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마사냥꾼(워크래프트 시리즈)

 


1. 개요
2.1. 기본 정보
2.2. 대사
2.3. 기술
2.3.1. 마나번/마나 연소
2.3.2. 이몰레이션/제물
2.3.3. 이베이전/회피
2.3.4. 메타몰포시스/탈태
2.4. 장점
2.5. 단점
2.6. 성능
2.7. 외형


1. 개요


워크래프트 시리즈의 악마사냥꾼(데몬 헌터)을 다루는 문서.

2. 워크래프트 3




[image]
'''악마사냥꾼'''
''Demon Hunter''

악마 사냥꾼은 나이트 엘프 사회에서 꺼리는 음침한 암흑의 전사로 혼돈의 세력과 싸울 것을 계약했습니다. 이 신비로운 전사들은 의식을 통해서 시력을 버리고 내적인 기의 시각을 발전시켜, 악마와 언데드를 더 잘 탐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들은 악마의 힘이 서려 있는 칼날을 휘두르며, 또한 악마의 힘을 이용한 능력들을 구사합니다. 나이트 엘프 사회에서 가장 강력한 전사들 중 하나이지만, 이기심을 버리고 암흑과 맺은 계약 때문에 종종 비난당하고 오해를 받습니다.
나이트 엘프 파수대영웅 유닛. 악마를 사냥하기 위해서 스스로 눈을 멀게 하고, 악마의 힘을 강령시키기까지 하는 처절한 자들. 캠페인 상에서는 일리단 스톰레이지만 등장한다.

2.1. 기본 정보


<colbgcolor=#44d7a8><colcolor=#197557> 생산비용
[image]425
[image]100
[image]5
<colbgcolor=#44d7a8><colcolor=#197557> 기본속성
민첩
<colbgcolor=#44d7a8><colcolor=#197557> 주간시야
1800
공격유형
영웅
레벨당
힘 상승치
2.4
야간시야
800
무기유형
일반
레벨당
민첩성 상승치
1.5
이동속도
빠름 (320)
방어유형
영웅
레벨당
지능 상승치
2.1
생산시간
55
공격속도
1.7
체력회복
항상
수송 칸
1
사정거리
근접
마나회복
0.01
생산 단축키
D
<rowcolor=#197557> 레벨
공격력
방어력

민첩
지능
체력
마나
1
23-45
4
19
21
16
575
240
2
24-46
5
21
22
18
625
270
3
26-48
5
23
24
20
675
300
4
27-49
6
26
25
22
750
330
5
29-51
6
28
27
24
800
360
6
30-52
6
31
28
26
875
390
7
32-54
7
33
30
28
925
420
8
33-55
7
35
31
30
975
450
9
35-57
8
38
33
32
1050
480
10
36-58
8
40
34
34
1100
510
<rowcolor=#197557> 영웅 이름
* 쉐도우송(Shadowsong) * 쉐도우퓨리(Shadowfury) * 쉐도우스토커(Shadowstalker) * 플레임시커(Flameseeker) * 다크위버(Darkweaver)[1] * 다크테러(Darkterror) * 다크소로우(Darksorrow) * 신드웰러(Sindweller)[2]{{{#!wiki style="display:inline-table;width:50%;" * 페인킬러(Painkiller) * 헬보운(Hellbourne) * 래스브링어(Wrathbringer) * 레이지러너(Ragerunner) * 파이어브랜드(Firebrand) * 블러드래스(Bloodwrath) * 테러블레이드(Terrorblade) * [3]
[1] 군단에서 제이스 다크위버가 악마사냥꾼 플레이어의 추종자로 등장한다.[2] 대격변 이후 악령숲에서 '페로나스 신드웰러'가 일리단 스톰레이지아서스 메네실이 등장하는 영상을 구경하는 연퀘를 준다. 이는 사실 워크래프트 3 오리지널 나이트 엘프 캠페인 중 일리단이 굴단의 해골을 손에 넣는 과정을 그렸던 '불꽃과 슬픔의 운명(A destiny of flame and sorrow)'을 구현해 놓은 것. 실제로 이 퀘스트 이름도 '불꽃과 슬픔의 운명' 그대로이며, 대사도 똑같다.[3] 워크래프트 3 한빛소프트 공식 한글패치에서 이러한 이름들이 들어갔다. 본래 황지우 시인의 시집 제목이다.

