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공항

 


'''원주공항
Wonju Airport / 原州空港'''


'''공항코드'''
IATA
'''WJU'''
ICAO
'''RKNW'''
K-Site
'''K-46'''
'''주소'''
강원도 횡성군 횡성읍 횡성로 38 (곡교리)
'''개항'''
1997년 2월
'''활주로'''
주 활주로
'''03/21'''
'''소유기관'''

'''운영기관'''


'''이미지'''
[image] [1]
'''홈페이지'''
'''원주공항 공식 홈페이지'''
1. 개요
2. 역사
3. 운항 현황
4. 특이점
5. 운항 노선
6. 주요 시설
6.1. 주기장/활주로
6.2. 편의시설
6.3. 항공사 카운터
7. 교통
7.1. 자가용/택시
7.2. 시내/시외버스
8. 기타

[clearfix]

1. 개요


강원도 횡성군 횡성읍 곡교리에 있는 공항이다. 대한민국 공군 제8전투비행단과 활주로를 공유하고 있다. 공항 청사는 횡성군 땅에 있지만 가운데에 시군 경계선이 지나 활주로는 원주시 소초면 둔둔리 및 의관리에 있다.[2]
공식 명칭은 '''원주(횡성)공항'''이고 보통 '''원주공항'''으로 불리지만, 제8전투비행단 출신 예비역이나 횡성 지역 주민은 '''횡성공항'''으로도 부른다. 현재 국내공항 중 '''규모가 가장 작고, 운항편수도 적다.'''[3][4]

