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인보우 네오스
유희왕의 최상급 융합 몬스터 카드.
1. 설명
1.1. 원작
[image]
유희왕 GX에서 유우키 쥬다이가 사용한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의 강화 형태. 요한 안데르센의 에이스인 궁극보옥신 몬스터와 융합한 모습이다. 최상급 전사족과 드래곤족 몬스터를 1장씩 사용한다는 점, 드래곤족 소재는 라이벌의 몬스터라는 것등이 궁극룡 기사와 비슷하나, 단발성 몬스터였던 궁극룡 기사와는 달리 스토리상 비중이 크고 활약상도 많다.
작중에서는 유희왕 GX/이차원세계 편에서 쥬다이가 유벨이 요한 안데르센에게 빙의한 상태인 암흑사도 요한과의 듀얼 중 요한을 구출하기 위해, 요한의 혼이 갇혀 있는 궁극보옥신 레인보우 다크 드래곤과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를 초융합으로 융합하면서 처음 등장했다. 이로서 요한과 함께 타락했던 레인보우 드래곤을 정화하고 요한을 되찾는 데에 성공하게 되었다. 다만 그 직후 유벨이 발동한 함정으로 인해 듀얼이 무승부로 끝나면서 다른 활약은 보이지 못했다.
이후 유벨과의 최종 결전을 위해 요한이 레인보우 드래곤을 빌려주면서, 엘리멘틀 히어로 플리즈마의 효과로 복사해 융합 소환한다. 유벨이 깔아놓은 판을 치우면서 2형태를 덱으로 돌려버렸지만 숨겨진 최종체에 또다시 위기에 몰리고, 결국 알케미 사이클로 제외된다.
이차원세계 편에서 다사다난했던 쥬다이의 성장의 결실이라 할 수 있는 몬스터지만, 작중 이 카드의 전적 자체는 무승부 2번.
이후 다크니스 편에서는 요한과 함께한 후지와라 유스케와의 배틀로얄 듀얼에서 재등장. 네오스와 카드명이 궁극보옥신 레인보우 드래곤이 된 호적수의 이름을 융합 소재로 융합 소환되었다. 이후 과거 유스케 본인의 카드였던 어니스트의 효과로 공격력 11300이 되어 클리어 비셔스 나이트를 공격해 파괴하면서 피니셔가 되었다. 사실 발동 조건 상 일반 네오스로도 이길 수 있었으나, 대신 공격을 다른 미스터 T까지 퍼뜨려 전부 쓰러뜨렸다.
아쉽게도 최종 보스전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대신 이 때는 네오스 와이즈맨과 엘리멘틀 히어로 갓 네오스가 등장.
공격명은 '레인보우 플레어 스트림(レインボー・フレア・ストリーム / Rainbow Flare Stream)', 어니스트의 서포트를 받았을 때는 '어니스티 레인보우 플레어 스트림(オネスティ・レインボー・フレア・ストリーム / Honesty Rainbow Flare Stream)'. 덱으로 되돌리는 효과명은 '비욘드 더 레인보우홀(ビヨンド・ザ・レインボーホール / Beyond The Rainbow Hole)'.
1.2. OCG
[image]
OCG로 나온 카드 역시 원작을 반영해 매우 강력한 능력치의 몬스터로 나왔다. 텍스트가 조금 재정비된 것 이외에는 원작에 충실하여 효과로 보나 스탯으로 보나 명실상부한 최강의 네오스.
3가지 효과는 3개 중 1개만,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지만, 그 효과 3개가 전부 매우 강력한 비대상 전체 바운스 효과. 정해진 코스트만 사용하면 각각 상대의 마법 / 함정, 몬스터, 묘지를 완벽히 클린할 수 있다. 마법 / 함정이나 몬스터는 코스트가 조금 아쉽지만, 묘지 클린 효과는 사실상 코스트가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기 때문에 매우 강력. 코스트 조달이 어려울 경우 여차하면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몬스터 클린 효과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옥수 덱에서는 마함존에 있는 보옥수를 활용하면 된다. 효과가 강력할 뿐만 아니라 능력치도 매우 높기 때문에, 상대 필드 클린 후 돌격용 갑옷 같은걸 달아서 2회 공격을 하면 그대로 게임이 끝날 정도의 공격력을 가지고 있다.
다만 소환 조건이 까다로운 게 가장 아쉬운 점이나, 덱 융합인 네오스 퓨전와 융합 효과 발동 몬스터인 프레데터 플랜츠 베르테 아나콘다가 있기에 소환 자체는 매우 쉽다. 내성이 전무하단것도 단점이지만 일단 소환에 성공했다면 네오스 퓨전의 2번째 효과로 한번 파괴되는 것을 막을 수 있기까지 하다. 콘택트 융합형 네오스덱에도 레인보우 드래곤 1장만 넣으면 소환할 수 있기에 충분히 병용 가능하다.
