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르마니아(나치 독일)

 


''' 세계수도 게르마니아
Welthauptstadt Germania'''
[image]
<colbgcolor=#d00> '''국가'''
[image] 나치 독일
'''계획자'''
아돌프 히틀러
'''책임자'''
알베르트 슈페어
'''건설 기간'''
1938년 ~ 1943년
'''진행 상태'''
중단 및 무산
1. 개요
2. 특징
3. 문제점과 계획 중단
4.1. 현존 건축물
5. 브루탈리즘
6. 대중매체 속의 게르마니아


1. 개요


베를린 시내를 완전히 재건축해 유럽을 지배하는 새로운 대게르만국(Großgermanisches Reich)[1]의 수도로서의 위용을 갖추겠다는 아돌프 히틀러의 계획. '''세계수도 게르마니아(Welthauptstadt Germania)'''[2]라는 프로젝트명을 가지고 있었고 총괄 책임자는 히틀러가 총애하던 건축가였던 알베르트 슈페어였다.

2. 특징


시작은 1938년 베를린의 재건축 계획이었다. 이후 1941년 6월, 소련을 침공한 히틀러는 1945년까지 자신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승리할 것으로 예상하고, 세계수도 건설을 마친 후 베를린에서 1950년 세계 박람회를 개최하리라는 아주 야심찬 포부에 의해 게르마니아 계획으로 확장되었다. 초반에는 '독일국 수도 종합건설계획(Gesamtbauplan für die Reichshauptstadt)'이었지만 베를린을 점점 런던, 파리, 로마 등의 세계적인 수도를 뛰어넘은 거대 도시로 만들고팠던 히틀러의 야망이 커져, 계획이 시작된 이듬해인 1942년에 히틀러가 베를린을 새로운 건물들로 완전히 싹 갈아엎어버리고 '''게르마니아(Germania)'''라는 이름으로 바꿔 대게르만국의 명확한 중심으로 자리잡게 할 것이라는 새로운 안을 언급해 도시 계획이 더욱 확장되었다.
게르마니아는 마우스 전차라테처럼 거대한 것을 선호했던 히틀러의 취향이 매우 많이 반영된 도시가 될 예정이었다. 히틀러는 파리의 개선문과 샹젤리제 거리나 로마판테온 등을 의식하였다. 지어질 건물들 하나하나가 전체적으로 수직적이고 균형적이었으며, '국민대회당'이나 '나치전당대회장'처럼 규모가 압도적으로 거대한 건물들도 세워질 예정이었다. 게르마니아 계획에 필요한 자재나 노동력은 유대인 강제수용소 등의 인력을 활용하는 것으로 계획되었고 실제로 일부 수용소에서는 건축물들을 지을 벽돌이 생산되고 있었다.

3. 문제점과 계획 중단


그러나 게르마니아 계획은 시작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거대한 건축물을 지탱하기에는 지반이 너무 물렀기 때문이다. 베를린은 원래 늪지대였기에 기반이 약하기도 하고,[3] 게르마니아 계획대로라면 거기에 한술 더 떠서 국민대회당은 베를린의 슈프레 강 위나 근방에 지어질 예정이었기 때문에 어마어마한 기초 공사가 필요했을 것이다. 슈페어도 이 부분에 대해 알고 있었으며 우선 파리 개선문의 몇 배나 되는 게르마니아 개선문을 짓기 전에 '슈베르벨라스퉁스쾨르퍼(Schwerbelastungskörper)'라고 불리우는 침하 시험용 시설을 지었으나 결론은 토질이 너무 무르다는 것이었다. 히틀러가 어떻게든 지으라고 닦달하는 바람에 슈페어는 지반을 강화할 방법을 연구했으나, 결국 독일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배하여 끝이 났다.
현대의 토목 기술을 고려했을 때 만약 나치가 전쟁에서 이겼다면 어떻게든 지반을 적절한 수준으로 강화할 수는 있었겠지만, 결코 쉽진 않았을 것이며 이러한 대규모 지반 공사는 한두해로 끝나지 않았을 것이다. 다시 말해 독일이 전쟁에서 이겼어도, 게르마니아 지반공사하는 것만 보다가 히틀러가 먼저 늙어 죽었을 수도 있었다.

4. 건축물




4.1. 현존 건축물


1938년부터 1943년까지의 공사 기간 동안 완공된 건축물들은 매우 적었다. 완공되었더라도 이후 파괴되었거나 제 모습을 갖추지 못하게 된 건물들도 부지기수. 게르마니아 계획 중 거의 유일하다시피 현재까지 남아있는 건축물은 베를린 템펠호프 공항이다. 게르마니아 계획이 얼마나 크고[4] 아름다웠는지 그 일면을 대강 알 수 있다. 현재는 공항으로서 기능하지 않고 있다. 원래는 나치의 잔재이기도 하고 개발할 땅을 확보하자는 의미에서 철거하자는 의견이 있었다. 그러나 어쨌든 굶어 죽어갈 뻔한 베를린을 살린 공로가 인정되어 유지하기로 결정하고 공원으로 사용되다가 유럽 난민 사태 이후 난민캠프로 사용 중이다. 한편 템벨호프 공항 이외에는 게르마니아 계획의 일부로 계획되어 건설이 진행되던 지하차도와 지하철 터널의 일부가 베를린 지하에 방치되어 있다.