2. 역사


원래는 육군에서 관리하였으며, 원주군(원성군)에 활주로가 있었지만 위치가 횡성 읍내에 가까워 횡성비행장으로 명명되고 K-46이라는 K-Site도 붙었다. 1975년 10월 대한민국 공군 제8전투비행단의 소속으로 바뀌었다. 1993년 1월부터 민항기 취항을 추진하여 1996년 12월 청사를 완공하였고, 1997년 2월 28일 개항하여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영동고속도로 확장 및 광주원주고속도로, KTX-이음의 개통으로 더 이상 의미는 없어졌으나, 당시에는 무려 서울행 노선도 계획중이었다.
개항과 동시에 대한항공포커 100 기종을 김해, MD-82 기종을 제주 노선에 투입하여 취항했다. 하지만 저조한 취항률로 인하여 제주 노선은 취항 1년 반만인 1998년 8월 중단되었고, 원주공항은 당분간 김해 노선만 취항하게 된다. 사실 김해 노선의 초기 탑승률은 60% 대로 썩 좋다고 할만한 수준은 아니지만, 두 지역을 이동하려면 워낙 교통이 애매했기에 원주공항의 유일한 노선으로 한동안 계속 유지되어 왔는데...
그러나 이 또한 그리 오래가지 못했으니... 그것은 바로 2001년 12월 중앙고속도로 마지막 구간 제천에서 풍기를 연결하는 구간(죽령터널)이 개통하여 결국 김해 노선도 예상대로 망한 것. 탑승률이 40% 대로 저조했지만 신기하게도 중앙고속도로의 완전 개통 이후 7개월이나 더 버티다가 결국 2002년 7월 대한항공은 철수를 선언하고 김해 노선을 중단했다.
결국 원주공항은 개항 5년 만에 취항노선이 모두 사라져 파리 날리는 신세로 떨어졌고, 역시 중앙고속도로의 영향을 받은 예천공항과 함께 역사 속으로 사라질 것처럼 보였다. 심지어 공항 폐쇄 논의까지 나왔으니...
그러나 보다 못한 강원도원주시 등 지자체 및 지역 시민단체 등에서 공항을 존속시키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추진되었고, 결국 운항 중단 약 4년만인 2002년 10월 제주 노선이 복항. 하지만 복항한 제주노선도 초기에는 저조한 탑승률로 인하여 큰 어려움을 겪었는데 지자체에서 발 벗고 나서서 홍보 및 공항이용 캠페인을 벌이고 또 항공사와 협상을 통해 일정 탑승률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지자체에서 손실분을 항공사에 보장해 준다는 협상을 벌이는 등 여러 가지 노력으로 탑승률이 8~90%까지 올라가는 기염을 토해내게 된다. 이러한 노력이 있었음에도, 2010년 국내 공항 이용객 순위는 양양국제공항 다음 자리인 '''뒤에서 2위'''였다.[5] 2019년 2월에 플라이강원대한항공을 대신해 노선을 운항할 계획을 세워서 국토부에 다시 한번 면허 신청을 했다. 기사 면허가 발급되었는데 원주공항에 대한 자료가 없다.자료 뉴스에서는 2020년에 취항계획이 있지만 국토교통부에 제출한 자료에는 없다.
개항부터 지금까지 원주공항에 취항하는 항공사는 대한항공이 유일했다. 대한항공은 B737-800을 투입하여 매일 하루 왕복 1편을 운항했었다. 과거에는 시간대가 제주에 16시 넘어서 도착하는 스케줄이었기 때문에 관광을 하기에 애매한 시간이라 스케줄을 좀 앞당겨 달라는 요구도 있었다. 시간이 계속 당겨져 2018년 에는 12시 20분 원주 도착, 13시 20분에 제주 출발 스케줄을 운용했다.
2019년에는 개항 이후 최초로 하계 스케줄(3.31~10.26) 부터 월·수·금·일에 오전출발 1회(원주 08:50出)가 증편되어 주당 총 11회 운항했다. 기사 원주공항 도착 후 레이오버(lay-over) 스케줄로 운용했다. 기존 12시 20분에 도착하는 편(KE1852)과, 13시 20분 제주로 출발하는 편(KE1851)은 B737계열 항공기를 투입했으며, 오전 8시 50분 원주 출발인 KE1853과 복편인(19시 10분) KE1854는 A220-300을 투입했다. 또 토, 일, 월의 경우 전편 A220으로 운항하기도 했다.
하지만 대한항공 측에서 2019년 동계스케쥴부터는 겨울철 안전 문제 등을 이유로 오전에 원주에서 출발하고 오후에 제주에서 돌아올 수 있었던 증편 운항을 중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2019년 8월부터 강원도와 원주시에서 대한항공에 증편 운항을 가을과 겨울철까지 연장할 것을 요청했지만 항공사 측은 수요 증가를 인정하면서도 이를 거절했다. 그 이유는 원주공항에서 오전에 제주로 출발하는 노선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하루 전날 항공기가 원주공항에서 계류해야 하는데 겨울철 기체를 녹일 수 있는 시설(제방빙장)이 원주공항에 없었기 때문이다. 더욱이 원주공항 증편 운항의 내년 재개 여부는 불투명한 실정이라서 이용객들의 불편이 클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링크
대한항공이 운항했던 원주 - 제주 노선은 1회 탑승에 적립되는 마일리지가 282마일로, 국내선에서 가장 많은 마일리지를 적립할 수 있는 노선이었다. 반대로 말해 '''국내선 노선 중 공시가 기준 가장 비싼 운임'''을 받는 노선이었다는 말. 어느 정도냐 하면, 왕복 기준으로 평일 18만원선에서 주말 22만원 사이다. 이는 국내 저가 항공사의 '''인천 - 오사카 왕복 요금과 맞먹는 운임'''이다. 그런데 국제선인 부산 - 후쿠오카는 133마일이다. 다만 이게 국제선이라 정상가로 비교하면 더 비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용객이 많았다! 원주 시내에서 다른 공항인 김포, 양양, 청주로 가려면, 자가용으로 달려도 공항까지 2시간이나 걸리기 때문이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으로 인해 2020년 2월부터 장기간 휴업상태에 들어갔는데, 결국 2020년 10월부로 대한항공은 철수하고 대신 진에어가 제주노선을 운항하게 되었다.기사,기사

3. 운항 현황


원주공항에서 운항하는 노선은 제주 노선이 유일하다.
지금까지는 제주 노선을 대한항공만 단독으로 취항했었지만, 2020년 초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으로 인해 2020년 2월부터 운항을 잠정 중단하였다가 결국 2020년 10월부로 원주공항에서 철수를 결정하였다. 대신 자매사인 진에어가 취항했다(진에어 홈페이지에서 10월 8일 비행편부터 예매할 수 있다).
매일 하루 두 번씩 운항하며, 편명은 원주 출발편은 LJ431(12:30-13:40), 433(18:00-19:10), 원주 도착편은 LJ432(10:40-11:50), 434(16:00-17:10)이다.

