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어(언어)
1. 개요
閩語 / Bân Gú(민남어), Mìng Ngṳ̄(민동어).
중국어의 방언 중 하나로 오늘날의 푸젠 성~광둥 성 동부(차오저우 및 주변지역)~대만을 포괄하는 지역에 흩어져 있는 방언이다. 물론 말이 좋아 방언이고 관화(표준중국어)나 기타 중국어 방언과는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다.
'''푸젠어(福建語)'''라고도 하며, 사용자는 '''7000만 명''' 정도다. 중국어의 다른 방언들은 모두 중고한어 시절에 갈라져나왔는데, 민어는 특이하게도 이미 후한 말기에 상고한어로부터 먼저 갈라져나왔다. 따라서 음운에서 오래된 색채가 강하며 같은 방언 그룹 내에서도 방언차가 가장 크다. 그 때문에 민북·민남·민중·보선·민동의 다섯 가지로 쪼개 설명하기도 한다.[3] '''세계에 흩어져 있는 화교들의 상당수'''가 이 방언을 쓴다. 주요 방언지역으로는 푸저우, 샤먼, 타이완, 차오저우, 하이난 등이 유명하다.
다른 중국어 내 방언과는 상당히 차이가 있어, Swadesh list의 기본어휘 200개로 비교한 결과 북경어와 유사성이 49%로 50%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한다. 다른 방언과도 비교해보면 오어와는 51%, 광동어와는 55%, 객가어와도 58%로 꽤 차이가 있는 편.[4] 민어가 먼저 상고중국어에서 분화되고 그 후에 중고중국어에서 나머지 방언이 분화되었기 때문에, 어떤 방언과 비교해도 비슷한 정도의 차이가 있는 것이다.
2. 하위 방언
민어라고 하나의 카테고리로 묶이기는 하지만 어디까지나 학문적인 편의상 그렇게 구분하고 있는 것이며, 민어 아래에도 수많은 세부 방언이 존재한다. 그리고 대부분의 중국어 제방언과 마찬가지로, 각 세부방언끼리 의사소통이 거의 불가능한 경우도 많다. 심지어 문자를 배제한 음성 언어만의 대화에서는 다른 언어로 분류되는 스페인어-포르투갈어보다 상호 이해도가 떨어지기도 한다.
2.1. 민남어
閩南語 / Bân-lâm-gú. 가장 많이 알려진 민어 방언. 푸젠 성 남부와 대만 섬, 광동 성 동부 해안지역과 하이난 등의 지역에서 사용된다. 또한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의 화교들도 많이 사용하는 편이다.[5] 더 자세하게 구분해서 대만과 푸젠 성의 복건 방언(Hoklo), 광동 동부의 조주어(Teochow), 그리고 해남어 등으로 나누기도 한다.
- 복건 방언
민남어의 일종으로, 대만(중화민국)에서 표준중국어와 더불어 구어로 많이 쓰인다. 복건 방언이 대만으로 유입돼 형성된 방언으로, 복건 방언과 유사하여 서로 자연스럽게 소통할 수 있다.
- 조주어(潮州話)
복건 남서부 및 광동 동부의 차오저우에서 쓰이는 방언이다. 간혹 조주어를 민서어로 부르기도 한다.
- 해남어
海南語 / Hái-nâm-oe. 하이난 섬에서 쓰이는 방언으로, 민남어의 일파로 분류하기도 하고 독립된 방언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자음의 발음이 유기음-무기음 대립이 없고 베트남어처럼 내파음이 존재하는 등 다른 민남 방언들과 차이가 있는 편이라고 한다.
민남어의 로마자 표기법(병음)으로 백화자(白話字, POJ)가 유명하며 대만에서 압도적으로 많이 쓰인다. 현재 중화민국 교육부에서는 백화자를 개량한 대라병음(臺羅拼音·TL)을 대만 민남어의 공식 로마자 표기법으로 삼아서 대만 민남어 교과서 등에서 사용하고 있다.민남어를 사용한 유명한 인물로는 작가, 문학평론가인 린위탕(林語堂, 임어당) 및 건생중의의 의사 장순충(張順忠, 1952- )이 있다.
2.2. 민북어
閩北語 / Mâing-bă̤-ngṳ̌. 푸젠 성 서북부 산악 지대에서 쓰이는 방언이다.
2.3. 민동어
閩東語, Mìng-dĕ̤ng-ngṳ̄. 푸저우를 포함한 푸젠 성 동북부, 대만 롄장 현에서 사용한다. 대표적으로 푸저우 방언이 있다.
음운의 변동이 매우 심한 언어로, 이웃하는 음절에 따라 성모, 운모, 성조의 세 가지가 전부 바뀔 수 있다. 성모의 경우, 앞글자가 모음 혹은 /-ʔ/으로 끝나는 운모 뒤에서 연음화하고, 비음으로 끝나는 운모 뒤에서 비음화한다. 성조는 민남어와 마찬가지로 단어의 마지막 음절 빼고 전부 바뀌는데, 민남어와 다르게 앞 음절과 뒷 음절의 성조의 영향을 모두 받는다. 심지어 일부 방언은 마지막 음절까지 바뀌는 경우도 있다.
2.4. 민중어
閩中語. 푸젠 성 중부 산악 지대에서 쓰이는 방언이다.
2.5. 보선어
莆仙語(Pó-sing-gṳ̂). 흥화어(興化語)라고도 한다. 푸젠 성 중부의 푸톈('''莆'''田)과 셴여우('''仙'''游)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다. 현재 중화민국(대만)이 지배하고 있는 진먼 현의 우추(烏坵) 향에서도 사용되었으나 국민당 정권이 대만으로 옮겨간 이후 중국 대륙과의 교류가 장기간 끊기면서 대만 본토처럼 민남어권이 되었다.
[1] 민남어로 Bân Gú, 민동어로 Mìng Ngṳ̄ 정도의 발음으로 불린다.[2] 민남어에 한정해 Hoklo, Hokkien이라 하기도 한다. 福建(복건)에서 유래된 발음. 대부분의 서양 언어에서 Min Chinese 혹은 Hokkien, Hoklo에 해당하는 자국어 표현을 쓴다.[3] 민서는 없다. 푸젠 성 서부는 객가어권이기 때문. 다만 조주어가 민서어라고 불리기는 한다.[4] 비교하자면 영어와 독일어는 이 기준으로는 55%이고, 스페인어와 이탈리아어,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는 80%를 넘는다.[5] 유튜브에 들어가 보면 민남어를 쓰는 말레이시아 화교들의 동영상이 꽤 보인다.[6] 객가인들이 민남어 사용자들을 복로인(福佬人)이라 불렀는데 여기서 유래한 명칭이다.[7] 주로 샤먼 일대에서만 쓰이는데 장주어와 천주어가 혼합된 형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