도 '이 길에 서서'다. 이외에 엔딩곡이나 삽입곡도 제목과 가사를 적절히 바꾸었다.[10] 그럴만한 게 방영당시 암흑시간대라 불리는 오후 1시 에 첫방송이였고 당연히 시청률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11] 이러한 인기 때문인지 이 애니메이션의 캐릭터를 가져온 학습만화 '곤충세계의 비밀을 밝혀라!'시리즈가 출판되기도 하였다.[12] 요정이라 보면 된다. 숲에 힘으로 태어나며 죽으면 빛이 된다. 애니에서는 별다른 언급이 없지만 게임에서는 요정으로 나옴.[A] 태양전대 선발칸에서 2대 발 이글 히바 타카유키를 맡은 배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