4. 특이점


원주공항은 국내 공항 중에서 굉장히 특이한 타이틀을 두 가지 가지고 있다. 우선 첫째로 공항청사에 정식 명칭이 원주공항 단독표기가 아닌 원주(횡성)공항으로 표기되어 있는 것. 사실 개항 당시에는 '원주공항'으로 명칭을 정하였으나 도중 횡성군에서 '공항 청사는 횡성에 위치하는데 왜 이름이 원주공항이냐'라며 항의하였고, 결국 협상 끝에 정식명칭으로 '원주(횡성)공항'을 사용하기로 일단락된 것이다. 마치 기차역에서 부역명을 쓰는 것과 비슷한 이치이다.
두번째로는 과장하여 얘기하자면, '''공항이 아니라 버스터미널이다. 즉 터미널이 비행장에 없다.'''
이는 원주공항의 태생적 한계이자, 가장 큰 보안리스크 이기도 하다.
원주공항에서 여객기를 타기 위해 원주공항 터미널 건물에 도착해서 진에어 항공수속 후 출발 게이트로 들어가게 되면, 공항 활주로나 공항시설이 있는 것이 아니라 버스터미널이 위치하고 있다. 거기에서 신분확인, 보안검사 후 진에어에서 제공하는 버스를 타고[6] 공항터미널 건물 앞 '''일반도로를 나갔다가 여객기가 주기하고 있는 계류장까지 1.7km를 이동하게 된다.''' 거리는 사실 문제는 아닌데, 이 이동이 보안구역인 공항 내부 도로가 아닌 보안구역 밖의 비보안구역인 일반도로로 이동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버스는 일반도로를 운행하기 위해서 '''70가 1000'''과 같은 형태의 일반 번호판을 부여받아서 운행하고 있다. 버스로 공항청사를 나온 뒤 도로 건너편에있는 지방도로로 들어가 달리다가 보안구역인 공군기지 부대 통문 통과 후 들어간 뒤에 조금 더 가서 공항공사 주기장 통문을 통과하면 비로소 계류장과 여객기가 보이고, 여객기로 이동해서 탑승하게 된다.[7] 이것 때문인지 탑승 마감시간이 출발 15분전으로 나와있다.
물론 전세계 모든 공항이 버스나 도보로 이동해서 탑승하기도 한다.[8] 그러나 보통 그러하더라도 보안검사 이후 보안구역 내부에서 도보나 버스로 이동을 하는게 기본이다. 그리고 만약 보안구역 밖으로 나온 경우엔 다시 보안검사를 한뒤 보안구역 내로 이동하게 되어있다. 그러나 원주공항의 경우 출발 게이트로 가서 보안검사 후 보안구역에서 버스를 탑승한 다음, 버스가 공항 터미널 안 보안구역과 비보안구역인 일반도로를 구분하는 철문을 통해 비보안구역인 일반도로로 나가 잠깐동안 주행한 뒤, 공군기지 입국에서의 간략한 출입검사를 거치기만 하고, 추가 보안검사 없이 보안구역인 공군기지로 들어가게 된다. 이 때문에 일반도로에서 보안검사가 완료된 승객들을 일시적으로 비보안구역인 외부에 노출시키게 된다.
이 때문에 승객과 화물 보안검색이 공항터미널에서 이미 진행이 되었다고 해도, 비보안구역인 일반도로를 거쳐서 공군기지로 이동하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나쁜 마음을 먹은 승객이나 직원이 일반도로상에서 비검색물품의 반입 혹은 불법 물품반출이 가능할 수도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보안 등 여러가지 문제로 인해 횡성군에 있는 여객터미널을 효율성을 빌미로 '''활주로가 있는 원주 공군부대 내로 이전'''한다는 설이 있긴 하다. 링크 사실무근 8전비 위치가 활주로 빼고 주변이 전부 산으로 둘러싸인 골때리는 지형이고, 원주에서 3~4분 거리 차이 때문에 5번 국도 바로 옆 + 횡성읍하고 가깝다는 장점을 포기하면서까지 여객터미널을 이전해봐야 이익도 별로 없다.
활주로는 구글지도 이외에선 보이지도 않는다. (군부대)
상술했다시피 이 곳은 공군 비행장을 이용하는 군사공항이다. 버스 이동중이나 항공기 지상 이동중에 군사 시설물을 볼 수 있지만, '''사진 촬영을 절대 하지 말자.''' 만약 장병이 민항기를 이용할 경우, 이 짓을 하면 보안 위반으로 최소 군기교육대 또는 영창을 갈 수 있다. [9]

