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중대
[image]
사진의 출처는 네이버 영화.
9 рота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9. komppania (핀란드어)
9 rota (스웨덴어)
The 9th Company (영어)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을 소재로 한 러시아의 전쟁 영화.[1] 2005년에 만들어져서 한국에서는 배급사 스펀지의 수입, 배급으로 2007년 9월 13일에 CGV의 무비 꼴라주 관등에서 개봉했다.[2] 감독은 표도르 본다르추크.[3]
아프가니스탄 전쟁에 파병되는 러시아 젊은이들의 이야기를 시작으로, 평범한 청년들이 군인으로 훈련받고, 전쟁에 휩쓸려 겪는 이야기를 그렸다. 초반부에는 우즈베키스탄의 신병훈련소에서 교관 디갈로 상급준위 [4] 밑에서 처절하게 구르다가 중반부부터는 주인공이 아프가니스탄에 파병되고, 제9중대에 배속받는 얘기로 옮겨간다.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풀 메탈 재킷과 구조적으로 비슷한 면이 있다. 거의 대부분의 중대원들이 전사하고 죽기살기로 고지를 지켜 보급로를 확보하라는 작전을 완수하지만 연대장은 철수하라는 무전을 받지 못했냐고 묻고 자신도 너무 기가 막히고 안타까웠는지 겨우 살아남은 주인공을 안아주려고 한다. 그러나 주인공은 그런 연대장을 뿌리치고 전사한 동료들을 생각하며 흐느낀다.
그런 성과도 의미도 없는 전투의 반복에 질린 소련은 아프간에서 철수한다. 소련군이 아프간 철군 후 2년 뒤 자신들이 그토록 사랑하고 충성했던 조국 소련이 붕괴되고 훈장과 명예도 무용지물이 되고 그들의 삶은 비참해졌다는 것을 주인공이 언급하며 영화는 끝난다.
'3234 고지'의 실화를 소재로 했다. 극적 효과를 위해 픽션을 가미한 듯하다.[5]
평가는 사람에 따라 호불호가 갈리는 편이다. 리얼리티 면에서는 나쁘지 않은 편이다. 밀덕이라면 환호… 할지도 모르겠다. 특기할 만한 것은 무자헤딘들을 공포에 떨게 한 러시아인의 헬기[6][7] , BM-21.
사족으로 최후반부 장면에 보면 고지를 공격하는 무자헤딘에 특이한 차림을한 사람이 섞여있는 장면이 나온다.[8] 이는 무자헤딘을 비밀리에 지원한 CIA의 요원을 암시한다는 해석이 있다. 혹은 그저 감독이 '아프가니스탄 전쟁의 배후로서의 미국'을 형상화 한 인물이라는 말도 있다.
다만 미국의 개입이 아니라 단지 외부에서 들어온 무자헤딘 계열을 나타내는 거라 보는 시각도 있는데 당시 무자헤딘 중에는 외국인, 국제 무장 단체들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었다.(가장 유명한 사람은 사우디 출신 오사마 빈 라덴), 대부분 남아시아나 아랍 출신이며 파키스탄인이 가장 많았다. [9]
중대원 중 쿠르바쉬라는 부랴트/몽골 계통으로 추정되는 동양인 의무병도 눈에 띄는 비중을 차지한다.[10]
여담으로 한국에 대한 언급도 등장하는데 "내가 한국놈이냐 개새끼를 먹게?" 라고 잡담하는 모 소련 병사의 개드립이 있다.
같은 전쟁을 다루고 있는 <람보 3>와 이 영화를 연달아 보고 나면 굉장히 기분이 묘해진다.
동명의 게임도 있다(…). 2009년 12월 출시. 영화를 기반으로 한 듯 하다. 스팀에서 9.99달러에 팔고 있긴 하지만 스크린샷 등으로 비교해보면 동년 발매된 게임들에 비해 그래픽은 좀 떨어지는 편.
영화에 대한 영문판 위키백과 문서
3234 고지 전투에 대한 영문판 위키백과 문서
사진의 출처는 네이버 영화.