2.2. 대사


<color=#191919> '''유닛 대사'''


'''클래식''' (할란 호건)
'''리포지드'''
(남성: 김영찬, 여성: 김도영)
'''준비'''
At last, we shall have revenge.
마침내, 복수를 이루리라.
'''선택'''
The time has come.
때가 왔군.
We must act!
행동할 때다!
My blade thirsts!
내 칼이 피를 갈망한다!
Quickly!
서둘러라!
Command me.
지시를 내려라.
'''이동'''
Anu'dor anu'dor.
아누도르 아누도르.[4]
Though I be damned.
운명이 나를 짓밟을지라도.
Dorune'ka.
도루네카.
At last!
드디어!
Hmm...
흠...
'''공격'''
None shall survive.
누구도 살아남지 못해.
Your blood is mine.
네 피는 내 것이다.
Run for your life!
살고 싶다면 도망쳐라!
Revenge!
복수다!
'''영웅 공격'''
For Kalimdor!
칼림도어를 위하여!
'''반복 선택 (남성)'''
I shall fight fire, with fire.
불에는 불로 맞서리라.
Chaos boils in my veins.
내 안에 혼돈의 피가 날뛴다.
Demon blood is thicker than... regular... blood.
악마의 피는... 다른 피보다 진하겠지, 뭐.
I like my enemies dead and my blades flaming.
좋은 적은 죽은 적이고, 좋은 칼은 불타는 칼이다.
Seert neerg evol i!
다한아좋 를무나 른푸 는나.
You will perish in flames. (caughhack) ... Uh, sorry.
불길 속에서 사라져. 쿨럭쿨럭... 어, 실례.
Darkness called... but I was on the phone so I missed him. I tried to *69 Darkness but his machine picked up. I yelled "Pick up the phone Darkness," but he ignored me. Darkness must have been screening his calls.
어둠이 전화했지만, 내가 통화중이어서 못받았다. 바로 전화를 걸었는데 어둠의 자동응답기가 받더군. "전화를 받아, 어둠." 이라고 소리질렀지만, 녀석은 나를 무시했어. 어둠은 전화도 가려받나보더군.[5]
'''반복 선택 (여성)'''
I shall fight fire, with fire.
불에는 불로 맞서리라.
Chaos boils in my veins.
내 안에 혼돈의 피가 날뛴다.
If revenge leaves you cold, you and have a warm to begin with.
복수에 아무 감정도 일어나지 않는다면, 처음부터 냉혈한이겠지.
I don't suppose I'll gain more power if I tear my ears off, too.
여기서 귀를 뜯어낸다고 더 강해지지는 않겠지?
I was fighting with two blade before it was cool.
난 유행하기 전부터 쌍날검을 썼어.
Here's the plan. We set ourselves on fire backflip in and kill two Doomguards without touching the ground. After that, we fly into the air, Mana Burn and feast on the demon souls that waft it to our perch. Then, we post. Don't tell me you can't do a simple backflip.
계획을 알려주지. 우리 몸에 불을 붙이고, 뒤로 공중제비를 돌아 쳐들어가서, 땅에 닿기도 전에 파멸수호병 두 놈을 죽이는 거야. 그 다음엔 공중에 날아올라서 마나 연소로 다 태워버리고, 주위로 몰려드는 악마의 영혼들로 포식하는거지. 마지막으로는 자세를 잡고... 아니... 설마 뒤로 공중제비 못한다고 말하려는 건 아니겠지?[6]
'''반복 선택 (여성 탈태)'''
There is no darkness I cannot wield.
그 어떤 어둠이라도 내 힘의 원천일 뿐!
Call the weak and the world will be a lonely place.
나약한 놈들을 모두 도태시키면 이 세상은 참 적막해지겠지.
I gave up my sight to preserve the Kaldorei.
난 칼도레이를 지키려고 두 눈을 버렸다.
But it's nice I don't have to look at their coward little faces anymore.
사실... 그 생기다만 낯짝들을 더는 안 봐도 돼서 좋긴 하더군.
You are careless once you were short lived.
수명도 짧은 주제에 경거망동하는구나.
You don't control me. You have a limited license to use my abilities.
넌 날 부릴 수 없다. 내 기술을 사용하려면 아주 특별한 라이선스가 필요하거든.