5. 운항 노선


'''항공사'''
'''국가'''
'''편명'''
'''목적지'''
진에어
[image]
LJ
제주
대한항공의 원주-제주구간은 보통 B737계열이었다가 2019년 이후에는 A220이 들어오기 시작했다. (738이 들어올 때도 있고 739가 들어올 때도 있었다). 스카이팀 특별도장이 종종 나타나기도 했었다(대략 일주일에 한 번 꼴로 스카이팀 특별도장 B737-8B5에 탑승했었다).
한때 일 1회 항공편을 2회로 증편해서 운항했었지만, 겨울철 안전 문제 등을 이유로 오전에 원주에서 출발하고 오후에 제주에서 돌아올 수 있었던 증편 운항을 중단한 적이 있다.
원주공항 홈페이지에 있는 운항스케줄을 보면 진에어가 하루 2번씩 제주 노선을 왕복운항하는 것으로 게시가 되어 있으며, 대한항공은 10월부로 원주공항에서 철수하였다. 이렇게 대한항공은 여수공항, 포항공항에 이어 원주공항에서도 철수했다.

6. 주요 시설



6.1. 주기장/활주로


'''1대'''의 여객기만 주기 할 수 있다. 제주에서 온 여객기가 도착하면 승객 탑승 버스와 수하물 차량이 공항청사로 들어온 다음, 제주로 떠날 승객 탑승 버스와 수하물 차량이 주기장으로 간다. 청사에는 게이트가 딱 1개있고 여기를 통해 바로 버스에 탑승한다. 주기장에 공항청사는 없으므로 당연히 탑승교없이 계단을 이용해 항공기에 탑승한다.
길이 2,740m 폭 45m 활주로 1본이 설치되어 있다. 5번 국도를 타고 가다 보면 공항이 나오는데, 주변 지형이 죄다 산으로 둘러싸여 있는 관계로 원활한 전파수신 각도가 안 나오기 때문에 계기착륙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정밀접근레이더인 PAR(Precision Approach Rader)접근을 통해 착륙하고 있다.[10] 게다가 강하각도가 3.6도 정도로 높은 편에 속해서 착륙하기 까다로운 공항 중 하나에 속한다.

6.2. 편의시설


하루 2편밖에 항공편이 없는데 당연히 '''기대하면 안된다.''' 스낵과 커피를 판매하는 스낵바 한개뿐이다. 공항 오기 전에 식사를 미리 하고 오거나, 간식을 미리 챙겨오는 것이 좋다.
번호
시설명

구역
유형
상세유형
위치
1
델리스카이스넥
1층
일반
입점업체
카페
왼쪽
2
안내카운터
1층
일반
공공시설
기타

3
진에어
1층
일반
입점업체
항공사 서비스
중앙

6.3. 항공사 카운터


'''도착'''
진에어
'''출발'''
진에어 셀프 체크인 기계 2대가 있다.

7. 교통



7.1. 자가용/택시


자가용을 이용할 때에는 영동고속도로를 이용해 원주IC로 나와 5번 국도 원주IC삼거리에서 횡성 방면으로 좌회전한 뒤, 원주공항 방면으로 우회전하여 공항으로 진입하면 된다. 중앙고속도로횡성IC에서 5번 국도를 타고 원주방면으로 가다보면 있다. 주차장에 135대를 주차할 수 있기 때문에 하루 1편뿐인 항공기 운항 상황에 대해 여유로운 편이다. 게다가 하루 이용료가 5천원뿐으로 저렴하다!
원주에서 택시타고 가기에는 약간 부담스러운 편이다. 2만원이상 나온다고 생각하면 된다. 반면에 횡성읍은 가까워서 나쁘지 않다.
'''자가용''' (원주횡성공항 주차장 이용시)
'''주차장 기본요금'''
60분 까지 500원
'''주차장 추가요금'''
60분 초과 10분당 200원씩
'''하루 주차요금'''
5,000원
'''강원 횡성군 택시'''
'''일반택시'''
기본요금 2,800원(2km)
추가(병산제) 100원(40초)/200원(152m)
할증 20%(야간/시외)
유료도로 이용료 승객 부담

