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곡역

 


'''매곡역'''
청량리 방면
일 신
← 3.8 ㎞
중앙선
무궁화호

부전 방면
양 동
← 3.0 ㎞
태백선
무궁화호

동해 방면
양 동
3.0 ㎞ →
중앙선
누리로

안동 방면

'''다국어 표기'''
영어
Maegok
한자
梅谷
중국어
일본어
梅谷(メゴク
'''주소'''
경기도 양평군 양동면 매월리 1031
'''관리역 등급'''
무배치간이역
(원주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운영 기관'''
중앙선

'''개업일'''
중앙선
1968년 8월 28일
무궁화호
1984년 1월 1일

2020년 3월 2일
'''열차거리표'''
'''중앙선'''
매 곡
梅谷驛 / Maegok Station
[image]
신역사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구 역사
7. 양평군의 교통


1. 개요


중앙선의 철도역. 경기도 양평군 양동면 매월리 1031 소재. 중앙선을 경유하는 태백선 열차가 다닌다.

2. 역 정보


인근 양동역과의 지나친 역간거리로 인해 1968년 신설된 역이다. 원래는 신호장이었다가 현재 무배치간이역으로 승격한 상태이다.
중앙선 복선 전철화 사업으로 인해 역이 북동쪽으로 1㎞ 정도 통째로 이전되었다. 2021년 1월 기준으로 중앙선 복선화는 용문역을 지나 안동역까지 완공되어 있다.[1]
청량리역부전역을 운행하는 8시간 30분짜리 무궁화호중 1편성이 정차하는 역이기도 하다. 이외에도 일부 무궁화호열차가 정차하는 역이다.
이 역은 아예 역사가 없다. 바로 전 역인 일신역은 하부에 시설관리반 건물이라도 있지만, 이 역은 그것마저도 없다. 승강장 하부에 가건물로 지은 화장실이 전부다. 부본선 부지는 마련되어 있지만 텅 비어 있고 본선만 설치되어 있다. 이설 전에는 전형적인 시골 간이역 스타일의 자그마한 역사가 있었다.
무배치간이역이기 때문에 역에서 승차권을 발매할 수는 없으며, 열차를 잡아 타고 승무원에게 표를 발급받아야 한다.
대신 차내대용권으로 발권하면 코레일 회원의 이용실적 집계 대상에서 제외된다는 점은 알고 갈 것. 그냥 차내대용권 대신 코레일톡 어플을 이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2020년 9월 1일 기준으로 무궁화호/누리로가 상행 5회, 하행 4회 정차로 한때 덕소역보다 정차 열차가 많았으나[2] 2021년 KTX-이음 개통 이후로는 덕소역 정차 열차가 더 많아졌다.[3] 덕소역은 기본적으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16분에 한대꼴로 운행하지만, 매곡역 일대에 들어오는 버스라고는 하루 1번, 그것도 통학용이라 평일에만 다니기 때문이다.
이 역은 운행하는 기관사들 사이에서 말이 많은데 바로 앞이 절연구간이라 속도를 못낸다면 열차가 정지해버리는 불상사가 생길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양동역이 크고 시설이 잘 돼 있어서 이용객이 매우 적은 이 역에 대한 불만이 있다.

3. 역 주변 정보


구 매곡역은 매곡리에 있었지만 지금 매곡역은 매월리에 있다. 매월리와 매곡리의 경계선에 들어서 있어서 두 지역의 수요를 잡자고 했는데 두 마리 토끼를 잡기란 어려운 것. 역 주변 지역은 대부분이 절대농지인데다 양평군 전체가 상수원보호구역이라서 개발도 힘들다.

4. 일평균 이용객


매곡역을 이용하는 일반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무궁화호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17명
21명
18명
16명
27명
30명
33명
37명
41명
42명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37명
37명
36명
37명
31명
'''31명'''

5. 승강장


일신
2


1
양동
1
중앙선
태백선
영동선
무궁화호
원주·제천·부전·동해 방면
2
청량리·덕소·양평·용문 방면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나 대피선 부지가 마련되어있다. 역 자체가 성토식이 아닌 고가식인 관계로 대피선 부지의 노반까지는 닦여있다. 남춘천역과 같은 구조.

6. 구 역사


[image]
구역사
매월리 566-3.

7. 양평군의 교통




[1] 단, 단양~안동 구간은 아직은 '''복선 전제 단선'''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단양역이다.[2] 당시 상, 하행 각각 4회 운행[3] 덕소역은 상, 하행 각각 평일 7회, 주말 6회 정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