2.3. 기술



2.3.1. 마나번/마나 연소


[image]
레벨
효과
1
대상 유닛의 마나를 최대 50만큼 태워버리고, 태운 마나만큼 피해를 줍니다.
쿨타임: '''7초'''
2
대상 유닛의 마나를 최대 100만큼 태워버리고, 태운 마나만큼 피해를 줍니다.
쿨타임: '''6초'''
3
대상 유닛의 마나를 최대 150만큼 태워버리고, 태운 마나만큼 피해를 줍니다.
쿨타임: '''5초'''
마나 소모량
50
사정거리
300
판정 지연 시간
0.25초
특징
마나 자체가 없는 유닛에겐 사용 불가.
설명
''악마 사냥꾼은 자신의 악마 에너지를 모아 마법의 번개를 날려 적의 마나를 태워 버립니다.''
마나를 태우면서 피해까지 입히는 데몬헌터의 핵심 스킬이다. 오리지널 초기 버전부터 악명 높던 밥줄 기술로 오리지날 때는 레벨당 100씩 증가해 3레벨까지 찍으면 최대 '''300'''의 마나&체력를 날려버렸다. 산왕죽기가 과거에 피통 많은 풋맨이나 구울로 불렸던 이유가 바로 마나번 때문이었다.
ROC 중반기에 마나 소모량이 75에서 50으로 줄어든 대신 마나 감소량도 레벨당 50으로 절반이나 깎였지만 프로즌 쓰론은 포션 사용 시 쿨타임이 돌아 마나 포션을 연속으로 빨지 못하므로 여전히 좋은 스킬. 현재도 힘영웅이나 마나 소모가 큰 스킬을 사용하는 영웅들한테 굉장히 위협적이며, 나름대로 영웅킬과 마나를 가진 크립 한정으로 스틸도 할 수 있지만 사거리가 짧다 보니 기회를 잘 노려야한다. 한국 시각으로 4월 11일 새벽에 이뤄진 1.29패치에서 마나 소모량이 50 >> 60으로 하향되었다...가 너무하다 생각했는지 1.31 패치로 다시 50으로 롤백됐다.
사용 시 팔을 번쩍 들어서 쏘는 데다 카메라 시점을 바꿔서 자세히 보면 '''고간'''에서 나간다. 이러한 이유로 '''암내번, 오줌번''' 등의 오명을 쓰기도 한다. 리포지드에서는 손을 내밀어 번개를 발사하는 정상적인 모습으로 변경.
여담으로 와우에서는 뜬금없이 사제의 스킬로 등장했었다. 아이콘도 동일. 원작과 달리 시전 시간이 너무 길고 원작과 달리 태운 마나의 절반 밖에 데미지를 주지 못해서 PVP 콘텐츠인 투기장에서 영혼의 절규나 아군의 메즈기를 맞은 적 힐러들을 상대로 썼을뿐 그 외에는 별볼일 없는 스킬이였으며, 현재는 삭제되고 악마사냥꾼의 PVP 스킬인 마나 균열 등으로 일부 계승되었다.

2.3.2. 이몰레이션/제물


[image]
레벨
효과
1
데몬 헌터가 불길에 휩싸여 주변에 초당 '''10'''의 피해를 줍니다.
2
데몬 헌터가 불길에 휩싸여 주변에 초당 '''15'''의 피해를 줍니다.
3
데몬 헌터가 불길에 휩싸여 주변에 초당 '''20'''의 피해를 줍니다.
마나 소모량
활성화 시 소모량: 35 / 초당 소모량: 7
효과 범위
160
쿨타임
0초(없음)
특징
활성화 시 마나 '''25'''는 즉시 사라지지만 '''10'''은 매 초마다 빠져나간다.
예를 들어 마나가 '''35'''일 때 활성화하면 남은 마나 '''10'''으로 '''2'''초 동안 피해를 준다.
설명
''악마 사냥꾼의 어둠의 힘으로 자기 주변에 불의 막을 형성하여 근접해 있는 적군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능력은 엄청난 집중력을 요하므로, 자주 사용하면 악마 사냥꾼의 힘이 고갈되어 버립니다.''
데몬헌터 주변에 지속적으로 피해를 입히는 광역 스킬. 일단 켜놓으면 마나가 있는 한 계속 지속되지만 민첩 영웅이 쓰기에는 마나 소모가 극심하고 범위도 좁은 데다가 중후반에 나오는 근접유닛들은 네 자릿수에 가까운 체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초반에 패멀을 견제 하는 용도 등으로 이득을 많이 보지 않으면 스킬 포인트 낭비에 문웰만 소모하게 되는 등 손해가 막심하다. 기계 유닛에겐 아무런 피해도 주지 못하는 것도 뼈아픈 요소. 이러한 이유로 우선 순위가 다른 스킬에 비해 떨어진다.
이런 애매한 성능 때문에 우선 순위가 다른 스킬에 비해 떨어지지만 계획적으로 쓰려는 시도가 몇년에 한번꼴로 나오기도 한다. 1 2 3 4 5 특히 초반 풋맨 및 구울 압박을 받았을 때나 역으로 압박을 할 때 쓰면 매우 쓸만하다.1 2 [7]3 3-1 4
프로게이머인 장재호가 매우 적극적으로 활용했었다.
히오스의 일리단에게는 스킬로 구현되어있는 대신에 W(휩쓸기) 스킬을 사용한 이후에 자동으로 시전되는 1렙 특성으로 구현되었다. 특성명도 제물(Immolation).
와우에서도 악마사냥꾼의 제물의 오라라는 기술로 이식되었다. 토글 형태면서 활성화시 마나를 소모하는 워3와 달리, 활성화시 10초동안 주위에 광역피해를 지속적으로 입히면서 전투 자원을 매초 마다 회복한다. 악마사냥꾼 등장 이전에는 흑마법사에게 있었다.