5. 브루탈리즘


이처럼 거대한 콘크리트 덩어리의 건축물들은 1970년대까지 유행한 브루탈리즘으로 불리며, ,192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의 미국이나 1950년대 소련에서 많이 건설되었다. 소련은 한 술 더 떠서 스탈린의 명령으로 소비에트 궁전이라는 거대한 건물을 구상하였다. 이 쪽도 결과적으로 전쟁 때문에 지어지지 못했다. 다만 소비에트 궁전의 경우는 게르마니아처럼 설계만으로 끝난 게 아니라 실제로 공사에 착수한 적이 있다. 하필이면 독소전쟁이 터져서 말짱도루묵이 됐을 뿐이다. 또한 당시 지어진 모스크바 7자매로 불리는 거대 건축물들은 브루탈리즘 중에서도 스탈린 양식으로 불리며, 아직도 모스크바의 랜드마크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6. 대중매체 속의 게르마니아


나치 독일의 2차 대전 패배로 게르마니아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지만, 나치 독일이 승전한 여러 대체역사물에서 등장한다.

6.1. 당신들의 조국


소설 당신들의 조국에서 완성된 게르마니아의 모습이 글로서 표현되어 있는데 책 부록으로 게르마니아의 지도가 나와있다.
[image]
[image]
또한 이 소설을 TV단막극으로 만든 당신들의 조국(Fatherland, 1994)에서도 게르마니아의 웅장한 모습이 등장한다. 다양한 인종들이 자유롭게 다니고 90년대 미국풍 느낌의 건물들과 외벽이 유리로 된 모습이 조화로운 것이 특징.

6.2. 울펜슈타인: 더 뉴 오더


울펜슈타인: 더 뉴 오더에서는 독일이 비정상적인 과학 기술로 승리한 세계를 그리고 있으며, 1960년대의 베를린은 실제 역사의 당시에 비해 더 미래적이며 시내에 고층빌딩이 즐비하다. 국민대회당은 존재하지만, 엄밀하게 보면 도시의 모습은 게르마니아의 실제 계획과는 좀 다르다.
[image]
[image]
작중에서는 위버 콘크리트(Über Concrete)라는 새로운 슈퍼 콘크리트를 팍팍 써서 만들었다. 그런데 슈퍼 콘크리트 생산라인에서 일하고 있는 다트 이슈드의 잔당 세트 로스가 몰래 사보타주[5]를 해서, 현재 부식이 진행되고 있다. 시간이 지나면 도시 전체가 폭싹 무너질 거란 소리다.[6] 자칭 '''위대한 나치 문명'''의 형편없는 실상이 잘 드러나는데, 다트 이슈드로부터 훔친 결함 콘크리트를 의심도 안 하고 계속 쓰고 있는 것. 소련, 영국, 미국을 모두 꺾고 세계를 지배한 걸 위대한 게르만 민족과 나치즘의 성공으로 여기지만 실상은 다트 이슈드의 금고 몇 개 턴 걸로 희희낙락거리는 울펜슈타인 속 독일의 모순을 가장 잘 보여주는 부분.

6.3. 높은 성의 사나이


[image]
[image]
아마존 드라마 높은 성의 사나이에서도 자세하게 나온다. 특히 시즌 2에서의 비중이 커졌다. 건물의 재현 면에서 위의 두 사례보다 더 정밀하게 게르마니아를 구현했다. 참고. 다만 외부 전경과 도시 계획은 역시나 실제 계획과는 좀 다르다. 외부 풍경에서 보이는 작고 오래된 건물은 독일 국회의사당이다.

[1] 그로스게르마니셰스 라이히. 나치 독일이 최종적으로 건국하려 했던 국가의 명칭이다.[2] 벨트하우프트슈타트 게르마니아.[3] 애초에 Berlin이라는 이름이 습기있는 땅을 뜻하는 Birlin에서 온 것이다.[4] 주기장이 실제로 포뮬러 E 서킷으로 사용되었을 정도였다. 진지하게 템펠호프 공항이 문을 닫은 이유도 크고 아름다운 부지에 비해 활주로가 너무 짧아서였다.[5] 세트가 잡혀있던 노역장이 이 슈퍼 콘크리트를 만들어 보내는 곳이었는데, 화합물 조합을 살짝 조작해서 부식되기 쉽게 만들었다. 곰팡이가 슨 걸로 봐서 습기를 잘 머금어 물러지게 하는 것으로 보인다. 마침 상술했듯이 베를린은 습지대에 건설된 도시이기도하니 얼마 버티지 못할듯 하다.[6] 유보트에 확인할 수 있는 신문기사 중, 파리에 건축한 초고층 건물이 무너졌다는 기사가 있는데, 이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막상 나치는 이 콘크리트가 절대 파괴될 수 없다면서 건축가를 처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