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

 

[image]
한국의 어촌 마을의 모습.
1. 소개
2. 어형
2.1. 한국어
2.2. 영어
3. 마을의 종류
3.1. 위치에 따른 분류
3.2. 형태에 따른 분류
3.3. 종사하는 산업에 따른 분류
3.4. 거주민의 혈연, 직업, 신분 등에 따른 분류
4. 마을을 나타내는 단어
4.1. 공식 행정구역
4.2. 비공식 행정구역
5. 문서가 존재하는 마을
5.1. 국내
5.2. 국외
5.4. 이름에 마을이 들어가지만 마을이 아닌 문서


1. 소개


고대부터 현대까지 있는 공동체집단의 군락이다.
마을은 특정한 입지 조건을 가진 곳에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모여 살기 시작하는 데서부터 형성되며, 계획을 세우고 조성한 것 없이 정말로 자연스레 생긴 마을들(주로 역사가 오래된 마을들이 많다)을 특별히 '자연마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현대에는 도시화가 진행되어 대도시 지역에서는 '마을'이라고 부를 만한 크기의 군락을 찾기 쉽지 않다. 한국에서는 신도시 개발시에 아파트 단지 구역을 'OO(주로 두 글자)마을'로 짓기도 하지만 대개 통용되는 '마을'과는 뜻이 약간 다르다.
동네와는 비슷하면서 다르다. 동네는 '자기가 사는 집의 근처'로 다소 인식적인 범위이다.
여행자들한테는 매우 중요한 휴게소 구실을 한다. 특히 도보여행이나 자전거 여행을 하는 경우, 수도권 지역을 벗어나서 한참 적적한 산골짜기나 허허벌판을 지나가다가 정말 작은 마을 하나가 보이고 작은 구멍가게라도 발견하면 정말 반갑지 않을 수가 없을 것이다. 주요 국도 인근 마을에서는 실제로 'OO휴게소'와 같은 간판을 걸고 운영하는 가게들이 간간히 보인다.청주 석소리 석소휴게소
과거에 지역 이동이 어렵던 시절에는 작은 마을에서는 이웃들이 죄다 멀고 가까운 친척 관계였다고 한다. 아예 부계 혈통으로 성씨가 같은 집성촌도 존재한다.
창작물에서는 폐쇄적이고 외부인을 배척하는 작은 사회로 그려지는 일이 많다. 또한 아직 도시화가 광범위하게 일어나지 않은 중세를 배경으로 하는 RPG에서는 마을을 중심으로 주인공의 일대기가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

2. 어형


한국어: 마을
일본어: 村(むら), 里(さと), 町(まち)
중국어: 村(cūn)
영어: Village[1], Town[2], '''City'''
독일어: Dorf

2.1. 한국어


석보상절에서는 'ᄆᆞᅀᆞᆯㅎ'로 확인된다. 첫 음절 이하 음절의 반치음이 상실되는 과정에 따라 '마을'로 변하였으며, 일부 방언에서 반치음이 ''으로 변한 형태가 '마실'로 남아있다. 이 단어는 표준어에서는 '마실 간다' (이웃으로 놀러간다)와 같은 표현으로 남아있다. 아래아 역시 첫 음절은 ''로, 두 번째 음절부터는 ''로 바뀌는 일반적인 변화를 겪었다. ㅎ말음 체언이기도 하였다.[3]
향가 모죽지랑가에서는 '巷(거리 항)[4]'이라는 한자를 사용하였는데 '마을'의 의미로 생각하는 해독자들도 있다. 말음 첨기가 되어있지 않아서 정확한 발음은 알 수 없지만 '마을'의 의미로 추측하는 경우 '골', 'ᄆᆞᅀᆞᆯㅎ'로 읽는 편이다.

2.2. 영어


village, town, '''city''' 등에 대응된다. city는 보통 도시라고 번역되지만 한국어의 도시와 영어의 city는 1대1로 대응되는 개념이 아니라서[5] 이런 깡촌 중의 깡촌도 city라고 일컫기도 한다.
위에서 소개된 사례처럼 깡촌중의 깡촌을 city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고, 반대로 town이 도시를 지칭하는 경우도 있었다. 18~19세기 영국에서 도시 내에 지어진 중산층을 위한 연립주택이나 귀족을 위한 저택을 town house라고 부른 것이 좋은 예. 이는 교외의 전원지역이나 시골의 소유지에 지어진 country house와 대비되는 명칭으로써 도시 주택을 의미했다.
더 극단적인 예시 중에는 안나 콤네나의 저작 알렉시아드처럼 당시 동로마와 유럽 굴지의 대도시였던 테살로니키를 town[6]으로 표기해 버리는 경우도 있을 정도. 즉, town 역시 인구밀집지역으로써 도시라는 뉘앙스를 분명히 가지는 표현이므로 한국어의 도시-마을 개념으로 이해하는 것은 다소 부적절한 경우도 있다.