2.3.3. 이베이전/회피


[image]
레벨
효과
1
데몬 헌터가 10% 확률로 평타 공격을 회피합니다.
2
데몬 헌터가 20% 확률로 평타 공격을 회피합니다.
3
데몬 헌터가 30% 확률로 평타 공격을 회피합니다.
특징
1. 아군의 공격도 피해진다.
2. 글레이브 쓰로워 같은 공성병기의 공격은 회피할 수 없다.
3. 평타 자체가 광역이거나 스킬로 평타가 광역으로 변한다면 회피해도 광역 피해는 그대로 받는다.
설명
''이 능력으로 악마 사냥꾼이 적들의 공격을 회피할 수 있습니다. 매번 적들의 공격을 회피할 수는 없지만 상당히 뛰어난 방어술입니다.''
일정 확률로 평타 공격을 회피하는 패시브 기술로 데몬헌터의 생존률을 크게 높여준다. 주로 마나번 다음으로 찍지만 초반 타워링 등을 막을 때는 문웰 소모량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이 스킬부터 찍기도 한다. 특히 회피의 메커니즘이 조금 독특하여 공격 한 방 한 방에 회피 확률을 적용하는 것이 아닌 회피가 켜진 타이밍에 공격이 들어오면 몽땅 피하는 식이라 점사당해도 쉽게 안 죽는다.
사실 스킬 자체는 평범한 편이지만 데몬 자체가 능력치가 높은 데다 마나번으로 스킬도 억제시킬 수 있어 이로 인한 시너지로 인해 괜찮은 평가를 받는 스킬. 오리지널 시절에는 회피 확률이 너프당한 뒤 10/25/40%여서 지금보다 더 귀찮은 스킬이었고, 초창기엔 1렙부터 20%인데다 광역 평타도 무시했기에 맵에 따라 1렙에 회피부터 찍는 경우도 있었다.
외계인은 이걸 선스킬로 찍어서 데몬헌터의 1레벨 찌르기가 실패해 영 좋지 않은 상황에서 역전까지 해냈다. # youtube 윤덕만도 부두 라운지 압박을 방어할 때 1레벨에 이베이전을 찍고 막아낸 다음 교전 중 새퍼로 버로우 테러를 해서 역전승을 했다.# 2경기. 동영상이 뜨지 않는다면 새로고침을 하면 된다.
와우에서는 흐릿해지기라는 파멸 악마사냥꾼의 생존기로 이식되었다. 활성화시 10초동안 회피율이 상승하고 피해를 덜 받는다.