1. 개요
9 рота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9. komppania (핀란드어)
9 rota (스웨덴어)
The 9th Company (영어)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을 소재로 한 러시아의 전쟁 영화.[1] 2005년에 만들어져서 한국에서는 배급사 스펀지의 수입, 배급으로 2007년 9월 13일에 CGV의 무비 꼴라주 관등에서 개봉했다.[2] 감독은 표도르 본다르추크.[3]
아프가니스탄 전쟁에 파병되는 러시아 젊은이들의 이야기를 시작으로, 평범한 청년들이 군인으로 훈련받고, 전쟁에 휩쓸려 겪는 이야기를 그렸다. 초반부에는 우즈베키스탄의 신병훈련소에서 교관 디갈로 상급준위 [4] 밑에서 처절하게 구르다가 중반부부터는 주인공이 아프가니스탄에 파병되고, 제9중대에 배속받는 얘기로 옮겨간다.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풀 메탈 재킷과 구조적으로 비슷한 면이 있다. 거의 대부분의 중대원들이 전사하고 죽기살기로 고지를 지켜 보급로를 확보하라는 작전을 완수하지만 연대장은 철수하라는 무전을 받지 못했냐고 묻고 자신도 너무 기가 막히고 안타까웠는지 겨우 살아남은 주인공을 안아주려고 한다. 그러나 주인공은 그런 연대장을 뿌리치고 전사한 동료들을 생각하며 흐느낀다.
그런 성과도 의미도 없는 전투의 반복에 질린 소련은 아프간에서 철수한다. 소련군이 아프간 철군 후 2년 뒤 자신들이 그토록 사랑하고 충성했던 조국 소련이 붕괴되고 훈장과 명예도 무용지물이 되고 그들의 삶은 비참해졌다는 것을 주인공이 언급하며 영화는 끝난다.
'3234 고지'의 실화를 소재로 했다. 극적 효과를 위해 픽션을 가미한 듯하다.[5]
평가는 사람에 따라 호불호가 갈리는 편이다. 리얼리티 면에서는 나쁘지 않은 편이다. 밀덕이라면 환호… 할지도 모르겠다. 특기할 만한 것은 무자헤딘들을 공포에 떨게 한 러시아인의 헬기[6][7] , BM-21.
사족으로 최후반부 장면에 보면 고지를 공격하는 무자헤딘에 특이한 차림을한 사람이 섞여있는 장면이 나온다.[8] 이는 무자헤딘을 비밀리에 지원한 CIA의 요원을 암시한다는 해석이 있다. 혹은 그저 감독이 '아프가니스탄 전쟁의 배후로서의 미국'을 형상화 한 인물이라는 말도 있다.
다만 미국의 개입이 아니라 단지 외부에서 들어온 무자헤딘 계열을 나타내는 거라 보는 시각도 있는데 당시 무자헤딘 중에는 외국인, 국제 무장 단체들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었다.(가장 유명한 사람은 사우디 출신 오사마 빈 라덴), 대부분 남아시아나 아랍 출신이며 파키스탄인이 가장 많았다. [9]
중대원 중 쿠르바쉬라는 부랴트/몽골 계통으로 추정되는 동양인 의무병도 눈에 띄는 비중을 차지한다.[10]
여담으로 한국에 대한 언급도 등장하는데 "내가 한국놈이냐 개새끼를 먹게?" 라고 잡담하는 모 소련 병사의 개드립이 있다.
같은 전쟁을 다루고 있는 <람보 3>와 이 영화를 연달아 보고 나면 굉장히 기분이 묘해진다.
동명의 게임도 있다(…). 2009년 12월 출시. 영화를 기반으로 한 듯 하다. 스팀에서 9.99달러에 팔고 있긴 하지만 스크린샷 등으로 비교해보면 동년 발매된 게임들에 비해 그래픽은 좀 떨어지는 편.
2. 등장인물
- 바라비(Владимир Варобьёв «Воробей» - 아르투르 스몰랴니노프) : 원래 교생이였다가 징집된 인물로 영화 초반에 이 인물을 집중적으로 포커스를 잡기 때문에 많은 관객들이 이 작품의 주인공이라고 착각하는 인물. 양심적이고 순박한 인물인데다 고문관이지만 고된 훈련에 적응해가며 중대의 구멍에서 한 사람의 중대원으로 거듭난다. 그러나 아프가니스탄 전장에 배치된 이후에도 무자헤딘을 추격하려고 동굴에 들어갔는데 동굴 밖에 총을 놓고 오는 등 어리버리 한 모습을 보인다. 마지막 무자헤딘의 대공세 앞에서 수세에 몰리는데 상황이 중과부적인 와중에 스스로 수류탄 안전핀을 뽑고 무자헤딘들과 함께 장렬하게 산화한다. 참고로 바라비는 "작은 새"라는 뜻의 별명이다.
