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드래곤
유희왕의 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유희왕 GX에서 마루후지 료가 사용하는 '사이버 유파' 덱의 핵심 카드. 원작에서는 3장밖에 없을 이 카드가 첫 패에는 반드시 "사이버 드래곤"이 1장 이상 있었고 3장 모두 갖추어져 있는 경우도 드물지 않았다. 반대로 이 카드가 1장도 없는 경우, 미래융합-퓨처 퓨전이 패에 있거나 사이버 다크를 갖추고 있었다. 첫 등장 당시 효과는 특수 소환이 아니라 제물 없이 소환 가능이었지만, 에드 피닉스전에서 OCG 효과로 바뀌었다.
능력치, 종족, 생김새 전부 다르지만 주인공의 최강의 라이벌이 사용하는 하얀 드래곤에 삼체융합으로 삼두룡이 되며 공격명에 버스트가 들어간다는 점에서 은근히 푸른 눈의 백룡을 의식한 듯한 카드이기도 하다.[1]
공격명은 '에볼루션 버스트(エヴォリューション・バースト / Evolution Burst)'.[2]
부스터 팩 사이버 혁명에서 등장한 효과 몬스터. 상대 필드에만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자신을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는 소환 룰 효과를 가졌다.[3]
활용도가 무궁무진한데, 패에서 릴리스 소재 없이 필드로 특수 소환 할 수 있다. 심지어 일반 소환권도 쓰지 않고! 공격력도 '''2100'''이기 때문에 하급전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고, 일반 소환으로 몬스터를 늘리거나 상급 몬스터의 릴리스 소재가 되는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이런 강점 때문에 발매되고 나서 오랫동안 필수 몬스터 카드로 각광받을 정도였다. 보통 후공으로 특수 소환되어 몬스터 카드 2장을 꺼내 필드를 압박하곤 하였다. 높아 봤자 분노 유인원의 2000 정도가 한계였던 소환이 부담이 없는 하급 어태커들의 키재기는 이 카드의 소환의 속공성 앞에서 거의 의미를 잃었다.
어드밴스 소환은 보통 이 카드의 디메리트로 작용하지만, 상황에 따라 활용할 여지는 충분하다. 상대가 강제전이로 튕겨준 No.30 파멸의 애시드 골렘같은 애물단지를 릴리스하고 처리해버릴 수도 있고, 비슷하게 컨트롤 탈취해온 몬스터가 상대에게 돌아가기 전에 먹어버릴 수도 있다. 필드 위에서 묘지로 갔을 때 발동하는 몬스터 효과를 빨리 발동하고 싶을 때 어드밴스 소환할 수도 있다.
빛 속성이라는 점 덕분에 당시 유행했던 굿 스터프 형식의 카오스 덱에도 잘 어울렸으며, 카오스 몬스터들이 금지가 된 후에도 사이칼리에어고즈같은 스탠다드 계열 덱에서 활약하기도 했다. 선공을 잡은 상대가 필드에 아무것도 안 깔고 턴을 넘기는 것만으로도 상대에게 압박을 줄 수 있기도 했다. 다이렉트 어택을 하면 저승사자 고즈가 튀어나올 것 같고, 고즈가 안나왔다고 하면 그 다음 턴엔 사이버 드래곤...
이 카드 자체만으로도 성능이 좋은 편에 속하지만 또 강력한 융합 몬스터들의 융합 소재가 되다 보니, 전용덱을 구축하는 것 외에도 다른 융합 덱에 곁다리로 넣거나, 가제트 3형제나 마장기관차 데코이치 등 굿스터프 기계족 몬스터를 넣고 오버로드 퓨전을 넣어서 키메라테크 오버 드래곤으로 피니시를 내는 등 다양하게 응용되었다. 또한 높은 레벨과 특수 소환 효과로 싱크로 소환 소재로도 쓰기 편하다. 결국 이 카드의 사기적인 성능을 인정한 코나미의 제제를 받기도 했다. 한때 준제한에서 제한까지 갔다가 다시 거꾸로 준제한(2010.03.01) - 무제한(2010.09.01)으로 돌아오는 파란만장한 역사를 지닌다.
