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훈

 


[image]
[image]
조지훈, 박목월, 박두진
조지훈
이름
조지훈(趙芝薰)
본명
조동탁(趙東卓)
본관
한양 조씨
출생
1920년 12월 3일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영양
사망
1968년 5월 17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학력
경성 혜화전문학교[1] 졸업
1. 개요
2. 활동 내역
3. 작품


1. 개요


지훈의 뜻은 芝(지초 지) -풀꽃 지 라고도 하며 들판에 일반적으로 자생하는 풀들을 지칭한다.薰(훈할 훈) - 향기로운 훈 이라고도 하며 지훈이라는 이름 뜻은 특정한 꽃이나 나무의 향기가 아니라 인위적이지 않은 자연의 향기 즉 들판을 거닐다 느낄수 있는 풀향 정도로 해석할수 있다.
1920년 12월 3일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주곡리 주실마을[2]#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조동탁(趙東卓). 본관은 한양(漢陽).[3] 동국대학교의 전신인 혜화 전문 학교를 졸업했고 1939년 <문장(文章)>지의 추천을 받아서 '고풍의상(古風衣裳)'이라는 시로 등단했다. 그 외의 작품으로는 승무(僧舞), 봉황수(鳳凰愁) 등이 있다. 또한 1947년부터 사망시까지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고려대학교교가와 '호상비문'을 지었으며, 이 호상비문에서 따온 민족의 아리아라는 곡이 매우 유명하다.

2. 활동 내역


1946년 박목월, 박두진과 시집 <청록집(靑鹿集)>을 간행하여 청록파라고 불리게 되었다. 격동하는 한국 현대사를 민족 주체의 위기로 보고 민족 주체 의식의 확립의 중요성을 주장했다. 그래서 민족 전통을 연구하고 그것을 시로 써냈다. 그는 어릴 적부터 서당 교육을 받았고 검정고시를 쳐서 혜화전문학교(현 동국대학교)에 합격했으므로 일제식 교육을 일절 받지 않았다.
1941년 혜화전문학교를 졸업하고 1947년부터 사망시까지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였다.
'지조론'이라는 수필을 통해 이승만 정권 및 정치인들의 지조없음을 꾸짖은 전례가 있을 정도로 대쪽같은 인물이었다. 후배 문인 중엔 대선배인 서정주보다 그를 존경하는 사람들이 많았다고. 이승만 정부와 박정희 정부에 비판적이었다. 이승만 정권 때는 민권 수호 국민 총연맹, 공명 선거 추진 위원회 등에 적극 참여했다. 김수영이 현실에 적극적으로 참여적이었다면 조지훈은 그 반대로 세속적인 이해와 타협을 거부했다. 말하자면 과거 조선 시대의 선비 정신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지조를 지키기란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자기의 신념에 어긋날 때면 목숨을 걸어 항거하여 타협하지 않고 부정과 불의한 권력 앞에는 최저의 생활, 최악의 곤욕을 무릅쓸 각오가 없으면 섣불리 지조를 입에 담아서는 안 된다.

지조론 중에서

그는 과거 같은 민족을 탄압했던 친일 세력이 광복이 되자 미국에 달라붙어 친미 세력으로 변신하는 모습을 혐오했고 그 중심에 있던 이승만의 자유당을 뒤엎어버리고 싶어했다. 그래서 4.19 혁명 때 앞장서서 학생 운동을 지지했고 학생이 앞장서 혁명의 선두가 되기를 요청했고 4.19 이후 권력 공백기간 쿠데타로 권력을 잡은 박정희 정권에 처음에는 우호적인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자신의 정치 세력이 없던 박정희가 같은 일본 군인 출신들과 친일 자유당 인물들을 주축으로 공화당을 만들고 결정적으로 한일협정을 추진하기 시작한 이후부터는 극명하게 비판적인 태도로 돌아섰다.

오늘의 대학생은 무엇을 자임하는가? 학문에의 침잠을 방패 삼아 이 참혹한 민족적 현실에 눈감으려는 경향은 없는가? (중략) 오늘의 대학생은 무엇을 자임하여야 할 것인가? 다시 한 번 우리는 민족의 지사, 구국의 투사로서 자임해야 할 시기가 왔다.”