- 류타예프(Олег Лютаев «Лютый» - 알렉세이 차도프) : 얼굴이 길쭉하고 덧니가 나 교활하게 생긴 인물. 소련에 약혼녀가 있으며 이 작품의 "진주인공" 이다. 자신의 머리카락을 바리깡으로 밀면서 자신은 외출할 날이 얼마 안 남았다며 약올리는 이발병(парикмахер - 알렉산드르 쿠체롄코)을 한대 후려치고는 앞머리를 바리깡으로 밀어버리는 등 사고뭉치스러운 모습을 보여준다.[11] 다소 사나워 보이는 인상과는 달리 순박한 성향의 인물이며 무자헤딘과의 마지막 전투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병사이다. 전투가 끝난 후, 연대장이 철수 명령을 듣지 못하였냐며 타박하였을 때, 먼저 떠나간 전우들을 생각하며 자신의 펜던트(부적) 줄을 끊고[12] 고통스러워하면서 통곡한다.
- 추가이노프(Чугайнов «Чугун» - 이반 코코린) : 결혼한지 하루만에 징집된 인물. 바라비와의 첫 만남은 영 좋지 않았는데 바라비가 여자친구 올랴(Оля - 스베틀라나 이바노바)와 만나는 장면을 보고나서는 "바깥놈들이 너가 뺑이치는 동안 올랴를 잘 보살펴 줄거다..." "올랴가 널 기다려 줄까?"같은 신경을 돋구는 막말을 퍼부었기 때문. 훈련소에서는 자기자신만 편지를 못받자 심술이 나자 바라비의 편지를 빼았고 놀리다가 결국 분노한 바라비에게 피떡이 되도록 두들겨 맞는다. 이후 마지막 전투에서 바라비가 두 다리에 총상을 입어 고립되자 바라비를 구출하기 위해 무리해서 PKM 기관총을 들고 사격하다 무자헤딘의 반격에 전사한다.
- 죠콘다(Руслан Петровский «Джоконда» - 콘스탄틴 크류코프) : 화가였다가 징집된 인물. 신병교육대에서 디갈로 상사의 얼굴을 그린 적도 있다. 사격 훈련에서 우수한 사격실력을 보여준 덕분인지 지정사수로 배치된다.[13] 다른 중대원들이 AK-74나 AKS-74U를 휴대할 때 그는 SVD를 휴대하고 다닌다. 아프가니스탄에 배치받고 나서 무자헤딘 기관총 사수를 헤드샷으로 사살하는 등 활약을 보이지만 마지막 전투가 발생하기 직전 아프가니스탄의 산맥을 그리다가 대규모의 무자헤딘이 다가온 것을 알아차리고는 다급하게 소리쳐서 알리지만 무자헤딘에게 헤드샷을 맞고 사망한다. 장갑차에 데산트를 했을 때 사주 경계를 않고 그림을 그리려고 하거나, 지뢰탐지 임무 중 지뢰를 제대로 보지 않고 지나칠 뻔 하고, 성냥을 구하려 너무 오래 부대에서 벗어나[14] 사라지는 등 은근 고문관 기질도 보인다.
- 스타쉬(Сергей Стасенко «Стас» - 아르툠 미할코프) : 소련에 부인과 3명의 딸이 있는 인물. 호송로에서 보급트럭들(Урал-375Д Ural-375)과 BMP-1 • BRDM-2 • BTR-60 장갑차, T-62 전차들을 습격하고 튀는 무자헤딘을 뒤쫓아 무자헤딘 본거지(아지트)이 있는 마을로 들어서서 수색을 할 때, 소년 무자헤딘이 쏜 AK-47(AKM)에 맞아 사망한다.[15]
- 디갈로 상급준위(Александр Дыгало - 미하일 포례첸코프) : 풀 메탈 자켓의 하트먼 상사와 판박이인 인물. 입소한 훈병들에게 곧바로 욕설과 폭력을 휘두르고 가혹한 훈련을 시킨다는 점, 그러나 개인의 능력을 출중하다는 점 등 여러모로 하트먼과 닮았다. 이미 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한 경험이 있으며 전투 중에 크게 다쳐서 얼굴에 흉측한 상처가 있다.[16] 사실 매우 심각한 PTSD 환자이며 그 때문에 갑자기 PTSD가 도져 훈병들을 정말 아무 이유 없이 폭행하면서 엄폐하라고 시키거나 자신을 숨겨달라고 하는 등의 증세를 보인다. 9중대원들과 함께 아프간에 배치되고 싶어했으나 PTSD 증세 때문에 전장 배치를 거절당하고 중대원들과 헤어지게 된다.[17] 류티에프의 독백에서 툴라로 전출되고나서 1년도 안되어 야간행군 중 뇌졸중으로 사망했다고 나온다.