2.3.4. 메타몰포시스/탈태


[image]
레벨
효과
1
데몬헌터가 괴력의 악마로 변신하여 '''500'''의 추가 체력을 얻고 사거리 '''600'''의 카오스 타입 광역 평타 공격을 할 수 있게 됩니다.
┌ 광역 효과 범위 및 피해량
├ 효과 범위 '''1~50''': 평타 공격력의 '''100%'''에 해당하는 광역 피해.
├ 효과 범위 '''51~150''': 평타 공격력의 '''50%'''에 해당하는 광역 피해.
└ 효과 범위 '''151~250''': 평타 공격력의 '''25%'''에 해당하는 광역 피해.
쿨타임
180초
마나 소모량
150
변신 시간
1.5초
(변신이 해제될 때도 적용 및 중단 불가)
지속시간
45초
특징
1. 공격속도가 0.1초만큼 더 빨라진다.
2. 밤에 회복되는 초당 체력량이 추가로 0.5만큼 증가한다.
3. 변신 즉시 500의 체력이 회복되며, 회복된 체력은 변신 해제시에도 유지된다.[8]
4. 데몬헌터에게 오브 아이템이 없어도 대공 공격을 할 수 있다.
5. 변신 중에 데몬헌터가 죽게 되면 마나와 쿨다운만 날리게 된다.
6. 변신을 하거나 변신이 풀리는 1.5초 동안 데몬헌터를 조종할 수 없다.[9]
설명
''악마 사냥꾼 능력의 정점인 이 능력은 악마 사냥꾼을 일정 시간 동안 악마의 모습으로 변형시킵니다. 이 변형된 모습일 때에는 악마 사냥꾼은 지상과 공중의 적에게 화염구를 던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력의 회복 속도도 급속히 빨라집니다.''
데몬헌터가 강력한 악마로 변하는 궁극기. 일명 '''메타몽'''[10] 사냥만으로 6레벨까지 올릴 수 있던 ROC 시절 초창기에는 데몬헌터의 빠른 6레벨이 나엘의 정석으로 이 시기에는 물약 사용에 쿨타임이 없다 보니 물약을 잔뜩 사와 변신하면 꽤나 압박이었다. 갑자기 눈 앞의 영웅이 1천대에 육박하는 헤비급 몸빵을 지니고 오브 없이 지상/공중 다 공격하면서 모든 아머 타입에 100% 데미지를 주는 카오스 타입의 화염구를 원거리에서 날려대며 광역 피해까지 주니 상대 입장에선 욕이 저절로 튀어나올 수준.
그러다 프로즌 쓰론에서 사냥만으로 6레벨을 올리는 게 불가능해지고 운영과 컨트롤까지 발전하면서 이전보다 보기 힘들어졌으나 여전히 궁극기 중에서는 보기 쉬운 편이다. 데몬헌터는 우월한 능력치 덕분에 사냥속도가 빠른 데다 나이트 엘프 영웅이라 워사냥으로 초반부터 큰 지역을 잡을 수 있어 경험치를 쌓기도 쉽고 무엇보다 메타몰포시스는 데몬헌터가 6레벨이 되면 무조건 찍을 정도로 강력하기 때문. 특히 세컨으로 나가 씨를 뽑은 휴먼이 데몬이 6레벨 찍으면 그냥 GG치고 나가는 경우도 있을 정도였다.
이런 메타몽에 가장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법은 '''막강한 데미지로 데몬을 따거나 메타몽 풀릴때까지 상대하지 않는 것'''이다. 전자는 알타로 보내버리는건 좋지만 영킬하느라 스킬을 난사한 영웅의 화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남은 병력 상대하기가 난감해진다. 후자는 메타몽의 위력은 막강하지만 긴 쿨다운에 비해 지속시간은 짧은 편이라 변신했을 때는 도망치고 변신이 풀렸을 때만 싸워주면 6레벨 데몬헌터 상대로도 충분히 승기를 잡을 수 있다.
1.30패치에서 지속시간이 60초에서 45초로 감소하는 뼈아픈 타격을 받았다. 기존 1분에 비해 약 1/4이 깎여나간 셈이다.
밀리에서 볼일이 없지만 메타몽을 두번쓰면 다시 기본형태로 돌아오며 지속시간이 지난 후 데미지가 두 배로 뻥튀기 되는 버그가 있었다. 1.18 잠수함패치로 버그가 수정되었다.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는 '탈태'로 번역됐으며, 리치 왕의 분노부터 드레노어의 전쟁군주 때까지 흑마법사의 스킬로 존재했다. 이 때까진 워3의 원형과 거의 유사했는데, 군단에서 악마사냥꾼에게 넘어와서는 탱커인 복수 전문화는 디아블로 같은 모습으로, 딜러인 파멸 전문화는 일리단 같이 뿔과 날개가 자라나는 모습으로 바뀌었다.
워크래프트 3: 리포지드의 여자 악마사냥꾼은 한때 탈태하는 순간 초상화 대신 가슴(…)이 비춰지거나 남자(!!!) 탈태로 변하는 버그가 존재했다. 현재는 고쳐진 상태.

