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영추문

 


1. 개요
2. 이름
3. 역사
4. 특징
5. 여담

[image]

1. 개요


景福宮 迎秋門
경복궁의 서문(西門)으로 연추문(延秋門)이라고도 불렸다. 주로 문무백관들이 이용했다.
고종 중건 당시 현판의 글씨는 허계#(許棨, 1798 ~ 1866)가, 현재의 현판은 서예가 김충현(金忠顯. 1921 ~ 2006)이# 썼다.

2. 이름


‘영추’는 ‘가을(秋)을 맞아(迎) 서쪽의 신에게 제사를 지낸다’는 뜻이다. 오행에서 서쪽은 가을을 나타내므로, 경복궁의 서쪽 문에 ‘가을 추(秋)’ 자를 넣은 것이다.#

3. 역사


1395년(태조 4년)에 경복궁을 창건할 때 건립되었으며# 1427년(세종 9년) 6월에 수리하였다.#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으로 불탄 뒤 270여 년간 방치되었다. 1865년(고종 2년)에 중건되었다.
일제강점기인 영추문 바로 앞에 전차 선로가 부설되었다. 선로 위를 오가는 전차의 진동 때문에 1926년 4월 27일에 석축이 무너졌고#, 결국 얼마 지나지 않아 철거되었다.
[image]
[image]
무너진 영추문 석축
광복 이후 한동안 철거된 자리에 예전처럼 성문이 아닌 3칸짜리 평대문이 놓여있었다.
[image]
복원 전 평삼문으로 있던 영추문
이후 1975년에 원래 자리보다 50m 북쪽으로 옮겨 복원하여 오늘에 이른다. 이 때 1968년에 복원한 광화문처럼 목조가 아닌 철근 콘크리트로 지었다.[1]

영추문 복원 준공을 다룬 대한뉴스

4. 특징


경복궁의 동문인 건춘문과 구조가 같다.
  • 아치을 낸 석축 위에 단층짜리 문루(門樓)를 올렸다. 문루 4면의 가장자리 앞에는 벽돌로 쌓은 통여장이 놓여있다.#
  • 통여장의 바로 밑 부분 석축에 석누조 2개가 달려 있다. 이는 비가 올 때 빗물이 빨리 빠져나가게 하기 위해 설치한 것이다.
  • 문루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총 6칸이다. 지붕은 우진각 지붕이다. 용마루와 내림마루는 전부 양성바름을 했고 그 위에 취두와 용두, 잡상을 올렸으며, 추녀 끝에는 토수를 끼웠다. 처마는 겹처마이고 공포는 이익공이다. 공포 사이마다 화반을 놓았으며 단청은 모루단청으로 칠했다.
  • 문루의 내부는 전부 한 공간으로 트여있다. 가운데칸 천장은 구조가 다 드러나 보이는 연등천장이다. 가장자리 쪽 들보 위는 우물반자로 마감하였다. 문루의 바닥은 전부 전돌을 깔았으나 가운데 칸만 마루를 깔았다.
  • 아치은 겉에만 아치를 구성하고 내부의 천장은 반자로 덮어 놓은 모습이다. 반자에는 백호가 그려져 있다. 그러나 고종 때는 기린(상상의 동물) 2마리가 그려져 있었다고 한다.# 문짝은 붉은색 나무이며 문짝 위에는 문둔테를 두었다.#
  • 경복궁 안쪽 부분의 석축 양쪽에 문루로 올라갈 수 있는 계단을 두었다. 계단에 난간은 설치하지 않았다. 계단과 문루 사이의 통여장 가운데에는 전돌을 쌓은 을 두었다.#

5. 여담


  • 1896년(건양 원년) 2월에 고종러시아 공사관으로 갈 때 영추문을 통해 경복궁을 빠져나갔다.[2]
  • 복원 후 한동안 닫혀있었다가 2018년 12월 6일에 개방되었다. 경복궁에서 서촌을 가려는 위키러들은 영추문을 이용하면 훨씬 가깝게 갈 수 있으니 참조하자.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

영추문 개방을 다룬 JTBC 뉴스
  • 최근 일본에 있던 경복궁 영건일기를 분석한 결과 영추문 현판이 검은바탕 흰색글씨가 아닌 반대로 되어 있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 영추문의 이명 중 하나가 바로 연추문(延秋門)인데, 다름아니라 정철관동별곡에 나오는 '연추문'이 바로 경복궁 영추문을 뜻한다.#
[1] 콘크리트 광화문은 2006년 철거. 현재는 옛 방식대로 목조로 복원되어있다.[2] 신무문이었다고도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