- 비스트로프 대위(Быстров «Кохраман» - 알렉세이 크라프첸코) : 제9중대의 지휘관. 중대원들 중 유일하게 선글라스를 끼고 있는지라 눈에 띈다. 수송대를 습격한 무자헤딘과의 전투에서 기관총에 피격되어 전사한다.
- 코콜 준위(Сергей Погребняк «Хохол») : 본다르추크 감독 본인이 연기했다. 주인공 일행이 아프가니스탄으로 자대배치 받고 만난 인물로 소대의 선임하사로 보인다. 대머리에 뚱뚱한 체격으로 전투 감각도 뛰어나고 실력도 출중한 역전의 용사. 그러나 디갈로와 같이 폭력적으로 부하들을 다스린다는 점은 마이너스 요소.[18] 마지막 전투에서 고군분투하였으나 결국 장렬하게 전사하고 만다.
- 마돈나(«Белоснежка» - 이리나 라흐마노바) : 이 영화에서 거의 유일한 여성 주조연 캐릭터. 마돈나는 별명으로 본명은 등장하지 않는다. 훈련소 영내에 살고 있는 행보관의 딸이며 가끔 훈병들과 은밀한 곳에서 집단 밀회를 한다. 꽤 수위높은 노출씬[20] 이 있는데 엉뚱하게도 여성단체에서는 이 장면이 윤간이라고 비판한 적이 있다(...) 해당 장면에서 죠콘다가 마돈나를 찬양하며 내뱉는 대사와 마돈나의 표정연기로 볼 때 이는 명백한 억측이다.
- 아흐메트(Ahmet Ахмет - 마라트 구디예프) : 무자헤딘. 밤에 소련군 진지 건너편 산등성이에서 소련군에게 야유를 한다[21] . 나중에 혼자 나와있던 바라비 앞에서 마주치지만 총을 놓고 있었기에 뒷걸음질 치며 빠져나가려고 했다. 그런데 실수로 돌조각을 밟고 넘어지게 되고 잔뜩 긴장해 있던 바라비의 AK-74 소총에 맞아 사망한다. 나중에 찾아온 선임병 중 한명이 F-1 수류탄 안전핀 뽑고 그의 시체 밑에 깔아 놓아 부비트랩으로 삼았다.[22]
3. 참조
영화에 대한 영문판 위키백과 문서
3234 고지 전투에 대한 영문판 위키백과 문서
[1] 우크라이나와 핀란드랑 합작한 것이다.[2] 부산 국제 영화제 제10회(2005년도) 상영작이기도 하다.[3] 영화 <전쟁과 평화>의 감독인 세르게인 본다르추크의 아들.[4] 이 분은 하트먼 중사보다 더하다는 평이 있다.[5] 고르바초프가 아프가니스탄 평화협정에 조인한 것이 88년 4월이다. 근데 3234 고지의 9중대가 공격받은 건 88년 1월 7일이다. 즉 1988년 1월 당시 소련군은 엄연히 아프간에서 전쟁 중인 상황으로, 영화 마지막 부분의 퇴각명령을 못 듣고 남아있었다는 건 사실이 아니다.(다만 퇴각이라고 표현한 것이 아프간 전쟁의 종결로 인한 모든 소련부대의 철군이 아닌 전술적인 차원에서의 퇴각이라면 틀린말은 아닐 수도 있다.)또한 영화에서는 서너 명만 남고 다 죽은 것처럼 서술했는데 실제로는 전사 6명 포함 사상자가 다수 발생하긴 했으나 전멸하지는 않았다.[6] 분량은 적지만 비중은 상당히 크다. <람보> 시리즈와는 달리, 이 영화에서는 실제 기체가 출연한다.[7] 참고로 여기의 하인드는 우리가 흔히 아는 회전식 포탑의 하인드와는 다른 고정 30미리 기관포 장착형인 Mi-24p 형이다.[8] 선글라스를 쓴 남자다. 옷은 무자헤딘과 비슷하지만 선글라스라는 점에서 꽤나 튀고, 보통의 단역 무자헤딘에 비해 비중이 많다. 