2.4. 장점


  • 뛰어난 스탯
블레이드 마스터의 라이벌이라고 불릴 정도로 스탯이 상당히 좋은데, 이동속도가 빠른 데다 이베이전의 효과를 극대화해주는 높은 체력을 가져 힘영웅이지만 힘고자인 드레와는 1레벨 기준 힘이 1, 만렙 기준 2밖에 차이가 나지 않으며 비 힘영웅 중 가장 높은 체력을 가진다. 주능력치인 민첩도 상당히 높아 평타 화력이 강하고 방어력까지 높다. 지능이 좀 낮지만 주로 사용하는 마나번은 마나 소모가 적고, 이베이전은 패시브 스킬이며, 이몰레이션은 잘 쓰이지 않으므로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덕분에 어떤 상황에서든 1인분 이상은 해주는 안정성을 보여준다.
  • 영웅 무력화에 뛰어난 마나번
워크래프트3는 영웅의 스킬 한 번에 게임의 승패가 갈릴 정도라 마나가 굉장히 중요한데 데몬헌터는 마나번으로 이 마나를 아예 태워버리므로 마나번만 잘 써도 상대 전력의 상당량을 깎아버리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 독보적으로 튼튼한 맷집
마나번으로 인해 스킬 사용이 거의 봉쇄되니 결국 순수히 평타로 때려 눕힐 수 밖에 없는데, 스탯이 좋은데다가 이베이전이 있어 이마저도 힘들다. 단순히 앞에서 맞아주는 역할만 따지면 그 어떤 영웅도 데몬헌터한테는 상대가 안 될 정도로 엄청나게 튼튼하다. 클러의 리쥬까지 받으면 차라리 다른 유닛을 점사하는 게 나을 거 같은 생각이 들 정도. 그렇다고 마냥 놔둘 수도 없는게 지속적으로 마나번을 쓰는데다가 평타 화력이 수준급인지라...
  • 1:1 한타 싸움에 최강급인 메타몰포시스
메타몰포시스는 1:1 힘싸움에서 판다렌 양조사의 스톰 어스 앤 파이어와 함께 거의 최강의 궁극기라고 불릴 정도로 강력한 스킬이다. 변신 시 추가되는 500의 체력은 안 그래도 단단한 데몬 헌터의 몸빵을 더욱 견고하게 만들어주며, 평타가 원거리 공격으로 변하면서 공격속도가 더 빨라지고 광역 피해까지 입히므로 다수의 적을 효과적으로 상대할 수 있으면서 공격 타입도 카오스로 변해 건물 테러에도 강력한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메타몰포시스 사용 시엔 오브 없이도 지상/공중 양면대응이 가능해져서 대공능력이 부족하다 생각될 경우 아쉬운 대로 메타몽을 투입할 수도 있다.

2.5. 단점


  • 순간 화력 스킬의 부재
데몬 헌터는 지속 화력은 강하지만 순간 화력은 매우 떨어지는 영웅이다. 마나번의 경우 피해량 자체가 높지 않은 데다 대상 유닛의 현재 마나량이 적으면 그만큼 피해량이 줄어들기까지하며, 이몰레이션의 경우 지속 피해를 입히는 스킬이라 순간 화력 자체가 안 나온다. 이 순간 화력 스킬의 부재로 인해 유닛 한 기 짤라먹는 것이 매우 중요한 워크래프트 3에서 데몬 헌터는 원하는 타이밍에 고급 유닛이나 영웅을 끔살시키는 게 상당히 어렵다.
  • 공격 스킬들의 짧은 사거리
스탯이 좋아 어쩔 수 없이 받게 된 패널티긴 하지만, 이몰레이션은 아예 붙어서 써야하고 마나번도 사거리가 짧다 보니 데몬헌터는 항상 스킬을 쓸 때 적의 공격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특히 휴먼전과 언데드전에서 거리조절을 잘못해서 배니쉬 + 볼트나 코일 + 노바를 먼저 맞으면 위에 적은 독보적인 맷집이라는 장점이 무색하게 반피 가까이 날아간다.
  • 특정 조건 하에서의 무력함
이 '특정 조건' 이 무엇이냐면, 맵에 마나 샘이 있거나 적 영웅이 마나를 회복하는 아이템 내지 최대 마나 보유량을 늘려주는 아이템을 많이 갖춘 것이다. 마나 번이 강력한 이유는 마나를 태워 스킬 사용 횟수를 줄이기 때문인데, 마나를 보충할 수단이 충분하다면 이야기가 달라지기 때문. 이렇게 되면 마나 소모량이 조금 줄어든 대신 위력이 크게 줄어든 데스 코일을 날리는 거나 마찬가지다.