무제한으로 돌아오긴 했지만 그동안 좋은 카드들이 수도 없이 나오면서 환경의 변화가 많이 이루어진 상태인지라 이 카드를 주축으로 한 덱은 예전보다 상대적으로 약화되었다. 객관적으로 보면 이제 이 카드와 2종류의 대용품들을 모두 풀투입할 수 있게 되어 과거 최고의 전성기보다 더욱 더 파워업했다고 할 수 있지만, 역시 주위 환경이 문제.
그래도 각종 덱들의 파츠로는 여전히 사용가치가 높아서 그런지 심심하면 재록한다. 물론 굳이 이 카드가 필요없는 덱도 많아졌지만 쓰이는 덱에서는 쓰인다. 싱크로 소환의 파츠로 레벨이 상당히 적절하여 유용한 편이며, 어드밴스 소환의 보조도 보통 이 카드부터 찾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는 된다. 엑시즈 소환의 파츠로서는 못 쓰는 건 아닌데 아무래도 싱크로에 비해서는 덜 유용하여 미스트 데몬처럼 부담없이 나갈 수 있는 레벨 5 몬스터가 그렇게 많지는 않기 때문에 이 카드보다는 레벨이 다른 상호 호환 카드들이 더 낫다. 다만 영혼의 호송선이나 기타 사이버 지원 카드들의 등장으로 엑시즈 소환이 더 수월해졌다.
이 카드를 융합 소재로 하는 키메라테크 포트리스 드래곤/키메라테크 메가프리트 드래곤 때문에 간접적으로 모든 기계족 몬스터/엑스트라 몬스터 존에 대한 메타 카드가 된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고. 일단 기계족을 대량전개했거나 엑몹존에 중요한 몬스터가 있을때 상대가 난데없이 이 카드를 꺼냈다면 '''반드시 즉시 제거해버려야 한다.''' 그럴 수 없을 경우 망했어요라고 생각하면 된다(…) 물론 이 카드의 다양한 대용품들도 마찬가지. 클리포트는 대부분이 펜듈럼 몬스터라 융합 소재로 쓸 수 없으므로 안심해도 될 것 같지만, 아포클리포트 킬러를 쓸 생각이면 비 펜듈럼 몬스터라서 먹히기 때문에 경계해야 하는 것은 똑같다.
사이버 드래곤(유희왕/카드군) 문서 참조.
이 카드는 일러스트가 2종류가 존재하는데, 하나는 새하얀 동체를 가지고 있지만 또 하나의 일러스트는 동체가 시커멓게 도장 되어서 사이버 다크가 생각나기도 하다. 2번째 카드가 발매될 무렵에 사용자인 마루후지 료가 타락해서 헬 카이저가 되었기 때문이다. 사이버 유파의 봉인된 카드 사이버 다크 드래곤을 털어가기 위해 듀얼할 때 지속함정 사이버 섀도우 가드너에 의해 복사된 사이버 드래곤의 모습이 원형이라는 설이 있다.
사이버 드래곤 궁극의 로망(니코동 아이디 필요)(유희왕 태그 포스 3)
후속 카드들의 효과와 스펙을 조절하는 기준이 되고 있기도 하다. 이 카드와 동일하거나 비슷한 효과를 지닌 몬스터들이 발매되고 있지만, 각각 단점들을 하나씩은 달고 나온다. 공격력이 절반이 된다거나, 특수 소환이 아닌 일반 소환이거나, 꺼낸 턴에 공격을 할 수 없다거나, 혼자 있을 때만 공격을 할 수 있다거나, 능력치가 아예 낮거나 하는 식. 그런 이 카드가 과거 등장 당시에는 하급 어태커들이 형성하고 있던 파워 라인을 무너뜨려버렸던 밸런스 브레이커라는 건 참 재미있는 일이다.
다만 시대가 흘러감에 따라 번개 선신이나 다이너레슬러 판크라톱스 등 단독으로 이 카드보다 소환도 쉽고 타점도 높은 카드들이 하나 둘씩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젠 사이버 드래곤의 범용 상급 어태커로서의 수명은 다 했다고 봐야 할 듯. 사실 현재의 사이버 드래곤도 '''간단한 특수소환'''을 집중하지, 어태커로서의 성능은 뒷전이다.