3. 마을의 종류



3.1. 위치에 따른 분류


  • 야촌(野村) - 평야 지역에 형성된 마을.
  • 산촌(山村) - 산간 지역에 형성된 마을.
  • 진촌(津村) - 강변(주로 나루터)에 형성된 마을.
  • 사하촌(寺下村) - 절 주변에 있는 마을.
  • 광산촌 - 광산 주변에 형성된 마을. 광산의 경기에 따라 흥망이 좌우된다.
  • 관광촌 - 관광지 주변에 형성된 마을. 주민 대다수가 관광객들의 지출로 먹고 사는 마을.
  • 기지촌 - 군부대, 기지 주변에 형성된 마을.
  • 교촌(校村) - 향교, 학교, 대학 등 교육기관 주변에 형성된 마을.

3.2. 형태에 따른 분류


  • 집촌(集村) - 주택들이 밀집되어 있는 마을. 한국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마을 형태이다.
  • 산촌(散村) - 주택들이 흩어져 있는 마을. 주로 신개척지, 간척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 열촌(列村) - 주택들이 도로 혹은 강을 따라 줄지어 있는 마을. 도시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다.
  • 괴촌(塊村) - 주택들이 한데 뭉쳐 있는 마을. 시골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마을 한복판에 중심지를 두고 둥글게 형성된 마을을 환촌(環村)이라고도 한다.

3.3. 종사하는 산업에 따른 분류


  • 농촌(農村) - 주민 대다수가 농업에 종사하는 마을.
  • 어촌(漁村) - 주민 대다수가 어업에 종사하는 마을.

3.4. 거주민의 혈연, 직업, 신분 등에 따른 분류


  • 집성촌(集姓村) - 특정 성씨를 가진 사람들이 거주하는 마을.
  • 백정촌 - 백정 신분의 사람들이 모여 사는 마을.
  • 반촌(班村) - 양반 등 사족 신분의 사람들이 모여 사는 마을.
  • 부촌(富村)

4. 마을을 나타내는 단어


한국에서는 이러한 마을을 지칭하는 표현으로 순우리말로는 '-골', '-말' 등의 표현을, 한자로는 '-리(里)', '-동(洞)' 등의 표현을 사용해왔다. '-촌(村)'은 '산촌', '어촌' 등 마을의 속성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주로 쓰였고 특정 마을을 나타내는 표현으로는 '-리', '-동'에 비해 다소 적게 쓰였던 듯하다. 이를 보여주는 사례로 이웃 일본에서는 시정촌(市町村)으로 '촌(村)' 역시 행정구역으로 쓰이지만 한국에서는 이 글자가 행정구역으로는 쓰이지 않는다.

4.1. 공식 행정구역



4.2. 비공식 행정구역


  • 마을
  • 부락
  • 권역 : 지역 발전을 위해 몇 개의 마을을 묶어 편성한다. 주로 농어촌에 많다.
  • 푸에블로

5. 문서가 존재하는 마을



5.1. 국내



5.2. 국외


  • 배로우 : 세계에서 가장 북극점에 가까운 마을.
  • 오이먀콘 : 세계에서 가장 추운 마을.
  • 웰렌 : 유라시아 최동단 마을.
  • 휘티어 : 모든 주민이 아파트 한 동에 몰려살아서, 아파트 자체가 마을인 마을.

5.3. 가공의 마을


가공의 마을 문서 참고.

5.4. 이름에 마을이 들어가지만 마을이 아닌 문서



[1] 작은 마을[2] 비교적 큰 마을. 인근 지역의 중심지.[3] 이 변화는 ᄀᆞᅀᆞᆶ>가을로 변한 가을과 정확히 동일하다.[4] 이 글자는 지금도 중국에서 주소에 쓰이는 도로명으로 쓰인다[5] 한국어에서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도시 개념은 urban에 더 가깝다.[6] 알렉시아드 영역본 기준. 그리스어 원문은 찾아보고 올리겠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