2.6. 성능


민첩 중심의 영웅이며 스탯 배분은 블레이드 마스터와 함께 좋은 쪽으로 1, 2위를 다투는 영웅이다. 블레이드 마스터에 비해 민첩이 낮아 화력은 떨어지지만, 체력이 높고 이베이젼이 있기 때문에 탱킹능력은 앞선다. 또한 기본 공속(1.7)이 블마(1.77)보다 약간 빠르다. 메타몽을 켜면 전 영웅 1위인 1.6.
오리지널 시절에는 중립상점에서 포션을 무제한으로 판매한데다, 쿨타임 없이 사용할 수 있어 다량의 힐링포션을 구비한 데몬 헌터는 악명의 대상이었다. 하지만 확장팩에 들어서면서 중립상점에서 포션이 삭제되고, 2티어는 되어야 종족상점에서 힐링포션을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결정적으로 포션재사용 쿨타임이 생긴 관계로 대량의 힐링포션을 들고 선봉에 서는 데몬헌터의 모습은 급격히 사라져 가게 되었다. 확장 초반, 경기초반부터 포탈을 중립상점에 팔고, 스피드부츠와 노빌리티시클릿을 총 325원에 구매하는 진행방식도 있었으나, 이마저도 패치... 오리지널부터 꾸준히 너프되어 온 영웅이다.
레인 오브 카오스 말기와 확장팩 초기에는 계속 칼질을 맞아 결국 선영웅 자리를 내주었으며, 특히 확장팩 초기에는 장재호가 확립한 중립영웅 빌드에서 몸빵을 위해 선영웅으로 비스트 마스터를 뽑는 경우가 많았고 새로 등장한 워든도 강력해서 보기 힘들었다. 아닌게 아니라 진짜 취급이 현재의 숲의 수호자 급이었다.
그러나 중립 영웅에 너프가 가해지고 대처법이 개발되어 다시 선영웅으로 등극(?)하였다. 어떠한 종족을 상대할때도 유용하기 때문에 딱히 필살의 작전이 없으면 그냥 선영웅으로 뽑으면 될정도로 범용성이 높다. 특히 오나전에서 상대 선블마를 상대하는건 데몬 헌터 외엔 힘들다. 또한 선키퍼의 경우 떨어지는 키퍼의 성장성 및 영웅 저지력을 보충하기 위해 세컨데몬을 뽑아 2영웅으로 운영하기도 한다. 3렙이 찍히면 마나번으로 영웅의 마나를 태워버릴 수 있고 데몬이 나오면 데몬에게 사냥 경험치를 몰아주고 키퍼는 견제를 다니기 때문에 2영웅 체제에서 레벨이 빨리 올라 메타몽이 찍히는 경우도 적지 않게 나온다.
블레이드 마스터랑 같은 민첩 영웅에 비슷한 능력치와 강력한 평타 위주로 교전한다는 점은 같지만, 사용법은 많이 다르다. 오리지날 때 블마가 미러 이미지를 사용해 견제보다 사냥중심의 운영을 했을 때도 결국에는 블마는 크리티컬을 이용한 뎀딜의 강화, 데몬 헌터는 지속적인 마나번을 통한 영웅 무력화로 인해 미묘하게 달랐다.
확장팩으로 들어서서 이 미묘함은 상당하게 벌어졌다. 데몬헌터의 마나번이 너프를 당했지만 여러 상황이 겹쳐 여전히 스킬 위주의 영웅 무력화와 이베이전으로 몸빵을 담당, 블레이드 마스터는 오리지날과 달라진게 별로 없었지만 플레이어들의 수준 향상으로 인해 미러 이미지는 쓸모가 없어졌고, 윈드워크의 성능 향상(백스텝 데미지 추가)으로 몸빵에서 견제에 목숨거는 영웅으로 거듭났다. 데몬 헌터도 견제할 수는 있지만 블마처럼 대놓고 크립 스틸은 솔직히 말해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11] 게다가 블마의 경우는 윈드 워크로 몰래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수월하게 막타 스틸+아이템 스틸까지 노릴 수 있다.
은근히 서로 다르지만 오브를 들면 대공유닛 종결자인거는 둘 다 똑같다.[12]
4렙 블마와 5렙 데몬의 1:1 매치
아무튼 오리지널부터 여러모로 마운틴 킹과 쌍벽을 이루던 강력한 영웅 유닛. 메타몰포시스에 매직 이뮨이 안달려있다는 것이 사소한 흠이긴 하지만 안그래도 똥맷집인 메타몽이 매직 이뮨까지 되었다면 6렙 찍은 데몬 헌터를 눕히는 것이 거의 불가능에 가까워질거다.#
1.30패치에서 기본 스탯이 민첩22에서 21로 감소했다.