재록을 굉장히 많이 했지만 처음 나왔을 때 텍스트인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고, 자신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라는 텍스트로 유지되다 9기 이후 재록되었을 때 현행 텍스트로 바뀌었다.
DM시절 유명 몬스터 푸른 눈의 백룡에 이어, GX시절의 유명 몬스터로서 26번째 스트럭처 덱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의 테마로 당당히 선택되었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헬카이저 해금 이벤트가 열리면서 사이버 드래곤이 나오는가 했으나... 듀얼링크스의 환경 특성상 사기일거라 생각됐는지 헬카이저 레벨업 보상에도 대용품만 있고, 이벤트도 사이버 드래곤이 아닌 사이버 다크 시리즈를 풀어놨다. 이후로도 소식이 없다가 2019년 7월 신 부스터팩에서 사이버 트윈 드래곤과 함께 UR카드로 드디어 등장했다! 드디어 사이버 드래곤 덱을 만들 수 있게 되었지만 180장이나 하는 메인팩을 3번이나 돌려야 하고, 이미 사이버드래곤이 활약하기엔 파워 인플레이션이 많이 진행되어서 실전성보다는 로망을 보고 써야하는 카드가 되었다. 하지만 신규부스터팩에서 오버로드 퓨전, 사이버 드래곤 코어, 키메라테크 램패이지 드래곤, 사이버 마법/함정 중 일부 등이 풀리면서 단순 로망에서 3티어 덱까지 올라갔다.
다른 일러스트(1)로 되어 있는 것이 섀도우 버전 일러스트다.
1. 원작
유희왕 GX에서 마루후지 료가 사용하는 '사이버 유파' 덱의 핵심 카드. 원작에서는 3장밖에 없을 이 카드가 첫 패에는 반드시 "사이버 드래곤"이 1장 이상 있었고 3장 모두 갖추어져 있는 경우도 드물지 않았다. 반대로 이 카드가 1장도 없는 경우, 미래융합-퓨처 퓨전이 패에 있거나 사이버 다크를 갖추고 있었다. 첫 등장 당시 효과는 특수 소환이 아니라 제물 없이 소환 가능이었지만, 에드 피닉스전에서 OCG 효과로 바뀌었다.
능력치, 종족, 생김새 전부 다르지만 주인공의 최강의 라이벌이 사용하는 하얀 드래곤에 삼체융합으로 삼두룡이 되며 공격명에 버스트가 들어간다는 점에서 은근히 푸른 눈의 백룡을 의식한 듯한 카드이기도 하다.[1]
공격명은 '에볼루션 버스트(エヴォリューション・バースト / Evolution Burst)'.[2]
2. OCG
부스터 팩 사이버 혁명에서 등장한 효과 몬스터. 상대 필드에만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자신을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는 소환 룰 효과를 가졌다.[3]
활용도가 무궁무진한데, 패에서 릴리스 소재 없이 필드로 특수 소환 할 수 있다. 심지어 일반 소환권도 쓰지 않고! 공격력도 '''2100'''이기 때문에 하급전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고, 일반 소환으로 몬스터를 늘리거나 상급 몬스터의 릴리스 소재가 되는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이런 강점 때문에 발매되고 나서 오랫동안 필수 몬스터 카드로 각광받을 정도였다. 보통 후공으로 특수 소환되어 몬스터 카드 2장을 꺼내 필드를 압박하곤 하였다. 높아 봤자 분노 유인원의 2000 정도가 한계였던 소환이 부담이 없는 하급 어태커들의 키재기는 이 카드의 소환의 속공성 앞에서 거의 의미를 잃었다.
어드밴스 소환은 보통 이 카드의 디메리트로 작용하지만, 상황에 따라 활용할 여지는 충분하다. 상대가 강제전이로 튕겨준 No.30 파멸의 애시드 골렘같은 애물단지를 릴리스하고 처리해버릴 수도 있고, 비슷하게 컨트롤 탈취해온 몬스터가 상대에게 돌아가기 전에 먹어버릴 수도 있다. 필드 위에서 묘지로 갔을 때 발동하는 몬스터 효과를 빨리 발동하고 싶을 때 어드밴스 소환할 수도 있다.