일단 소환조건 자체는 융합으로만 소환이 가능하고, 그것도 정규 소재를 사용해야만 융합 가능한 몬스터이다. 2가지 제약 중 어느 한쪽만 걸린 건 드래곤 워리어나 궁극룡 기사 등 듀얼몬스터즈 시절부터 이미 그 사례가 존재했으나, 2가지 제약이 한꺼번에 걸린 것은 이 카드가 최초일 정도로 빡빡한 소환 조건이다. 네오스 퓨전이 없던 시절엔 상당히 소환하기 힘든 몬스터였다. 아니 소환 자체는 그럭저럭 가능하지만 소환 후에 후속이 너무 없었다.
이름에 엘리멘틀 히어로가 명시되어 있지 않아 미러클 퓨전, 미러클 콘택트는 쓸 수 없고, 각종 히어로 지원 효과도 받을수 없다. 소환 조건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코믹스 히어로 포함, 현존하는 엘리멘틀 히어로 관련 융합 몬스터중 최강의 능력치와 효과를 가지고 있는데, 이 정도로 강력한 몬스터가 그 당시 환경에서 미러클 퓨전 1장으로 튀어나오는 것은 너무 사기라고 생각되었기 때문인 듯하다.
전사족 중에서는 순수 공격력 1위였으나, 카디언-오광-이 OCG화 되면서 2위로 밀려났다. 수비력은 게이트 가디언 바로 다음으로 수많은 카드들과 함께 공동 2위를 차지하고 있다.
홀로그래픽 레어가 존재하는 몬스터 중에서 부스터 메인 카드가 아닌 카드 중 하나[3] . 유벨-다스 엑스트레머 트라우리히 드라헨 지못미. 물론 한국판은 그냥 시크릿 레어로 나왔다. 이쁜건 똑같지만 역시 좀 아쉽다.
참고로 TCG판에서는 레인보우 드래곤과 레인보우 다크 드래곤에 "궁극보옥신"에 해당되는 이름이 붙지 않기 때문에 융합 소재 텍스트가 그냥 "Rainbow Dragon" or "Rainbow Dark Dragon"이라고 되어 있다. 즉 일본판과는 달리 카드 이름이 명시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발매 당시에는 엘리멘틀 히어로 플리즈마로 카드명 복사가 가능하다는 재정이 나왔었지만 결국 얼마 안가서 OCG와 같은 재정이 되었었다.
그러나 또다른 궁극보옥신인 궁극보옥신 레인보우 오버 드래곤이 나와 TCG판 한정으로 "궁극보옥신 레인보우 드래곤" 또는 "궁극보옥신 레인보우 다크 드래곤" 1장에서 OCG처럼 "궁극보옥신" 몬스터("Ultimate Crystal" monster)로 에라타되었으며, 대신 기존 궁극보옥신 시리즈의 효과란에 '''해당 카드들을 각각 룰 상 "궁극보옥신" 몬스터로도 취급한다'''는 텍스트를 추가하고 카드명 자체는 그대로 Rainbow XX Dragon의 형태로 간다.
한국 환경에선 초마도용기사-붉은 눈의 드라군의 발매가 늦었기 때문에 붉은 눈 융합과 소재 몬스터의 자리를 이 카드로 대체해서 쓰는 유저들도 있었다. 프레데터 플랜츠 베르테 아나콘다로 나오는 덱 융합 몬스터들 중에선 드라군 다음으로 강한 카드일 것이다. 페가수스 소환 > 궁극보옥수 서치 > 궁극보옥수 효과로 보옥수 소환 루트로 페가수스 하나만으로도 레인보우 네오스를 뽑을 수 있다. 퍼미션 능력은 없지만 높은 타점과 살벌한 돌파 능력, 네오스 퓨전으로 1회 파괴 내성까지 있기에 그럭저럭 괜찮다는 평가. 하지만 선공에 세우면 거의 의미가 없어서 후공돌파용으로 고려된다.
이후 드라군이 금지 카드로 지정되면서 진짜로 이걸 넣는 덱들이 다수 늘어났다. 주로 후공돌파에 목숨을 거는 사이버 드래곤 같은 류. 거기에 네오스 퓨전은 전개 다 끝내고도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융합 카드 본체가 잡혀버려도 패에서 썩던가 드라군만 뽑고 턴종하는 붉은 눈 융합보다는 쬐끔 리스크가 적다. 흑드라군과 대비되는 흰색 컬러링 때문에 백드라군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수록 팩 일람'''
2. 융합 소재 몬스터
2.1.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2.2. 궁극보옥신 몬스터
[1] 원작에서의 일러스트를 보면 아무래도 원기옥이 맞는 듯하다.[2] 유희왕 태그 포스 3에서의 소환 대사.[3] 다른 하나는 라이즈 오브 더 듀얼리스트의 혼돈마룡 카오스 룰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