2.7. 외형


들고있는 검에 그려져있는 판다렌이 퍽 귀엽다. 데몬 헌터와 일리단의 판다 문양이 다른데, 일리단은 화내는 표정이고 일반 데몬헌터는 웃고 있다. 여러 일러스트들을 보면 판다렌 그림이 아니라 문양이 그려졌는데, 게임 내에서는 이스터 에그로 판다 문양이 들어갔다.
'''죽을 때 자기 검으로 할복한다.''' 죽을 때 두 번의 비명을 지르는데, 두 번째 비명이 자신의 배를 칼로 찌를 때의 소리다. 할복은 아니지만 이 비명 두번 지르기는 후속작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나엘 남캐가 이어받았다.
죽을 때 할복하는 것도 그렇고, 칼에 있는 팬더 문양을 봐도 왠지 샘와이즈 디디에가 디자인한 듯한 영웅이다.

3.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image]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선 악마 사냥꾼으로 번역되어 등장. 다만 유저가 선택할 수는 없는 직업이였으며, 대표적인 데몬 헌터 일리단 스톰레이지 외에도 로라무스 탈리페데스같은 몇몇 악마 사냥꾼이 NPC나 적으로 등장해왔다.
죽음의 기사가 등장하면서, 영웅 직업 구현을 원하는 유저들이 많지만, 죽음의 기사가 직업으로 구현하기 가능했던 이유는 강령술이란 다른 직업들에서 찾을 수 없는 독자적 영역이 있는 반면 블레이드 마스터는 도적전사로, 데몬 헌터도 기술이 흑마법사와 도적으로 분배 되어 있기에 어렵다고 추정됐었다.
그리고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여섯번째 확장팩인 군단에 와서야 비로소 얼라이언스호드 유저가 각각 나이트 엘프블러드 엘프로만 선택이 가능한,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 있어서 죽음의 기사 다음으로 두번째의 영웅 직업군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악마사냥꾼(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문서 참조.
악마사냥꾼이 와우에 등장하면서 탈태를 사용하던 악마 흑마법사는 탈태를 뺏겼다. 원래 탈태는 악마 사냥꾼 쪽이 원조인 만큼 악마사냥꾼 직업이 구현되지 않던 시기에 흑마법사에게 탈태를 비롯해 몇몇 기술들이 넘어갔던 것을 되찾아왔다고 보는 것이 옳다.
설정이 워크래프트 3때와 약간 달라졌지만 처절한 점은 비슷한데 이젠 엘프 중에서 군단의 끔찍한 힘을 손에 넣고 군단에 맞서려 한 탓에 소외되고 추방까지 됐다는 설정이 붙었다. 실제로도 겉모습도 기존의 데몬헌터보다는 일리단의 타락한 악마형태에 더 가깝다.

4.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잘 알려진 데몬 헌터 영웅인 일리단(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이 등장한다. 워3에서 친숙한 기술들을 대부분 들고나오며, 몇몇 성능은 게임에 맞게 변경되었다.

5. 하스스톤


2020년 불사조의 해에서 새 확장팩과 함께 하스스톤 사상 첫 신규 직업으로 추가되었다.

[4] 남성 버전은 영어와 한국어 모두 아누도르를 너무 빨리 말하는 바람에 '하나둘 하나둘'로 들린다.[5] '''어둠''' 관련 농담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조.[6] 모두 와우의 악마사냥꾼이 사용하는 기술이다.[7] youtube[8] 예를 들면 체력 500/1000에서 변신시 1000/1500이 되며, 변신 해제시 1000/1000이 된다.[9] 예를 들어 이동 중에 변신이 해제되면 다른 명령을 내려도 1.5초 동안 계속 이동만 한다.[10] 포켓몬스터의 메타몽과 메타모포시스의 어원은 Meta(이후)-morph(모양)으로 동일하다.[11] 가능한 상황중 주로 나오는건 오우거 위자드를 마나번의 사거리를 이용해 스틸하는것으로 특히 블마가 단독으로 오우거 위자드를 빼먹으려 시도하는것을 데몬이 발견한 경우에 제일 큰 효과를 볼 수 있다.[12] 오크 라이트닝 오브는 확률로 터지는 퍼지를 통해 기동성이 좋은 공중 유닛을 강제로 이동 명령을 취소시키고 그 자리에 계속 쳐맞게 하고, 베놈 오브는 무시무시한 독 데미지로 한대씩만 톡톡 쳐줘도 천천히 피를 많이 빼버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