빛 속성이라는 점 덕분에 당시 유행했던 굿 스터프 형식의 카오스 덱에도 잘 어울렸으며, 카오스 몬스터들이 금지가 된 후에도 사이칼리에어고즈같은 스탠다드 계열 덱에서 활약하기도 했다. 선공을 잡은 상대가 필드에 아무것도 안 깔고 턴을 넘기는 것만으로도 상대에게 압박을 줄 수 있기도 했다. 다이렉트 어택을 하면 저승사자 고즈가 튀어나올 것 같고, 고즈가 안나왔다고 하면 그 다음 턴엔 사이버 드래곤...
이 카드 자체만으로도 성능이 좋은 편에 속하지만 또 강력한 융합 몬스터들의 융합 소재가 되다 보니, 전용덱을 구축하는 것 외에도 다른 융합 덱에 곁다리로 넣거나, 가제트 3형제나 마장기관차 데코이치 등 굿스터프 기계족 몬스터를 넣고 오버로드 퓨전을 넣어서 키메라테크 오버 드래곤으로 피니시를 내는 등 다양하게 응용되었다. 또한 높은 레벨과 특수 소환 효과로 싱크로 소환 소재로도 쓰기 편하다. 결국 이 카드의 사기적인 성능을 인정한 코나미의 제제를 받기도 했다. 한때 준제한에서 제한까지 갔다가 다시 거꾸로 준제한(2010.03.01) - 무제한(2010.09.01)으로 돌아오는 파란만장한 역사를 지닌다.
무제한으로 돌아오긴 했지만 그동안 좋은 카드들이 수도 없이 나오면서 환경의 변화가 많이 이루어진 상태인지라 이 카드를 주축으로 한 덱은 예전보다 상대적으로 약화되었다. 객관적으로 보면 이제 이 카드와 2종류의 대용품들을 모두 풀투입할 수 있게 되어 과거 최고의 전성기보다 더욱 더 파워업했다고 할 수 있지만, 역시 주위 환경이 문제.
그래도 각종 덱들의 파츠로는 여전히 사용가치가 높아서 그런지 심심하면 재록한다. 물론 굳이 이 카드가 필요없는 덱도 많아졌지만 쓰이는 덱에서는 쓰인다. 싱크로 소환의 파츠로 레벨이 상당히 적절하여 유용한 편이며, 어드밴스 소환의 보조도 보통 이 카드부터 찾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는 된다. 엑시즈 소환의 파츠로서는 못 쓰는 건 아닌데 아무래도 싱크로에 비해서는 덜 유용하여 미스트 데몬처럼 부담없이 나갈 수 있는 레벨 5 몬스터가 그렇게 많지는 않기 때문에 이 카드보다는 레벨이 다른 상호 호환 카드들이 더 낫다. 다만 영혼의 호송선이나 기타 사이버 지원 카드들의 등장으로 엑시즈 소환이 더 수월해졌다.
이 카드를 융합 소재로 하는 키메라테크 포트리스 드래곤/키메라테크 메가프리트 드래곤 때문에 간접적으로 모든 기계족 몬스터/엑스트라 몬스터 존에 대한 메타 카드가 된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고. 일단 기계족을 대량전개했거나 엑몹존에 중요한 몬스터가 있을때 상대가 난데없이 이 카드를 꺼냈다면 '''반드시 즉시 제거해버려야 한다.''' 그럴 수 없을 경우 망했어요라고 생각하면 된다(…) 물론 이 카드의 다양한 대용품들도 마찬가지. 클리포트는 대부분이 펜듈럼 몬스터라 융합 소재로 쓸 수 없으므로 안심해도 될 것 같지만, 아포클리포트 킬러를 쓸 생각이면 비 펜듈럼 몬스터라서 먹히기 때문에 경계해야 하는 것은 똑같다.
3. 관련 카드
사이버 드래곤(유희왕/카드군) 문서 참조.