-조지훈이 고대 신문에 기고한 「오늘의 대학생은 무엇을 자임하는가」중에서

다만 정치적 성향 자체는 진보가 아니라 정통적인 보수라는 평가가 대부분이다.[4] 신경림 시인에 의하면 생전의 지론이 '부도덕하고 경박한 진보주의자보다 도덕적이고 성실한 보수주의자가 역사에 더 많이 기여한다.'는 것이었다고 한다. 그 외에도 정부와 대립하면서 강경하게 나가는 진보적 문인들에게도 한 소리 했다는 말도 있다. 종합적으로 개인적 정치 성향은 보수적이지만 그럼에도 당시 정권들은 도저히 인정할 수 없었던 그정도의 입장이라고 볼 수 있다. 사실 조지훈 자신부터 명문가 출신인 데다가[5] 한의학자 겸 제헌 국회 의원으로서 정치가였던 부친 조헌영6.25 전쟁 때 납북되고, 조부 조인석은 6.25 전쟁 때 좌익 청년들이 자신을 모욕하고 집안에서 난리를 치자 그 수치감에 자살해버렸기 때문이다.[6]그리고 조지훈의 아들 조태열외교부 차관을 역임하고 주UN 대한민국 대표부 대사로 재임하기도 했다.
그런데 이런 이미지와는 달리, 야사 중에는 매우 해괴한 장난을 쳤다는 이야기도 있다. 도시전설들인 '교수의 독특한 시험문제' 중 '시험지를 날려서 멀리 날아가는 순서에 맞춰서 채점하기' 방식을 쓴 사람 중에 조지훈도 있다는 이야기가 있다.
아나키스트 독립 운동가인 박열과 약간 접점이 있다. 박열의 대역 사건 재판 당시 박열이 입은 조선 관복(사모관대)을 제공한 사람이 바로 조지훈의 아버지인 조헌영. 조지훈 본인도 '나의 시작(詩作) 노트'라는 수필에서 '박열이 입었던 관복을 집에서 어린 시절 직접 본 적이 있다.'고 회고하였다.
바둑의 급수에 빗대어 술꾼의 등급을 매긴 주도 18단이란 글이 유명하다.
1968년 5월 17일 고혈압으로 토혈한 후 입원했으며 기관지 확장증 합병증으로 인해 49세의 젊은 나이에 생을 마감했다.

3. 작품


  • 풀잎 단장
  • 파초우
  • 주도 18단
  • 승무: 이 시에서 등장한 '나빌레라'라는 어구는 훗날 어느 아이돌 가수에 의해 다시금 주목받게 된다. 나빌레라란 '나비 같구나'라는 뜻으로, '나비'에 'ㄹ레라'가 붙어 만들어진 시어다.
  • 완화삼
  • 낙화#s-2.1.2
  • 호상비문
  • 동물원의 오후
  • 고풍 의상 : 2018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 국어 영역에 출제되었다.
  • 마음의 태양 : '맑고 아름다운 하늘을 받들어'라는 구절이 2020학년도 수능 9월 모의평가 필적확인란 문구로 나왔다.
  • 사모: H.O.T.의 4집에서 강타의 목소리로 낭독되기도 했다.
  • 멋 설
  • 석문(石門) : 민간설화를 바탕으로 지어진 시로, 동일한 설화를 바탕으로 지어진 다른 시는 서정주의 '신부' 가 있다.
  • 산상의 노래: 2021학년도 수능 6월 모의평가 국어 영역에 출제되었다.
  • 마을: 제2회 MBC 대학가곡제(1982년)에서 연대 작곡과 2학년생인 박영주가 이 시에 곡을 쓰고 같은 대학 성악과 4학년생 강무림이 불러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1]동국대학교[2] 인근의 도계리, 가곡리와 함께 한양 조씨 집성촌이다. 조헌영 전 국회의원, 역사학자 조동걸, 조근해 공군참모총장, 조운해 강북삼성병원장, 조태열 전 외교부 차관도 이 마을 출신이다. 특히 이 곳은 강원도 춘천시 서면(춘천), 전라북도 임실군 삼계면과 더불어 작은 시골마을에서 박사를 많이 배출했다 하여 이른바 '국내 3대 박사마을'로 불린다.[3] 총관공파(摠管公派) 27세손 동(東) 식(植) 항렬[4] 그 때문에 김수영 시인에게 디스를 먹었다. 김일성 만세 참조[5]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주실 마을에 종가가 있는데 상당한 명문가로 통한다.[6] 조지훈의 부친 조헌영 한의사 출신이며, 남한 제헌의원으로서 한의학계에 남긴 업적이 엄청나다. 1950년 보건의료 행정법안의 제1장 총칙의 의료인 규정에 서양 의사 제도만 두고 한의사 제도는 폐지한 제정안이 국회에 제출되자, 앞장서서 폐지에 힘썼다. 북한에서도 최초로 동의학(남한의 한의학에 해당) 박사가 되었으며, 동의보감 국역을 주도하기도 하는 등 현재의 한의학이 있기까지 큰 공헌을 하였고, 북한 내에서도 여러 고위직책을 맡으며 대접받았다. 88세까지 살아 장수했는데 아들 조지훈보다 20년은 더 살았다.