장면에서 중앙을 차지하는 점도 있고…. [9] 이 밖에도 소련에 속해있는 중앙아시아 지역이나 캅카스에서 들어온 세력들도 있었는데 특히 체첸, 다게스탄 등 출신들은 소련이 해체하기 전 소련군에서 복무한 사람도 다수 있어서 제대로 된 군사훈련을 받았으며, 소련군 복무 경험이 있어서 소련군의 전술을 잘 알고 있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를 바탕으로 활약상이 상당했다.[10] 아마두 마마다코프. 참고로 이 배우는 영화 "즈베즈다"에도 출연하였다.[11] 이발병은 장교를 대리고 와서 류티예프를 고발하지만 그 장교는 류타예프일행이 아프간 파병대 지원자라며 사태를 덮어버린다...[12] 이 펜던트는 류타예프와 동향이던 전역병이 공군기지에서 선물로 넘겨준 것이다. 자신은 이것 때문에 살아남았다며 같은 고향 출신인 류티예프에게 주었는데, 이 장면 직후에 이륙하던 An-12 수송기가 무자헤딘의 스팅어 지대공미사일에 피격되어 폭살당하고 만다.[13] 디갈로 상급준위가 "이전에 사격을 해본 경험이 있는가?" 라고 묻자 "화가이기 때문에 정확한 눈을 가지고 있습니다." 라고 말한다.[14] 물론 이건 선임은 코콜이 성냥을 구해오라고 하는 바람에 그렇게 된 거지만..[15] 사실 스타쉬는 소년 무자헤딘을 죽일 기회가 있었다. 그러나 '설마 저 어린 소년이 무자헤딘이겠냐'는 안이한 생각에 변을 당했다.[16] 이 때문에 드조콘다에게 자신의 초상화를 그려달라고 할 때 상처를 그리지 말라고 부탁한다.[17] 이 장면에서 난데없이 붉은 꽃밭에 앉아 흐느끼는 디갈로 상사가 나오는데 정신분열 증세를 이미지화한 장면이다.[18] 사실 소련군도 그렇고 지금에 이르기까지 러시아군은 내무 부조리가 상당한 편이다. 오히려 코콜은 구타를 하는 모습이 거의 나오지 않는다. 그나마 있는 것도 바라비가 경계근무 도중 잠들어 버린 것 때문에 구타한 게 전부.(당연하지만 전시에 경계태세 소홀을 엄청난 문제다!) 오히려 죠콘다가 장갑차 위에서 사주경계를 하지 않고 그림을 그리려고 딴청을 피울때 사주경계를 제대로 하라고 알려주거나, 마찬가지로 죠콘다가 지뢰탐지 임무를 제대로 하지 않았을 때 꾸중하는 정도가 전부다.[19] 전쟁 영화 즈베즈다에서 출연했다.[20] 집단적으로 그 짓을 하긴 하지만 난교를 하진 않는다.[21] 사실 선임병이 경계 근무 도중 수상한 사람들을 목격하는데, 그들은 고개에서 수송대를 습격한 무자헤딘 소속 사람들이다. 선임병들이 좋은 것을 보여주겠다고 바라비 일행들을 끌어들여 1PN58(НСПУМ) 야시장비 장비 단 AK-74 • AKS-74U • NSV 중기관총, RPG-18을 무장한 채 예의주시할 때 그들 중에 아흐메트를 조우한다. 그러더니 "아흐메트, 너 이자식 아직도 살아있냐?"라고 하면서 욕을 퍼붓는다. 그들한테 습격당해 문책을 받아서 감정 있는 듯하다(다른 부대도 당해서 엄청나게 악명이 높다). 러시아어를 알아들어서 바로 이런식으로 화답한다.[22] 엄현히 제네바 협약 위반 사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