7.2. 시내/시외버스




[image]'''강원 원주시 시내버스'''
노선번호
기점
중간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2
관설동종점
단구초등학교, '''원주중학교''', '''중앙시장''', '''원주역''', 북원중, '''공항'''
삼일광장
8~30분
2-1
관설동종점
단구초등학교, '''치악체육관''', '''시외.고속터미널''', '''단계새마을금고''', 북원중, '''공항'''
삼일광장
30~35분
[image] '''강원 횡성군 농어촌버스'''
노선번호
기점
중간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10
횡성시외버스터미널
만세공원.삼일광장 → 횡성여고 → 공항 → 횡성여고 → 만세공원.삼일광장 → 횡성농협 → 횡성향교 → 횡성역 → 횡성향교 → 이안아파트.횡성경찰서 → 횡성읍사무소 → 북천로터리 → 북천리마을회관 → 실내체육관(서측) → 대동여중 → 만세공원.삼일광장 → 횡성여고
횡성시외버스터미널
3회/일
시내버스는 2번2-1번, 10번이 원주공항을 경유한다. 2번 버스 배차는 조밀한 편이라서 공항오기에 큰 어려움이 없다. 10번은 하루 3회로 오고 가기에 불편이 있다.
춘천과 원주를 오가는 완행 시외버스가 원주공항을 경유한다. 배차시간은 약 30분이며, 춘천행 버스는 횡성, 공근, 홍천, 북방, 동산, 국립춘천병원을 경유하고, 원주행은 바로 원주시외버스터미널로 간다.

8. 기타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이 개최되는 평창군과 가까워서 기대치가 높았으나, 주기장 주기능력이 보잉 737 1대가 최대이고 최근 강릉선 KTX 개통으로 매우 힘들 듯 싶었고 현실이 되었다. 만약 동계올림픽 관련으로 공항을 활용할 예정이었다면, 오래 전에 원주공항을 확장하였겠지만, 오히려 인천공항을 2터미널로 확장하였고, 국제선이 있는 양양국제공항을 활용[11]하거나 인천공항 KTX 운행횟수를 경강선에 올인[12]한 걸 보면 원주공항은 올림픽 특수고 뭐고 못 누렸다고 보면 된다. 더욱이 공군부대와 함께 이용하는 공항이다 보니 확장은 물론 보안관련으로 더더욱 어려울 예정이었기 때문에.. 당연한 수순이다.
상기했듯 이 공항의 청사는 원주시가 아니라 횡성군에 있다. 가끔 이름 때문에 혼동하는 경우가 있다.
오션월드와 가장 가까운 공항이다. 원주공항에서 오션월드까지는 차로 1시간 밖에 걸리지 않는다고 한다.

[1] 리모델링 전 청사. 규모가 정말 작다.....[2] 여객 터미널과 주기장은 상당히 떨어져 있다. 소초면 쪽에서 5번 국도 타고 가면 볼 수 있다.[3] 군산공항도 비수기엔 운항편수가 일 2회로 원주공항과 같지만, 성수기에는 4회이고, 사천공항도 평일 일 2-3회, 주말에는 일 4회이므로 원주보다는 운항횟수가 많다. 원주공항은 비,성수기에 상관없이 일 2회 고정이다.[4] 원주는 군공용 공항중에서도 규모가 가장 작은 공항이기도 하다. 추가로 순수 민간공항중 규모가 가장 작은 공항은 울산공항이다.[5] 아무리 탑승률이 높아도 하루 1편만 운항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한계점. 무엇보다 이곳은 군용 시설을 마주보고 있으니....[6] 대한항공이 철수전에 사용했던 대한항공 소속 버스를 이용한다. 진에어가 대한항공 자회사여서 딱히 문제는 없어 보인다.[7] 이 때문에 이착륙 중의 여객기 내외부와 버스로 공항에서 여객기까지 이동중에 버스 내외부의 촬영이 금지되어 있다.[8] 탑승교는 항공사에서 요청하는 경우에 한정한다.[9] 동영상 촬영은 가능하다. 다만 터미널 주기장을 제외한 군사보안시설 및 구역은 모자이크 처리, 또는 화면을 삭제 후 허가를 받은 다음 유투브 등에 업로드 해도 문제없다. 그래도 불안하면 아예 하지 말자.[10] 물론 설치가 안 된 것 보다는 좋겠지만 ILS는 글라이드 슬롭의 전파유도를 통해 안정된 하강각이 나오는 반면, PAR은 관제사가 레이더 스코프에 나온 항공기의 강하각 및 위치와 속도를 파악하며 쉴새없이 조종사에게 교신으로 유도를 하기 때문에 명백한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관제사와 조종사의 숙련도가 어느정도 있어야 하며, 악천후에는 운영의 한계가 있다.[11] 올림픽 참가 선수단이 북한 마식령 스키장으로 이동할 때 양양국제공항을 이용하였다.[12] 평창동계올림픽 기간엔 경강선 KTX를 제외한 그 외 지역에는 KTX가 인천공항역까지 운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앞으로도 쭈우욱 운행 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