4. 기타
이 카드는 일러스트가 2종류가 존재하는데, 하나는 새하얀 동체를 가지고 있지만 또 하나의 일러스트는 동체가 시커멓게 도장 되어서 사이버 다크가 생각나기도 하다. 2번째 카드가 발매될 무렵에 사용자인 마루후지 료가 타락해서 헬 카이저가 되었기 때문이다. 사이버 유파의 봉인된 카드 사이버 다크 드래곤을 털어가기 위해 듀얼할 때 지속함정 사이버 섀도우 가드너에 의해 복사된 사이버 드래곤의 모습이 원형이라는 설이 있다.
사이버 드래곤 궁극의 로망(니코동 아이디 필요)(유희왕 태그 포스 3)
후속 카드들의 효과와 스펙을 조절하는 기준이 되고 있기도 하다. 이 카드와 동일하거나 비슷한 효과를 지닌 몬스터들이 발매되고 있지만, 각각 단점들을 하나씩은 달고 나온다. 공격력이 절반이 된다거나, 특수 소환이 아닌 일반 소환이거나, 꺼낸 턴에 공격을 할 수 없다거나, 혼자 있을 때만 공격을 할 수 있다거나, 능력치가 아예 낮거나 하는 식. 그런 이 카드가 과거 등장 당시에는 하급 어태커들이 형성하고 있던 파워 라인을 무너뜨려버렸던 밸런스 브레이커라는 건 참 재미있는 일이다.
다만 시대가 흘러감에 따라 번개 선신이나 다이너레슬러 판크라톱스 등 단독으로 이 카드보다 소환도 쉽고 타점도 높은 카드들이 하나 둘씩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젠 사이버 드래곤의 범용 상급 어태커로서의 수명은 다 했다고 봐야 할 듯. 사실 현재의 사이버 드래곤도 '''간단한 특수소환'''을 집중하지, 어태커로서의 성능은 뒷전이다.
재록을 굉장히 많이 했지만 처음 나왔을 때 텍스트인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고, 자신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라는 텍스트로 유지되다 9기 이후 재록되었을 때 현행 텍스트로 바뀌었다.
DM시절 유명 몬스터 푸른 눈의 백룡에 이어, GX시절의 유명 몬스터로서 26번째 스트럭처 덱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의 테마로 당당히 선택되었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헬카이저 해금 이벤트가 열리면서 사이버 드래곤이 나오는가 했으나... 듀얼링크스의 환경 특성상 사기일거라 생각됐는지 헬카이저 레벨업 보상에도 대용품만 있고, 이벤트도 사이버 드래곤이 아닌 사이버 다크 시리즈를 풀어놨다. 이후로도 소식이 없다가 2019년 7월 신 부스터팩에서 사이버 트윈 드래곤과 함께 UR카드로 드디어 등장했다! 드디어 사이버 드래곤 덱을 만들 수 있게 되었지만 180장이나 하는 메인팩을 3번이나 돌려야 하고, 이미 사이버드래곤이 활약하기엔 파워 인플레이션이 많이 진행되어서 실전성보다는 로망을 보고 써야하는 카드가 되었다. 하지만 신규부스터팩에서 오버로드 퓨전, 사이버 드래곤 코어, 키메라테크 램패이지 드래곤, 사이버 마법/함정 중 일부 등이 풀리면서 단순 로망에서 3티어 덱까지 올라갔다.
5. 수록 팩 일람
다른 일러스트(1)로 되어 있는 것이 섀도우 버전 일러스트다.
6. 관련 문서
[1] 공교롭게도 공수 모두 푸른 눈의 백룡에서 900 포인트씩 뺀 수치다.[2] 처음 공격 했을 때는 불과 같은 브레스였고 두번째로 공격했을 땐 번개 브레스 같은 공격이었다. 이후로는 파란색 레이저 브레스와 같은 공격이 되었다.[3] 사이버드래곤처럼 패에서 특정 조건일 때 특소하는 몬스터들은 다량으로 있다. 이들 몬스터들은 보통 "~~ 일 때/경우 발동할 수 있다. 이 몬스터를 패에서 소환한다"식의 텍스트를 가지고 있다. 이런 경우 몬스터 효과를 패에서 발동하고 그 효과가 특수 소환이라 발동할 때 체인은 걸어 카운터를 칠 수 있다. 그러나 사이버 드래곤은 효과 발동없이 특수 소환 할 수 있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그래서 몬스터 효과가 아닌 률 효과로 분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